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964A -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 Google Patents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964A
KR20240045964A KR1020230007246A KR20230007246A KR20240045964A KR 20240045964 A KR20240045964 A KR 20240045964A KR 1020230007246 A KR1020230007246 A KR 1020230007246A KR 20230007246 A KR20230007246 A KR 20230007246A KR 20240045964 A KR20240045964 A KR 2024004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g
packaging
surplus area
packaging container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주)미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컴퍼니 filed Critical (주)미래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4004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9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mouth of a filled contain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eans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웨이퍼의 패킹 장치는 웨이퍼를 수납한 밀봉포장용기를 수분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포장백에 수납하고 밀봉한 후 형성되는 잉여영역(Burr)을 자동화 과정을 통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지수단과 테이핑유닛을 포함하여 지지수단이 포장백의 잉여영역을 포장백의 상면에 수직하게 들어올린 후 테이핑유닛이 들어올려진 잉여영역을 포장백의 상면 방향으로 접으면서 테이핑을 수행하여 잉여영역이 최소화 또는 제거된 포장팩(MBB Package)를 생산하여, 잉여영역으로 인해 발생하는 적재 문제 및 장치 고장의 문제를 해결한다. The wafer packing device is characterized by processing the excess area (burr) formed after storing and sealing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the wafer in a packaging bag to protect it from moisture and static electricity through an automated process, and includes a support means and A packaging pack in which the excess area is minimized or eliminated by performing taping while the support means, including the taping unit, lifts the surplus area of the packaging bag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and then the taping unit folds the lifted excess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By producing (MBB Package), we solve loading problems and device failures caused by surplus areas.

Description

웨이퍼의 패킹 장치{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Wafer packing device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본 개시는 반도체 기술 장비 중에서도 실리콘 웨이퍼의 패킹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packing device for silicon wafers, among semiconductor technology equipment.

웨이퍼는 실리콘 등을 성장시켜 만든 단결정 잉곳을 적당한 두께로 얇게 썬 원판을 의미한다. A wafer refers to a single crystal ingot made by growing silicon, etc., thinly sliced to an appropriate thickness.

웨이퍼의 제조 공정은, 단결정 실리콘 잉곳을 만든 후, 슬라이싱하여 얇은 원판 모양의 웨이퍼를 얻은 다음, 슬라이싱 공정에 의한 손상을 제거하기 위해 가공 공정, 가공에 의한 손상을 제거하여 웨이퍼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공정 및 웨이퍼를 경면화한 후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The wafer manufacturing process involves making a single crystal silicon ingot, slicing it to obtain a thin disk-shaped wafer, then performing a processing process to remove damage caused by the slicing process, and improving the flatness of the wafer by removing damage caused by processing. It includes a process of mirror-finishing the wafer and then cleaning it.

이처럼 여러 공정을 통해 생산된 웨이퍼들은 오염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로 반출시에는 별도의 포장용기 및 포장백에 패킹된 후 이송된다.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protect the wafers produced through various processes like this from external shocks, they are packed in separate packaging containers and bags before being transported when shipped out.

하지만, 일반적으로 웨이퍼의 패킹 작업이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저하되고, 포장 불량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웨이퍼를 포장백에 넣어 패킹하는 과정에서 포장백의 밀봉된 입구부분이 길게 튀어나온 잉여영역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잉여영역은 적재효율을 저하시키고 공정 중 기계 고장을 일으킬 염려가 있어 잉여영역에 대한 처리가 요구된다. However, since wafer packing work is generally partially or entirely performed manually, process efficiency is reduced and packaging defects frequently occur.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acking wafers in a packaging bag, a surplus area is formed in which the sealed entrance of the packaging bag protrudes long. This excess area reduces loading efficiency and is likely to cause machine failure during the process, so the excess area must be disposed of. is required.

본 발명은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 실리콘 웨이퍼의 패킹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packing silicon wafers in the field of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웨이퍼를 수납한 밀봉포장용기를 패킹하는 패킹 장치에 있어서, 로딩된 포장백의 입구부분을 개구시키는 개구수단; 개구된 포장백의 수납공간으로 진입하여 밀봉포장용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밀어 넣는 삽입수단;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된 포장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수단;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되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포장백의 입구부분을 밀봉하여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잉여영역으로 만드는 밀봉수단; 상승하여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을 밀어 올려, 상기 잉여영역을 상기 포장백의 상면에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잉여영역의 상면이, 상기 포장백의 상면과 맞닿도록 접으면서, 위로 노출된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의 제1위치부터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에 가려지지 않은 상기 포장백의 상면의 제2위치까지 테이핑을 수행하는 테이핑유닛;을 포함하는, 웨이퍼의 패킹 장치를 제공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packing device for packing a sealed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wafers, including an opening means for opening the entrance portion of the loaded packaging bag; Insertion means that enters the storage space of the opened packaging bag and pushe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nto the storage space; Vacuum means for vacuumizing the interior of the packaging bag containing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a sealing means that seals the entrance portion of the packaging bag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s stored and the inside of which is in a vacuum state, thereby creating a surplus area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support means that rises to push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and arranges the surplus area parallel to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is folded so tha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and the packaging bag that is not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is re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exposed upward. A wafer packing device including a taping unit that performs taping to a secon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웨이퍼의 패킹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면 자동화하여 생산 효율 및 불량률 감소를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achieving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tion of defect rate by fully automating all or part of the wafer packing process, which was previously performed manual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킹 장치는 패킹 과정에서 잉여영역이 최소화 또는 제거된 형상의 포장팩을 생산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최대한 많은 수의 포장팩의 효율적인 적재가 가능하며, 이송이나 공정 과정 중에 포장팩의 잉여영역에 의해 발생하는 장치의 고장이나 공정의 불량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packaging packs in a shape in which surplus areas are minimized or eliminated during the packing process, enabling efficient loading of as many packaging packs as possible in a limited space, and enabling transportation or processing.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device failures or process defects caused by surplus areas of the packaging pack during th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퍼의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퍼의 패킹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부들이 웨이퍼를 패킹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 사용되는 포장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킹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킹 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9은 도 6의 패킹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이 잉여영역을 세우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의 제1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킹 장치에 포함된 테이핑유닛의 테이핑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fer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fer pa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omponents of FIG. 2 pack a wafer.
Figure 4 shows a packaging bag used in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the steps performed in the p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9 are flowcharts specifically showing operations performed in the packing device of FIG. 6.
Figure 10 shows examples in which the support means establishes a surplus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part of a ta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taping method of the taping unit included in the p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dundant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dditionally,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dition, when a part of a membrane, area,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rane, area, component, etc. is interposed between them. do.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퍼의 패킹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afer pack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패킹(packing)이란, 웨이퍼(W)가 적재된 이동용기(51)에서 웨이퍼(W)를 꺼내어 포장용기 및 포장백(20)에 수납함으로써, 웨이퍼(W)가 수납된 포장팩(21)를 생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packing refers to removing the wafer (W) from the mobile container (51) loaded with the wafer (W) and storing it in the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ing bag (20). 21) refers to the process of producing.

