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561A - 드립 백 - Google Patents

드립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561A
KR20240036561A KR1020247001369A KR20247001369A KR20240036561A KR 20240036561 A KR20240036561 A KR 20240036561A KR 1020247001369 A KR1020247001369 A KR 1020247001369A KR 20247001369 A KR20247001369 A KR 20247001369A KR 20240036561 A KR20240036561 A KR 2024003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main body
bag main
drip
upp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노리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드립 백 (1A) 이 통수 여과성 시트 (10) 로 형성된 봉지 본체 (11) 와, 봉지 본체 (11) 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박판상 부재 (20) 를 갖는다. 드립 백 (1A) 은, 봉지 본체 (11) 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에 있어서, 박판상 부재 (20) 가,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에 따라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된 상부 첩착부 (21), 상부 첩착부 (21) 보다 봉지 본체 (11) 의 저변측에서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된 중앙부 (22), 중앙부 (22) 에 연속되고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게 형성된 걸림부 (23) 를 갖고, 이 상부 첩착부 (21) 가, 그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을 갖는다. 이 드립 백 (1A) 에 따르면, 상부 첩착부의 파단의 우려를 없애고, 봉지 본체의 개구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립 백
본 발명은, 컵 등의 용기의 상부에 걺으로써, 용이하게 드립식으로 커피, 홍차, 녹차, 한방약 등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드립 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드립식 커피를 손쉽게 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드립 백으로서, 통수 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개구되는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컵의 개구부 벽에 걸리도록 한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드립 백에 있어서, 봉지 본체의 상변을 따라 형성된,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띠상의 상부 첩착부에 1 쌍의 상하 방향의 세로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으면,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은 직사각형이 된다.
이에 비해,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하며 개구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봉지 본체의 개구부를 따라 형성된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부 첩착부에 1 쌍의 비스듬한 접힘선을 형성해 두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한편, 추출 재료가 봉지 본체에 봉해지고,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드립 백에 있어서, 추출 시에 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개구할 수 있도록, 박판상 재료로 형성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를 봉지 본체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엇갈리게 돌출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보 제4079041호 일본 특허공보 제5858172호 일본 특허공보 제5817881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드립 백에 따르면, 드립 백의 1 쌍의 걸림부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뿐이고, 봉지 본체의 개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박판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부 첩착부의 1 쌍의 비스듬한 접힘선이 절곡되고, 1 쌍의 걸림부를 컵에 걺으로써 봉지 본체가 저절로 대략 8 각형의 개구 형상으로 개구된다. 그래서, 개구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에 비해서 개구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 경우, 1 쌍의 비스듬한 접힘선을 절곡하기 쉽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비스듬한 접힘선을 절취선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취선의 커트의 길이에 대해 타이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타이의 개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하고, 1 쌍의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과 상부 첩착부의 상변을 가능한 한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 쌍의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과 상부 첩착부의 상변을 가능한 한 근접시키고자 하면, 절취선의 형성 위치의 어긋남 등으로 인해 상부 첩착부의 상변이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에서 파단되는 것이 우려된다. 상부 첩착부의 상변이 파단된 상태에서 드립 백을 컵에 걸면, 그 파단된 부분에 봉지 본체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이 집중되어,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이 비뚤어져 버려, 드립 백에 뜨거운 물을 따르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드립 백의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에 박판상 부재가 형성되고, 그 박판상 부재가 걸림부와 봉지 본체의 상변을 따른 상부 첩착부를 갖는 드립 백에 있어서,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드립 백을 컵에 걸었을 경우에, 상부 첩착부의 파단의 우려를 없애고, 봉지 본체의 개구 면적을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드립 백으로 추출 재료가 봉해져 있는 것에 있어서 봉지 본체를 용이하게 개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개봉용 돌출부를 형성한 경우에 비해서 더 용이하게 봉지 본체를 개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드립 백의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 (이하, 봉지 본체의 표리라고도 한다) 에 박판상 부재가 형성되고, 그 박판상 부재가 봉지 본체의 상변을 따른 상부 첩착부와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는 걸림부를 갖는 드립 백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에, 그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비스듬한 접힘선을 형성해 두면, (i) 봉지 본체의 표리의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에, 상부 첩착부는 비스듬한 접힘선에서 비틀어지는 것, (ii) 이 비틀림에 의해 상부 첩착부는 강성이 높아져, 둥글게 절곡됨으로써 휜 형상이 되는 것, (iii) 또한 그 휨량은, 봉지 본체의 표리의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변하기 어려워 거의 일정해지는 것, (iv) 그래서, 예를 들어, 드립 백을 개구 직경이 작은 컵에 걸었을 경우에, 봉지 본체의 개구면의 형상이, 비스듬한 접힘선에 대응하는 모서리가 둥근 정 6 각형이 되도록 비스듬한 접힘선의 크기 등을 조정하면, 이 드립 백을 개구 직경이 큰 컵에 걸쳤을 경우에도, 봉지 본체에 대해 걸림부는 크게 일으켜 세워지지만, 봉지 본체의 개구면의 형상은 모서리가 둥근 정 6 각형으로 유지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된 봉지 본체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박판상 부재를 갖는 드립 백으로서,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에 있어서, 박판상 부재는, 봉지 본체의 상변을 따라 봉지 본체에 고정된 상부 첩착부, 상부 첩착부보다 봉지 본체의 저변측에서 봉지 본체에 고정된 중앙부, 중앙부와 연속되고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게 형성된 걸림부를 갖고,
