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572A -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 - Google Patents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572A
KR20240035572A KR1020247005399A KR20247005399A KR20240035572A KR 20240035572 A KR20240035572 A KR 20240035572A KR 1020247005399 A KR1020247005399 A KR 1020247005399A KR 20247005399 A KR20247005399 A KR 20247005399A KR 20240035572 A KR20240035572 A KR 2024003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electromagnetic wave
electromagnetic
wave shield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로 우이
가즈히로 후케
유야 마츠자키
교헤이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7Constructional details of housings, e.g. form, type, material or rugge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8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with a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전자파 실드(1a)는, 제1 면(10)과, 제2 면(20)을 갖는 판상의 기부(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면(10)은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면이다. 제2 면(20)은 제1 면(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면(10)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복수의 돌조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돌조부(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돌조부(11)에 접하고 있는 홈 또는 구멍을 이루는 공간(15)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
본 발명은,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파를 사용한 센싱을 행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기술분야에서는, 소정의 파장의 전파가 사용되는 레이더를 구비한 충돌 예방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충돌 예방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장해물의 검지, 주변 차량의 속도 측정, 및 주변 차량과의 차간 거리의 측정이 행해져, 차량의 속도 및 그 차간 거리가 조정된다. 충돌 예방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노이즈가 되는 불필요한 전파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 주행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불필요한 전자파를 흡수하는 목적으로 전자파 흡수체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자파 흡수체에서는, 제1 유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중에 제2 유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정 형상의 복수의 산란체가 주기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설치 부재에 의해 리어 범퍼에 설치 지지된 레이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도 8 참조). 설치 부재는 상자형의 수용부를 갖고 있고, 그 수용부는 차폐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 차폐판은 레이더 장치의 차폭 방향 외측부와 리어 범퍼 이면 사이를 막아 송신파를 차단한다. 차폐판은 타이어 도달파 α의 경로를 막도록 오검지 방지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어, 오검지가 방지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소정 형상의 요철부를 구비한 난반사 구조부를 구비한 오검지 방지 부재도 기재되어 있다(도 13 참조). 난반사 구조부에 의해, 레이더 장치로부터의 입사파가 난반사되어, 그 에너지를 분산시켜, 오검지가 방지된다고 이해된다.
특허문헌 3에는, 자동차용 레이더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도 7b 참조). 이 자동차용 레이더 모듈에 있어서, 실드, 설치 고정구, 또는 브래킷에 1 이상의 모양면을 형성함으로써 멀티 패스 효과의 경감이 도모되고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레이더 트랜시버용의 측방 실드가 기재되어 있다. 이 측방 실드의 전체에는, 불균일한 지연 구조가 배치되어 있다. 불균일한 지연 구조는, 레이더 신호의 파장 및 레이더 신호가 전파되는 측방 실드에 있어서의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변동량에 의해, 측방 실드를 전파하는 레이더 신호를 지연시킨다. 이에 의해, 측방 실드를 전파 후의 레이더 신호의 지향 및 확산이 이루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53135호 공보 일본 특허 제5696781호 공보 미국 특허 제10,074,907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21/058450호
불필요한 전파의 수신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전자파를 차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전자파 실드에 있어서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면에 돌조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에 의하면, 전자파 실드에 있어서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면에 돌조를 형성하는 경우에 그 면에 물이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전자파 실드에 있어서 돌조를 갖는 면에 있어서 배수를 촉구하는 관점에서 유리한 전자파 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파 실드이며,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제2 면을 갖는 판상의 기부와,
상기 제2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파 실드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실드는,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조부에 접하고 있는 홈 또는 구멍을 이루는 공간을 갖는,
전자파 실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전자파 실드를 구비한, 레이더용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의 전자파 실드는,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면에 있어서 배수를 촉구하는 관점에서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파 실드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II-II선을 절단선으로 하는 전자파 실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관한 레이더용 커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관한 레이더용 커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하는 IV-IV선을 절단선으로 하는 레이더용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파 실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VI-VI선을 절단선으로 하는 전자파 실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는, 제1 면(10)과, 제2 면(20)을 갖는 판상의 기부(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면(10)은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면이다. 제2 면(20)은 제1 면(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면(10)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면(10) 및 제2 면(20)은, 예를 들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복수의 돌조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돌조부(1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돌조부(11)에 접하고 있는 홈 또는 구멍을 이루는 공간(15)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자파 실드는 전자파의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품이다. 전자파 실드가 전자파의 에너지를 감쇠시키는 원리는, 특정한 원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원리는, 예를 들어 전자파와 전자파 실드의 상호 작용에 수반하는 반사, 투과, 흡수, 회절, 및 간섭 등의 현상, 그리고, 이들 현상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전자파의 산란 및 확산 등의 현상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제1 면(10)에 소정의 전자파가 입사되면, 그 전자파의 에너지가 감쇠한다.