본 명세서에서, 웨이퍼(Wafer)(W)는 실리콘 잉곳(Silicon Ingot)을 슬라이싱(Slicing) 후 연마 공정을 거친 소정의 직경의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를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웨이퍼의 재료는 실리콘 외에도 비실리콘일 수 있으며, 웨이퍼는 베어 웨이퍼(Bare wafer)에 한정하지 않고 IC(Integrated Circuit) 칩이 완성된 반도체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wafer (W) may refer to a silicon wafer of a predetermined diameter obtained by slicing a silicon ingot and then going through a polishing process. However, the material of the wafer may be non-silicon in addition to silicon, and the wafer may be not limited to a bare wafer but may include a semiconductor wafer with a completed IC (Integrated Circuit) chip.

본 명세서에서, 웨이퍼가 적재된 이동용기(51)는, FOSB(Front Opening Shipping Box)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FOSB외에도 반도체 생산업체 공정 라인에서 사용되는 이동용기인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일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mobile container 51 loaded with wafers may mean a Front Opening Shipping Box (FOSB).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addition to FOSB, it may be a FOUP (Front Opening Unified Pod), a mobile container used in the process line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본 명세서에서, 포장용기(10)는 자박스(Jar Box)를 의미할 수 있다. 포장용기(10)는 웨이퍼 이송을 위한 용기로, 복수의 웨이퍼의 수납 가능하며, 외부의 파티클(particle)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포장용기(10)는 시스템에 의한 자동 이송이 가능하고, 다단 적재가 가능한다. 한편, 웨이퍼가 수납되어 밀봉된 포장용기(10)는 밀봉포장용기(11)로 지칭하며, 밀봉 자박스(Sealed Jar Box)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ackaging container 10 may refer to a jar box. The packaging container 10 is a container for transferring wafers,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wafers,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particles. 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10 can be automatically transported by the system and multi-stage stacking is possible. Meanwhile, the packaging container 10 in which the wafer is stored and sealed is referred to as a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and may refer to a sealed jar box.

본 명세서에서, 포장백(20)은 MBB(Moisture Barrier Bag)를 의미할 수 있다. 포장백(20)은 수분과 ESD(Electro Static Discharge)로부터 수납물을 보호한다. 상세히, 포장백(20)은 수납물 주위에 패러데이 쉴드(Faraday shield)를 형성하여 수납물을 보호하며, MVTR(Moisture Vapor Transfer Rate)을 제어하는 특수 필름층을 통해 수납물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밀봉포장용기(11)가 수납되어 밀봉된 포장백은 포장팩(MBB Package)(21)이라 지칭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packaging bag 20 may refer to a Moisture Barrier Bag (MBB). The packaging bag 20 protects the contents from moisture and ESD (Electro Static Discharge). In detail, the packaging bag 20 protects the contents by forming a Faraday shield around the contents, and can protect the contents from moisture through a special film layer that controls the MVTR (Moisture Vapor Transfer Rate). there is. Meanwhile, the packaging bag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and sealed is referred to as a packaging pack (MBB Package) 2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퍼의 패킹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부들이 웨이퍼를 패킹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fer p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omponents of FIG. 2 pack a wafer.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바코드 인식부(101), 웨이퍼 터미널(102), 포장용기 터미널(103), 제1패킹부(104), 이송부(105), 제1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6), 제1카트 적재부(107), 제2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 포장백 준비부(110), 포장백 로딩부(111), 제2패킹부(112), 포장백 언로딩부(113), 제2카트 적재부(114) 및 이 모든 구성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ystem 100 includes a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a wafer terminal 102, a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3, a first packing unit 104, a transfer unit 105, and a first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6), first cart loading unit (107),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packaging bag preparation unit (110),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second packing unit (112), packaging bag unloading unit It may include a loading unit 113, a second cart loading unit 114, and a control unit 150 that comprehensively controls all of these components.

해당 구성부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기능에 따라 구분된 것이며, 각 구성부들은 서로 이동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대상물이 자동으로 각 구성부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mponent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each compon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oving conveyor belt, so that the object can automatically move to each component.

구성부들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구성부가 다른 구성부와 합쳐져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여러 개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카트 적재부 및 제2카트 적재부 등 일부 구성부는 시스템(100)과 별도로 외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and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with other components,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into several components. Additionally, some components, such as the first cart loading unit and the second cart loading unit, may be implemented externally and separately from the system 100.

제어부(150)는 각각의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세히, 제어부(150)는 일 구성부에서 인식되는 정보를 타 구성부에 전달 및 공유하여 전체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50 generally controls each component. In detail,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all components by transmitting and sharing information recognized by one component to other components.

바코드 인식부(101)는 바코드 리더(reader)를 포함하며, 복수의 웨이퍼들이 수납된 이동용기(51)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웨이퍼(W)의 패킹모드를 결정한다. (도 3의 S101a) 추후에 이 단계에서 결정된 패킹모드에 따라 이송부(105)는 대상물을 제1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6)로 이동시키거나 대상물을 제2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로 이동시킨다. 한편 이동용기(51)에 부착되며 패킹모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의 타입은 바코드에 한정하지 않고 QR코드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각종 리더(reader)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형태라면 타입에 구애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The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includes a barcode reader and determines the packing mode of the wafer (W) by recognizing the barcode attached to the mobile container 51 in which the plurality of wafers are stored. (S101a in FIG. 3) Later, depending on the packing mode determined in this step, the transfer unit 105 moves the object to the first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6 or moves the object to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 Meanwhile, the type of code that is attached to the mobile container 51 and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packing mode is not limited to barcode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QR codes. If the information can be read by various readers, the type can b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limited by it.

웨이퍼 터미널(102)은 WTR(wafer transfer robot)과 같은 웨이퍼 이송 수단을 포함하며, 복수의 웨이퍼들이 수납된 이동용기(51)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웨이퍼(W)를 꺼내어 로딩한다. The wafer terminal 102 includes a wafer transfer means such as a wafer transfer robot (WTR), and removes and loads one or more wafers (W) from the mobile container 51 containing a plurality of wafers.

도 3을 참조하면, S102단계에서, 웨이퍼 터미널(102)의 제1WTR이 복수의 웨이퍼들이 수납된 이동용기(51)에서 웨이퍼(W)를 꺼내어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해 얼라인을 맞추고 불량이 없는지 먼저 검사한다. 만약 크랙과 같은 불량이 확인되면, 해당 웨이퍼는 패킹하지 않는다. S103단계에서 제2WTR이 검사된 웨이퍼(W)를 제1WTR로부터 받아 패킹하기 위하여 로딩한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S102, the first WTR of the wafer terminal 102 takes out the wafer (W) from the mobile container 51 containing a plurality of wafers, aligns it through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nd detects defects. First check to see if there are any. If defects such as cracks are identified, the wafer is not packed. In step S103, the second WTR receives the inspected wafer W from the first WTR and loads it for packing.