상부 첩착부가, 그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비스듬한 접힘선을 갖는 드립 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드립 백의 봉지 본체에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가 봉해져 있는 양태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서술한 봉지 본체에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가 봉해져 있는 드립 백으로서, 봉지 본체의 상변에 개열 용이선이 형성되어 있고,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의 상부 첩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가, 봉지 본체의 상변으로부터 엇갈리게 돌출되어 있는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을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으로서, 박판상 부재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의 측변과 봉지 본체의 상변의 교차부에서 개봉용 돌출부와 봉지 본체가 첩착되어 있는 양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으로서, 상부 첩착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개봉용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부 첩착부의 상변을 개봉용 돌출부의 기부 (基部) 로 연신시킨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양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 본체의 표리의 박판상 부재가 봉지 본체의 상변을 따라 형성된 상부 첩착부를 갖고, 상부 첩착부는, 그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비스듬한 접힘선을 가지므로, 봉지 본체의 표리의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봉지 본체를 개구시키면, 상부 첩착부의 중앙부가 비스듬한 접힘선에 의해 비틀어지고, 비틀림에 의해 상부 첩착부의 강성이 높아지므로 상부 첩착부는 둥글게 절곡되도록 휜다. 이 휨량은,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도 거의 변하지 않고 거의 일정해진다. 따라서, 봉지 본체의 표리의 걸림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봉지 본체의 표리의 상부 첩착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 본체의 표리의 측부 영역이 직선상이 되고, 그 때의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이 정 6 각형이 되도록 봉지 본체의 측부 영역의 폭과 상부 첩착부의 폭을 조정하고, 비스듬한 접힘선의 봉지 본체 폭 방향의 길이, 비스듬한 접힘선의 봉지 본체의 폭의 중심선에 대한 각도 등에 따라 휨량을 조정해 두면, 드립 백을 컵에 걸었을 때의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은, 컵의 개구 직경의 대소에 따르지 않고, 상부 첩착부의 비스듬한 접힘선에 대응하는 모서리가 둥근 정 6 각형이 된다. 따라서, 상부 첩착부에 세로 접힘선을 형성하고 개구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는 경우보다 개구 면적이 확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를 둥글게 휘게 하기 위해서,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을 상부 첩착부의 상변에 직전까지는 근접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에서 상부 첩착부의 상변이 파단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봉지 본체의 개구 면적을 안정적으로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의 비스듬한 접힘선의 좌우 일방의 측에,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부를 따른, 상부 첩착부의 비스듬한 상변부 또는 상부 첩착부의 상변으로부터 연신된 비스듬한 절입부가 형성되고, 비스듬한 접힘선의 좌우 타방의 측에, 비스듬한 접힘선의 하단부를 따른, 상부 첩착부의 비스듬한 하변부 또는 상부 첩착부의 하변으로부터 연신된 비스듬한 절입부가 형성된 양태에서는, 봉지 본체를 개구시켰을 경우에 비스듬한 접힘선의 주위의 비틀림이 강해지고, 이 비틀림에 의해 상부 첩착부는 더 절곡되기 어려워지므로, 봉지 본체의 표리의 걸림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졌을 때의 상부 첩착부의 곡률 반경이 커져, 봉지 본체의 개구면의 형상을 원에 가깝게 할 수 있다.
한편, 봉지 본체에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가 봉쇄되어 봉지 본체의 상변에 개열 용이선이 형성되고, 봉지 본체의 표리의 상부 첩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가 봉지 본체의 상변으로부터 엇갈리게 돌출되어 있는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양태에 따르면, 드립 백을 추출에 사용할 때의 봉지 본체의 개봉이 용이해진다.
이 경우에, 1 쌍의 개봉용 돌출부와 봉지 본체의 상변의 교차부에서 개봉용 돌출부와 봉지 본체가 첩착되어 있으면, 1 쌍의 개봉용 돌출부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따른 개봉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부 첩착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개봉용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부 첩착부의 상변을 개봉용 돌출부의 기부로 연신시킨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부 첩착부의 봉지 본체 상하 방향의 길이가,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에 있어서는,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상부 첩착부의 중앙부가 둥글게 휘어, 개구면의 형상을 모서리가 둥근 6 각형으로 할 수 있다.
도 1A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의 평면도이다.
도 1B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의 영역 A 의 확대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의 전개도이다.
도 3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의 변형 양태의 전개도이다.
도 4 는,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을 컵에 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A 는,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을 컵에 건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5B 는,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을, 개구 직경이 큰 컵에 건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B) 의,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저변을 연결한 전개도이다.
도 7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B) 을 컵에 건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8A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C) 의 평면도이다.
도 8B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C) 의 영역 A 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C) 을 컵에 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C) 을 컵에 건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11A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평면도이다.
도 11B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의 확대도이다.
도 12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측면도이다.
도 13A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전개도이다.
도 13B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전개도의 영역 A2 의 확대도이다.
도 14 는,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을 컵에 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개구되어 있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을 컵에 건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16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변형한 드립 백 (1E) 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7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변형한 드립 백 (1F) 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변형한 드립 백 (1G) 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9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변형한 드립 백 (1H) 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20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변형한 드립 백 (1I) 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변형한 드립 백 (1J) 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22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K) 의 평면도이다.
도 23 은, 실시예의 드립 백 (1K) 을 컵에 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L) 의 평면도이다.
도 25 는, 실시예의 드립 백 (1L) 의 걸림부를 일으켜 세우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6 은, 비교예의 드립 백 (1x) 의 평면도이다.
도 27 은, 개구되어 있는 비교예의 드립 백 (1x) 을 컵에 건 상태의 상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드립 백의 전체 구조)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의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비스듬하게 해칭을 한 부분은 통수 여과성 시트 (10) 와 박판상 부재 (20) 의 첩착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또, 첩착 영역은 도시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첩착 영역은, 박판상 부재 (20) 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통상적으로는 외관상 시인 (視認) 할 수 없다.
도 1B 는, 도 1A 의 영역 A 의 확대도이다. 도 2 는, 드립 백 (1A) 의 전개도이고, 도 4 는, 드립 백 (1A) 을 개구하고, 컵 (100) 에 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A 는 그 상면도이다.