강우, 세정, 및 결로 등의 이유에 의해 제1 면(10)에 물이 부착되는 환경에서 전자파 실드(1a)가 사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돌조를 갖는 면을 구비한 전자파 실드를, 돌조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그 돌조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돌조를 갖는 면에 있어서, 돌조보다도 상방에 물이 부착된 경우, 돌조가 배수의 방해가 되고, 돌조 부근에 물이 고일 가능성이 있다. 돌조를 갖는 면에 있어서 돌조 부근에 물이 고이면, 돌조 부근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물이 고이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돌조 부근에 있어서의 유전율과는 다르다. 돌조 부근에 있어서의 유전율은, 전자파 실드의 성능의 관점에서 중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돌조를 갖는 면에 있어서 돌조 부근에 물이 고이면, 전자파 실드의 성능이 저하되고, 돌조를 갖는 면에 입사된 전파를 원하는 상태로 감쇠시키는 것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전자파 실드(1a)에 의하면, 돌조부(11)에 접하도록 공간(15)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배출되기 쉽다. 환언하면, 공간(15)은 배수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돌조부(11)의 부근에 물이 고이기 어렵고, 전자파 실드(1a)의 성능이 저하되기 어렵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15)은 돌조부(11)의 돌출 방향의 단부에 개구(15a)를 갖는다. 환언하면, 공간(15)은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간(15)을 이루는 벽면과 물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쉽고,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보다 배출되기 쉽다.
공간(15)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공간(15)은, 예를 들어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돌조부(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공간(15)의 형상 및 치수는, 특정한 양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간(15)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15)의 최대 치수 H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최대 치수 H는, 예를 들어 1㎜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보다 배출되기 쉽다.
공간(15)의 최대 치수 H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다. 최대 치수 H는, 예를 들어 1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가 높은 전자파 차폐 성능을 발휘하기 쉽다. 최대 치수 H는, 8㎜ 이하여도 되고, 6㎜ 이하여도 되고, 5㎜ 이하여도 되고, 4㎜ 이하여도 된다.
공간(15)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공간(15)의 유로 단면은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삼각형이어도 되고, 원호 등의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이어도 된다. 공간(15)의 깊이는, 돌조부(11)의 돌출 길이 P와 동일해도 되고, 돌출 길이 P보다도 작아도 되고, 돌출 길이 P보다 커도 된다. 공간(15)의 깊이는, 예를 들어 1㎜ 이상이고, 2㎜ 이상이어도 되고, 3㎜ 이상이어도 되고, 4㎜ 이상이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전자파 실드(1a)는 돌조부(11)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돌조부(11)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Z는, 중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 공간(15)의 일단부(15b)는 공간(15b)의 타단부(15c)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파 실드(1a)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을 때,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은, 일단부(15b)로부터 타단부(15c)를 향하여 중력의 작용에 의해 공간(15)을 통과하기 쉽다. 이 때문에,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보다 배출되기 쉽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돌조부(11)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전자파 실드(1a)는, 복수의 공간(15)을 갖고 있다. 복수의 돌조부(11)는, 복수의 공간(15)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웃하는 돌조부(11)의 사이에 물이 부착되어도 어느 것의 공간(15)을 통과하여 배출되기 쉽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는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돌조부(11)를 갖고, 공간(15)은 한 쌍의 돌조부(11)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돌조부(11)는, 예를 들어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열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웃하는 돌조부(11)끼리의 거리 D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거리 D는, 예를 들어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15)의 최대 치수 H보다도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웃하는 돌조부(11)의 사이에 물이 부착되어도 돌조부(11)끼리의 사이에 물이 고이기 어렵다.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L은,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길이 L은, 예를 들어 100㎜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조부(11)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에 유도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지기 쉽고,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단기간에 배출되기 쉽다.
길이 L은, 95㎜ 이하여도 되고, 90㎜ 이하여도 되고, 75㎜ 이하여도 되고, 60㎜ 이하여도 되고, 50㎜ 이하여도 된다. 길이 L은, 예를 들어 5㎜ 이상이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된다. 길이 L은, 100㎜ 이상이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복수의 공간(15)의 배치는, 특정한 배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공간(15)은, 예를 들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방의 공간(15)을 통과한 물이 하방의 공간(15)에 직접 유도되기 쉽고, 제1 면(10)에 부착된 물이 단기간에 배출되기 쉽다. 복수의 공간(15)은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환상체이고, 또한 그 환상체의 축선을 따라서 제1 면(10)을 보았을 때에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의 외주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통과하여 제1 면(10)에 입사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다각뿔대 형상의 외형을 한다.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이 외형에 있어서 다각뿔대의 상측 바닥면 및 하측 바닥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이다.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다각뿔대의 상측 바닥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32)를 갖고, 하측 바닥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개구(34)를 갖는다. 제1 면(10)은 통 형상의 전자파 실드(1a) 또는 기부(5)의 내주면을 이루고 있다. 제2 면(20)은 통 형상의 전자파 실드(1a) 또는 기부(5)의 외주면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파 실드(1a)에 의해 전자파의 차폐가 가능한 공간이 넓어지기 쉽다. 게다가,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의 제1 개구(32)를 전자파의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배치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 및 기부(5) 중 적어도 하나의 외형은 원뿔대 형상이어도 되고, 타원뿔대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는, 그 외형의 원뿔대 또는 타원뿔대의 상측 바닥면 및 하측 바닥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다.
