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191A -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191A
KR20240036191A KR1020220114659A KR20220114659A KR20240036191A KR 20240036191 A KR20240036191 A KR 20240036191A KR 1020220114659 A KR1020220114659 A KR 1020220114659A KR 20220114659 A KR20220114659 A KR 20220114659A KR 20240036191 A KR20240036191 A KR 20240036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light
optical device
vehicle
lamp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191A/ko
Priority to US18/115,531 priority patent/US11858412B1/en
Publication of KR2024003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60R2019/525Radiator gril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그릴부; 및 그릴부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학 장치를 구비하고, 그릴부는, 광학 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부 및복수의 반사부들 사이의 단차의 형태로 구비되고, 광학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글레어 부분을 흡수하기 위한 무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 추돌 시에 광학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한편, 그릴 라이팅 시에 글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GRILL LIGHTING LAMP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외장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전면에 구비되는 그릴에 광을 조명할 수 있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광원을 활용한 조명장치가 적용되며, 각각의 조명장치는 설치 위치 및 사용 용도에 따라 그 특성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실내 조명등이나,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이 있다.
특히,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조명은 디자인적 측면에서도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의 조명 디자인 및 조명 효과도 중요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외부에 설치되는 조명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빛이 조사되는 것을 중점으로 하는바, 과거에는 광의 집광도 및 확산도를 확보하는 기술 개발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조명이 가지는 디자인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 예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은 그릴 라이팅(Grill Lighting) 기술이 있다. 그릴 라이팅 기술은 그릴의 전면 패널을 광투과성 재료로 형성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조명 장치를 배치하고, 이 조명 장치 내에 구비된 광원을 점등하여, 그릴의 전면 패널을 조명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그릴 라이팅 기술에 의하면, 광원의 점등 시에 다양한 컬러로 그릴을 점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웰컴 기능, 충전 기능,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수행시 마다 상이한 컬러로 점등시킴으로써, 차량 디자인에 고급감을 부여하고,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그릴 라이팅 기술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릴 내부에 광원을 구비하고, 광원과 그릴 전면을 투명 렌즈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차량 전방이나 후방 추돌 사고 시에, 전면을 향해 노출된 렌즈가 쉽게 파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추돌 사고 발생 시에 수리비가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 외부 조명이 가지는 디자인적 요소를 강조하기 위한 또다른 기술로서 특허문헌 2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y, MLA)를 조명의 광학 장치로 적용한 것이 있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광학 통신, 직업 영상 관측(direct optical imaging) 등의 미세 광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최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대략 10mm 내외의 크기를 갖는 광학계를 통해 노면에 특정한 패턴을 그릴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해, 자동차에서 웰컴 라이트(welcome light)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특허문헌 2와 같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기술을 차량의 헤드 램프에 적용하는 시도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MLA과 같은 마이크로 렌즈를 채용한 기술의 경우, 각 옵틱 간 또는 모듈 간에 불필요한 빛에 의해 글레어가 발생되기 쉽다. 그 결과, 렌즈에 의해 구현되는 광의 패턴 사이의 암영 구간에 글레어가 발생되게 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2-0045865호 (2022.04.13)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90805호(2022.04.26)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서는, 전면의 그릴 커버에 인접하여 배치된 렌즈가 차량의 전면 추돌 시에 파손됨으로써 수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 램프의 광원으로서 MLA를 적용한 경우, 불필요한 광에 의해 패턴 간 암영 부분에 글레어가 발생하여 심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릴 라이팅을 구현하면서도, 차량의 그릴 파손 시에 수리비를 저감할 수 있고, 그릴 라이팅 시에 글레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으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그릴부 및 그릴부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학 장치를 구비하고, 그릴부는, 광학 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차량의 외부를 향해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부 및 복수의 상기 반사부들 사이의 단차의 형태로 구비되고, 광학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글레어 부분을 흡수하기 위한 무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릴부는, 광학 장치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반사부와 무효부가 계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무효부는,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3°이상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반사부와 무효부가 계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효부에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그릴부를 향해 유입된 외기가 그릴부를 통과하여 차량 내부를 