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794A -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 - Google Patents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794A
KR20240046794A KR1020247010138A KR20247010138A KR20240046794A KR 20240046794 A KR20240046794 A KR 20240046794A KR 1020247010138 A KR1020247010138 A KR 1020247010138A KR 20247010138 A KR20247010138 A KR 20247010138A KR 20240046794 A KR20240046794 A KR 20240046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pieces
composite
sk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있어서, 표층 편지를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구성함으로써, 멜란지톤의 외관을 갖는 높은 의장성을 나타내는 표피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피재는, 표층 편지와, 이층 편지와, 상기 표층 편지와 상기 이층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로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이다.

Description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
본 발명은 표피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리 2층의 편지(編地)와 상기 2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은, 연결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쿠션성을 가지고, 또한, 표리면의 편지를 메쉬 구조로 하여 높은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청량하며 땀참 방지성이 높은 쿠션재로서, 좌석 시트나 침구 등의 용도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입체 편물을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이용할 때는,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에는 의장성이 요구되는 가운데, 표층의 편지에 선침에 의한 무늬 및/또는 색사 전환에 의한 무늬를 부여함으로써, 고도한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표리 2층의 가로 편지가 모노필라멘트사에 의해 연결된 입체 가로 편물에 있어서, 표리의 편지 중 적어도 한쪽의 편지 표면이 선침에 의한 무늬 및/또는 색사 전환에 의한 무늬를 가짐으로써, 의장성이 우수한 입체 가로 편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780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입체 가로 편물의 편지 표면은, 선침에 의한 색사의 전환이나 무늬의 전환에 의해 의장성을 부여하고 있지만, 하나하나의 편목이 큼으로써, 색의 변화가 편목마다 지나치게 명료하기 때문에, 내츄럴한 멜란지톤의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상의 종래 기술의 수준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있어서,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넣어 짜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에 일정한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내츄럴한 멜란지톤의 외관을 갖는 높은 의장성을 나타내는 표피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표층 편지와, 이층(裏層) 편지와, 상기 표층 편지와 상기 이층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로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편목을 경사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예상외로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표층 편지와, 이층 편지와, 상기 표층 편지와 상기 이층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로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2]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5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표피재.
[3]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6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2]에 기재된 표피재.
[4]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5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5] 상기 입체 편물이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상기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에 면하고 있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6]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50% 이상의 편목이, 상기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에 면하고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표피재.
[7] 상기 이층 편지가, 상기 표층 편지의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의 색보다 농색의 실을 포함하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표피재.
[8]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상기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와는 다른 색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9] 상기 표층 편지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섬도가 150 데시텍스 이상 800 데시텍스 이하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10] 상기 표층 편지의 편밀도가, 20 코스/2.54 ㎝ 이상 43 코스/2.54 ㎝ 이하, 또한 18 웨일/2.54 ㎝ 이상 34 웨일/2.54 ㎝ 이하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본 발명의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는,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를 넣어 짜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에 일정한 각도를 부여함으로써, 내츄럴한 멜란지감이 높은 의장성을 나타낸다.