복수의 돌조부(11)는, 예를 들어 전자파 실드(1a) 또는 기부(5)의 외형의 다각뿔대, 원뿔대, 또는 타원뿔대의 하측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파 실드(1a)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성능이 보다 높아지기 쉽다. 게다가, 예를 들어 금형에 슬라이드 코어 등의 기구를 형성하지 않고 단순한 구성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이형할 수 있는 등의 제조상의 이점이 얻어진다.
돌조부(11)는 기부(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빼기 구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돌조부(11)의 코너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전자파 실드(1a)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 성형품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전자파 실드(1a)는, 도 3b에 도시하는 전자파 실드(1b)와 같이 변경되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b)는,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자파 실드(1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파 실드(1b)는 접촉부(6)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6)는 전자파 실드(1b)와는 다른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부위이다. 접촉부(6)는 환상의 전자파 실드(1b) 또는 기부(5)의 축선을 따라서 제1 면(10)을 보았을 때에 시인되는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의 외주에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6)를 다른 부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자파 실드(1b)를 다른 부재에 설치할 수 있다. 접촉부(6)는, 예를 들어 플랜지를 이루고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 레이더, 밀리미터파 무선 통신, 및 밀리미터파 센싱 등의 용도를 위한 전자파 실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가 적용된 기기는, 예를 들어 자동차 및 무선 기지국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가 밀리미터파 레이더용인 경우, 24㎓대, 60㎓대, 76㎓대, 및 79㎓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개의 주파수대의 밀리미터파 레이더에 전자파 실드(1a)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실드(1a)는 특정 파장의 전자파만을 차폐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파장 영역의 전자파를 차폐해도 되지만, 특정한 파장 λ의 전자파를 「차폐 대상」으로서 정하여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조사되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76 내지 77㎓인, 즉 실질적인 조사 파장이 3.89 내지 3.94㎜인 차량 탑재용 밀리미터파 레이더와 함께 설치되어 있는 전자파 실드의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 76.5㎓의 파장인 3.92㎜를, 이 전자파 실드의 차폐 대상인 파장 λ로서 판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77 내지 81㎓인, 즉 사용 전자파의 파장이 3.70 내지 3.89㎜인 차량 탑재용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위한 전자파 실드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 79㎓의 파장인 3.79㎜를, 이 전자파 실드의 차폐 대상인 파장 λ로서 판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24.05 내지 24.25㎓인, 즉 사용 전자파의 파장이 12.36 내지 12.47㎜인 차량 탑재용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위한 전자파 실드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 24.15㎓의 파장인 12.41㎜를, 이 전자파 실드의 차폐 대상인 파장 λ로서 판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60.0 내지 60.1㎓인, 즉 사용 전자파의 파장이 4.99 내지 5.00㎜인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위한 전자파 실드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 60.05㎓의 파장인 4.99㎜를, 이 전자파 실드의 차폐 대상인 파장 λ로서 판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27 내지 29.5㎓인, 즉 사용 전자파의 파장이 10.16 내지 11.10㎜인 밀리미터파 무선을 위한 전자파 실드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 28.25㎓의 파장인 10.61㎜를, 이 전자파 실드의 차폐 대상인 파장 λ로서 판단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가 대응 주파수 70 내지 90㎓, 즉 대응 파장이 3.33 내지 4.28㎜라고 표기되어 판매 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주파수 80㎓의 파장인 3.75㎜를, 이 전자파 실드의 차폐 대상인 파장 λ로서 판단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돌조부(11)의 돌출 길이 P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파 실드(1a)의 차폐 대상이 되는 특정 파장 λ와 돌출 길이 P를 대비한 경우, 돌출 길이 P는, 예를 들어 0.25λ 이상이다. 이에 의해, 전자파 실드(1a)가 보다 원하는 상태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돌출 길이 P는, 바람직하게는 0.51λ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7λ 이상이다. 돌출 길이 P는, 예를 들어 5.1λ 이하이고, 3.5λ 이하여도 되고, 3.0λ 이하여도 된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복수의 돌조부(11)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 길이 P는, 바람직하게는,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성능이 보다 높아지기 쉽다.