향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무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외기의 와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반사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연장되는 와류 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와 그릴부 사이에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그릴부를 향해 유입된 외기가 차량 내부를 향해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릴부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는, 차량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그릴부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부의 반사면은,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명도 이상의 유채색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무채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부의 반사면은, 표면에서 상기 광을 난반사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광 조사 방향 전방에 구비되고 광이 입사되는 MLA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광 조사 방향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광이 입사되는 다면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 및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그릴부에 조사하는 MFR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장치는 프로젝션 램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릴부의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의 색상에 따라 광학 장치로부터의 광의 광량 또는 색상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서는 간접광 타입의 그릴 라이팅을 구현하고 있는바, 그릴에 광을 조사하는 광학계를 그릴로부터 이격시켜 차량 전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차체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그릴 파손 시에도 그릴과 함께 렌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파손 시에 수리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그릴의 반사부 사이에, 단차의 형태로 무효부를 구비함으로써, 글레어 광이 그릴에 반사되어 차량 전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레어 현상을 억제하여 차량의 외부 조명이 갖는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차 형상의 무효부를 구비하면서도, 적절한 위치에 외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공력 성능 악화를 방지하여 엔진룸 냉각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글레어 생성을 억제하면서도 엔진의 내열 성능을 개선하고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차 형상의 무효부를 구비하면서도, 그릴의 돌출량을 감소시켜, 보행자 충돌 시에 심각한 상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장치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반사부의 각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반대편에서 접근하는 차량이나 주위의 보행자들이 그릴 라이팅된 빛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그릴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그릴 상에서의 외기의 흐름 및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그릴에서 발생하는 글레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그 광 반사 작용 및 그릴 상에서의 외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광학 장치에 MFL을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광학 장치에 MFR을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광학 장치로서 프로젝션 램프를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서의 광학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그릴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의 그릴 상에서의 외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광학 장치에 MLA를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그 광 반사 작용 및 그릴 상에서의 외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광학 장치에 MFL을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는, 광학 장치에 MFR을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광학 장치로서 프로젝션 램프를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서의 광학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그릴부(20)는 전방 및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하여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차량의 주행 시에 그릴부(20)를 향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량 후방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유도함으로써 그릴부(20)에 의한 공력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릴부(20)는 차량 전면을 향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그릴부(20)를 차량의 후방의 리어 램프 부근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은, 광학 장치(10) 및 광학 장치(1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그릴부(20)를 포함한다.
광학 장치(10)는, 예컨대 LED와 같이 광을 생성하기 위한 광원(12)과, 입사측 렌즈로서, 광원(12)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평행광을 생성하는 콜리메이터 렌즈(13) 및 콜리메이터 렌즈(13)를 투과한 평행광이 통과하는 광출사측의 렌즈(1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장치(10)는 광출사측이 개방된 차량의 하우징(11)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장치(10)는, 그릴부(20)를 향해 전방 및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학 장치(10)는 그릴부(20)와는 별채로 구성되는 하우징(11) 내측에 배치되고, 렌즈(14)를 포함한 광학 장치(10)가 차량 전방을 향하고 있지 않은바, 차량 전방 추돌 사고가 발생하여 그릴부(20)가 파손된다 하더라도, 고가의 렌즈(14)를 포함한 광학 장치(1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2개의 광학 장치(1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1개의 광학 장치(10)만을 구비하거나, 그릴부(20)의 형상에 따라 3개 이상의 광학 장치(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1개의 광학 장치(10)로부터의 입사광(30)이 그릴부(20)의 1개의 반사부(21)에 매칭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1개의 광학 장치(10)가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고 각 픽셀로부터의 입사광(30)이 각각 그릴부(20)의 1개의 반사부(21)와 매칭되도록 해도 된다.
