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898A -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898A
KR20240040898A KR1020220119779A KR20220119779A KR20240040898A KR 20240040898 A KR20240040898 A KR 20240040898A KR 1020220119779 A KR1020220119779 A KR 1020220119779A KR 20220119779 A KR20220119779 A KR 20220119779A KR 20240040898 A KR20240040898 A KR 2024004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apsule container
container filled
capsul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회
Original Assignee
김길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회 filed Critical 김길회
Priority to KR102022011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898A/ko
Publication of KR2024004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8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28Chloroge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4Citrul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 필터부가 형성된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건조 고화된 상태로 코팅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 상에 분말 형태로 충진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Capsule container coated with health functional materials as the cont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캡슐 내부에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내용물이라 함은 식약처에서 식품에 사용이 인정된 건강기능성 원료 내지는 식품첨가물류를 말하며,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캡슐 내부에 코팅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복용이 용이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 녹차 및 그의 가공품, 식품 내지는 한약류를 가공하여 제조된 각종 차류는 국내외에서 오래전부터 범용적으로 애용되어온 음료로서, 특히 최근에는 각종 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음료나 한방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류는 주로 음용하기 전에 원료를 열수로 침출하여 복용하지만 일부는 티백(teabag) 또는 분말 캡슐 등의 형태로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티백 방식은 종이, 망사 혹은 천 등으로 만든 주머니에 차 잎과 같은 음료재료를 담은 다음 이를 종이로 포장하여 제공된다. 캡슐 방식은 캡슐에 분쇄된 분말을 담고 이 캡슐을 캡슐용 머신을 이용해 고온, 고압으로 빠르게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 방식은 포장, 유통 단계에서 다양한 포장재가 필요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과 소비 후 생성되는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티백이나 분말 캡슐을 소정의 컵 내에 내장한 상태로 음용할 경우 백이나 캡슐이 컵 내에 존재하므로 음료를 마시기가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한약이나 기능성 음료의 경우,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각종 기능성 성분이 유실되거나 음용하기 위하여 물로 추출할 경우 기능성 성분들이 완전히 추출되지 않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피, 녹차 및 그의 가공품, 식품 내지는 한약류를 가공하여 제조된 각종 차류의 건강기능성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용출되고,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캡슐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캡슐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며, 측면 필터부가 형성된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건조 고화된 조성물이 코팅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 상에 분말 형태로 충진된 내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팅층은, 농축분말 및 가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용물은, 식약처에서 식품에 사용이 인정된 건강기능성 원료, 식품첨가물류 내지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피에 많이 함유된 기능성 성분인 클로로겐산, 녹차에 많이 함유된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류 및 강한 혈관확장 작용이 있는 산화질소 생성의 전구물질인 아르기닌과 시투룰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용성 식이섬유는,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사이클로덱스트린(cyclotextri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농축분말:가용성 식이섬유:물의 배합비가 0.2:1:1 ~ 3:1:1 질량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측면 필터부는 용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몸체는, 측면 필터부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측부에 날개가 구비되어 병의 내측면에 걸려서 탑재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필터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밀봉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몸체는 상면 테두리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하면 테두리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테두리부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날개는 휘어지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기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밀봉 캡은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 및 상부 필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캡슐 용기의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의 제작 방법은, 농축분말 및 가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코팅층 상에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용물은, 커피의 건강 기능성 성분인 클로로겐산, 녹차의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류 및 성기능 개선 기능성 물질인 아르기닌과 시투룰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용성 식이섬유는,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코팅층 형성 단계는, 농축분말:가용성 식이섬유:물을 0.2:1:1 ~ 3:1:1 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기능성 원료를 캡슐 내부에 코팅함으로서 제조된 차류의 건강기능성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캡슐 용기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포장재의 양이 감소하고 분리수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 용기가 병 내에 고정되어 음료를 마시기가 간편하다. 또한, 유통 및 사용 과정에서 각종 기능성 성분이 유실될 염려가 없고 내용물이 물에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의 (a)평면도 및 (b)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캡슐 용기(10)는, 용기 몸체(100), 걸림부(200), 상부 필터(300) 및 밀봉 캡(400)을 포함할 수 있고, 커피, 차, 한약 또는 성기능 개선제와 같은 각종 건강보조제 등의 내용물(131)이 분말 형태로 충진되어 제공된다.