포장용기 터미널(103)은 포장용기(10)가 투입되는 장치를 포함하며, 웨이퍼(W)를 수납할 포장용기(10)를 로딩한다. The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3 includes a device into which the packaging container 10 is input, and loads the packaging container 10 to accommodate the wafer (W).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01b에서 웨이퍼(W)를 수납할 빈 포장용기(10)는 포장용기 터미널(103)에 로딩된다. 포장용기 터미널(103)은 스마트 센서(smart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 센서는 투입된 포장용기(10)의 방향, 종류, 불량 여부 등을 확인한다. 여기서 포장용기(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박스(Jar Box)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S101b, an empty packaging container 10 to accommodate the wafer W is loaded into the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3. The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3 may further include a smart sensor, and the smart sensor checks the direction, type, defect, etc. of the inserted packaging container 10. Here, the packaging container 10 may be a jar box as described in FIG. 1.

제1패킹부(104)는 상술한 웨이퍼 터미널(102) 및 포장용기 터미널(103)과 이동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연결된다. 제1패킹부(104)는 웨이퍼(W) 및 포장용기(10) 이송 장비, 포장용기 밀봉 장비, 바코드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포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킹부(104)는 웨이퍼 터미널(102)에서 로딩된 웨이퍼(W)를 포장용기 터미널(103)에서 로딩된 포장용기(10)에 수납하고 밀봉하여 밀봉포장용기(11)를 생성한다. 여기서 밀봉포장용기(11)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봉자박스(Sealed Jar Box)일 수 있다. The first packing unit 104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wafer terminal 102 and the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3 through a moving conveyor belt. The first packing unit 104 may include a packaging device including wafer W and packaging container 10 transfer equipment, packaging container sealing equipment, and a barcode printer. The first packing unit 104 generates a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by storing the wafer W loaded from the wafer terminal 102 in the packaging container 10 loaded from the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3 and sealing it. Here,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may be a sealed jar box as described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S104단계에서 제1패킹부(104)의 포장장치는 빈 포장용기(10)에 웨이퍼(W)를 수납하고, 밀봉한 후, 웨이퍼(W)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포장용기(10) 외부에 부착하여 밀봉포장용기(11)를 생성한다. 여기서 웨이퍼(W)와 관련된 정보는 바코드 인식부(101)에서 인식한 정보와 일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S104, the packaging device of the first packing unit 104 stores the wafer W in the empty packaging container 10, seals it, and then places a barcode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fer W.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0) to create a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He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fer W may match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제1패킹부(104)는 변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위센서는 패킹과정에 불량이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웨이퍼(W) 수납시 웨이퍼(W)와 웨이퍼(W)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제(도 4(d)의 R)가 올바르게 개입되었는지 변위센서에서 측정된 높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The first packing unit 104 may further include a displacement sensor. Displacement sensors can determine whether defects occur during the packing process. For example, when storing multiple wafers (W), check whether the buffer (R in FIG. 4(d)), which prevents collision between wafers (W), is correctly intervened through the height measured by the displacement sensor. This is possible.

이송부(105)는 제1패킹부(104)와 연결되고 이송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05)는 바코드 인식부(101)에서 결정된 패킹모드가 제1패킹 모드인 경우, 밀봉포장용기(11)를 제1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6)로 전달한다. 한편, 이송부(105)는 바코드 인식부(101)에서 결정된 패킹모드가 제2패킹 모드인 경우 밀봉포장용기(11)를 제2 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로 전달한다. 이송부(105)는 제어부(150)에 의해 바코드 인식부(101)에서 읽은 정보를 전달받아, 패킹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구별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송부(105)는 별도의 바코드 리더(reader)를 더 구비하여 이송부(105)에 유입되는 대상물의 바코드를 직접 읽어 대상물을 구별하여 각 터미널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3의 S105)The transfer unit 105 is connected to the first packing unit 104 and may include a transfer conveyor belt. When the packing mode determined by the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is the first packing mode, the transfer unit 105 transfer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to the first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6. Meanwhile, the transfer unit 105 transfer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to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when the packing mode determined by the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is the second packing mode. The transfer unit 105 may receive information read from the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by the control unit 150, distinguish objects according to the packing mode, and then transfer the inform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ransfer unit 105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barcode reader to directly read the barcode of the object flowing into the transfer unit 105, distinguish the objects, and deliver them to each terminal. (S105 in Figure 3)

제1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6)은 이송부(105)와 연결되며, 제1패킹모드에 해당하는 밀봉포장용기(11)를 언로딩한다.(도 3의 S106) The first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6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105 and unload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cking mode (S106 in FIG. 3).

제1카트 적재부(107)는 제1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6)과 연결되며, 언로딩된 밀봉포장용기(11)를 제1카트에 적재하여 시스템(100)의 외부로 반출한다. (도 3의 S107) 외부로 반출된 밀봉포장용기(11)는 검사를 거친 후 외부 업체로 수송될 수 있다. The first cart loading unit 107 is connected to the first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6, and unloaded sealed packaging containers 11 are loaded onto the first cart and taken out of the system 100. (S107 in FIG. 3)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taken out can be inspected and then transported to an external company.

제2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은 이송부(105)와 연결되며, 제2패킹모드에 해당하는 밀봉포장용기(11)를 포장백 패킹을 위해 로딩한다. (도 3의 S108a)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105, and load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cking mode for packaging bag packing. (S108a in Figure 3)

포장백 로딩부(111)는 포장백(20)이 투입되는 장치를 포함하며, 준비된 포장백(20)을 로딩한다.(도 3의 S108c) 여기서 포장백(20)은 도 1에서 설명한 MBB 일 수 있다. The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includes a device into which the packaging bag 20 is loaded, and loads the prepared packaging bag 20 (S108c in FIG. 3). Here, the packaging bag 20 is the MBB described in FIG. 1. You can.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포장백을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Figure 4 shows a packaging bag used in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포장백(20)은 내부에 수납공간(S)을 가지며 정전기를 방지하는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이루어진다. 도 4(a)는 밀봉포장용기(11)가 수납되지 않은 포장백(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밀봉포장용기(11)가 포장백(20)의 내부의 수납공간(S)에 수납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c)는 밀봉포장용기(11)가 포장백(20)의 내부의 수납공간(S)에 수납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c)의 D’-D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packaging bag 20 has a storage space (S) inside and is made of a material (eg, aluminum) that prevents static electricity.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ackaging bag 20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not accommodated. Figure 4(b)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 inside the packaging bag 20. Figure 4(c)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 inside the packaging bag 20. Figure 4(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cutting line of Figure 4(c).

포장백(20)은 상면(U), 하면(L) 및 양측면을 포함한다. 포장백(20)은 양 측면이 적어도 일 회 이상 내부로 접혀 들어가 있고, 입구부분(O)은 개방되어 있으며, 입구부분(O)의 반대쪽의 끝단은 막혀있다. 포장백(20)은 개방된 입구부분(O)부터 밀봉포장용기(11)가 포함되지 않은 수납공간(S)의 일부분이 추후 밀봉에 의해 잉여영역(B, Burr)으로 생성된다. The packaging bag 20 includes an upper surface (U), a lower surface (L), and both sides.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20 are folded inward at least once, the entrance part O is open, and the end opposite to the entrance part O is closed. The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S) that does not contain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from the open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is created as a surplus area (B, burr) by subsequent sealing.