도 1은 표층 편지의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각도를 이루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일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표층 편지의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각도를 이루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일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표층 편지의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이 개구부와 면하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일례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본 실시형태라고도 한다.)의 표피재는, 표층 편지와, 이층 편지와, 상기 표층 편지와 상기 이층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로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표층 편지와, 이층 편지와, 상기 2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한다. 상기 입체 편물은, 더블 라셀 경편기나 더블 환편기에 의해 편성되고, 편기의 게이지는 18∼32 게이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란, 색상, 채도, 명도, 광택 등, 색에 관한 특성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실을, 연사(撚絲), 인터레이스 가공, 에어젯 가공, 복합 가연 가공 등의 가공으로 복합한 실을 말한다. 상기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로서는, 원착사(原着絲)나 선염사(先染絲) 등, 미리 착색된 실 등을 말하지만, 입체 편물의 생기(生機; grey goods)를 편성 후, 염색 가공에 의해 2종류 이상의 색사가 되는 실이어도 좋다. 염색 가공에 의한 입체 편물의 성량(性量) 변동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상기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는 원착사나 선염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염색 공정을 불필요로 할 수 있는 원착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색사에는 미착색의 백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다는 것은, 표층 편지의 일정 면적 중에 포함되는 전체 편목 중 30% 이상이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인 것을 말한다. 상기 복합사로 형성되는 편목의 비율은, 표층 편지의 임의의 장소를 표측에서 보아, 일정 면적(일례로서 한 변이 1 ㎝인 정사각형) 중에 있는 전체 편목 수에 대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수의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계산된다.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됨으로써, 표층 편지가 내츄럴한 멜란지톤의 외관이 된다. 상기 복합사로 형성되는 편목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표층 편지의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상기 편목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또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의 비율은, 표층 편지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 표측에서 보아 일정 면적(일례로서 한 변이 1 ㎝인 정사각형) 중에 있는 상기 복합사의 전체 편목 수에 대한, 인접하는 편목과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기 복합사의 편목 수의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계산된다.
상기 각도가 20도 이상 80도 이하가 되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이 30% 이상 있으면,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이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지나치게 직선적으로 나열되는 일없이, 보다 내츄럴한 멜란지톤을 나타냄과 동시에, 대략 경사 방향으로 색이 진행되는 희끗희끗한 톤의 멜란지 무늬가 되어, 보다 의장성이 높아져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도 이상 70도 이하이다.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이 형성하는 각도에 대해서, 코스 방향(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X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의 모식도를 도 1에, 웨일 방향(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Y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의 모식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표층 편지의 편직 시작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표측에서 보았을 때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하나의 편목(1)의 좌우의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2개의 기둥(4, 5) 중, 보다 최표면측에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편측의 기둥(4)에 있어서,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a)으로부터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b)을 연결한 직선(L1)을 긋는다. 동일하게 하여, 상기 편목(1)와 코스 방향(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2)의 좌우의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2개의 기둥(6, 7) 중, 보다 최표면측에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편측의 기둥(7)에 있어서,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c)으로부터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d)을 연결한 직선(L2)을 긋는다. 얻어진 직선(L1 과 L2)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편직 종료 방향으로 개방한 부분의 각도를 X도로 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하나의 편목(1)와 웨일 방향(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3)의 좌우의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2개의 기둥(8, 9) 중, 보다 최표면측에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편측의 기둥(9)에 있어서,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e)으로부터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f)을 직선(L3)으로 연결한다. 얻어진 직선(L1과 L3)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편직 종료 방향으로 개방한 부분의 각도를 Y도로 한다.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하나의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은, 상기 복합사와 동일한 복합사여도 좋고, 상기 복합사와는 다른 색사여도 좋지만, 인접하는 편목이 상기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와는 다른 색사로 형성된 편목이면, 편조직에 따라 보다 내츄럴한 멜란지톤이 되거나, 혹은 기하학적인 패턴을 포함하는 멜란지톤이 되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표층 편지에 있어서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와 면하고 있는 것이, 표층 편지의 외관을 보다 입체감이 있는 멜란지톤으로 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개구부란,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편목열에 있어서, 일부의 또는 모든 코스에서, 인접하는 편목열이 코스 방향(가로 방향)에 0.3 ㎜ 이상으로 간극을 둠으로써 형성되는 공극을 말하지만, 상기 공극을 메우도록 패턴사가 삽입 편직되어 있어도, 개구부로 간주한다.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와 면하고 있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의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또한, 개구부와 면하고 있는 편목의 비율은, 표층 편지의 임의의 장소에 있어서 표측에서 보아 일정 면적(일례로서 한 변이 1 ㎝인 정사각형) 중에 있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전체 편목 수에 대한,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와 면하고 있는 편목 수의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계산된다.