용기 몸체(100)는 내용물(131)이 내부에 충진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용기 몸체(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부재로서, 예컨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용기 몸체(100)의 측면은 지지부(120) 및 측면 필터부(130)로, 하단부는 일정 높이의 코팅층(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팅층(110)은 고상의 조성물이 코팅된 공간으로서 측면이 폐쇄된 반면, 측면 필터부(130)가 형성된 영역은 충진된 내용물(131)이 물에 녹아 퍼져나갈 수 있도록 촘촘한 구멍이 형성되어 개방된 구조이다. 용기 몸체(100)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필터 지지부(120)는 용기 몸체(100)의 모양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 필터부(130)는 지지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용기 몸체(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용기 몸체(100)에는 바닥뿐만 아니라 측면과 맞닿은 내부 공간에도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다.
걸림부(200)는 용기 몸체(100)의 상면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병의 내측면에 걸려서 탑재되도록 날개(201)가 구비될 수 있다. 날개(201)는 병 입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생수병의 경우 입구가 좁아 병 내부로 유입되기 어려우므로, 걸림부(200)의 날개(201)는 완만히 구부러질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캡슐 용기(10)를 입구가 좁은 병에 넣을 때 날개(201)가 휘어지면서 병 안으로 들어가고, 병 내부에서 날개(201)가 일정 범위 펼쳐지면서 병의 내측면에 걸려 장착된다. 이처럼 캡슐 용기(10)가 일단 병에 들어간 후에는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음용시 캡슐 용기(10)가 사용자의 목으로 넘어갈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필터(300)는 걸림부(200)의 상부를 덮는 필터로서, 상술한 측면 필터부(1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슐 용기(10) 내에 충진된 내용물(131)이 물에 녹아 투과되도록 한다. 상부 필터(300) 및 측면 필터부(130)는 다공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건조 분말과 같은 내용물(131)이 유통 과정에서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미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필터(300)는 걸림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앙에 필터가 구비되고 바깥으로 날개가 구비된 필터 일체형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걸림부(200) 내주면에 상부 필터(300)를 수용할 수 있는 인입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필터(300)가 상기 인입 홈에 장착되어 걸림부(200)와 결합될 수도 있다.
밀봉 캡(400)은 용기 몸체(100), 걸림부(200) 및 상부 필터(300)로 이루어진 캡슐 용기의 뚜껑으로서, 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상부 필터(3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밀봉 캡(400)은 캡슐 용기(10)의 유통 시에 접착되어 있다가 캡슐 용기(10)를 병에 넣을 때 탈착될 수 있다. 밀봉 캡(400)은 종이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이 내장된 캡슐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용기 몸체(100)의 하단부에 조성물이 코팅되어 코팅층(110)을 형성하고, 코팅층(110) 위에 내용물(131)이 충진된다. 코팅층(110)을 형성함에 있어서, 먼저 커피나 차, 정력 증강제 또는 한약 성분이 함유된 농축분말을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가용성 식이섬유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겔처럼 걸쭉하게 만든 뒤 용기 몸체(100) 바닥에 적정량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 가용성 식이섬유는 물에 녹기 쉬우며 물을 만나면 끈적끈적한 점성을 띠며 결합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점착력에 의해 용기 몸체(100)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코팅층(110) 상에 내용물(131) 건조 분말을 충진한다. 이처럼 내용물(131)이 충진된 캡슐 용기(10)를 물이 담긴 생수병에 침지시키면 수용되어 있던 농축분말 또는 건조 분말이 물에 녹아 최종 음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농축분말 또는 건조 분말은 수용성이며, 분말 또는 과립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식약처에서 식품에 사용이 인정된 건강기능성 원료의 추출 농축물, 통상의 방법에 의한 부분 정제 분획물, 고순도로 정제된 단리품, 식품첨가물류 내지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피에 많이 함유된 기능성 성분인 클로로겐산, 녹차에 많이 함유된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류 및 강한 혈관확장 작용이 있는 산화질소 생성의 전구물질인 아르기닌과 시투룰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110)에 사용되는 농축분말:가용성 식이섬유:용제의 비는 0.2:1:1 ~ 3:1:1 의 질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용제는 농축분말이 용이하게 용해되고, 코팅 후 건조과정에서 용이하게 휘산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아세톤,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피의 기능성 성분으로 코팅된 캡슐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 클로로겐산을 사용할 수 있다.