포장백(20)은 밀봉포장용기(11)가 쉽게 수납되고 밀봉 공정 중에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잉여영역(B)이 큰 면적(전체 포장백의 약 30% 내지 50%)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밀봉포장용기(11)가 포장백(20)에 수납된 포장팩(MBB package)(21)은 한정된 공간에서 최대 적재가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최대 적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포장팩(21)은 잉여영역(B)이 최소화 또는 제거되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패킹 장치는, 잉여영역(B)이 최소화된 포장팩(21)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5 내지 도 9의 제2패킹부(112)와 관련된 내용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ackaging bag 20 is formed with a large surplus area B (approximately 30% to 50% of the total packaging bag) in order to easily accommodate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and prevent it from leaking during the sealing process. However, the packaging pack (MBB package) 21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in the packaging bag 20 must be capable of maximum loading in a limited space.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maximum loading in a limited space, the packaging pack 21 must be processed so that the surplus area B is minimized or eliminated. The purpose of the pa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packaging pack (21) with a minimized surplus area (B).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cond packing unit 112 of FIGS. 5 to 9.

한편, 포장백 로딩부(111)는 포장백 준비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포장백 준비부(110)는 방습제 투입 장치, 바코드 프린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S108b단계에서 포장백 준비부(110)는 포장백(20) 내부에 방습제를 투입하고, 포장백(20) 외부에 웨이퍼(W)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부착하여 포장백(20)을 준비한다. 여기서 웨이퍼(W)와 관련된 정보는 바코드 인식부(101)에서 인식한 정보와 일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may be connected to the packaging bag preparation unit 110. The packaging bag preparation unit 110 may include a desiccant injection device, a barcode printer, etc. Referring to FIG. 3, in step S108b, the packaging bag preparation unit 110 injects a desiccant into the packaging bag 20 and attaches a barcode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fer W to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bag 20. Prepare a packaging bag (20). He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fer W may match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rcode recognition unit 101.

제2패킹부(112)는 제2밀봉자포장용기 터미널(108)에 로딩된 밀봉포장용기(11)를 포장백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포장백(20)의 수납공간에 수납하고, 포장백(2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밀봉하고 테이핑하여 포장팩(21)을 생성한다. (도 3의 S109)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2패킹부(112)는 "패킹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The second packing unit 112 store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loaded on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ackaging bag 20 loaded from the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The inside of the packaging bag (20) is vacuumed, sealed, and taped to create the packaging pack (21). (S109 in FIG. 3) 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may be referred to as a “pack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패킹부(112)는 최소공간을 차지하여 최대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포장팩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패킹부(112)는 기존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일부 동작을 전면 자동화하여 생산 효율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패킹부(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여부분(B)이 길게 디자인된 형태의 포장백(20)에 맞도록 개선된 구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패킹부(112)의 구체적인 구성부 및 각 구성부들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ducing a packaging pack that occupies a minimum space and enables maximum loading. In additio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by fully automating some operations that were previously performed manual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packing unit 112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improved configuration to fit the packaging bag 20 in which the surplus portion B is designed to be long. Specific components of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nd specific operations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포장팩 언로딩부(113)는 제2패킹부(112)와 연결되며, 밀봉포장용기(11)가 포장백(20)에 수납되어 밀봉 및 테이핑 과정을 거친 포장팩(21)을 언로딩한다. (도 3의 S110)The packaging pack unloading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ckaging unit 112, and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in the packaging bag 20 to unload the packaging pack 21 that has gone through the sealing and taping process. . (S110 in Figure 3)

제2카트 적재부(114)는 포장팩 언로딩부(113)와 연결되며, 언로딩된 포장팩(21)을 제2카트에 적재하여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한다. (도 3의 S111) 외부로 반출된 포장팩(21)은 검사를 거친 후 외부 업체로 수송될 수 있다. The second cart loading unit 114 is connected to the packaging pack unloading unit 113, and the unloaded packaging packs 21 are loaded onto the second cart and taken out of the system. (S111 in FIG. 3) The packaging pack 21 taken out may be inspected and then transported to an external compan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100)의 패킹모드(제1모드)는 웨이퍼(W)를 포장용기(10)에 패킹하는 제1패킹모드, 및 웨이퍼(W)를 포장용기(10) 및 포장백(20)에 패킹하는 제2패킹모드 두 가지로 존재하여, 웨이퍼(W)에 따라 두 가지 종류의 패킹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패킹 과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면 자동화하여 생산 효율 및 불량률 감소를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의 패킹 과정에서 생산된 포장팩(21)은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현되어 최대 적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The packing mode (first mode) of th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packing mode in which the wafer (W) is pack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0, and the wafer (W) is pack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10. and a second packing mode for packing in the packaging bag 20, allowing two types of packing depending on the wafer (W). In addition, this system 100 has the effect of achieving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tion of defect rate by fully automating all or part of the packing process, which was previously performed manually. In addition, the packaging pack 21 produced during the packing process of this system 10 is implemented to occupy the minimum space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allowing maximum loading.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100)의 제2패킹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패킹부(112)와 제2패킹부(112)에 의해 생산된 포장팩(2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cond packing unit 112 operating in the second packing mode of the system 100 and the packaging pack 21 produced by the second packing unit 1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패킹부(112)에서 이루어지는 단계(도 2의 S109)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step (S109 in FIG. 2) performed i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단, 제2패킹모드에서 밀봉포장용기(11)가 제2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에 로딩되고, 포장백(20)은 포장백 로딩부(111)에 로딩된다. First, in the second packing mode,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loaded into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and the packaging bag 20 is loaded into the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단계 109a에서 제2패킹부(112)는 포장백(20)의 입구를 벌린 후 밀봉포장용기(11)를 투입한다. 단계 109b에서 제2패킹부(112)는 포장백(2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포장백(20) 입구부분(O)을 밀봉하여 포장백(20)의 잉여영역(B)을 생성한다. 단계 109c에서 제2패킹부(112)는 포장백(20)의 잉여영역(O)을 수직으로 세운 후에 포장백(20)의 본체와 잉여영역(B)이 서로 맞닿아 접히도록 상면을 테이핑한다. In step 109a, the second packing unit 112 opens the mouth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n insert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n step 109b, the second packing unit 112 creates a vacuum inside the packaging bag 20 and then seals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to create a surplus area B of the packaging bag 20. . In step 109c, the second packing unit 112 vertically sets the surplus area (O)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n tapes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 surplus area (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folded. .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잉여영역(B)이 최소화됨으로써,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여 최대 적재가 가능한 포장팩(21)이 생성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surplus area (B) is minimized, thereby creating a packaging pack (21) that occupies the minimum space and can be loaded to the maximum.

이하에서는 제2패킹부(112)에 포함된 구성부 및 해당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nd their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패킹부(112)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제2패킹부(112)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과 도 8의 경우 각(a), (b), (c) 도면에 포함된 왼쪽 열에는 제2패킹부(112)의 정면도를 도시하였고, 오른쪽 열에는 제2패킹부(112)의 측단면도를 도시하였으며, 제2패킹부(112)에 포장백(20)이 로딩되어 밀봉수납용기(11)가 포장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패킹부(112)는 웨이퍼 포장 장치라고 지칭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패킹부(112)에 포함된 구성부의 각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flowcharts specifically showing operations performed i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of FIG. 6. In the case of FIGS. 7 and 8, the left column included in each (a), (b), and (c) drawings shows a front view of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nd the right column shows a front view of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 side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nd the process of loading the packaging bag 20 into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nd packaging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11 is schematically show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wafer packaging device, an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cond packing unit 1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패킹부(112)는 컨트롤러(200), 테이블(210), 그립수단(215), 개구수단(220), 가이드수단(225), 삽입및진공수단(230), 밀봉수단(250), 지지수단(260) 및 테이핑유닛(27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200, a table 210, a grip means 215, an opening means 220, a guide means 225, It includes an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a sealing means 250, a support means 260, and a taping unit 270.