도 3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하나의 편목(1)에, 개구 사이즈 K(㎜)의 개구부(10), 개구 사이즈 S(㎜)의 개구부(11)가 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개구부는 상기 편목(1)의 좌우의 2개의 기둥(4, 5)의 좌우 양 외측에 면하고 있는 개구부를 가리키고, 또한, 개구 사이즈는 개구부에 있어서, 코스 방향(가로 방향)의 수평선으로 가장 직선 거리가 길어지는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를 나타낸다.
표층 편지의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편목이 개구부와 면하고 있을 때, 외관을 더욱 입체감이 있는 것으로 하는 데 있어서, 이층 편지가 표층 편지의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의 색보다 농색의, 흑색 등의 색사 사용이면, 개구부를 통하여 보이는 이층 편지의 농색에 의해 복합사의 색과 무늬가 돋보이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에 있어서,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에 면하도록 개구부를 만드는 방법으로서는, 표층 편지의 임의의 부위를 메쉬 조직이나 이랑 조직으로 하고, 메쉬 조직이나 이랑 조직의 개구부의 위치에, 복합사를 배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표층 편지를 메쉬 조직이나 이랑 조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경편 조직을 이용할 수 있다. 메쉬 조직의 경우는, 편기의 적어도 2장의 바디를 사용하여, 가이드 바로부터 실을 공급할 때에, 1 인 1 아웃이나 2 인 2 아웃 등의 실빠짐 배열로 한 메쉬 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랑 조직의 경우는, 편기의 적어도 2장의 바디를 사용하여, 가이드 바로부터 실을 공급할 때에, 1 인 1 아웃이나 2 인 2 아웃 등의 실빠짐 배열로 하여, 2장의 가이드 바로부터 공급된 편지의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적어도 2열 이상의 편목열의 싱커 루프를, 2장의 가이드 바의 움직임에 의해 적절하게, 좌우 반대 방향으로 인장하는 상태로 함으로써, 편목열을 끌어당겨 볼록형의 이랑 구조로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메쉬 조직, 또는 이랑 조직에 대해서는, 편지의 전체 코스에 있어서, 전부 동일한 메쉬 조직 또는 이랑 조직일 필요는 없고, 일부의 코스에 있어서 다른 편조직이 조합된 조직이어도 좋다.
표층 편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있어서는,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와, 색, 형태, 광택 등의 외관이 다른 패턴사가, 표층 편지의 표측에서 보아 대략 세로 방향, 대략 가로 방향, 또는, 대략 경사 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상기 개구부를 걸쳐 삽입 편직되어 있으면, 보다 깊이감이 있는 의장성을 나타내는 것이 되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에 있어서는, 표층 편지의 외관이 보다 내츄럴한 멜란지감이 되고, 또한, 표층 편지가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마찰될 때에,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단섬유의 인출이나 보풀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하는 데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섬도, 즉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의 토탈 섬도가 150 데시텍스 이상∼800 데시텍스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사의 단사 섬도는 1 데시텍스 이상 6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고, 단사의 강력이 보다 높아지는 3 데시텍스 이상 6 데시텍스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층 편지의 편밀도는, 내츄럴한 멜란지감과 복합사의 단섬유의 인출이나 보풀 발생의 억제의 관점에서, 20 코스/2.54 ㎝ 이상 43 코스/2.54 ㎝ 이하, 또한 18 웨일/2.54 ㎝ 이상 34 웨일/2.5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사의 토탈 섬도는 200 데시텍스 이상 데시텍스 500 데시텍스 이하, 편밀도는 25 코스/2.54 ㎝ 이상 43 코스/2.54 ㎝ 이하, 또한 20 웨일/2.54 ㎝ 이상 30 웨일/2.54 ㎝ 이하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표층 편지의 하나의 편목의 총섬도는 150 데시텍스 이상 800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는 편목은, 단일의 복합사만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다른 실과 복합되어 하나의 편목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입체 편물의 연결사에 이용하는 섬유는 모노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연결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경우, 그 섬도는, 편지 표면으로의 모노필라멘트의 돌출을 억제하고, 또한, 양호한 쿠션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30 데시텍스 이상 300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데시텍스 이상 250 데시텍스 이하이다.