이 드립 백 (1A) 은, 통수 여과성 시트 (10) 로 형성된 봉지 본체 (11) 와, 봉지 본체 (11) 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 (즉, 봉지 본체 (11) 의 표리) 에 형성된, 박판상 재료로 형성된 박판상 부재 (20) 를 갖는다.
사용자가 드립 백 (1A) 을 사용하여 커피 등의 추출 재료를 추출할 때에, 봉지 본체 (11) 에 추출 재료 (M) 가 넣어진다 (도 5A). 그래서, 추출에 사용하기 전의 봉지 본체 (11) 는 상변 (11a) 이 개구되고, 양 측변 (11b) 및 저변 (11c) 의 3 변이 폐쇄된 평평한 봉지로 되어 있다 (도 1A).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드립 백을, 봉지 본체 (11) 내에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 (11) 가 봉해진 추출 재료가 들어간 드립 백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추출 재료가 봉해져 있는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을 따라 개봉용 절취선 등의 개열 용이선 (도시되지 않음) 을 봉지 본체 (11) 에 형성해 두거나 함으로써 봉지 본체 (11) 의 상단을 용이하게 개구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드립 백 (1A) 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전개도에 있어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박판상 부재 (20) 가 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박판상 부재 (20) 가, 도 3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A') 의 전개도와 같이 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박판상 부재 (20) 는, 각각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을 따라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된 상부 첩착부 (21), 상부 첩착부 (21) 보다 봉지 본체 (11) 의 저변 (11c) 측에서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된 중앙부 (22), 중앙부 (22) 와 연속되고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게 형성된 걸림부 (23) 를 갖고, 걸림부 (23) 는, 중앙부 (22) 에 연속되는 아암부 (24) 와, 아암부 (24) 에 연속되는 후크부 (25) 를 갖는다.
상부 첩착부 (21) 는 봉지 본체 (11) 의 폭 방향의 적어도 중앙부에서는 띠상으로 형성되고, 봉지 본체 (11) 와의 첩착 영역을 가짐으로써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부 첩착부 (21) 의 좌우 양 단부에는, 봉지 본체 (11) 의 측변 (11b) 을 따라 하방으로 연신된 보강부 (28) 가 연속되어 있다. 보강부 (28) 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부 첩착부 (21) 를 휘기 쉽게 하여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을 둥글게 하기 위해, 상부 첩착부 (21) 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 (21) 의 하변 (21b) 에 인접한 위치에는 박판상 부재 (20) 와 봉지 본체 (11) 의 첩착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부 (23) 를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상부 첩착부 (21) 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의 하변 (21b) 에 인접한 위치에는 박판상 부재 (20) 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중앙부 (22) 는 상부 첩착부 (21) 보다 봉지 본체 (11) 의 저변측에서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 고정을 위해서 중앙부 (22) 에 봉지 본체 (11) 와의 첩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중앙부 (22) 의 상측에 연속되는 제 1 중앙 첩착부 (26) 와 중앙부 (22) 의 하측에 연속되는 제 2 중앙 첩착부 (27) 가 각각 봉지 본체 (11) 와의 첩착 영역을 가짐으로써 중앙부 (22) 가 봉지 본체 (11) 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아암부 (24) 는, 중앙부 (22) 로부터 봉지 본체 상변측으로 연신되고, 중앙부 (22) 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다.
아암부 (24) 의 중앙부 (22) 근처의 부분은 두 갈래로 분기되고, 분기된 아암부 (24a, 24b) 가,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고 병렬되고, 병렬되어 있는 부분의 상부끼리가 연결되어 아암부 연결부 (24c) 가 되고, 아암부 연결부 (24c) 가 후크부 (25) 에 연결되어 있다. 두 갈래의 아암부 (24a, 24b) 사이의 영역이, 봉지 본체 (11) 와 첩착된 제 1 중앙 첩착부 (26) 가 되고, 아암부 (24) 의 좌우 양측에 제 2 중앙 첩착부 (27)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 (24a, 24b) 의 고정단에서는, 아암부 (24a, 24b) 를 일으켜 세울 수 있는 부분의 양 측변의 하단끼리를 연결한 가상선 (Lv) 이 봉지 본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드립 백 (1A) 을 컵에 걸었을 경우에, 그 인장력에 의해 아암부 (24a, 24b) 의 뿌리 부분에서 박판상 부재 (20) 가 절곡되고, 인장력이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면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는 작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봉지 본체 (11) 가 용이하게 개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아암부 (24a, 24b) 의 상부끼리를 아암부 연결부 (24c) 로 연결함으로써, 두 갈래로 분기된 아암부 (24a, 24b) 를 봉지 본체 (11) 로부터 비틀어지지 않고 일으켜 세울 수 있어, 걸림부 (23) 를 컵에 건 상태가 안정된다.
또,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강도가, 드립 백 (1A) 을 걸치는 컵의 개구 직경에 따라 변해도, 비스듬한 접힘선 (L1) 에 의한 상부 첩착부 (21) 의 비틀림에 의해 상부 첩착부 (21) 를 거의 일정한 휨량으로 휘게 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효과는, 아암부 (24) 를 두 갈래로 분기시키지 않고,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해도 얻을 수 있다.
후크부 (25) 는 아암부 (24) 의 상부와 연속되고, 그 연속 부분으로부터 아암부 (24) 의 외측을 아암부 (24) 로부터 떨어지게 봉지 본체 (11) 의 저변측으로 연신됨으로써 좌우 1 쌍 형성되고, 후크부 (25) 와 아암부 (24) 사이의 영역이, 봉지 본체 (11) 와 첩착된 제 2 중앙 첩착부 (27) 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 1 쌍의 후크부 (25) 는, 그것들의 하단의 연결부 (25a) 에 의해 연속되어 있다.