해당 구성부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기능에 따라 구분된 것이며, 구성부들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구성이 다른 구성과 합쳐져 구현되거나, 하나의 구성이 여러 개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mponent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and on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with other components, or on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by separating into multiple components. It may be possible.

일단 제2패킹부(112)는 시스템(100)의 구성부들(예를 들면, 제2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 및 포장백 로딩부(111))과 이동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First, the second packing unit 112 may be connected to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100 (for example,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and the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by a moving conveyor belt.

포장백 로딩부(111)로부터 로딩된 포장백(20)이 테이블(210,도 6)의 상면에 놓인다. 테이블(210)에는 포장백(20)의 감지를 위한 감지수단(광센서, 무게센서)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테이블(210)의 방향, 이동 등은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일부 도면에서는 테이블(210)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테이블(21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패킹부(112)는 그립수단(215), 개구수단(220), 가이드수단(225), 삽입및진공수단(230),및 밀봉수단(250)이 작업하는 제1테이블 및 지지수단(260)과 테이핑유닛(270)이 작업하는 제2테이블을 별도로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The packaging bag 20 loaded from the packaging bag loading unit 11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210 (FIG. 6). The table 210 may be equipped with a sensing means (light sensor,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packaging bag 20. The direction and movement of the table 21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 Meanwhile, in some drawings, only one table 210 is shown, but a plurality of tables 21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econd packing unit 112 is a first table on which the grip means 215, the opening means 220, the guide means 225, the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and the sealing means 250 work. And a second table on which the support means 260 and the taping unit 270 work may be separately included.

테이블(210) 상에 포장백(20)이 안착되면, 그립수단(215)이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을 잡아 고정한다. 그립수단(215)은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그립수단(215)은 양 측면이 적어도 일 회 이상 내부로 접혀 들어가 있는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에 형성된 양 쪽 상부 코너 또는 양 쪽 상부 모서리를 잡아 고정할 수 있다.(도 8 (a)) 선택적 실시예에 의하면 그립수단(215)은 포장백(20)에 밀봉수납용기(11)가 수납된 후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이 밀봉될 때까지 포장백(20)을 잡아 고정할 수 있다. When the packaging bag 20 is placed on the table 210, the grip means 215 grabs and secures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The grip means 215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pair. In detail, the grip means 215 can grab and fix both upper corners or both upper corners formed at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both sides of which are folded inward at least once. ( Figure 8 (a)) According to an optional embodiment, the grip means 215 is packaged until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is sealed after the sealed storage container 11 is stored in the packaging bag 20. The bag (20) can be held and fixed.

그립수단(215)이 포장백(20)을 입구부분(O)을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개구수단(220)이 상부 또는 하부에서 하강 또는 상승하여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을 흡착하거나 그립(grip)하여 개방한다.(도 7(b)) 개구수단(220)은 테이블(210)에 놓인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을 개방할 수 있도록, 테이블(210)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운동하며 테이블(21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로봇암을 포함할 수 있다. 로봇암은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진공흡착수단 또는 그리퍼(gripper)가 설치될 수 있다. With the grip means 215 holding and fixing the entrance part O of the packaging bag 20, the opening means 220 descends or rises from the top or bottom to adsorb the entrance part O of the packaging bag 20. Open by gripping. (FIG. 7(b)) The opening means 220 is centered around the table 210 so as to open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placed on the table 210. It moves vertically and may include robot arm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able 210. The robot arm may be equipped with a vacuum suction means or a gripper capable of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t both edges of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포장백(20)의 입구가 개방되면, 가이드수단(225)이 동작하여 개구된 포장백(20)의 수납공간(S)안으로 진입한 후 포장백(2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장백(20)의 양 측면을 벌린 후 지지하여 수납공간(S)을 확보한다. (도 8(c)) 가이드수단(225)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수단(225)의 높이는 포장백(20)의 양 측면의 높이와 같거나 작으며, 가이드수단(225)의 길이는 포장백(20)의 길이와 같거나 클 수 있다. When the entrance of the packaging bag (20) is opened, the guide means (225) operates to enter the storage space (S) of the opened packaging bag (20) and then moves toward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20) to bag the packaging bag (225). Open both sides of (20) and support them to secure storage space (S). (FIG. 8(c)) The guide means 225 may be composed of a pair, and the height of the guide means 225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of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20. The length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packaging bag 20.

가이드수단(225)에 의해 수납공간(S)이 확보되면, 삽입및진공수단(230)이 동작하여 제2밀봉포장용기 터미널(108)에 로딩된 밀봉포장용기(11)를 가이드수단(225)에 의해 입구부분(O)이 벌어져 있는 포장백(20)의 내부의 수납공간(S)으로 밀어 넣게 된다. (도 8(a)) 삽입및진공수단(230)은 테이블(210)의 하부나 테이블(2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포장백(20)의 입구가 개방되면 상승하거나 전진 이동하여, 테이블(210)의 상면을 따라 포장백(20)의 입구부분(O)부터 수납공간(S)의 소정의 지점까지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삽입및진공수단(230)은 노즐이 일체화된 푸셔(pusher)일 수 있으며, 밀봉포장용기(11)를 수납공간(S)에 밀어넣는 역할과 추후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을 밀봉하는 단계까지 수납공간(S)내에 위치한 상태로 석션(suction)하여 수납공간(S)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storage space (S) is secured by the guide means (225), the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operates to insert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loaded into the second sealed packaging container terminal (108) through the guide means (225). The entrance portion (O) is pushed into the storage space (S) inside the opened packaging bag (20). (FIG. 8(a)) The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able 210 or at the front of the table 210, and when the entrance of the packaging bag 20 is opened, it rises or moves forward, It can move for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210 from the entrance part (O) of the packaging bag 20 to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storage space (S). The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may be a pusher with an integrated nozzle, and serves to pus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nto the storage space S and later to insert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It can also perform the role of creating a vacuum inside the storage space (S) by suctioning it while it is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S) until the sealing step.