0.25λ≤P≤1.3λ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돌출 길이 P는, 0.30λ 이상이어도 되고, 0.35λ 이상이어도 되고, 0.40λ 이상이어도 되고, 0.45λ 이상이어도 되고, 0.50λ 이상이어도 된다. 돌출 길이 P는, 1.2λ 이하여도 되고, 1.1λ 이하여도 되고, 1.0λ 이하여도 되고, 0.9λ 이하여도 된다.
복수의 돌조부(11)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개수 기준으로 50% 이상의 돌조부(11)가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개수 기준으로 60% 이상의 돌조부(11)가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개수 기준으로 70% 이상의 돌조부(11)가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개수 기준으로 80% 이상의 돌조부(11)가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개수 기준으로 90% 이상의 돌조부(11)가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돌조부(11)의 모두가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돌조부(11)의 폭 W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파 실드(1a)의 차폐 대상이 되는 특정 파장 λ와 폭 W를 대비한 경우, 폭 W는, 예를 들어 0.12λ 이상이다. 이에 의해, 전자파 실드(1a)가 보다 원하는 상태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폭 W는, 바람직하게는 0.25λ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λ 이상이다. 폭 W는, 예를 들어 5.1λ 이하이고, 3.5λ 이하여도 되고, 3.0λ 이하여도 된다. 폭 W는, 돌조부(11)의 길이 방향 및 돌출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부(11)의 치수이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복수의 돌조부(11) 중 적어도 하나의 폭 W는, 바람직하게는,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성능이 보다 높아지기 쉽다.
0.51λ≤W≤1.6λ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폭 W는, 0.55λ 이상이어도 되고, 0.60λ 이상이어도 되고, 0.65λ 이상이어도 되고, 0.70λ 이상이어도 되고, 0.75λ 이상이어도 된다. 폭 W는, 1.5λ 이하여도 되고, 1.4λ 이하여도 되고, 1.3λ 이하여도 되고, 1.2λ 이하여도 되고, 1.1λ 이하여도 되고, 1.0λ 이하여도 된다.
복수의 돌조부(11)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개수 기준으로 50% 이상의 돌조부(11)가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개수 기준으로 60% 이상의 돌조부(11)가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개수 기준으로 70% 이상의 돌조부(11)가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개수 기준으로 80% 이상의 돌조부(11)가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개수 기준으로 90% 이상의 돌조부(11)가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돌조부(11)의 모두가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돌조부(11)의 길이 방향 및 돌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웃하는 돌조부(11)끼리의 거리 D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파 실드(1a)의 차폐 대상이 되는 특정 파장 λ와 거리 D를 대비한 경우, 거리 D는, 예를 들어 5.1λ 이하이다. 이에 의해, 전자파 실드(1a)가 보다 원하는 상태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거리 D는, 바람직하게는 3.10λ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λ 이하이다. 거리 D는, 예를 들어 1.0λ 이상이고, 1.2λ 이상이어도 되고, 1.5λ 이상이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거리 D는, 바람직하게는, 0.51λ≤D≤1.6λ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의 전자파를 차폐하는 성능이 보다 높아지기 쉽다. 0.51λ≤D≤1.6λ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거리 D는, 0.55λ 이상이어도 되고, 0.60λ 이상이어도 되고, 0.65λ 이상이어도 되고, 0.70λ 이상이어도 되고, 0.75λ 이상이어도 된다. 거리 D는, 1.5λ 이하여도 되고, 1.4λ 이하여도 되고, 1.3λ 이하여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는 판상의 기부(5)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돌조부(11)가 원하는 상태로 배치되기 쉽다. 또한, 전자파 실드(1a)가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쉽다.
기부(5)의 두께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부(5)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내지 3㎜이다. 기부(5)의 두께는, 0.7㎜ 이상이어도 되고, 0.8㎜ 이상이어도 된다. 기부(5)의 두께는, 2.5㎜ 이하여도 되고, 2㎜ 이하여도 된다.
돌조부(11)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부(11)는, 예를 들어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조부(11)는 물결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그 단면의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이다. 그 단면의 형상은, 삼각형이어도 되고, 그 밖의 다각형이어도 되고, 반원이어도 되고, 반타원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a)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유전체의 비유전율은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0㎓ 내지 300㎓의 범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fg에 있어서의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허부 ε"는, 예를 들어 0.1 이하이다. 유전 손실을 이용하여 전자파를 감쇠시키는 경우, 유전체의 허부 ε"의 값이 큰 것이 바람직한 바와 같이 생각된다. 한편, 전자파 실드(1a)에 의하면,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허부 ε"가 0.1 이하로 작아도,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전자파 실드(1a)와 전자파의 상호 작용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조절함으로써, 전자파 실드(1a)가 원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허부 ε"는, 0.07 이하여도 되고, 0.05 이하여도 되고, 0.01 이하여도 된다.