입체 편물의 편지 표면으로 모노필라멘트가 돌출하면, 면패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에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가 표층 편지의 표측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의 편목이 모노필라멘트의 편목을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하나의 편목의 총섬도(D)(데시텍스)에 대하여, 모노필라멘트의 섬도(D2)(데시텍스)는 이하의 관계식:
D/D2≥3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입체 편물에 있어서는, 표층 편지, 이층 편지, 및 연결사에는 임의의 섬유를 이용할 수 있지만, 원사 강도, 내광성의 면에서, 표층 편지, 및 이층 편지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장섬유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표층 편지, 이층 편지, 및 연결사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00%인 것이 재료 리사이클이나 케미컬 리사이클 등, 리사이클을 하기 쉬운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는 미염색이어도 좋지만, 염색 가공 시의 입체 편물의 성량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원착사 또는 선염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 공정을 불필요로 할 수 있는 안료 등을 이겨 넣은 원착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입체 편물의 두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표피재로서의 봉제성이나 취급성으로부터, 2.5 ㎜ 이상 12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8 ㎜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의 단위 중량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300∼10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900 g/㎡이다.
본 실시형태의 입체 편물의 마무리 가공 방법은, 선염사나 원착사를 사용한 입체 편물의 경우, 생기를 정련, 히트 세트 등의 공정을 통하여 마무리할 수 있지만, 공정 간략화의 면에서 히트 세트만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층 편지, 이층 편지, 또는 연결사에 이용하는 섬유 중 어느 하나가 미착색인 입체 편물인 경우, 생기를 프리세트, 정련, 염색, 히트 세트 등의 공정을 통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좌석 시트나 자동차의 내장재 등에 이용할 때에는, 종래의 표피재와 같이 이면에 우레탄을 라미네이트할 수 있지만, 라미네이트하지 않고 사용하는 편이 리사이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등에 있어서 이용한 입체 편물의 각종 물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은 것이었다.
(a)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의 각도(도)
기엔스사 제조의 원샷 3D 측정 현미경 VR-3000을 이용하여, 배율 40배로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의 임의의 위치의 표측면을, 편직 시작 방향을 앞측(화상의 하측)으로 하여 오토 포커스, 3D 측정으로 촬영한다. 촬영된 3D 화상으로부터,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하나의 편목의 좌우의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2개의 기둥 중, 보다 최표면측에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편측의 기둥에 있어서,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화상의 가장 하측의 점)으로부터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화상의 가장 상측의 점)을 연결한 직선을 긋는다. 또한, 2개의 기둥의 최표면측의 부위의 높이가 동등한 경우는, 인접하는 편목과의 각도가 커지는 기둥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의 편목과 코스 방향(가로 방향) 및 웨일 방향(세로 방향)과 인접하는 편목에 있어서, 좌우의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2개의 기둥 중, 보다 최표면측에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편측의 기둥에 있어서,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화상의 가장 하측의 점)으로부터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화상의 가장 상측의 점)을 연결한 직선을 긋는다. 얻어진 2개의 직선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편직 종료 방향으로 개방한 부분의 각도를 계측한다. 측정은, 3D 화상의 일정 면적(한 변이 0.7 ㎝인 정사각형∼한 변이 1 ㎝인 정사각형) 중에 있는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전체 편목에 대해서, 코스 방향, 웨일 방향 각각 측정한다.
(b) 개구 사이즈(㎜)
상기 (a)에서 촬영된 3D 화상으로부터,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에 면한 개구부에 있어서, 코스 방향(가로 방향)의 수평선으로 가장 직선거리가 길어지는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를 측정하여, 개구 사이즈로 한다.