포장백(20)에 밀봉포장용기(11)가 수납되면, 밀봉수단(250)이 동작하여 포장백(2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을 압착한다. 밀봉수단은(250) 포장백(2)의 입구부분(O)을 상하로 눌러 밀봉하는 제1밀봉수단(251) 및 포장백(20)의 양 측면을 수납공간(S)의 방향으로 눌러주는 제2밀봉수단(2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 제1밀봉수단(251)은 서로 마주보며 실리콘 패드를 끝단에 포함하는 한 쌍의 로봇암일 수 있으며, 열이나 고주파를 통해 포장백의 입구부분(O)을 밀봉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밀봉수단(251)은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를 향해 마주보며, 한 쌍의 실리콘 패드가 서로 대응하도록 이동하고, 한 쌍의 실리콘 패드 사이에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이 개재됨으로써, 입구부분(o)의 밀봉이 수행된다. 제2밀봉수단(252)는 실린더 푸쉬(push)이며,양 측면이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힌 포장백(20)의 모양을 따라 접힌 부분을 수납공간(S)의 방향으로 눌러주면서 포장백(20)의 모양을 잡아준다. When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in the packaging bag 20, the sealing means 250 operates to compress the inlet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so that the inside of the packaging bag 20 is sealed. The sealing means (250) is a first sealing means (251) that seals the entrance part (O) of the packaging bag (2) by pressing it up and down, and a first sealing means (251) that presses both sides of the packaging bag (20)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S). It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means (252). (FIG. 9(b)) The first sealing means 251 may be a pair of robot arms that face each other and include silicone pads at the ends, and can seal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through heat or high frequency. . A pair of first sealing means 251 face each other at the top and bottom, and the pair of silicone pads mov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is between the pair of silicone pads. ) is inserted, thereby sealing the inlet portion (o). The second sealing means 252 is a cylinder push, and presses the folded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 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ckaging bag 20 with both sides folded at least once to seal the packaging bag 20. It holds the shape of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봉수단(250)이 포장백(20)을 완전히 밀봉하기 이전에, 포장백(20) 내부에 위치한 삽입및진공수단(230)을 통해 포장백(2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포장백(2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포장백(2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삽입및진공수단(230)은 후진하여 수납공간(S)외부로 빠지게 되고, 밀봉수단(250)은 열이나 고주파를 가하여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을 완전히 밀봉 시킬 수 있다. (도 8(c))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이 밀봉되면, 입구부분(O)부터 입구부분(O)에 가까운 수납공간(S)의 일부분이 압착되며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잉여영역(B)이 생성된다. 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sealing means 250 completely seals the packaging bag 20, the air inside the packaging bag 20 is sucked through the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located inside the packaging bag 20. By bringing it in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e inside of the packaging bag 20 is made into a vacuum state. When the inside of the packaging bag (20) is in a vacuum state, the insertion and vacuum means (230) moves backwards and falls out of the storage space (S), and the sealing means (250) applies heat or high frequency to the entrance of the packaging bag (20). Part (O) can be completely sealed. (FIG. 8(c)) When the entrance part (O) of the packaging bag 20 is sealed, a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S) from the entrance part (O) close to the entrance part (O) is compressed,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surplus area (B) is created.

이러한 잉여영역(B)을 그냥 두면 추후 공정에 문제가 발생한다. 포장팩(21)은 추후 제2카드 적재부(114)에 적재되는데, 잉여영역(B)이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포장팩(21)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의 포장팩(21)을 적재할 수가 없다. 또한 잉여영역(B)은 밀봉포장용기(11)가 수납된 공간과 달리 물리적인 힘에 의해 그 형태가 쉽게 변화하기 때문에 시스템(100) 내에서 포장팩(21)의 이동 중에 기계 고장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패킹부(112)는 잉여영역(B)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인 지지수단(260) 및 테이핑유닛(270)을 개시한다. If this surplus area (B) is left alone, problems will occur in future processes. The packaging pack 21 is later loaded in the second card loading unit 114. If a surplus area B exists, the space occupied by one packaging pack 21 increases, so a large number of packaging packs are stored in a limited space. (21) cannot be loaded. In addition, unlike the space where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the surplus area B can easily change its shape due to physical force, so it may cause mechanical failure during movement of the packaging pack 21 within the system 100. there is. To solve this problem, the second packing uni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ans 260 and a taping unit 270 that are configured to minimize the surplus area B.

밀봉이 완료되면 밀봉수단(250) 및 진공수단(240)은 하강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하며, 테이블(210)의 하부에 대기하던 지지수단(260)이 상승한다. 지지수단(260)은 실린더 일 수 있으며, 컨트롤러(200)는 공기압을 제어하여 실린더의 상승 속도 및 상승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수단(260)은 상승하여 잉여영역(B)의 하면을 밀어올림으로써, 잉여영역(B)을 밀봉포장용기(11)가 수납되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포장백(20)의 상면(U)에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시킨다. (도 9(a)) 다시 말하면, 포장백(20)의 상면(U)이 xy평면이라고 하면, 포장백(20)의 상면(U)과 잉여영역(B)의 상면이 서로 수직하도록 잉여영역(B)을 세운다. When sealing is completed, the sealing means 250 and the vacuum means 240 descend and return to the waiting position, and the support means 260, which was waiting at the lower part of the table 210, rises. The support means 260 may be a cylinder, and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rising speed and height of the cylinder by controlling air pressure. The support means 260 rises and pushes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thereby forming the surplus area (B) into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11 is stored and the inside of which is in a vacuum state. It is placed parallel to the direction that intersects. (FIG. 9(a)) In other words, if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is the xy plane,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et up (B).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160)이 잉여영역(B)을 세우는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0 shows embodiments in which the support means 160 establishes the surplus area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수단(260)은 포장백(20)의 상면(U)까지만 상승하여 잉여영역(B)의 하면을 밀어올림으로써, 잉여영역(B)을 세울 수 있다. 즉 지지수단(160)의 상단은 H1라인까지만 상승한다. 이 경우 지지수단(260)의 상승경로는 테이핑유닛(270)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테이핑유닛(270)은 포장백(20) 상의 테이핑 위치를 지지수단(260)에 방해받지 않고 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Figure 10 (a), the support means 260 rises only to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and pushes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rect the surplus area (B). there is. That is, the top of the support means 160 rises only up to the H1 line. In this case, the upward path of the support means 26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ing path of the taping unit 270, so the taping unit 270 can determine the taping position on the packaging bag 20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support means 260. There is a characteristic.

도 10(b)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수단(260)은 포장백(20)의 상면(U)을 넘어 잉여영역(B)의 끝단 전까지 상승하여 잉여영역(B)의 하면을 밀어올림으로써, 잉여영역(B)을 세울 수 있다. 즉 지지수단(160)의 상단은 H1라인부터 H2라인까지의 영역 내로 상승한다. 이 경우 지지수단(260)의 상승경로가 테이핑유닛(270)의 이동경로와 중첩될 수 있으므로, 지지수단(260)은 테이핑유닛(270)이 이동하는 경로를 회피하는 회피경로에 배치되어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피경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코드가 부착된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잉여영역(B)일 수 있다. 만약, 잉여영역(B)이 빳빳하지 않고 변형이 쉬운 경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260)이 보다 효율적으로 잉여영역(B)을 지지하여 테이핑 불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0(b), the support means 260 rises beyond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to the end of the surplus area (B) and pushes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In this way, the surplus area (B) can be establishe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ans 160 rises within the area from line H1 to line H2. In this case, since the upward path of the support means 260 may overlap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taping unit 270, the support means 260 is placed on an avoidance path that avoids the path along which the taping unit 270 moves so that it can rise. You can. For example, the avoidance path may be a surplus area (B) located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barcode shown in FIG. 11 is attached. If the surplus area (B) is not stiff and easily deformed, the support means 2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upports the surplus area (B) more efficiently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aping defects.