그릴부(20)는, 공력 및 엔진 냉각 또는 차량 전면부의 디자인 요소를 위해 차량의 전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그릴부(20)는 광학 장치(10)로부터 조사된 입사광(30)을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반사광(32)의 형태로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부(21)와, 복수의 반사부(21)들 사이에 단차의 형태로 구비되어 입사광(30) 중 불필요한 글레어 광(31)을 흡수하기 위한 무효부(22)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릴부(20)는 복수의 반사부(21)가 계단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반사부(21)들 사이를 무효부(22)가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반사부(21)와 무효부(2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반사부(21)는 조사된 입사광(30)을 차량 전방을 향해 반사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릴부(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 램프 근방에 설치되는 경우, 복수의 반사부(21)는 입사광(30)을 차량 후방을 향해 반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그릴부(20) 및 그릴부(20)에서 행해지는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반사부(21)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30)을 반사하기 위하여 명도가 높은 밝은 색상, 바람직하게는 무채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그릴부(20)의 디자인적 요소로 인하여 반사부(21)를 밝은 색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광학 장치(10)로부터의 광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 반사부(21)를 무채색으로 구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광학 장치(10)에 의해 조사되는 입사광(30)의 색상을 조정하여 반사광(32)에 대해 요구되는 기준 색상과 매칭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반사부(21)가 차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광학 장치(10)로부터 온 입사광(30)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반사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1)는 그 표면에서 입사광(30)을 난반사 할 수 있도록 전면을 향해 볼록한 볼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1)의 전면에 볼록부(21a)를 구비할 수 있다.
무효부(30)는 글레어 광(33)으로 인한 모호한 경계선을 전방에서 시인할 수 없도록, 글레어 광(31)으로 영향을 축소하기 위한 전방 시인 무효부를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차량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무효부(30)는 복수의 반사부(21)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32)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 3°이상 경사져 있다. 이를 통해, 무효부(3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글레어 반사광(33)이, 반사광(32)과 달리 차량의 전면을 향하지 않도록 반사시키는 한편, 글레어 반사광이 그릴부(20)의 반사부(21)를 향해 반사(도 3에서는 참조번호 34의 광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르면, 입사광(30) 중 불필요한 글레어 광(31)이 전면을 향해 반사되지 않도록 무효부(30)에 의해 반사, 제거함으로써 그릴부(20)의 반사부(21)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32)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패턴(픽셀)이 보다 선명하게 구분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그릴 상에서의 외기의 흐름 및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그릴에서 발생하는 글레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릴부(20)는,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반사부(21)와 무효부(22)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40)가 그릴부(20)를 통해 흘러가는 방향으로는 단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릴부(20)에서의 공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도 5와 같이,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반사부(21)와 무효부(22)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외기(40)가 그릴부(20)를 따라 흘러가면서, 단차인 무효부(21)와 충돌하게 되어 공력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반사부(21)와 무효부(22)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무효부(22) 후방의 반사부(21)의 표면에, 글레어 광(31)이 맺히는 영역이 존재하고, 이 영역과 무효부(22) 사이에 그림자 영역(a)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반사부(21)와 무효부(22)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면, 무효부(22) 후방에 그림자 영역(a)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그 광 반사 작용 및 그릴 상에서의 외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학 장치(10)를 그 내부에 배치하고 있는 하우징(11)과 그릴부(20) 사이에 개구부(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개구부(50)는 광학 장치(10)를 포함한 하우징(11)과 그릴부(20) 사이에 갭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50)는 그릴부(20)를 따라 흐르는 외기(40)가 차량 내측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공력의 향상시키는 공력 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50)를 