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은 다양한 유형의 커피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서, 천연 또는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의 클로로겐산은 사과, 배, 복숭아와 같은 장미과 식물의 과실(미숙과 포함), 커피두, 카카오두, 포도씨 또는 아티초크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된 천연 페놀 및 폴리페놀계 추출물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따라 분리 정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합성된 클로로겐산은 공지의 방법에 의한 합성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또는 합성 클로로겐산은 직접 제조하는 외에 시판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코팅층(110) 형성시, 클로로겐산과 말토덱스트린, 물을 0.2:1:1 ~ 3:1:1의 질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토덱스트린은 전분을 가수분해하여 소화하기 쉽도록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탄수화물 중 인간이 분해하기 어려운 탄수화물을 분리한 것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이다. 이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섭취하면 혈당을 제어해주고 대변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한 용액을 용기 몸체 바닥에 일정량 도포하고, 60~90℃에서 0.5~2시간 가량 열풍 건조시키면 코팅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10) 상에 커피 분말을 추가로 충진하면 최종적으로 커피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녹차 추출물로 코팅된 캡슐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 카테킨류(catechins)를 사용할 수 있다. 카테킨류는 녹차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떫은 맛을 내는 성분이다. 카테킨류는 다양한 유형의 녹차 및 그의 가공품에서 발견되는 화합물로서, 천연 또는 합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류는 카테킨(catechin), 에피카테킨(epice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갈레이트 (epicatechingallate),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의 형태로 존재한다. 카테킨류는 녹차류 및 이들의 가공품으로부터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 농축하여 얻어진 카테킨류 및 카테킨류 추출물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따라 분리 정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킨류가 고농도로 함유된 식물 추출물 및 부분 정제물은 직접 제조하는 외에 시판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카테킨류와 말토덱스트린, 물을 0.2:1:1 ~ 3:1: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얻어진 용액을 용기 몸체 바닥에 일정량 도포하고, 60~90℃에서 0.5~2시간 가량 열풍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에 카테킨류의 건조 분말을 추가로 충진하면 녹차의 기능성 성분이 내용물로 충진된 캡슐 용기가 얻어질 수 있다. 카테킨류의 하루 권장량은 녹차 추출물 기준으로 1000mg으로 상기 권장량 이하로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강력한 혈관확장 작용을 하는 산화질소를 생성함으로서 남성의 성기능 개선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성 성분으로 코팅된 캡슐 용기를 제작하기 위해서 아르기닌(arginine) 및 시트룰린(citruline)을 사용할 수 있다.
아르기닌(arginine)은 식물 등에 유리 상태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르기닌은 아미노산류 강화제, 의약품, 식품 등의 성분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특히 남성의 성기능 개선(음경 혈관 확장, 정자 활동성 개선, 남성 발기력 개선, 남성 스태미너 증진)에 효과가 있다. 시트룰린(citrulline)은 아르기닌의 흡수율을 높여주므로 아르기닌과 함게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 시트룰린은 수박과 같은 박과 식물에 존재하는 비필수 아미노산 중의 하나로, 그 효능은 심혈관질환 개선, 근력 향상, 근육량 증가, 지구력 향상, 근육통 완화 및 운동 후 피로 감소, 발기부전 개선, 신체 기능 향상 등이 있다.
상기 아르기닌 및 시트룰린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박을 추출하여 제조하는 방법,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발효법으로 생산하는 방법 등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또는, 시판품을 구입하여 취득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아르기닌과 시트룰린을 동일 질량 혼합하여 얻어진 분말 혼합물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물을 0.2:1:1 ~ 3:1:1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용기 몸체 바닥에 일정량 도포하고, 60~90℃에서 0.5~2시간 가량 열풍 건조시킬 수 있다. 여기에 아르기닌 및 시트룰린 건조 분말을 추가로 충진하면 성기능 개선 작용이 있는 건강기능성 성분이 내용물로 충진된 캡슐 용기가 얻어질 수 있다.