전자파 실드(1a)에 포함되는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실부 ε'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주파수 fg에 있어서의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실부 ε'는, 2.0 내지 4.0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전자파 실드(1a)에 있어서, 전자파 실드(1a)와 전자파의 상호 작용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조정함으로써, 전자파 실드(1a)가 원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실부 ε'는, 3.8 이하여도 되고, 3.6 이하여도 되고, 3.4 이하여도 되고, 3.2 이하여도 되고, 3.0 이하여도 되고, 2.8 이하여도 되고, 2.6 이하여도 되고, 2.4 이하여도 된다. 실부 ε'는, 바람직하게는 2.1 이상 3.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상 3.0 이하이다.
전자파 실드(1a)는, 예를 들어 도전성을 갖는 부위를 갖지 않는다. 전자파의 차폐를 위해, 예를 들어 금속막 등의 도전성을 갖는 부위에 의해 전자파를 반사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전자파 실드(1a)에 의하면, 도전성을 갖는 부위를 갖고 있지 않아도,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는 유전체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전성을 갖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품이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의 제조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수지 성형품에 포함되는 수지는, 특정한 수지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지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이다.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SA 수지, AES 수지, PMMA 등의 아크릴 수지, MS 수지, MBS 수지, 시클로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액정 폴리머, EPDM, PPS, PEEK, PPE,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불소계 수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아크릴 엘라스토머이다.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여도 된다. 열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이다. 수지 성형품은, 단일 종류의 수지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 종류의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는, 예를 들어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필러는 카본 블랙 등의 착색재여도 되고, 탈크, 유리 섬유 및 광물 등의 무기 보강재여도 되고, 연화제여도 된다. 전자파 실드(1a)는 난연제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는 필러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전자파 실드(1a)의 제조 비용이 낮아지기 쉽다.
전자파 실드(1a)가 수지 성형품인 경우, 전자파 실드(1a)의 성형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파 실드(1a)는 사출 성형, 프레스 성형, 블로 성형, 또는 진공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의 용도는 특정한 용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자파 실드(1a)를 구비한 레이더용 커버(3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를 구비한, 레이더용 커버 이외의 부재가 제공되어도 된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더용 커버(30)는, 예를 들어 중공의 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개구(32)와, 제2 개구(34)를 갖는다. 제1 개구(32) 및 제2 개구(34)의 각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다. 제2 개구(34)는 제1 개구(32)보다도 크다. 제1 개구(32)에는 레이더(도시 생략)의 안테나 등의 레이더의 일부가 배치된다. 레이더용 커버(30)의 내면은 전자파 실드(1a)의 제1 면(10)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복수의 돌조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레이더용 커버(30)의 외면은 전자파 실드(1a)의 제2 면(2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레이더용 커버(30)의 내면에 입사한 불필요한 전파는 전자파 실드(1a)에 의해 감쇠된 상태로 투과된다. 이 때문에, 레이더가 불필요한 전파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에 있어서, 화살표 Z는 중력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레이더용 커버(30)는 이와 같은 배치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용 커버(30)에 있어서, 레이더용 커버(30)의 측부가 전자파 실드(1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1 면(10)측에는 공간(15)이 존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레이더용 커버(30)의 측부에 부착된 물은 공간(15)을 통과하여 배출되기 쉽다.
전자파 실드(1a)는 다양한 관점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파 실드(1a)는, 도 5에 도시하는 전자파 실드(1c)와 같이 변경되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c)는, 특별히 설명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자파 실드(1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파 실드(1a)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전자파 실드(1c)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자파 실드(1a)에 관한 설명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전자파 실드(1c)에도 해당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파 실드(1c)에 있어서, 공간(15)은 돌조부(1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이룬다. 이 경우도,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배출되어 돌조부(11)의 부근에 물이 고이기 어렵고, 전자파 실드(1c)의 성능이 저하되기 어렵다. 게다가, 돌조부(11)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 공간(15)이 덮여 있으므로, 비래한 이물 등에 의해 공간(15)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기 쉽다.
전자파 실드(1c)에 있어서,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15)이 이루는 관통 구멍의 최대 치수 S1 및 돌조부(11)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15)이 이루는 관통 구멍의 최대 치수 S2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최대 치수 S1은, 예를 들어 3㎜ 이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보다 배출되기 쉽다. 최대 치수 S1은, 바람직하게는 3.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최대 치수 S1은, 예를 들어 10㎜ 이하이고, 9㎜ 이하여도 되고, 8㎜ 이하여도 된다.
최대 치수 S2는, 예를 들어 3㎜ 이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을 통과하여 보다 배출되기 쉽다. 최대 치수 S2는, 바람직하게는 3.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최대 치수 S2는, 예를 들어 10㎜ 이하이고, 9㎜ 이하여도 되고, 8㎜ 이하여도 된다.
