KR20240048424A - 파티션 연장용 패널 - Google Patents

파티션 연장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424A
KR20240048424A KR1020220128210A KR20220128210A KR20240048424A KR 20240048424 A KR20240048424 A KR 20240048424A KR 1020220128210 A KR1020220128210 A KR 1020220128210A KR 20220128210 A KR20220128210 A KR 20220128210A KR 20240048424 A KR20240048424 A KR 20240048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rtition
extension
partition extension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이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22012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424A/ko
Publication of KR2024004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은, 파티션 패널에 장착된 파티션 연장 홀더에 끼움 고정되어 파티션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로서, 상기 파티션 패널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티션 패널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파티션 연장 홀더가 삽입되도록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패널과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이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티션 연장용 패널{PANEL FOR PARTITION EXTENSION}
본 개시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안착구조를 갖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파티션(partition)은 벽을 설치하지 않고 공간을 여러 개로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사무실에서, 파티션은 특정 목적에 따라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개인의 효율적인 업무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파티션으로 구획된 공간은, 완전히 분리된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사무실에 근무하는 사람들은 개인적인 업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하나의 사무공간에서 소속감을 느낄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코로나 등 감염병의 유행으로 인해 개인 위생에 대한 기준이 높아지고 있고, 사무 공간에서도 감염병 방지를 위해 비말분산 방지수단 등과 같은 더 높은 수준의 방역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회의실에는 아크릴판 등으로 파티션이 설치되고, 기존에 있던 파티션은 높이를 연장하여 비말이 분산되는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213516호에는 파티션 상단부에 파티션 연장용 홀더가 장착되고, 그 상부에 소정 높이의 소정 높이의 파티션 연장용 판재가 장착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13516호 (2021. 02. 02)
본 개시는, 기설치된 파티션 패널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조를 갖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걸이부가 마련된 파티션 연장 홀더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은, 파티션 패널에 장착된 파티션 연장 홀더에 끼움 고정되어 파티션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로서, 파티션 패널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티션 패널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안착부 및 파티션 연장 홀더가 삽입되도록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어, 파티션 패널과 파티션 연장용 패널이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하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하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측에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걸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 연장용 패널 상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구조를 통해 기설치된 파티션에 패널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소지품 등의 물건을 패널에 형성된 걸이부에 걸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하고 정돈된 사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개시와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위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개시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 홀더(30)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이하, '제1 패널(10)' 이라고 함)과 바닥면에 안착되어 설치된 파티션 패널(이하, '제2 패널(20)'이라고 함)을 연결한다. 제1 패널(10)은 제2 패널(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전체적인 파티션의 높이를 연장시킨다.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파티션 연장 홀더(3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패널(10)은 복수의 파티션 연장 홀더(30)에 의해 제2 패널(2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패널(10)은,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아크릴(Acrylic) 등과 같은 소재로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널(10)이 투명하게 마련되면 파티션이 연장되더라도 연결된 공간으로 보이게 되어 개방감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패널(10)의 소재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파티션 연장 홀더(30)는, 제1 패널(10)이 장착되는 제1 홀더부(31)와 제2 패널(20)에 장착되는 제2 홀더부(32)를 포함한다.
제1 홀더부(31)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두 개의 연장부 사이에 제1 패널(10)이 끼워진다. 두 개의 연장부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제1 패널(10)의 두께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1 패널(10)이 제1 홀더부(31)에 끼워진 후에는 두 개의 연장부의 자유단이 서로 가까워지려는 복원력에 의해 제1 패널(10)이 제1 홀더부(3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패널(20)과 제2 홀더부(32)의 결합 방식도 제1 패널(10)과 제1 홀더부(31)의 결합방식과 유사하다. 즉, 제2 홀더부(32)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두 개의 연장부의 자유단 사이의 간격은 제2 패널(20)의 두께보다 작게 마련된다. 제2 홀더부(32)에 제2 패널(20)이 끼워지면 제2 연장부(32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패널(20)이 제2 홀더부(32)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10)의 하단부에는, 제1 패널(10)이 제2 패널(20: 도 1 참조)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구조가 마련된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10)의 하단부에는 제2 패널(20)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1 패널(10)의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안착부(11)가 마련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패널(10)의 하단부에는 제2 패널(20)에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부(11)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안착부(11)의 저면에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큰 소재의 밀착패드(미도시)가 게재되어 제1 패널(10)와 제2 패널(20)간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10)의 하단에는 상기 파티션 연장 홀더(30)가 장착되는 위치에 절개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파티션 연장 홀더(30)가 제1 패널(10)에 장착될 때,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이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홀더부(31)는 상기 절개부(12)에 삽입된다. 절개부(12)의 폭은 제1 홀더부(31)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거나 더 긴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 간의 갭(gap)이 존재하지 않고 서로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어, 비말이나 소음이 퍼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연장용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패널(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물건 등을 걸어놓을 수 있는 걸이부(13, 14, 15)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걸이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10)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걸이부(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10)의 일측이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이부(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10)에 홀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홀들은 제1 패널(10) 상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별도의 후크 걸이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홀 형상의 걸이부(15)에 필요한 물건을 걸어둘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홀 형상의 걸이부(15)에 선반을 걸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패널(10)에 걸이부가 구비되면 사용자의 물건을 걸어둘 수 있어 편리하고, 물건들을 용이하게 정리, 정돈할 수 있어 쾌적한 공간을 만드는 데에 유리하다.
상기에서는 돌출된 후크 형태의 걸이부(13), 파티션 연장용 패널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걸이부(14), 홀 형태의 걸이부(15)가 각각 별도로 마련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걸이부의 형태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형태를 가진 걸이부가 하나의 패널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개시를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개시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패널
11: 안착부
12: 절개부
13, 14, 15: 걸이부
20: 제2 패널
30: 파티션 연장 홀더
31: 제1 홀더부
32: 제2 홀더부