(c) 복합사의 섬도(데시텍스)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를 풀어 10 ㎝ 이상의 복합사를 발출하고, 15 gf의 하중을 1개의 복합사에 걸었을 때의 길이와 중량을 측정하여, 섬도를 계산한다. 3개의 복합사를 발출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입체 편물을 편성하기 전에 섬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JIS L 1013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d) 멜란지톤의 의장성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를 표측에서 육안으로 보아, 멜란지톤의 의장성을 갖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이하의 등급 판정을 행한다. 판정은 0.5급씩으로 행한다.
5급: 매우 내츄럴한 멜란지톤을 나타낸다
4급: 꽤 내츄럴한 멜란지톤을 나타낸다
3급: 약간 내츄럴한 멜란지톤을 나타낸다
2급: 거의 내츄럴한 멜란지톤을 나타내지 않는다
1급: 전혀 내츄럴한 멜란지톤을 나타내지 않는다
(e) 입체감이 있는 멜란지톤의 의장성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를 표측에서 육안으로 보아, 멜란지톤의 무늬에 깊이가 있는 입체감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이하의 등급 판정을 한다. 판정은 0.5급씩으로 행한다.
5급: 매우 깊이감이 있다
4급: 꽤 깊이감이 있다
3급: 약간 깊이감이 있다
2급: 거의 깊이감이 없다
1급: 전혀 깊이감이 없다
(f) 비스듬히 희끗희끗한 멜란지톤의 의장성
입체 편물의 표층 편지를 표측에서 육안으로 보아, 멜란지톤의 무늬가 경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이하의 등급 판정을 행한다. 판정은 0.5급씩으로 행한다.
5급: 매우 경사 방향으로 진행되는 멜란지톤을 나타낸다
4급: 꽤 경사 방향으로 진행되는 멜란지톤을 나타낸다
3급: 약간 경사 방향으로 진행되는 멜란지톤을 나타낸다
2급: 거의 경사 방향으로 진행되는 멜란지톤을 나타내지 않는다
1급: 전혀 경사 방향으로 진행되는 멜란지톤을 나타내지 않는다
[실시예 1]
6장 바디를 장비한 22 게이지, 가마 사이 6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와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흰색 실)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120회/m의 꼬임수로 연사한 복합사를 1 인 1 아웃(L1)과 1 아웃 1인(L2)의 배열로 공급하고, 연결부를 형성하는 1장의 바디(L3)로부터 110 데시텍스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모노필라멘트를 1 인 1 아웃의 배열로 공급하고, 또한, 이층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4, L5)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모두 올 인의 배열로 공급하였다.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기상 코스를 35 코스/2.54 ㎝로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폭 조정률 0%, 오버 피드율 0%, 175℃×1분으로 건열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1011/2322/(1 인 1 아웃)
L2: 2322/1011/(1 아웃 1 인)
L3: 3410/4367/(1 인 1 아웃)
L4: 1110/0001/(올 인)
L5: 2210/2234/(올 인)
[실시예 2]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1011/1233/4544/4322/(1 인 1 아웃)
L2: 4544/4322/1011/1233/(1 아웃 1 인)
L3: 3410/3245/2145/2310/(1 인 1 아웃)
L4: 1110/0001/(올 인)
L5: 2210/2234/(올 인)
[실시예 3]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1011/2322/)×3(1011/1211/)×3(1 인 1 아웃)
L2: (2322/1011/)×3(3233/3433/)×3(1 아웃 1 인)
L3: (3410/4367/)×3(4367/3410/)×3(1 인 1 아웃)
L4: 1110/0001/(올 인)
L5: 2210/2234/(올 인)
[실시예 4]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1011/1211/(1 인 1 아웃)
L2: 1011/1211/(1 아웃 1 인)
L3: 4367/3410/(1 인 1 아웃)
L4: 0001/1110/(올 인)
L5: 2234/2210/(올 인)
[실시예 5∼7]
6장 바디를 장비한 22 게이지, 가마 사이 6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와,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흰색 실)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120회/m의 꼬임수로 연사한 복합사와, 334 데시텍스 72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복합사 2개, 334/72 가연 가공사 1개의 순서(실시예 5), 복합사 1개, 334/72 가연 가공사 1개의 순서(실시예 6), 복합사 1개, 334/72 가연 가공사 2개의 순서(실시예 7)로 가이드에 대하여 1 인 1 아웃(L1)과 1 아웃 1 인(L2)의 배열로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사의 혼용률이 다른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게 건열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1, 2에 나타내는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비교예 1]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1장의 바디(L1)로부터 334 데시텍스 72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1 인 1 아웃의 배열로, 다른 1장의 바디(L2)로부터 334 데시텍스 72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가연 가공사(백색)를 1 아웃 1 인의 배열로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2에 나타내는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비교예 2]
6장 바디를 장비한 18 게이지, 가마 사이 6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와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흰색 실)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인터레이스 혼섬한 복합사를 모두 올 인의 배열로 공급하고, 연결부를 형성하는 1장의 바디(L3)로부터 200 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모노필라멘트를 1 인 1 아웃의 배열로 공급하고, 또한, 이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4, L5)로부터 167 데시텍스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모두 올 인의 배열로 공급하였다.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기상 코스를 16 코스/2.54 ㎝로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히트 세트하여, 이하의 표 2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1011/2322/(올 인)
