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901A - 내시경용 보조캡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보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901A
KR20240036901A KR1020220115510A KR20220115510A KR20240036901A KR 20240036901 A KR20240036901 A KR 20240036901A KR 1020220115510 A KR1020220115510 A KR 1020220115510A KR 20220115510 A KR20220115510 A KR 20220115510A KR 20240036901 A KR20240036901 A KR 2024003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ndoscope
auxiliary
forcep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곤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도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2011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901A/ko
Priority to PCT/KR2023/013346 priority patent/WO2024058490A1/ko
Publication of KR2024003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용 보조캡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은 측부에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이 구비되는 내시경 장치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시경 장치와의 결합시 상기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에 소정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구동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일부길이가 일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겸자를 이용한 시술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보조시술부재; 및 상기 보조시술부재의 전체길이 중 상기 그리퍼를 포함하는 일부길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용 보조캡{Auxiliary cap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보조캡에 관한 것이다.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는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간, 담관, 담낭, 췌장들을 검사함으로써 여러가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ERCP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 장치는 광원과 겸자가 본체의 측방으로 제공되는 측시형 타입이다.
즉, 상기 측시형 내시경 장치에서 광원은 본체의 측방으로 빛을 제공하며, 검사나 시술을 위한 겸자 역시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겸자공을 통해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체의 측방으로 제공되는 빛을 통해 십이지장과 같은 장기의 측부에 위치하는 다른 장기, 일례로, 췌장이나 담관 측으로 겸자를 진입시킴으로써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십이지장의 내부에서 췌장이나 담관 측으로 겸자를 용이하게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내시경 장치의 본체로부터 측방으로 인출되는 겸자의 단부가 십이지장과 췌장이나 담관을 연결하는 구멍과 정렬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겸자가 인출되는 본체의 측부와 십이지장과 췌장이나 담관을 연결하는 구멍이 서로 대면하지 않는다면 본체의 측부로부터 인출되는 겸자를 상기 구멍 측으로 진입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시술난이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ERCP는 고도로 숙련된 시술자만이 해당 시술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진입장벽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겸자의 시술을 보조할 수 있는 내시경용 보조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내시경용 보조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시경 장치와의 결합시 상기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에 소정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구동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일부길이가 일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겸자를 이용한 시술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보조시술부재; 및 상기 보조시술부재의 전체길이 중 상기 그리퍼를 포함하는 일부길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내시경용 보조캡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이 본체의 선단 측부에 구비되는 측시형 내시경 장치일 수 있고,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그리퍼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된 복수 개의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된 복수 개의 제2절개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단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용 보조캡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조광원 및 보조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은 기존의 내시경 장치의 선단에 결합되어 겸자의 시술을 보조할 수 있음으로써 시술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시술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이 내시경 장치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을 내시경 장치에서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의 보조시술부재에 적용될 수 있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에서 보조시술부재의 일부가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시경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의 선단 측부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14), 조직 검사나 기타 시술을 시행하기 위한 겸자(20)가 삽입되는 겸자공(16), 영상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카메라모듈(18) 및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겸자공(16) 내에 수용된 겸자(2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겸자공(16)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부재(19)를 포함하는 공지의 측시형 내시경 장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측시형 내시경 장치는 상기 본체(12)의 선단 측부에 구비된 광원(14)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상기 본체(12)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겸자(20)는 외과영역의 수술 또는 처치에 쓰이는 도구로서 조직 또는 기관을 받치거나 집거나 누르는 용도 등과 같이 통상적인 내시경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스탠트, 집게, 카테터, 캐뉼라 등과 같은 수술도구 또는 시술도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시형 내시경 장치는 간, 담관, 담낭, 췌장들을 검사하여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에 사용되는 내시경 장치일 수 있고,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본체의 측방으로 방출하며, 검사나 시술을 위한 겸자 역시 겸자공에서 상기 조작부재(19)를 통해 내시경 장치의 측방으로 인출하는 타입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공지의 내시경 장치(10)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상기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기존의 내시경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 보조시술부재(120) 및 제2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14)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14), 겸자공(16) 및 카메라모듈(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개구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114)은 상기 내시경 장치(10)의 선단, 즉 본체(12)의 일부 길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본체(12)의 선단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110)은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상기 내시경 장치(10)의 선단, 즉, 본체(12)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개구부(116)는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본체(12)의 결합시 상기 본체(12)에 구비되는 광원(14), 겸자공(16) 및 카메라모듈(18)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광원(1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상기 겸자공(16) 내에 배치되는 겸자(20)는 전체길이 중 일부길이가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본체(12)에 구비되는 카메라모듈(18)은 상기 광원(14)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제1개구부(116)의 외측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모듈(18)을 통해 획득된 영상은 상기 내시경 장치(10)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체의 형상은 식도, 위, 소장, 십이지장, 간, 담관, 담낭, 췌장 등과 같은 장기의 내부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부(116)는 상기 본체(12)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경로의 