지지수단(260)의 상승경로의 결정은, 물리적 힘에 의한 잉여영역(B)의 변형 가능 정도, 잉여영역(B)의 길이 및 포장백(20)의 재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of the upward path of the support means 26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surplus area B can be deformed by physical force, the length of the surplus area B, and the material of the packaging bag 20.

한편 잉여영역(B)이 세워지는 각도 관련하여, 잉여영역(B)은 포장백(20)의 상면(U)과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후 테이핑이 용이하도록 포장백(20)의 상면(U)과 잉여영역(B)의 상면이 예각(acute angle)을 가지도록 세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수단(260)은 상승한 후 포장백(20)의 입구영역(O)의 반대쪽인 끝단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포장백(20)의 상면(U)과 잉여영역(B)의 상면이 예각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angle at which the surplus area (B) is erected, the surplus area (B) is not limited to being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but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packaging bag (20) to facilitate subsequent taping. The upper surface (U)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may be erected to have an acute angle. In this case, the support means 260 rises and then moves toward the end opposite to the entrance area (O) of the packaging bag 20, so that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are at an acute angle. can be implemented.

잉여영역(B)에 세워지면, 테이블(210)에서 잉여영역(B)의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의 대기 공간에서 대기 중이던 테이핑유닛(270)이 포장백(20)의 입구부분(O)의 반대쪽인 끝단 방향(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여영역(B)의 상면이 포장백(20)의 상면(U)과 맞닿도록 접은 상태로, 위로 노출된 잉여영역(B)의 하면의 제1위치①부터 잉여영역(B)의 하면에 가려지지 않은 포장백(20)의 상면(U)의 제2위치②까지 테이핑을 수행한다. (도 9(b)) 다시 말해, 테이핑유닛(270)은 포장백(20)의 입구부분을 밀봉한 후 형성되는 잉여영역(B)을 올린 후 포장백(20)의 상면(U)의 방향으로 접은 후 테이핑한다. 한편 지지수단(260)은 테이핑유닛(270)이 제1위치①에서 제2위치②로 이동함에 따라 서서히 하강하여 대기 상태가 된다. 한편 제1위치①는 위로 노출된 잉여영역(B)의 하면의 일부분이면 충분하고, 제2위치②는 잉여영역(B)의 하면에 가려지지 않은 포장백(20)의 상면(U)의 일부분이면 충분하다. 테이핑이 완료되면 테이핑유닛(270)은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대기 공간에서 대기한다. (도 9(c))When set up in the surplus area (B), the taping unit 270, which was waiting in the waiting spac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table 210 in the direction of the surplus area (B), is plac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portion (O) of the packaging bag (20). While moving in the end direction (first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is folded so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 first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exposed upward. Taping is performed from ① to the second position ② on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that is not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FIG. 9(b)) In other words, the taping unit 270 raises the surplus area (B) formed after sealing the entrance portion of the packaging bag 20 and then moves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in the direction. Fold it and tape it. Meanwhile, the support means 260 gradually descends and enters a standby state as the taping unit 27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① to the second position ②. Meanwhile, it is sufficient that the first position ① is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exposed upward, and the second position ② i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that is not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B). This is enough. When taping is completed, the taping unit 27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waits in the waiting space again. (Figure 9(c))

테이핑유닛(270)은 지지수단(260)이 완전히 상승하면, 제1위치①에서 테이프가 감긴 테이프롤(미도시)로부터 테이프를 토출하기 시작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위치②에서 테이프를 절단함으로써 테이핑을 수행하는 제1부분(271) 및 제1부분(271)을 제1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거나, 상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부분(272)을 포함한다. When the support means 260 is fully raised, the taping unit 270 starts discharging the tape from the tape roll (not shown) on which the tape is wound at the first position ① and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o discharge the tape at the second position ②. A first part 271 that performs taping by cutting and a second part 272 that guides the first part 271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r moves up and down ) includes.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270)의 제1부분(27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단면도는 제1부분(271)을 설명하기 위해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27)은 도 11에 도시된 제1부분(271)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테이핑을 위한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part 271 of the taping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11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to explain the first part 271, and the taping unit 2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hape of the first part 271 shown in FIG. 11.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any configuration for taping can be applied.

도 11을 참조하면, 테이핑유닛(270)의 제1부분(271)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들(271a), 프레임들(271a) 사이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감긴 테이프롤(271b), 프레임들(271a) 사이에 설치되며 테이프롤(271b)에 감긴 테이프(T)의 두께를 감지하여 테이프(T)의 소진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271c), 프레임들(271a)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테이프롤(271b)로부터 테이프(T)를 안내하여 테이프(T)의 접착면 일 단이 포장백(20)의 제1위치①에 접착하도록 하는 안내롤러(271d), 프레임들(271a) 사이에서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포장백(2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②에 다다르면 테이프(T)를 절단하는 절단부(271e) 및 안내롤러(271d)의 후방에 설치되며 포장백(20)에 접착된 테이프(T)를 가압하는 가압롤러(271f)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part 271 of the taping unit 27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rames 271a and the frames 271a forming the internal space to form a tape T. A sensor 271c is installed between the wound tape roll 271b and the frames 271a and detects the thickness of the tape T wound around the tape roll 271b to determine whether the tape T is exhausted, and the frames ( A guide roller 271d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tape roll 271b and guides the tape T from the tape roll 271b so that one end of the adhesive surface of the tape T is adhered to the first position ① of the packaging bag 20. ), a cutting part 271e and a guide roller 271d that are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etween the frames 271a and cut the tape T when the packaging bag 2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reaches the second position ②. ) and may include a pressure roller (271f) that pressurizes the tape (T) attached to the packaging bag (20).

도 11의 동작을 설명하면, 지지수단(260)이 포장백(20)의 잉여영역(B)을 상승시키면, 잉여영역(B)의 제1위치①가 안내롤러의 테이프(T)에 밀착되어 테이프(T)의 접착면이 제1위치①에 접착된 상태에서, 제1부분(271)이 제2부분(272)을 따라 포장백(20)의 끝단 방향으로 전진하면, 테이프롤(271b)에서 테이프(T)가 풀리면서 접착되고, 안내롤러(271d)가 포장백(20)에 의해 눌리고 절단부(271e)가 하강하면서 포장백(20)의 제2위치②에서 테이프(T)를 자르고, 마지막으로 가압롤러(271f)를 통해 접착된 테이프(T)를 가압함으로써 접착력을 강화시킨다. 11, when the support means 260 raises the surplus area B of the packaging bag 20, the first position ① of the surplus area 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ape T of the guide roller. With the adhesive surface of the tape T attached to the first position ①, when the first part 271 advances toward the end of the packaging bag 20 along the second part 272, the tape roll 271b The tape (T) is unwound and adhered, the guide roller (271d) is pressed by the packaging bag (20), and the cut portion (271e) is lowered to cut the tape (T) at the second position ② of the packaging bag (20), Finally, the adhesive strength is strengthened by pressing the adhesive tape (T)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71f).