L2: 2322/1011/(올 인)
L3: 3410/4367/(1 인 1 아웃)
L4: 1110/0001/(올 인)
L5: 2210/2234/(올 인)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2와 같이,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의 다른 색사의 복합사를 포함하는 실시예 1∼7의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는, 표층 편지가 2종류의 다른 색사의 복합사를 포함하지 않고, 다른 바디로부터 공급된 2종류의 다른 색사에 의해 만들어진 다른 색의 편목이 교대로 배열한 비교예 1이나, 2종류의 다른 색사의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의 각도가 20도 이상 80도 이하인 복합사의 편목 비율이 30% 미만인 비교예 2에 대하여, 내츄럴한 멜란지톤의 외관을 갖는 높은 의장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표층 편지의 편목에 있어서의 2종류의 다른 색사의 복합사의 편목의 비율에 있어서는, 실시예 1, 5, 6, 7을 비교하여, 혼용률이 오를수록 내츄럴한 멜란지톤의 의장성이 느는 것이었다.
또한, 2종류의 다른 색사의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의 각도가 20도 이상 80도 이하인 복합사의 편목의 비율이 다른 실시예 1, 2, 3을 비교하면, 상기 비율이 높을수록 비스듬히 희끗희끗한 멜란지톤의 의장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개구 사이즈가 0.3 ㎜ 이상 2.5 ㎜ 이하인 개구부와 면하고 있는 2종류의 다른 색사의 복합사의 편목의 비율이 다른 실시예 1, 2, 3을 비교하면, 개구부에 면하고 있는 편목의 비율이 많을수록, 입체감이 있는 멜란지톤의 의장성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표피재는,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의 우레탄 패드 등의 쿠션 부재 상에 배치하거나, 시트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좌석 시트나, 탈것의 천장이나 도어 트림 등의 내장재에 이용할 수 있는 표피재이며, 표층 편지를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구성함으로써, 멜란지톤의 외관을 갖는 높은 의장성을 나타내는 표피재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하나의 편목
2 코스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
3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
4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기둥
5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기둥
6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기둥
7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기둥
8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기둥
9 섬유 다발을 포함하는 기둥
10 개구부
11 개구부
L1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으로부터 최상점을 연결한 직선
L2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으로부터 최상점을 연결한 직선
L3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으로부터 최상점을 연결한 직선
K 개구 사이즈
S 개구 사이즈
X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의 각도
Y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인접하는 편목의 각도
a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
b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
c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
d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
e 기둥이 보이는 최하점
f 기둥이 보이는 최상점

Claims (10)

  1. 표층(表層) 편지(編地)와, 이층(裏層) 편지와, 상기 표층 편지와 상기 이층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로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編目) 중 3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5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어 있는 표피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편지에 포함되는 편목 중 60% 이상의 편목이 2종류 이상의 다른 색사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형성되어 있는 표피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50% 이상의 편목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편목이 20도 이상 8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표피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이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상기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에 면하고 있는 표피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50% 이상의 편목이 상기 0.3 ㎜ 이상 2.5 ㎜ 이하의 개구부에 면하고 있는 표피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층 편지가 상기 표층 편지의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의 색보다 농색의 실을 포함하는 표피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로 형성된 편목 중 30% 이상의 편목이, 상기 복합사의 적어도 1종류의 색사와는 다른 색사로 형성된 편목과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으로 인접하는 표피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편지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섬도가 150 데시텍스 이상 800 데시텍스 이하인 표피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 편지의 편밀도가 20 코스/2.54 ㎝ 이상 43 코스/2.54 ㎝ 이하, 또한 18 웨일/2.54 ㎝ 이상 34 웨일/2.54 ㎝ 이하인 표피재.