이 드립 백 (1A) 은, 상부 첩착부 (21) 가, 그 상부 첩착부 (21) 의 폭 W2 의 중심선 (Lc) 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1 개의 비스듬한 접힘선 (L1) 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비스듬한 접힘선 (L1) 으로는, 절입, 절취선, 하프 컷, 스코어링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부 첩착부 (21) 의 중앙부를 둥글게 휘게 하는 효과를 얻기 쉽게 한다는 점에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은 절입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은, 봉지 본체 (11) 의 폭의 중심선 (Lc') 과 중첩되어 있다.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각각 일으켜 세우고, 그것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에서 봉지 본체 (11) 를 개구시키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 (23) 를 컵 (100) 에 걸 수 있다. 이 경우, 컵 (100) 의 개구 직경이 작아도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짐으로써, 도 5A 에 나타내는 상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첩착부 (21) 가 비스듬한 접힘선 (L1) 에서 비틀림을 일으켜 상부 첩착부 (21) 가 일정 각도 γ, 휨량 δ 으로 둥글게 휜다. 이 각도 γ 나 휨량 δ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접힘선 (L1) 이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과 이루는 각도 θ,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봉지 본체 (11) 의 폭 방향의 길이 W1, 상부 첩착부 (21) 의 폭 W2, 박판상 부재 (20) 의 경도나 두께 등에 따라 정해지고, 예를 들어, 각도 γ 를 120°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상부 첩착부 (21)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 본체 (11) 의 측부 영역 (11s) 이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되어 있으면,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은 대략 정 6 각형이 된다.
컵 (100) 의 개구 직경이 크면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지지만, 상부 첩착부 (21) 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에서 비틀림을 일으키고 있으므로 상부 첩착부 (21) 의 휨에 의한 각도 γ 와 휨량 δ 은 변하기 어렵고, 한편으로 봉지 본체 (11) 에 대한 걸림부 (23) 의 일으켜 세움 각도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워진 걸림부 (23) 의 아암부 (24) 와 봉지 본체 (11) 가 이루는 각도) 는 걸림부 (23)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짐으로써 용이하게 커진다. 그래서,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립 백 (1A) 을 개구 직경이 큰 컵 (100') 에 걸어도,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에 있어서의 각도 γ 나 휨량 δ 은 유지되고, 개구면의 형상도 대략 정 6 각형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이 드립 백 (1A) 에 따르면, 컵 (100) 의 개구 직경의 대소에 따르지 않고,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을 대략 정 6 각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걸림부 (23) 를 잡아 당김으로써, 봉지 본체 (11) 로부터 아암부 (24) 가 일으켜 세워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박판상 부재 (20) 와 봉지 본체 (11) 의 첩착 영역 (B1, B2) 이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반면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드립 백과 동일하게,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첩착부 (21) 에, 봉지 본체 (11) 의 폭의 중심선 (Lc') 에 대해 대칭으로 봉지 본체 상하 방향의 세로 접힘선 (Lx) 을 1 쌍 형성한 비교예의 드립 백 (1x) 에서는, 그것을 컵 (100) 에 걺으로써,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상부 첩착부 (21) 사이에 위치하는 봉지 본체 (11) 의 측부 영역 (11s) 이 직선상으로 될 정도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면, 봉지 본체 (11) 의 개구 형상이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이 된다. 도 5A 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은, 이 비교예의 드립 백 (1x) 의 개구 형상이다. 또한, 상부 첩착부 (21) 의 중앙부에 비스듬한 접힘선 (L1) 대신에 봉지 본체 상하 방향의 세로 접힘선을 1 개 형성한 비교예의 드립 백 (도시되지 않음) 에서는, 그 세로 접힘선에서 상부 첩착부 (21) 의 중앙부가 용이하게 모서리가 부여되도록 절곡되므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면 상부 첩착부의 중앙부가 예각으로 절곡되고, 봉지 본체의 개구 형상은 도 5A 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한 6 각형이 된다. 또, 도 5A 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의 둘레 길이와 파선으로 나타낸 편평한 6 각형의 둘레 길이는, 실선으로 나타낸 드립 백 (1A) 의 모서리가 둥근 6 각형의 둘레 길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비교예의 드립 백에 비해서 실시예의 드립 백 (1A) 은 개구 면적이 확대되어, 뜨거운 물을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립 백에서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양 단부에서 상부 첩착부 (21) 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한 접힘선 (L1) 은 상부 첩착부 (21) 의 상변 (21a) 에도 하변 (21b) 에도 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스듬한 접힘선 (L1) 을 절입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이 상부 첩착부 (21) 의 상변 (21a) 에도 하변 (21b) 에도 도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을 모서리가 둥근 6 각형으로 한다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효과가 확실하게 얻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이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과 이루는 각도 θ 는 48 ∼ 74°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봉지 본체 (11) 의 폭 방향의 길이 W1 은, 박판상 부재 (20) 의 경도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박판상 부재 (20) 에 있어서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워지지 않는 부분의 폭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첩착부의 폭 W2) 의 15 ∼ 30 % 가 바람직하다.
또한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을 정 6 각형에 가깝게 하기 위해, 상부 첩착부 (21) 의 폭 W2 는, 봉지 본체 (11) 의 폭 W4 의 54 ∼ 8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봉지 본체 (11) 의 좌우 일방의 측부에 있어서의 상부 첩착부 (21) 와 봉지 본체의 측변 (11b) 의 거리 W3a 와, 타방의 측부에 있어서의 상부 첩착부 (21) 와 봉지 본체의 측변 (11b) 의 거리 W3b 는 서로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봉지 본체 (11) 는, 그 바닥면과 개구면에 비틀림이 없는 기둥상 형상이 되고, 봉지 본체 (11) 의 대략 정 6 각형의 개구면의 형상은, 봉지 본체 (11) 의 저변 (11c) 에 대해 대칭이 된다 (도 5A).