한편, 테이핑유닛(270)에 포함된 테이프(T)는 일면이 접착면을 가지며, ESD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프(T)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tape T included in the taping unit 270 has an adhesive surface on one sid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protects the object from ESD. For example, the tape T may be made of aluminum.

테이핑유닛(27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제1부분(271)의 이동은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aping unit 270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part 27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270)의 테이핑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taping method of the taping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테이핑이 수행된 또는 수행되는 포장백(20)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270)은 복수의 제1부분(271)을 포함함으로써,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의 테이핑 동작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270)은 하나의 제1부분(271)만을 포함하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백(20)의 일 부분에 최초 테이핑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연달아서 포장백(20)의 다른 부분에 최후 테이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은 포장백(20)의 입구부분(O)과 끝단을 연결하는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동일한 거리(d)만큼 양측면으로 떨어져 있는 부분들을 의미할 수 있다. 테이핑 동작이 수행될 때에는 포장백(20)의 상면(U)에 부착된 바코드(C)를 회피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장백(20)의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동일한 거리에 두 테이프(T)들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핑유닛(270)의 테이핑 동작은 도 12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Figure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20 on which taping has been performed or is being performed. The taping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rts 271, so that two tap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t once, as shown in FIG. 12(a). Meanwhile, the taping unit 2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ly one first part 271, and performs an initial taping operation on one part of the packaging bag 20 as shown in FIG. 12(b). After performing, the final tap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other parts of the packaging bag 20 in succession. One part and the other part may mean part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entrance part (O) and the end of the packaging bag 20. When the tap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can be performed by avoiding the barcode (C)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U) of the packaging bag (20). As a result, the two tapes T can be adhered at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with the center line of the packaging bag 20 in between. Meanwhile, the taping operation of the taping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n FIG. 12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테이핑유닛(270)을 통해 포장백(20)의 테이핑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테이핑 수행을 통해 잉여영역(B)이 접힌 상태로 포장백(20)의 상면에 고정되므로, 크기가 최소화된 포장팩(21)을 생산할 수 있고, 한정된 공간에 대해 최대한 많은 수의 포장팩(21)을 적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또한 포장팩(21)의 잉여영역(B)이 최소화 또는 제거됨으로써 공정 과정 중 잉여영역(B)에 의해 발생하던 고장이나 불량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ing of the packaging bag 20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the taping unit 270, thereby improving process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excess area (B)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20) in a folded state through tap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packaging packs (21) with a minimized size and as many packaging packs as possible for a limited space. It has the feature of being able to load (21). In addition,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surplus area (B) of the packaging pack 21,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malfunctions or defects caused by the surplus area (B) during the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Unless there is an explicit order or statement to the contrary regarding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ny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It doesn't work.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10: 포장용기
11: 밀봉포장용기
20: 포장백
21: 포장팩
10: Packaging container
11: Sealed packaging container
20: packaging bag
21: Packaging pack

Claims (5)

웨이퍼를 수납한 밀봉포장용기를 패킹하는 패킹 장치에 있어서,
로딩된 포장백의 입구부분을 개구시키는 개구수단;
개구된 포장백의 수납공간으로 진입한 후 양 측면을 벌려 지지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가이드수단;
확보된 수납공간으로 진입하여 밀봉포장용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밀어 넣고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된 포장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삽입및진공수단;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되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포장백의 입구부분을 밀봉하여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잉여영역으로 만드는 밀봉수단;
상승하여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을 밀어 올려, 상기 잉여영역을 상기 포장백의 상면에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잉여영역의 상면이, 상기 포장백의 상면과 맞닿도록 접으면서, 위로 노출된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의 제1위치부터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에 가려지지 않은 상기 포장백의 상면의 제2위치까지 테이핑을 수행하는 테이핑유닛;
을 포함하는, 웨이퍼의 패킹 장치.
In the packing device for packing a sealed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wafers,
Opening means for opening the entrance portion of the loaded packaging bag;
A guide means for securing storage space by opening and supporting both sides after entering the storage space of the opened packaging bag;
Insertion and vacuum means that enters the secured storage space, pushe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nto the storage space, and creates a vacuum inside the packaging bag containing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a sealing means that seals the entrance portion of the packaging bag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s stored and the inside of which is in a vacuum state, thereby creating a surplus area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support means that rises to push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and arranges the surplus area parallel to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is fol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exposed upwar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that is not obscur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a taping unit that performs taping to the second position;
A wafer packing device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되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포장백의 상면까지 상승하여,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을 밀어 올리는, 웨이퍼의 패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ans are
A wafer packing device that raises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s stored and whose interior is in a vacuum state, and pushes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되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포장백의 상면을 넘어 상기 잉여영역의 끝단 전까지 상승하여 상기 잉여영역의 하면을 밀어 올리는, 웨이퍼의 패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ans are
A wafer packing device that rises beyo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aging bag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s stored and whose interior is in a vacuum state, to the end of the surplus area, and pushes up the lower surface of the surplus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유닛은
상기 밀봉포장용기가 수납되며 내부가 진공상태인 포장백에 복수회 테이핑을 수행하는, 웨이퍼의 패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aping unit is
A wafer packing device that performs taping multiple times on a packaging bag in which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is stored and the interior of which is in a vacuum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은 수분과 ESD(Electro Static Discharge)로부터 내부에 수납된 상기 밀봉포장용기를 보호하는 MBB(Moisture Barrier Bag)인, 웨이퍼의 패킹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aging bag is a wafer packing device that is an MBB (Moisture Barrier Bag) that protects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stored inside from moisture and ESD (Electro Static Discharge).
KR1020230007246A 2022-09-30 2023-01-18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KR2024004596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5441 2022-09-30
KR1020220125441 2022-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964A true KR20240045964A (en) 2024-04-08

Family

ID=9071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246A KR20240045964A (en) 2022-09-30 2023-01-18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596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4646B2 (en) In-line die attaching and curing apparatus for a multi-chip package
US11569106B2 (en) Wafer cassette packing apparatus
KR20050010944A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based on a combination of vertical carousels and overhead hoists
KR101991757B1 (en) Automation system for wafer level packaging
KR102008201B1 (en) Fosb unpacking system and method
US20040109751A1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KR101435247B1 (en) Die bonding apparatus
US6698486B2 (en) Apparatus for removing wafer ring tape
KR20240045964A (en)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KR100906294B1 (en) Apparatus for packing cassette used in keeping semiconductor wafer and packing methods using the same
KR20240045963A (en) Silicon wafers packing machine and silicon wafers packing and unpacking system including thereof
KR101116839B1 (en) Auto pack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KR100725184B1 (en) Auto packing machine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2285727B1 (en) Reel packing apparatus
KR20230103839A (en) Substrate supplying apparatus of die bonding equipment
KR100639400B1 (en) Lid pick and place equipment
KR101457867B1 (en) Interleaf packing module and wafer pack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285730B1 (en) Packing machine for a tray
JP7481890B2 (en) Sheet roll take-out device and take-out method
KR102492646B1 (en) Auto pakaging device
KR20200028279A (en) Glue dispensing apparatus
KR20130103898A (en) Wafer pac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612348B1 (en) Die bonding equipment
US20240085807A1 (en) Reticle storage pod and method for securing reticle
KR20130111700A (en) Sorting apparatus for t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