역할과 상기 본체(12)의 겸자공(16)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겸자(20)의 일부가 통과하는 워킹채널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종래의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겸자(20)의 일부길이가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음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술 또는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시형 내시경 장치(10)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몸체(112)와, 상기 하우징몸체(112)에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개구부(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개구부(116)는 상기 하우징몸체(112)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하우징몸체(112)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본체(12)의 선단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하우징몸체(11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12)의 선단측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종래의 측시형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이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음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술 또는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하우징(11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2)의 선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내부공간(114)을 갖는 형태라면 상기 본체(12)의 형상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개구부(116)의 형성 위치는 상기 내시경 장치에 구비되는 광원(14), 겸자공(16) 및 카메라모듈(18)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겸자(20)를 이용한 시술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가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겸자(20)를 이용한 시술을 보조하기 위한 그리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상기 내시경 장치가 측시형 내시경 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재(19)를 통해 휘어지는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과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상기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과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그리퍼(122)를 이용하여 장기의 내벽을 파지함으로써 장기(40)의 진입구멍(30)을 확인하거나 장기(40)의 진입구멍(30) 주위의 조직을 잡아당겨 상기 진입구멍(30)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은 상기 장기(40)의 진입구멍(30)을 통해 장기(4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그리퍼(122)의 역할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직의 일부를 절단하여 채취할 수도 있으며, 내시경 시술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내시경용 그리퍼가 수행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구동케이블(124d)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일부길이가 일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와, 상기 겸자(20)를 이용한 시술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그리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는 공지의 컨티넘 매니퓰레이터일 수 있고, 상기 그리퍼(122)는 공지의 내시경용 그리퍼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형의 몸체(124a)와, 상기 몸체(124a)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된 복수 개의 제1절개부(124b)와, 상기 제1절개부(124b)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상기 몸체(124a)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된 복수 개의 제2절개부(124c) 및 일단이 사이 몸체(124a)의 단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124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몸체(124a)의 선단은 밀폐단일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124d)은 일단부가 상기 밀폐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단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124d)은 상기 밀폐단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절개부(124b)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절개부(124c)는 상기 몸체(12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몸체(124a)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124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제1절개부(124b) 및/또는 상기 복수 개의 제2절개부(124c)를 이용하여 전체길이 중 일부 길이가 일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세부적인 구성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컨티넘 매니퓰레이터가 상술한 유연성 매니퓰레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그리퍼(122)는 상기 몸체(124a)의 선단인 밀폐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122)는 상기 몸체(124a)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124a)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몸체(12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124a)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4a)의 선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124d)을 통해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일부길이가 일방향으로 휘어지면, 상기 몸체(124a)의 선단에 구비된 그리퍼(122)는 휘어지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일부길이와 함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를 감싸는 중공형의 튜브(12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124a)의 선단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124d)은 상기 튜브(126)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122)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케이블(미도시) 역시 상기 튜브(126)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튜브(126)는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전체길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전체길이 중 일부길이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하우징(130)은 상기 보조시술부재(120)의 전체길이 중 일부의 길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32)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하우징(130)은 하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32)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시술부재(120)는 상기 그리퍼(122)를 포함하는 일부길이가 상기 수용공간(13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32) 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13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32)은 상기 보조시술부재(120)의 전체길이 중 상기 그리퍼(122)와 함께 상기 구동케이블(124d)의 조작을 통해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일부길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130)은 상기 수용공간(132)에 수용된 그리퍼(122)가 상기 수용공간(132)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13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32)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개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개구부(134)는 상기 구동케이블(124d)의 조작시 상기 그리퍼(122)와 함께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휘어진 부분이 통과하는 워킹채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개구부(134)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제1개구부(116)가 하우징몸체(112)의 측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개구부(116)와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1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종래의 측시형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결합되더라도 상기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은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리퍼(122)를 포함하여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124)의 휘어진 부분은 상기 제2개구부(134)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130)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그리퍼(122)를 