한편, 도 6 에 나타낸 전개도의 드립 백 (1B) 과 같이,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A) 에 있어서, 봉지 본체 (11) 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의 상부 첩착부 (21) 와 봉지 본체의 측변 (11b) 의 거리 W3a, W3b 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도 7 은 이 드립 백 (1B) 을 컵 (100) 에 걸었을 경우의 상면도이다. 이 상면도와 같이, 거리 W3a, W3b 의 합계 (W3a+W3b) 를 봉지 본체 (11) 의 폭 W4 의 20 ∼ 46 % 로 함으로써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을 모서리가 둥근 대략 정 6 각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거리 W3a 와 거리 W3b 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개구면의 형상은 봉지 본체 (11) 의 저변 (11c) 에 대해 대칭이 아니고, 봉지 본체 (11) 는, 그 저부와 개구면이 비틀어진 것이 된다.
(봉지 본체)
봉지 본체 (11) 는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된다.
봉지 본체 (11) 를 형성하는 통수 여과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소정량의 커피 가루, 차잎, 한방약 등의 추출 재료를 충전하고, 뜨거운 물을 부었을 경우에 추출 재료의 침출이 가능한 것을 여러 가지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출용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닥나무, 삼지닥나무 등의 천연 섬유의 단독 또는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혹은 부직포, 마닐라삼, 목재 펄프,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혼초지 (混抄紙) 등, 티백 원지 등의 종이류가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것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드립 백의 사용 후의 폐기성 면에서, 통수 여과성 시트 재료에는 생분해성 섬유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섬유로서는,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립 시에 커피 가루에 적당한 뜸들이기 효과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들 섬유 재료로부터 통수 여과성 시트를 제조할 때에는, 섬유층의 공극률을 조정함으로써 커피 가루에 직접 접하게 되는 층을 「성김 [疎]」으로 하고, 직접적으로는 접하지 않는 층을 「빽빽함 [密]」으로 하는 소밀한 복층 구조로 하고, 또한 커피 가루에 직접 접하게 되는 층에서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을 높이고, 커피 가루에 직접 접하지 않는 층에서는 소수성 섬유의 함유율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공보 제3674486호).
봉지 본체 (11) 는, 도 1A 에 나타낸 드립 백 (1A) 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인 3 방향 시일의 평평한 봉지로, 대향하는 2 면을 갖고 있다. 또, 봉지 본체 (11) 내에 커피 가루, 차잎, 한방약 등의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 내에 봉해진 드립 백에 있어서는,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또는 그 근방에 그 상변 (11a) 을 따른 개봉 유도선을 형성할 수 있다. 개봉 유도선은 절취선, 약한 시일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절취선으로는, 개봉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마이크로 절취선이 바람직하다. 약한 시일은, 개구 조작 이외에 갑자기 박리되는 일은 없지만,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시일된 부분이 박리되도록 시일 강도를 조정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봉지 본체 (11) 의 저부나 측부에는 필요에 따라 거싯을 형성해도 된다.
봉지 본체 (11) 의 순 평면 치수는, 드립 백을 걸어 두는 컵 또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커피 컵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하면 된다.
(박판상 부재)
박판상 부재 (20) 는, 판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박판상 재료의 타발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박판상 재료도, 드립 백 (1A) 의 사용 후의 폐기성 면에서,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드립 백의 변형 양태)
본 발명의 드립 백은 다양한 변형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C) 은,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A) 과 동일하게 봉지 본체 (11) 와 박판상 부재 (20) 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부 첩착부 (21) 의 상변 (21a) 은,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우측에, 비스듬한 접힘선 (L1) 과 간격을 두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된 비스듬한 상변부 (21p) 를 갖고 있다. 또한, 상부 첩착부 (21) 의 하변 (21b) 은,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좌측에, 비스듬한 접힘선 (L1) 과 간격을 두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단부를 따라 형성된 비스듬한 하변부 (21q) 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첩착부 (21) 가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좌우 일방의 측의 상변 (21a) 에 비스듬한 상변부 (21p) 를 갖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좌우 타방의 측의 하변 (21b) 에 비스듬한 하변부 (21q) 를 가짐으로써, 상부 첩착부 (21) 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주위에서 더 강하게 비틀어지기 쉬워지고, 또한 비틀어진 형상으로 안정되게 된다. 그래서,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겨 드립 백 (1C) 을 컵 (100) 에 걸면,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주위에 강한 비틀림이 발생하고, 그 비틀림에 의해 상부 첩착부 (21) 에 비스듬한 접힘선 (L1) 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상부 첩착부 (21) 가 보다 큰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상태에서 봉지 본체의 개구 상태가 안정된다. 따라서, 드립 백 (1C) 의 개구면의 형상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다 둥글어지고, 컵 (100) 의 개구 직경에 따라 봉지 본체 (11) 의 측부 영역 (11s) 이 직선상으로 되면 둥근 정 6 각형이 되어 원형에 가까워진다.
또한, 전술한 드립 백 (1A) 과 같이 상부 첩착부 (21) 에 비스듬한 상변부 (21p) 도 비스듬한 하변부 (21q) 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에 상부 첩착부 (21) 에 가해지는 힘은,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단과 상부 첩착부의 상변 (21a) 에 끼워진 좁은 영역과,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단과 상부 첩착부의 하변 (21b) 에 끼워진 좁은 영역에 집중되기 쉽지만, 도 8A 에 나타낸 드립 백 (1C) 과 같이 상부 첩착부 (21) 의 좌우 일방의 측에 비스듬한 상변부 (21p) 가 있고, 타방의 측에 비스듬한 하변부 (21q) 가 있는 경우에는,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겼을 때에 상부 첩착부 (21) 에 가해지는 힘은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도 상부 첩착부 (21) 의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단 근방 또는 하단 근방이 파단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A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D) 은,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A ∼ 1C) 과 동일하게 봉지 본체 (11) 와 박판상 부재 (20) 로 형성되어 있지만, 봉지 본체 (11) 에는 추출 재료가 봉해져 있고,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은 통수 여과성 시트의 접이식 융기부로 되고, 이 접이식 융기부에 절취선 등에 의해 개열 용이선 (11p)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상부 첩착부 (21) 로부터 연장 형성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 (30) 가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으로부터 엇갈리게 돌출된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으로 되어 있다.