통과한 외기(41)가 내연 기관이나 또는 전기차의 배터리 측으로 향하도록 개구부(50)를 배치하는 경우, 외기(41)의 의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무효부(22)에도 외기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릴부(20)가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무효부(22)는 그릴부(20)를 통해 이동하는 외기(40)의 흐름 방향을 방해하지 않는바, 무효부(22)에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그릴부(20)가 차량 후방의 리어 램프 부근에 장착되어 있고, 차량 전방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에어 커튼을 통해 그릴부(20)의 이면으로 유입되는 경우, 외기가 그릴부(20)를 통과할 수 없어 공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무효부(22)에 개구부를 형성해 두면, 에어 커튼을 통해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그릴부(20)의 이면으로 이동한 외기를 무효부(22)의 개구부를 통해 차량의 후방으로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공력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학 장치(10)의 출사측 렌즈(14)로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4a)를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14a)는 복수의 미세한 렌즈가 배열된 모듈로서, 콜리메이터 렌즈(13)를 통과한 평행광이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14a)를 통과하면서 특정한 패턴의 광이 되도록 평행광을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도 6과 달리 광학 장치(10) 출사측 렌즈로서 MFL을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LED의 경우, 그 특성상 방사각이 매우 크기 때문에 원거리의 국부적인 영역을 조사하는 역할에 사용하는 경우, 에텐듀(etendue) 문제가 발생하여 광 효율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LED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집광시키거나 광축과 평행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집광 렌즈인 다면 렌즈(MFL: Multi-Facet Lens)(14b)를 적용하는 경우 광 효율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광학 장치(10)에 MFR을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광원(12)에 의해 생성된 빛을, 반사판의 구조를 다수의 셀로 구분하여 각 셀마다 반사판의 곡률 반경이나 초점 등에 변화를 주는 MFR(Multi-Face Reflector) 타입의 리플렉터(15)를 통해 반사하여 그릴부(20)의 반사부(22)를 향해 조사하고 있다. 이러한 MFR 타입 리플렉터(15)를 사용함으로써 컷 오프(cut off)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광학 장치로서 프로젝션 램프(16)를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램프는 광원(12)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키는 타원형의 리플렉터와, 전방에 설치되어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와, 그리고 리플렉터와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부채꼴 모양의 쉴드를 구비한다. 프로젝션 램프(16)를 적용하면 쉴드의 단부 형상에 따라 렌즈를 통과한 최종 빔의 패턴을 달리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서의 광학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광학 장치(10)는 그릴부(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때, 공력 성능을 고려하여 광학 장치(10)와 그릴부(20)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50)는 차량 후방 및 상방을 향해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그릴부(20) 상을 통과하는 외기(40)는 개구부(50)를 따라 차량 후방 및 상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이와 달리,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광학 장치(10)는 그릴부(20)의 하방 방에 배치된다. 이 때, 마찬가지로 공력 성능을 고려하여 광학 장치(10)와 그릴부(20)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50)는 차량 후방 및 하방을 향해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그릴부(20) 상을 통과하는 외기(40)는 개구부(50)를 따라 차량 후방 및 상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따라서, 차량에 요구되는 공력 성능 및 개구부(50)를 통과한 외기(41)에 의해 냉각되는 엔진룸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광학 장치(10)와 그릴부(20)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광학 장치(10)가 그릴부(20)의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하는 것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차량을 상방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광학 장치(10)가 그릴부(20)와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과는 상이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그릴부(20)의 구조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도 1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그릴부(20)는,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반사부(21)와 무효부(22)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방을 향할수록 그릴부(20)의 돌출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전면에 한정된 공간으로 인하여 도 1에 도시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을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따.