통해 상기 겸자(20)의 시술을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케이블(124d)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2개구부(134)를 통과하여 상기 제2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그리퍼(122)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퍼(122)의 조작을 통해 장기(40)의 진입구멍(30)을 넓히거나 장기(40)의 진입구멍(30)을 상기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겸자(20)의 휘어진 부분(20a)을 상기 장기(40)의 진입구멍(30) 측으로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기존의 측시형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결합되어 겸자(20)의 진입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시술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내시경용 보조캡(100')은 상기 보조광원(150) 및 보조카메라모듈(1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내시경용 보조캡(1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은 상기 제1하우징(1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전방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시야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선단에서 상기 본체(1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시야일 수 있고, 상기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은 별도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보조카메라모듈(15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측시형 내시경 장치(10)의 선단에 결합되면 상기 본체(12)의 광원(14)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은 상기 제1개구부(116)를 통해 제1하우징(110)의 측부로만 방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방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을 포함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이 측시형 내시경 장치의 선단에 결합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제1하우징(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조광원(150) 및 보조카메라모듈(160)을 통해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보조캡(100')의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을 통해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시술난이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측시형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수술 또는 시술을 위하여 목적하는 장기의 위치까지 내시경 장치의 선단을 장기의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통해 상기 내시경 장치의 선단의 진입경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술난이도가 낮아질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보조광원(140) 및 보조카메라모듈(150)이 상기 제1하우징(110)의 선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하우징(130)의 선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내시경 장치 12 : 본체
14 : 광원 16 : 겸자공
18 : 카메라모듈 19 : 조작부재
20 : 겸자 20a : 휘어진 부분
100,100' : 내시경용 보조캡 110 : 제1하우징
112 : 하우징몸체 114 : 내부공간
116 : 제1개구부 120 : 보조시술부재
122 : 그리퍼 124 : 유연성 매니퓰레이터
124a : 몸체 124b : 제1절개부
124c : 제2절개부 124d : 구동케이블
126 : 튜브 130 : 제2하우징
132 : 수용공간 134 : 제2개구부
140 : 보조광원 150 : 보조카메라모듈

Claims (6)

  1.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시경 장치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와 상기 내시경 장치와의 결합시 상기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몸체에 소정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구동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일부길이가 일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유연성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겸자를 이용한 시술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의 단부측에 구비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보조시술부재; 및
    상기 보조시술부재의 전체길이 중 상기 그리퍼를 포함하는 일부길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내시경용 보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상기 광원, 겸자공 및 카메라모듈이 본체의 선단 측부에 구비되는 측시형 내시경 장치이고,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내시경용 보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그리퍼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보조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제1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에 형성되는 내시경용 보조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매니퓰레이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된 복수 개의 제1절개부와, 상기 제1절개부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서 상기 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형성된 복수 개의 제2절개부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단부측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 개의 구동케이블을 포함하는 내시경용 보조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용 보조캡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조광원 및 보조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보조캡.
KR1020220115510A 2022-09-14 2022-09-14 내시경용 보조캡 KR20240036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10A KR20240036901A (ko) 2022-09-14 2022-09-14 내시경용 보조캡
PCT/KR2023/013346 WO2024058490A1 (ko) 2022-09-14 2023-09-06 내시경용 보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510A KR20240036901A (ko) 2022-09-14 2022-09-14 내시경용 보조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901A true KR20240036901A (ko) 2024-03-21

Family

ID=9027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510A KR20240036901A (ko) 2022-09-14 2022-09-14 내시경용 보조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6901A (ko)
WO (1) WO20240584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913A (en) * 1996-05-16 1999-01-19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whose distal cover can be freely detachably attached to main distal part thereof with high positioning precision
EP1938758B1 (en) * 2006-12-28 2018-08-29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treatment tool
JP4847354B2 (ja) * 2007-01-22 2011-12-2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
AU2016297077B2 (en) * 2015-07-21 2020-10-22 GI Scientific, LLC Endoscope accessory with angularly adjustable exit portal
DE102015113018A1 (de) * 2015-08-07 2017-02-09 Digital Endoscopy Gmbh Endoskopkop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490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700B2 (en) Full thickness resection device
US8114119B2 (en) Surgical grasping device
JP4531378B2 (ja) 医療器具
US6524234B2 (en) Tip portion of an endoscope
KR101645748B1 (ko) 외과용 내시경
EP2136696B1 (en) Endoscopic apparatus having an outer rail
US200802007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suture tags
WO2006004053A1 (ja) 内視鏡
JP2006014960A (ja) 内視鏡
US11432709B2 (en) Endoscope system
WO2018066869A1 (ko) 복강경 수술기구용 착탈식 유해가스 흡인기
JP2000245689A (ja) 内視鏡挿入用補助具
KR101801393B1 (ko) 수술용 내시경에 있어서 수술용 도구를 교체하기 위한 수술용 내시경 및 프로세스
KR20240036901A (ko) 내시경용 보조캡
JP7199629B2 (ja) 内視鏡装置
JP5557237B2 (ja) 細径内視鏡及び細径内視鏡セット
JP5030449B2 (ja) 内視鏡挿入補助具
JP5469115B2 (ja) ダブルオーバーチューブ
JP5506724B2 (ja) 内視鏡装置
WO2021176570A1 (ja)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の操作方法
JP3014213B2 (ja) 斜視型内視鏡
KR20230101991A (ko) 내시경용 보조캡
WO2022191108A1 (ja) 内視鏡および先端キャップ
KR20230101990A (ko) 내시경용 보조캡
JP2003116787A (ja) 処置用内視鏡の照明補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