도 11B 는, 도 11A 의 부분 확대도이고, 또한 도 13A 는, 이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 (1D) 의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을 형성하는 접이식 융기부를 평면으로 펼치도록 한 드립 백 (1D) 의 전개도이고, 도 13B 는 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드립 백에 있어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를 갖는 양태에서는, 도 13A 에 나타내는 전개도와 같이, 봉지 본체 (11) 의 표리 1 쌍의 박판상 부재 (20) 가 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개도에 있어서 표리 1 쌍의 박판상 부재 (20) 는 간극을 두지 않고 맞닿으며, 1 쌍의 개봉용 돌출부 (30) 는 엇갈리게 되며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리 1 쌍의 박판상 부재 (20) 를 스탬핑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의 스탬핑 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상에, 1 쌍의 개봉용 돌출부 (30) 의 측변 (30a) 과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의 교차부 (P) 가 있고, 교차부 (P) 에서 개봉용 돌출부 (30) 와 봉지 본체 (11) 가 첩착 영역 (B3) 에서 첩착되어 있다. 이 첩착 영역 (B3) 은,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개봉용 돌출부 (30) 에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지만,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각 면에 있어서는,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을 가로지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B).
이 첩착 영역 (B3) 에서 개봉용 돌출부 (30) 와 봉지 본체 (11) 가 첩착되어 있음으로써, 봉지 본체 (11) 를 개구시키는 경우에 1 쌍의 개봉용 돌출부 (30)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그 힘이 효과적으로 교차부 (P) 에 작용하고, 교차부 (P) 에 위치하는 개열 용이선으로부터 개열이 시작됨으로써 봉지 본체 (11) 를 용이하게 개봉하고, 개구시킬 수 있다.
또한 드립 백 (1D) 에는, 상부 첩착부 (21)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개봉용 돌출부 (30) 가 연장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부 첩착부 (21) 의 상변 (21a) 을 개봉용 돌출부 (30) 의 기부로 연신시킨 절입부 (21t) 가 형성되어 있다. 절입부 (21t) 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방을 상부 첩착부 (21) 의 폭 방향으로,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을 넘어서 연신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본체 (11) 의 개봉 시에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개봉용 돌출부 (30)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절입부 (21t) 가 지지점이 되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서술한 교차부 (P) 에 개봉용 돌출부 (30) 를 잡아 당기는 힘 F 가 작용하여, 1 쌍의 개봉용 돌출부 (30) 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된다. 따라서, 절입부 (21t) 가 있음으로써도 봉지 본체 (11) 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걸림부 (23)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고,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립 백 (1D) 을 컵 (100) 에 걸치면, 상부 첩착부 (21) 의 봉지 본체 상하 방향의 길이가, 개봉용 돌출부 (30)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은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술한 드립 백 (1C) 과 거의 동일하게 모서리가 둥근 6 각형이 된다. 즉, 이 드립 백 (1D) 에서는,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각 면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 (21) 로부터 연장 형성된 개봉용 돌출부 (30) 가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으로부터 엇갈리게 돌출되어 있고, 개봉용 돌출부 (30) 의 기부는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을 가로지르고 있지만, 절입부 (21t) 에서 상부 첩착부 (21) 와 개봉용 돌출부 (30) 가 분리되고, 또한, 첩착 영역 (B3) 은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을 가로지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립 백 (1D) 을 컵 (100) 에 걸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부 (21t) 위에 위치하는 개봉용 돌출부 (30) 의 단부 (30b) 가 봉지 본체 (11) 의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져 그 단부 (30b) 가 봉지 본체의 개구면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워지고, 상부 첩착부 (21) 로부터 개봉용 돌출부 (30) 가 연장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봉지 본체의 개구면의 형상이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좌우 일방의 측에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과 간격을 두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단부를 따른 비스듬한 절입부 (21r) 가 절입부 (21) 에 연속되어 형성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좌우 타방의 측의 상부 첩착부 (21) 의 하변 (21b) 에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과 간격을 두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단부를 따른 비스듬한 하변부 (21q)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드립 백 (1C) 과 동일하게, 상부 첩착부 (21) 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주위에서 강하고 비틀어지고, 또한 그 비틀어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상부 첩착부 (21) 가 큰 곡률 반경으로 둥글게 만곡된다. 따라서,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면의 형상을 모서리가 둥근 정 6 각형에 가깝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절입부 (21t) 는, 봉지 본체 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절입부 (21t) 는 봉지 본체 (11) 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드립 백 (1D) 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영역 A1 (도 11B) 을 도 16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E) 과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E) 에서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부 우측의 비스듬한 절입부 (21r) 의 상단이 절입선 (21t) 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영역 A1 을 도 17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F) 과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F) 에서는 상부 첩착부 (21) 가,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부 좌측에 비스듬한 절입부 (21r) 를 갖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부 우측에 비스듬한 하변부 (21q) 를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영역 A1 을 도 18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G) 과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G) 에서는 상부 첩착부 (21) 가,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부 좌측에 비스듬한 절입부 (21r) 를 갖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부 우측에 비스듬한 접힘선 (L1) 과 간격을 두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단부를 따라 형성된 비스듬한 절입부 (21s) 를 갖고 있다.