Claims (6)

  1. 파티션 패널에 장착된 파티션 연장 홀더에 끼움 고정되어 파티션의 높이를 연장시키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로서,
    상기 파티션 패널의 상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파티션 패널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안착부 및 상기 파티션 연장 홀더가 삽입되도록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어, 상기 파티션 패널과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이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 하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 하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측에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의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된 걸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연장용 패널 상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연장용 패널.
KR1020220128210A 2022-10-06 2022-10-06 파티션 연장용 패널 KR20240048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10A KR20240048424A (ko) 2022-10-06 2022-10-06 파티션 연장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210A KR20240048424A (ko) 2022-10-06 2022-10-06 파티션 연장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424A true KR20240048424A (ko) 2024-04-15

Family

ID=9071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210A KR20240048424A (ko) 2022-10-06 2022-10-06 파티션 연장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4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16B1 (ko) 2020-08-25 2021-02-08 이창수 파티션 연장용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16B1 (ko) 2020-08-25 2021-02-08 이창수 파티션 연장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7902A (en) Multiple tool holders
US5779206A (en) Hanger assembly
US72346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rticles
US4187787A (en) Rope-suspended shelving unit
KR20240048424A (ko) 파티션 연장용 패널
BR102015031758A2 (pt) artigo mobiliário com área para alocação de objetos
KR20240048422A (ko) 파티션 연장 홀더
JP5385320B2 (ja) 執務空間構成什器
US5992332A (en) Elliptical worksurface profile
KR20240048423A (ko) 파티션 연장 홀더
KR20200000715A (ko) 파티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티션
JP2002320527A (ja) キャビネット
US2347035A (en) Filing equipment
JP2001104083A (ja) 配線カバー
JP2005040443A (ja) 天板付家具
JP4525279B2 (ja) 机上棚
JP3228801U (ja) パーテーションユニット
JP6166885B2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装置
JP5934492B2 (ja) デスク装置
KR100449327B1 (ko) 독서실용 책상 유니트
KR20230001974U (ko) 가변형 칸막이 기구
JP3228344U (ja) 卓上パーティション
JP3234749U (ja) 商品陳列什器
JP2022131620A (ja) 間仕切り
JP6812735B2 (ja) シェルフ及び天板付家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