돌조부(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와 공간(15) 사이의 거리 M은,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거리 M은, 예를 들어 100㎜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돌조부(11) 부근에 부착된 물이 공간(15)에 유도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지기 쉽고, 돌조부(11)의 부근에 부착된 물이 단기간에 배출되기 쉽다.
거리 M은, 90㎜ 이하여도 되고, 80㎜ 이하여도 된다. 거리 M은, 예를 들어 5㎜ 이상이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15㎜ 이상이어도 된다. 거리 M은, 100㎜ 이상이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 1b, 및 1c)에 있어서, 전자파의 차폐를 위해 발생하는 전자파 실드와 전자파의 상호 작용은, 특정한 상호 작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파 실드(1a, 1b, 및 1c)의 각각은, 예를 들어 제1 면(11)을 향하여 입사된 전자파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제2 면(12)으로부터 산란 상태의 전자파를 출사시킨다. 환언하면, 전자파 실드(1a, 1b, 및 1c)의 각각은, 전파 투과 산란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전자파의 차폐를 실현할 수 있다.
전자파 실드(1a, 1b, 및 1c)의 각각은, 예를 들어 0.1% 이상의 산란율을 갖는다. 산란율이란, 제1 면(10)에 전파를 수직으로 입사시켰을 때에 제2 면(20)으로부터 출사되는 직진 투과파의 강도에 대한 특정한 투과 산란파의 강도의 비이고, 예를 들어 이하의 식 (1)에 따라서 결정된다. 식 (1)에 있어서의 투과 산란파의 강도는, 예를 들어 15°, 30°, 45°, 60°, 및 75°의 산란각을 갖는 투과 산란파의 강도의 합이다. 산란각은, 직진 투과파의 출사 방향과 투과 산란파의 출사 방향이 이루는 각이다.
Figure pct00001
투과 산란파의 강도 및 직진 투과파의 강도는, 예를 들어 제1 면(10)에 전파를 수직으로 입사시켰을 때의 직진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 감쇠량 및 소정의 산란각에 있어서의 투과 감쇠량을, 일본 산업 규격 JIS R 1679:2007을 참조하여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투과 감쇠량은, 이하의 식 (2)로 표시된다. 식 (2)에 있어서, Pi는 수신 전력이고, P0은 송신 전력이다. |Pi/P0|이 투과파의 강도에 상당한다. 「Log」는 상용 대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전자파 실드(1a, 1b, 및 1c)의 각각의 산란율은, 1%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되고, 10% 이상이어도 되고, 20% 이상이어도 되고, 50% 이상이어도 되고, 100% 이상이어도 되고, 150% 이상이어도 되고, 200% 이상이어도 된다.
전자파 실드(1a, 1b, 및 1c)의 각각에 있어서 돌조부(11)를 갖는 제1 면(10)측의 구조는, 예를 들어 회절 격자로서 기능한다고 생각된다. 광의 회절에 관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회절 격자에 있어서의 0차 광투과율 I0은, 스칼라 회절 이론에 의하면, 이하의 식 (3)에 의해 표시된다. 식 (3)에 있어서, εr은, 회절 격자를 이루는 재료의 비유전율의 실부이고, sqrt(εr)는 εr의 평방근이다. h는, 회절 격자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높이이다. λ는, 광의 파장이다.
Figure pct00003
브래그의 법칙에 의하면, 회절에 의한 산란 투과파의 방향(산란각)은 회절 격자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주기에 의해 결정된다.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를 투과한 회절파끼리의 강화 및 약화에 의해 간섭 줄무늬가 형성된다. 이 경우, 회절파끼리의 강화에 의해 투과 산란파가 관측된다고 생각된다. 회절파끼리의 강화는 식 (4)에 의해 나타낼 수 있고, 회절파끼리의 약화는 식 (5)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식 (4) 및 (5)에 있어서, d는 회절 격자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주기이고, θ는 회절파끼리의 강화 또는 약화가 일어나는 각도이고, m은 0 이상의 정수이고, λ는 입사파의 파장이다. λ가 일정한 경우, 회절 격자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주기에 의해 투과 산란파의 산란각이 변동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표 1에, 회절파끼리의 강화가 일어나는 산란각 θ와 주기 d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각 예에 관한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과 감쇠량]
키컴사제의 전파 송수신기 EAS02를 사용하여, JIS R 1679:2007을 참조하여, 각 샘플의 제1 면에 76.5㎓의 주파수 또는 24㎓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를 입사시켰을 때의 직진 방향에 있어서의 투과 감쇠량을 측정하였다. 24㎓의 주파수를 갖는 전파의 발생에는, 샤프타카야 덴시 고교사제의 레이더 장치를 사용하였다. 76.5㎓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한 측정에 있어서의 측정 영역의 직경은, 30㎜였다. 투과 감쇠량은, 상기 식 (2)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배수성]
돌조의 돌출 방향 및 돌조의 길이 방향이 수평이고, 또한 각 샘플의 평판상의 기부를 수평면에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로 샘플의 최상의 돌조의 측면에 2㎤의 물을 떨어뜨려 그 물의 체적 기준으로 30% 이상이 관통 구멍 또는 홈을 통과하여 배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였다. 샘플에 관통 구멍 또는 홈이 존재하는 경우, 최상의 돌조에 접한 관통 구멍 또는 홈을 향하여 2㎤의 물을 떨어뜨렸다. 돌조의 측면, 관통 구멍, 또는 홈에 물이 머물러,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NG」라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3에 나타낸다.