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D, 1E, 1F, 및 1G) 중에서는, 봉지 본체 (11) 의 개구면의 형상을, 상부 첩착부 (21) 의 부분에서 보다 확실하게 더 둥글게 만곡시키기 쉽다는 점에서 드립 백 (1D, 1E, 1F) 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드립 백 (1D) 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도 19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H) 과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H) 에서는, 도 11B 에 나타낸 드립 백 (1D) 에 비해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기울기가 중심선 (Lc) 에 대해 반전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단의 상방에 개봉용 돌출부 (30) 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단의 상방에 개봉용 돌출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부 좌측에 비스듬한 절입부 (21r) 가 형성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부 우측에 비스듬한 하변부 (21q)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드립 백 (1D) 의 영역 A1 을 도 20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I) 과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I) 에서는, 도 11B 에 나타낸 드립 백 (1D) 에 비해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기울기가 중심선 (Lc) 에 대해 반전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부 우측에 비스듬한 절입부 (21r) 가 형성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부 좌측에 비스듬한 하변부 (21q)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영역 A1 을 도 21 에 나타내는 드립 백 (1J) 과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 드립 백 (1J) 에서는, 도 11B 에 나타낸 드립 백 (1D) 에 비해서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기울기가 중심선 (Lc) 에 대해 반전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부 좌측에 비스듬한 상변부 (21p) 를 형성하고,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부 우측에 비스듬한 하변부 (21q) 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드립 백 (1J) 에 있어서도,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을 형성하는 접이식 융기부를 평면으로 펼쳤을 경우에, 봉지 본체의 표리의 박판상 부재는, 개봉용 돌출부 (30) 의 측변과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의 교차부 (P) 에 대해 점 대칭으로 배치되고, 1 쌍의 개봉용 돌출부 (30) 가 엇갈리게 되며 중첩되지 않고, 또한 간극을 두지 않고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드립 백 (1H, 1I, 및 1J)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상단의 상방에 개봉용 돌출부 (30) 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비스듬한 접힘선 (L1) 의 하단의 상방에 개봉용 돌출부 (30) 가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드립 백은, 상부 첩착부에 그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비스듬한 접힘선 (L1) 이 형성되어 있는 한, 걸림부의 구성은 다양한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 에 나타낸 드립 백 (1K) 은, 봉지 본체 (11) 의 표리의 박판상 부재 (20) 의 각각에 있어서, 상부 첩착부 (21) 는, 도 11A 에 나타낸 드립 백 (1D) 과 동일하게, 비스듬한 접힘선 (L1), 절입부 (21t), 및 비스듬한 절입부 (21r) 를 갖고, 상부 첩착부의 하변 (21b) 에는 비스듬한 하변부 (21q)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지 본체 (11) 의 상변 (11a) 에는 절취선 등의 개열 용이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봉지 본체의 표리의 개봉용 돌출부 (30)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봉지 본체의 상변 (11a) 이 용이하게 개구된다.
한편, 드립 백 (1K) 의 걸림부 (23) 는, 드립 백 (1D) 의 걸림부 (23) 와는 일으켜 세우는 방향이 상이하다. 드립 백 (1K) 의 걸림부 (23) 로서는, 중앙부 (22) 를 고정단으로 하고 봉지 본체 (11) 의 측변 (11b) 측으로부터 접힘선 (L2) 에 의해 경첩의 날개처럼 일으켜 세워지는 것이,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드립 백 (1K) 의 걸림부 (23) 는, 봉지 본체 저변측에 개방된 후크용 오목부 (29) 를 갖고, 오목부 (29) 의 봉지 본체 폭 방향의 외측이 후크부 (25) 로 되어 있다. 그래서, 도 2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부 (25) 를 컵 (100) 의 개구부 벽에 걸 수 있다.
도 24 에 나타낸 드립 백 (1L) 은, 봉지 본체의 표리의 각 박판상 부재 (20) 에 있어서, 경첩의 날개처럼 일으켜 세워지는 걸림부 (23) 가, 상부 첩착부 (21) 의 폭의 중심선 (Lc) 의 좌우 편측에 1 개만 형성되어 있다. 도 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걸림부 (23) 는 중심선 (Lc) 을 고정단으로 하고 봉지 본체 (11) 로부터 일으켜 세워진다.
이 드립 백 (1L) 도, 도 11A 에 나타낸 드립 백 (1D) 과 동일하게 봉지 본체의 표리의 개봉용 돌출부 (30) 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봉지 본체의 상변 (11a) 이 용이하게 개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변형 부분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립 백은, 특허문헌 2, 3 에 기재되어 있는 드립 백과 동일하게, 소정 형상의 박판상 부재가 장척의 통수 여과성 시트에 소정 간격으로 첩부되어 있는 드립 백 제조용 시트를 사용하여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1A, 1B, 1C, 1D, 1E, 1F, 1G, 1H, 1I, 1J, 1K, 1L : 드립 백
10 : 통수 여과성 시트
11 : 봉지 본체
11a : 상변
11b : 측변
11c : 저변
11p : 개열 용이선
11s : 측부 영역
20 : 박판상 부재
21 : 상부 첩착부
21a : 상부 첩착부의 상변
21b : 상부 첩착부의 하변
21p : 비스듬한 상변부
21q : 비스듬한 하변부
21r : 비스듬한 절입부
21s : 비스듬한 절입부
21t : 절입부
22 : 중앙부
23 : 걸림부
24: 아암부
24a, 24b : 분기된 아암부
24c : 아암부 연결부
25 : 후크부
25a : 연결부
26 : 제 1 중앙 첩착부
27 : 제 2 중앙 첩착부
28 : 보강부
29 : 후크용 오목부
30 : 개봉용 돌출부
30a : 박판상 부재의 폭 방향 중앙부에 있는 개봉용 돌출부의 측변
30b : 개봉용 돌출부의 단부
100 : 컵
B1, B2, B3 : 첩착 영역
Lc :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
Lc' : 봉지 본체의 폭의 중심선
L1 : 비스듬한 접힘선
L2 : 접힘선
Lv : 가상선
Lx : 세로 접힘선
M : 추출 재료
P : 개봉용 돌출부의 측변과 봉지 본체의 상변의 교차부
θ : 비스듬한 접힘선 (L1) 이 봉지 본체의 폭의 중심선 (Lc) 과 이루는 각도
W1 : 비스듬한 접힘선의, 봉지 본체의 폭 방향의 길이
W2 : 상부 첩착부의 폭
W3a, W3b : 상부 첩착부와 봉지 본체의 측변의 거리
W4 : 봉지 본체의 폭

Claims (10)

  1. 통수 여과성 시트로 형성된 봉지 본체와,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에 형성된 박판상 부재를 갖는 드립 백으로서,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에 있어서, 박판상 부재는, 봉지 본체의 상변을 따라 봉지 본체에 고정된 상부 첩착부, 상부 첩착부보다 봉지 본체의 저변측에서 봉지 본체에 고정된 중앙부, 중앙부와 연속되고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게 형성된 걸림부를 갖고,
    상부 첩착부가, 그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비스듬한 접힘선을 갖는 드립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스듬한 접힘선이, 상부 첩착부의 상변 및 하변에 도달하지 않는 드립 백.