이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릴부(20)는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반사부(23)와 무효부(24)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과 대비하여 그릴부(20)의 차량 전방으로 돌출량을 상대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반사부(23)와 무효부(24)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무효부(24)에 의해 그림자 영역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광학 장치(10)로부터의 입사광(30)에 의한 그림자 영역을 최소화하고, 각 반사부(23)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32)이 소정의 라이팅 형상으로 차량 전방을 향해 반사되도록, 각각의 반사부(23)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21)의 표면에서 빛을 난반사 할 수 있도록 전면을 향해 볼록한 볼록부(2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릴부(20)가 차량 후방의 리어 램프 부근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의 통상 주행 시에 외기가 그릴부(20)의 전면을 향해 이동할 일이 없으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장치(10)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반사부(23)와 무효부(24)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여도, 공력 성능이나 냉각 성능과 관련된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릴부(20)가 차량 전면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 시 외기가 그릴부(20)를 향해 흐르는 경우에는 외기(40)가 그릴부(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단차를 형성하는 무효부(24)와 충돌하면서 공력 성능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무효부(24)에 외기(42)가 통과할 수 있는 공력 홀인 개구부(24a)를 형성한다. 이 경우, 그릴부(20)를 따라 흐르는 외기 중 무효부(24)와 충돌하게 되는 외기(42)는 개구부(24a)를 통과하여 차량 내측 또는 외측 후방으로 배출되게 되어 공력 성능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학 장치(10)와 그릴부(20) 사이의 갭의 형태로 개구부(50)를 더 구비하는 경우, 개구부(24a)를 통과하지 않은 외기(40)를 차량 후방으로 배출함으로써 공력 성능을 더욱 보완할 수 있다. 나아가, 무효부(24)를 관통하는 개구부(24a)를 구비함으로써 무효부(24)에 의해 광이 가려지게 되어 그림자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16은 광학 장치로서 프로젝션 램프를 적용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및 그 광 반사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반사부(23)는 무효부(24)에 형성된 개구부(24a)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42)에 와류(43)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 발생부(23b)를 더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부(23)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개구부(24a)가 형성된 무효부(24)가 배치되고, 반사부(23)의 길이 방향 타단에 와류 발생부(23b)가 구비된다. 이 때, 와류 발생부(23b)는 반사부(23)의 길이 방향 타단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반사부(23)의 내측으로 굴곡하여 연장하는 연장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무효부(24)에 형성된 개구부(24a)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42)가 와류 발생부(23b)와 충돌하여 그 흐름 방향이 급격히 변경됨으로써, 와류(43)가 형성되게 된다. 그릴부(20) 후방에 엔진룸이나 전기차 배터리와 같이 냉각을 요하는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 반사부(23)가 와류 발생부(23b)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냉각 효율을 더 증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류 발생부(23b)가, 그릴부(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바, 그릴부(20)의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학 장치(10)의 출사측 렌즈(14)로서 MLA(14a)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사측 렌즈(14)로서 MFL(14b)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2)으로부터의 빛을 MFR 타입 리플렉터(15)를 통해 반사부(23)로 반사하는 광학계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션 램프(16)를 광학 장치(10)의 광학계로서 채용해도 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에서의 광학 장치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는, 광학 장치(10)는 그릴부(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때, 공력 성능을 고려하여 무효부(24)에 형성되는 개구부(24a)는 차량 후방 및 상방을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는 그릴부(20) 상을 통과하는 외기는 개구부(24a)를 따라 차량 후방 및 상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이와 달리,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는, 광학 장치(10)는 그릴부(20)의 하방 에 배치된다. 이 때, 마찬가지로 공력 성능을 고려하여 무효부(24)에 형성되는 개구부(24a)는 차량 후방 및 하방을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는 그릴부(20) 상을 통과하는 외기는 개구부(24a)를 따라 차량 후방 및 하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학 장치(10)와 그릴부(20) 사이에 갭을 구비하여 추가적인 공력 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냉각 성능 향상을 위해, 반사부(23)의 일단부에 와류 발생부(23b)를 형성하여도 된다.