이처럼 내용물을 별도의 포장재에 넣는 대신에 내용물(131)을 코팅층(110) 상에 충진하는 경우 포장재 쓰레기를 줄이면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캡슐 용기에 넣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쓰레기 배출을 줄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캡슐 용기의 결합 구조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100)의 상면에 돌기(140)가 형성되고, 걸림부(200) 하면에는 돌기(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202)이 형성됨으로써 용기 몸체(100)와 걸림부(20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용기 몸체(100)의 상면에 홈이 형성되고, 걸림부(200) 하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걸림부(200)가 용기 몸체(100)에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200)를 용기 몸체(100)에 간단히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부(200)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용기 몸체(100)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걸림부(200)를 용기 몸체(100)에 결합하면 내용물을 용이하게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의 (a)평면도 및 (b)저면도이다. 용기 몸체(100)가 원통형인 것을 상정하였을 때 날개(201)는 용기 몸체(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캡슐 용기의 상면은 상부 필터(300)의 구멍에 의해 개방되어 있고, 캡슐 용기의 저면은 코팅층(110)를 구성하는 바닥으로서 폐쇄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물(11)이 담지된 생수병(1)에 캡슐 용기(20)를 침지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캡슐 용기(20)는 밀봉 캡(400)으로 밀봉된 캡슐 용기(10)에서 밀봉 캡(400)이 탈착된 것이다. 캡슐 용기(20)는 날개(201)가 생수병(1)의 내측면에 걸려서 탑재된다. 캡슐 용기(20)의 상부 필터(300) 및 측면 필터부(130)를 통해 캡슐 용기(20)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내용물(131)이 용해되며 필터 바깥으로 용출물이 빠져나오게 된다. 캡슐 용기(20) 내부에 부착되어 있던 농축분말 및 내용물 분말이 물에 녹아 내용물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캡슐 용기(20)는 플라스틱 재질의 생수병(1)과 동일한 재질,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캡슐 용기(20)를 플라스틱 병과 함께 분리수거 하기 위한 것으로, 생수병(1)에 캡슐 용기(20)를 넣어 마신 후 병째로 버려도 되므로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재가 감소하고 분리수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 용기가 병 내에 고정되어 음료를 마시기가 간편하다. 또한, 유통 및 사용 과정에서 각종 기능성 성분이 유실될 염려가 없고 내용물이 효과적으로 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캡슐 용기
100: 용기 몸체
110: 코팅층
120: 필터 지지부
130: 측면 필터부
131: 내용물
140: 돌기
200: 걸림부
201: 날개
202: 홈
300: 상부 필터
400: 밀봉 캡

Claims (19)

  1.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 필터부가 형성된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건조 고화된 조성물이 코팅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 상에 분말 형태로 충진된 내용물;을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농축분말 및 가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커피의 건강 기능성 성분인 클로로겐산, 녹차의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류 및 성기능 개선 기능성 물질인 아르기닌과 시투룰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식이섬유는,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농축분말:가용성 식이섬유:물의 배합비가 0.2:1:1 *?* 질량비인,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필터부는 용기 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측면 필터부를 지지하도록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측부에 날개가 구비되어 병의 내측면에 걸려서 탑재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상부 필터;를 더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필터 상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밀봉 캡;을 더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상면 테두리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하면 테두리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상기 용기 몸체의 상면 테두리부에 결합 가능한,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휘어지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은 종이 재질로 제작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및 상부 필터는 일체로 형성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
  16. 농축분말 및 가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조성물을 도포, 건조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 및
    상기 코팅층 상에 분말 형태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의 제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커피의 건강 기능성 성분인 클로로겐산, 녹차의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류 및 성기능 개선 기능성 물질인 아르기닌과 시투룰린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의 제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식이섬유는,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의 제작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 형성 단계는,
    농축분말:가용성 식이섬유:물을 0.2:1:1 ~ 3:1:1 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충진된 캡슐 용기의 제작 방법.
KR1020220119779A 2022-09-22 2022-09-22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40040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79A KR20240040898A (ko) 2022-09-22 2022-09-22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79A KR20240040898A (ko) 2022-09-22 2022-09-22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898A true KR20240040898A (ko) 2024-03-29

Family

ID=9048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779A KR20240040898A (ko) 2022-09-22 2022-09-22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8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4991B (zh) 饮料前体及其制造方法
CA1319852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mixture for a tea drink with fruit flavour
RU2363221C2 (ru) Система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усиленным ароматом
CN104957465A (zh) 一种坚果风味蜂蜜干粉及其制备方法
US20050247207A1 (en) Drink infusion device having a submersible element & a buoyant retrieval element
RU145715U1 (ru) Чайный пакетик
KR20240040898A (ko) 내용물로서 건강기능성 물질이 코팅된 캡슐 용기 및 이의 제작 방법
JP6475474B2 (ja) 飲料
KR102021519B1 (ko) 벌나무와 블랙커피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0343986B1 (ko) 마늘음료의 재료배합조성 및 그 제조방법
JPS5629522A (en) Tea bag of hibiscus sabdariffa l. and its preparation
KR100721705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CN109170046A (zh) 一种茶提取物胶囊及其制备方法
KR100628465B1 (ko) 오가피 함유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CN209660340U (zh) 一种用青柑皮包装的八宝茶
CN102696835A (zh) 袋泡花蕾马黛茶
CN109007123A (zh) 一种解酒养肝的速溶茶饮品及其制备方法
JP5647217B2 (ja) インスタント嗜好性飲料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24405Y1 (ko) 소주용 티백
CN105685311A (zh) 一种枇杷花茶之制备方法
CN105660941A (zh) 一种苹果花茶之制备方法
IT202100005699U1 (it) Contenitore filtrant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stituito da due comparti, uno per erbe aromatiche e uno per liquido aromatizzante anche a base alcoolica.
CN105594910A (zh) 一种桂花茶之制备方法
CN109349469A (zh) 富含花青素饮料产品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05660940A (zh) 一种迷迭香花茶之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