  3. 제 2 항에 있어서,
    비스듬한 접힘선이 절입선인 드립 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스듬한 접힘선의 좌우 일방의 측에, 비스듬한 접힘선의 상단부를 따른, 상부 첩착부의 비스듬한 상변부 또는 상부 첩착부의 상변으로부터 연신된 비스듬한 절입부가 형성되고, 비스듬한 접힘선의 좌우 타방의 측에, 비스듬한 접힘선의 하단부를 따른, 상부 첩착부의 비스듬한 하변부 또는 상부 첩착부의 하변으로부터 연신된 비스듬한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드립 백.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에 있어서, 걸림부는, 중앙부에 연속되는 아암부와 아암부에 연속되는 후크부를 갖고,
    아암부는, 중앙부로부터 봉지 본체 상변측으로 연신되고, 중앙부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봉지 본체로부터 일으켜 세울 수 있고,
    후크부는, 아암부의 상부와 연속되고, 아암부와의 연속 부분으로부터 봉지 본체의 저변측에 연신되어 있는 드립 백.
  6. 제 5 항에 있어서,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각 외표면에 있어서, 아암부가, 상부 첩착부의 폭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고 병렬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병렬되어 있는 부분의 상부끼리가 연결되어 연결부가 되고, 그 연결부가 후크부와 연속되어 있는 드립 백.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드립 백의 봉지 본체에 추출 재료가 충전되고, 봉지 본체가 봉해져 있는 드립 백.
  8. 제 7 항에 있어서,
    봉지 본체의 상변에 개열 용이선이 형성되어 있고, 봉지 본체의 대향하는 2 면의 외표면의 상부 첩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가, 봉지 본체의 상변으로부터 엇갈리게 돌출되어 있는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
  9. 제 8 항에 기재된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으로서,
    박판상 부재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1 쌍의 개봉용 돌출부의 측변과 봉지 본체의 상변의 교차부에서 개봉용 돌출부와 봉지 본체가 첩착되어 있는 드립 백.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기재된 개봉용 돌출부가 형성된 드립 백으로서,
    상부 첩착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개봉용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상부 첩착부의 상변을 개봉용 돌출부의 기부로 연신시킨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드립 백.
KR1020247001369A 2021-07-21 2021-07-21 드립 백 KR20240036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7334 WO2023002605A1 (ja) 2021-07-21 2021-07-21 ドリップバッ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561A true KR20240036561A (ko) 2024-03-20

Family

ID=849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369A KR20240036561A (ko) 2021-07-21 2021-07-21 드립 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74749A1 (ko)
JP (1) JPWO2023002605A1 (ko)
KR (1) KR20240036561A (ko)
CN (1) CN117677323A (ko)
TW (1) TWI812252B (ko)
WO (1) WO202300260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81U (ja) 1981-07-27 1983-02-03 平田 理子 泡立電気洗濯機
JPS5858172U (ja) 1981-10-15 1983-04-20 中嶋 一彦 弁用グランドパツキ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4486B2 (ja) 2000-09-27 2005-07-20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用コーヒーフィルター
JP4079041B2 (ja) 2002-12-06 2008-04-23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5672871B2 (ja) 2009-09-08 2015-02-18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5105119B2 (ja) * 2010-12-15 2012-12-19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WO2014091567A1 (ja) * 2012-12-11 2014-06-19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WO2014091568A1 (ja) * 2012-12-11 2014-06-19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JP5858172B2 (ja) 2012-12-11 2016-02-10 大紀商事株式会社 ドリップ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881U (ja) 1981-07-27 1983-02-03 平田 理子 泡立電気洗濯機
JPS5858172U (ja) 1981-10-15 1983-04-20 中嶋 一彦 弁用グランドパツ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4749A1 (en) 2024-05-29
TWI812252B (zh) 2023-08-11
WO2023002605A1 (ja) 2023-01-26
TW202304790A (zh) 2023-02-01
CN117677323A (zh) 2024-03-08
JPWO2023002605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2136A1 (ja) ドリップバッグ
WO2014092122A1 (ja) ドリップバッグ
KR20110022565A (ko) 드립 백
JP6104212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6884390B2 (ja) ドリップバッグ
KR20240036561A (ko) 드립 백
JP5640754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148907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5858172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452859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250278B2 (ja) ドリップバッグ
CN115135206B (zh) 滴滤袋
JP5892262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7249644B2 (ja) ドリップバッグ
JP2023055568A (ja) ドリップ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