따라서, 차량에 요구되는 공력 성능 및 개구부(24a)를 통과한 외기에 의해 냉각되는 엔진룸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광학 장치(10)와 그릴부(20)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광학 장치 11: 하우징
12: 광원 13: 콜리메이터 렌즈
14: 출사측 렌즈 14a: MLA
14b: MFL 15: MFR 타입 리플렉터
16: 프로젝션 램프 시스템
20: 그릴부 21: 반사부
21a: 볼록부 22: 무효부
23: 반사부 23a: 볼록부
23b: 와류 발생부
24: 무효부 24a: 개구부
30: 입사광 31: 글레어 광
32: 반사광 34: 글레어 반사광
40, 41, 42: 외기
50: 개구부

Claims (16)

  1. 차량에 구비되는 그릴부; 및
    상기 그릴부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그릴부는, 상기 광학 장치로부터 조사된 광을 상기 차량의 외부를 향해 반사하는 복수의 반사부 및
    복수의 상기 반사부들 사이의 단차의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광학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 글레어 부분을 흡수하기 위한 무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광학 장치에 가까이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반사부와 상기 무효부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광학 장치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반사부와 상기 무효부가 계단 구조를 형성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효부에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상기 그릴부를 향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그릴부를 통과하여 차량 내부를 향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효부는,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3°이상 경사지도록 형성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와 상기 그릴부 사이에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상기 그릴부를 향해 유입된 외기가 차량 내부를 향해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외기의 와류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부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연장되는 와류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상기 차량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그릴부의 상방 또는 하방에 배치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0.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은, 상기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명도 이상의 유채색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무채색으로 구성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은, 표면에서 상기 광을 난반사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광 조사 방향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광이 입사되는 MLA(micro lens array) 모듈을 포함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광 조사 방향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광이 입사되는 다면 렌즈(MFL;Multi-Facet Lens)를 구비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상기 그릴부에 조사하는 MFR(Multi Facet Reflector)을 구비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학 장치는 프로젝션 램프인,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1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의 상기 반사부의 반사면의 색상에 따라 상기 광학 장치로부터의 광의 광량 또는 색상이 설정되는,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KR1020220114659A 2022-09-13 2022-09-13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KR20240036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659A KR20240036191A (ko) 2022-09-13 2022-09-13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US18/115,531 US11858412B1 (en) 2022-09-13 2023-02-28 Grill lighting lamp system with stepped reflection and invalid por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659A KR20240036191A (ko) 2022-09-13 2022-09-13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191A true KR20240036191A (ko) 2024-03-20

Family

ID=8943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659A KR20240036191A (ko) 2022-09-13 2022-09-13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58412B1 (ko)
KR (1) KR2024003619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865A (ko) 2020-10-06 202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그릴
KR102390805B1 (ko) 2020-06-09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0404B2 (en) * 2016-01-11 2020-12-22 SMR Patents S.à.r.l. Elongate illuminated automotive design element, injection molded vehicle par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20230052477A (ko) * 2021-10-13 2023-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05B1 (ko) 2020-06-09 2022-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045865A (ko) 2020-10-06 202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8412B1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819B2 (ja) ヘッドランプに太陽光線が集束することを防止する遮光可動要素
KR100824912B1 (ko) 차량용 전조등
JP5091808B2 (ja) 車両用灯具
US9341336B2 (en) Vehicle headlamp
KR100767253B1 (ko) 차량용 전조등
JP7082682B2 (ja) 車両ランプ用光学素子、車両ランプモジュール、車両ヘッドライト及び車両
JP2013546145A (ja) Ledランプモジュール
JP4030898B2 (ja) 車輌用前照灯
TWI651489B (zh) 智慧頭燈
WO2021106956A1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5152563B2 (ja) 車両用前照灯
JP3949981B2 (ja) 車輌用前照灯
JP2007294356A (ja) 配光可変型前照灯
JP3958653B2 (ja) ヘッドランプ
KR20240036191A (ko) 그릴 라이팅 램프 시스템
KR102463275B1 (ko) 차량용 램프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JP7472618B2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EP2360425B1 (en) Light guiding lens and vehicle light
JP4038649B2 (ja) 照明装置
KR20190006311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220043782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89401A (ko) 차량용 램프
CN115151755A (zh) 包括电致变色装置的机动车辆灯模块
KR20210128244A (ko)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