<샘플 1A>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를 사용한 성형에 의해, 평판상의 기부로부터 돌출된 6개의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돌조를 포함하는 한쪽의 주면과, 평탄하게 형성된 다른 쪽의 주면을 갖는 판상의 수지 성형품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샘플 1A를 얻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76.5㎓에 있어서의 복소 비유전율의 실부 ε'는, 2.43이었다. 샘플 1A에 있어서, 6개의 돌조를 포함하는 한쪽의 주면이 제1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쪽의 주면이 제2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었다. 복수의 돌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열을 이루고 있었다.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끼리의 거리는 6㎜였다. 각 돌조의 돌출 길이는 4㎜이고,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50㎜이고, 각 돌조의 폭은 2㎜였다.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직사각형이었다.
샘플 1A의 각 돌조에는 4㎜의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관통 구멍의 단면은 원이었다.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는 23㎜이고,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와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는 23㎜였다. 6개의 돌조에 있어서의 6개의 관통 구멍은,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샘플 1B>
각 돌조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샘플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1B를 제작하였다.
<샘플 2A>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끼리의 거리를 8㎜로 변경하고, 또한 돌조의 개수를 5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2A를 제작하였다.
<샘플 2B>
각 돌조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샘플 2A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2B를 제작하였다.
<샘플 3A-1>
하기의 점 이외에는, 샘플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A-1을 제작하였다. 샘플 3A-1에 있어서,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끼리의 거리는 4㎜였다. 돌조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돌조가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돌조의 사이에 관통 구멍 대신에 홈이 형성되어 있었다.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2열을 이루도록 8쌍의 돌조가 배치되어 있고, 돌조의 열끼리의 사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었다.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은 2㎜였다. 돌조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었다. 각 쌍의 돌조의 길이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50㎜였다. 복수의 홈은,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샘플 3A-2>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을 3㎜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3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A-2를 제작하였다.
<샘플 3A-3>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을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3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A-3을 제작하였다.
<샘플 3A-4>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끼리의 거리를 4㎜로 변경하고, 관통 구멍의 직경을 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A-4를 제작하였다.
<샘플 3B-1>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샘플 3A-4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B-1을 제작하였다.
<샘플 3B-2>
관통 구멍의 직경을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3A-4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B-2를 제작하였다.
<샘플 3B-3>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을 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3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3B-3을 제작하였다.
<샘플 4A-1>
하기의 점 이외에는, 샘플 1A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A-1을 제작하였다. 샘플 4A-1에 있어서, 3개의 돌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열을 이루고 있었다.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끼리의 거리는 12㎜였다. 각 돌조의 돌출 길이는 12㎜이고,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150㎜이고, 각 돌조의 폭은 12㎜였다.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정사각형이었다.
샘플 4A-1의 각 돌조에는 4㎜의 직경을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관통 구멍의 단면은 원이었다.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는 73㎜이고, 각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와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는 73㎜였다. 3개의 돌조에 있어서의 3개의 관통 구멍은,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샘플 4A-2>
하기의 점 이외에는, 샘플 4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A-2를 제작하였다. 샘플 4A-2에 있어서,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돌조끼리의 거리는 12㎜였다. 돌조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돌조가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돌조의 사이에 관통 구멍 대신에 홈이 형성되어 있었다.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2열을 이루도록 3쌍의 돌조가 배치되어 있고, 돌조의 열끼리의 사이에 3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었다.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은 2㎜였다. 돌조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이었다. 각 쌍의 돌조의 길이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150㎜였다. 복수의 홈은, 돌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샘플 4A-3>
관통 구멍의 직경을 6㎜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4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A-3을 제작하였다.
<샘플 4A-4>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을 1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4A-2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A-4에 관한 샘플을 제작하였다.
<샘플 4A-5>
관통 구멍의 직경을 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4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A-5에 관한 샘플을 제작하였다.
<샘플 4A-6>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을 1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4A-2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A-6을 제작하였다.
<샘플 4B-1>
관통 구멍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샘플 4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B-1을 제작하였다.
<샘플 4B-2>
관통 구멍의 직경을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4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B-2를 제작하였다.