KR1020247010138A 2021-10-04 2022-09-30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 KR20240046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3467 2021-10-04
JP2021163467 2021-10-04
PCT/JP2022/036779 WO2023058578A1 (ja) 2021-10-04 2022-09-30 立体編物を含む表皮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794A true KR20240046794A (ko) 2024-04-09

Family

ID=8580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0138A KR20240046794A (ko) 2021-10-04 2022-09-30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58578A1 (ko)
KR (1) KR20240046794A (ko)
CN (1) CN117642533A (ko)
WO (1) WO20230585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00A (ja) 2002-09-13 2004-04-08 Asahi Kasei Fibers Corp 立体横編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1337B2 (ko) * 1972-11-21 1980-10-23
JPS49126943A (ko) * 1973-04-16 1974-12-05
JP2007195777A (ja) * 2006-01-27 2007-08-09 Asahi Kasei Fibers Corp クッション材
JP4853781B2 (ja) * 2006-09-16 2012-01-11 Tbカワシマ株式会社 二重編地
JP2014088632A (ja) * 2012-10-29 2014-05-15 Seiren Co Ltd ダブルラッセル経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130993A1 (en) * 2017-06-22 2021-05-06 Seiren Co., Ltd. Double raschel knitted fabri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800A (ja) 2002-09-13 2004-04-08 Asahi Kasei Fibers Corp 立体横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42533A (zh) 2024-03-01
JPWO2023058578A1 (ko) 2023-04-13
WO2023058578A1 (ja)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3783A1 (en) Non-seamed sheeting fabric having a cool portion and a warm portion
EP3235946B1 (en) Fabric having uneven-surface desig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70342657A1 (en) Fabric bearing desig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6302609B1 (ja) ビジネススーツ用編地
KR20240046794A (ko)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
JP6360532B2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KR101237863B1 (ko) 이수축 혼섬사를 이용한 자카드 직물
CN111051590B (zh) 商务衬衫用针织布
JP2023054536A (ja) 複合糸を含む表皮材
JP6302608B1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KR20230144101A (ko) 더블 라셀 편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피재
WO2022255319A1 (ja) 表皮材
EP4350061A1 (en) Upholstery material for seat and seat including same
JP7357514B2 (ja) 着衣用編地
KR102637390B1 (ko) 표피재
Gajjar Advances in warp knitted fabric production
JP7063674B2 (ja) 経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2005290588A (ja) ポリアミド混繊糸及び織編物
KR101884985B1 (ko) 자카드 직물
JP2021188157A (ja) 複合加工糸、複合加工糸を含む織編物
CN117987991A (zh) 一种3d经编互锁结构材料及生产工艺
JP2020079451A (ja) 複合加工糸および織編物
CN115434069A (zh) 一种悬浮炫光贾卡面料及其编织方法
JP2018021278A (ja) 凹凸織編物
JP2004285547A (ja) 三次元立体構造編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