<샘플 4B-3>
돌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홈의 폭을 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샘플 4A-2와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 4B-3을 제작하였다.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1A, 2A, 3A-1 내지 3A-4, 4A-1 내지 4A-6에 있어서 배수의 시간은 8초간 이하이고, 이들 샘플은 양호한 배수성을 갖고 있었다. 한편, 샘플 1B, 2B, 3B-1, 3B-3, 4B-1에서는, 배수가 불가능했다. 샘플 3B-2, 4B-2, 및 4B-3에서는, 배수의 시간은 8초간을 초과했지만, 배수는 가능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Claims (21)

  1. 전자파 실드이며,
    전자파를 입사시키기 위한 제1 면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제2 면을 갖는 판상의 기부와,
    상기 제2 면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돌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파 실드는,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파 실드는,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돌조부에 접하고 있는 홈 또는 구멍을 이루는 공간을 갖는,
    전자파 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돌조부의 돌출 방향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전자파 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돌조부는,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돌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돌조부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전자파 실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의 최대 치수는, 1㎜보다도 큰,
    전자파 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돌조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이루는,
    전자파 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 구멍의 최대 치수는, 3㎜ 이상인,
    전자파 실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관통 구멍의 최대 치수는, 3㎜ 이상인,
    전자파 실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돌조부가 수평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상기 전자파 실드를 배치했을 때, 상기 공간의 일단부는 상기 공간의 타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전자파 실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돌조부를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상기 공간을 갖고,
    상기 복수의 상기 돌조부는, 상기 복수의 상기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접하고 있는,
    전자파 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돌조부끼리의 거리는, 상기 돌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간의 치수보다도 큰,
    전자파 실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공간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파 실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 및 상기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환상체이고, 또한 상기 환상체의 축선을 따라서 상기 제1 면을 보았을 때에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의 외주를 갖고,
    상기 전자파 실드는, 상기 전자파 실드와는 다른 부재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외주에 접하고 있는,
    전자파 실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 및 상기 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각뿔대 형상, 원뿔대 형상, 또는 타원뿔대의 외형을 갖고, 또한 상기 외형에 있어서 다각뿔대, 원뿔대, 또는 타원뿔대의 상측 바닥면 및 하측 바닥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이고,
    상기 제1 면은, 통 형상의 상기 전자파 실드 또는 상기 기부의 내주면을 이루고,
    상기 제2 면은, 통 형상의 상기 전자파 실드 또는 상기 기부의 외주면을 이루고 있는,
    전자파 실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조부는, 상기 하측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자파 실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는, 도전성을 갖는 부위를 갖지 않는,
    전자파 실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내지 300㎓의 범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허부 ε"는, 0.1 이하인,
    전자파 실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 내지 300㎓의 범위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있어서의 상기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실부 ε'는, 2.0 내지 4.0인,
    전자파 실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는, 파장 λ의 전자파를 차폐 대상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돌조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 길이 P는, 0.25λ≤P≤1.3λ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전자파 실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는, 파장 λ의 전자파를 차폐 대상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돌조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 W는, 0.51λ≤W≤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전자파 실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실드는, 파장 λ의 전자파를 차폐 대상으로 하고,
    상기 돌조부끼리의 거리 D는, 0.51λ≤D≤1.6λ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전자파 실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전자파 실드를 구비한,
    레이더용 커버.
KR1020247005399A 2021-07-21 2022-07-20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 KR20240035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21074 2021-07-21
JP2021121074 2021-07-21
PCT/JP2022/028280 WO2023003033A1 (ja) 2021-07-21 2022-07-20 電磁波シールド及びレーダ用カバ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572A true KR20240035572A (ko) 2024-03-15

Family

ID=8498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399A KR20240035572A (ko) 2021-07-21 2022-07-20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5696A1 (ko)
JP (1) JPWO2023003033A1 (ko)
KR (1) KR20240035572A (ko)
CN (1) CN117813522A (ko)
WO (1) WO202300303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6781U (ko) 1979-12-26 1981-07-31
JP2004153135A (ja) 2002-10-31 2004-05-27 Nichias Corp 電磁波吸収体
US10074907B2 (en) 2015-03-12 2018-09-11 Veoneer 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multipath effects and improving absorption of an automotive radar module
WO2021058450A1 (en) 2019-09-24 2021-04-01 Veoneer Sweden Ab A radar side-shield and a radar transceiv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091B2 (ja) * 1995-03-30 2004-07-21 Fdk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材
JP2003283242A (ja) * 2002-03-25 2003-10-03 Murata Mfg Co Ltd 電波反射体及び該電波反射体が取り付けられた構造物
JP4396459B2 (ja) * 2004-09-08 2010-01-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電磁波遮蔽性グリッド偏光子及びその製造方法
DE112012001758T5 (de) 2011-04-19 2014-02-06 Mazda Motor Corp. Hindernisdetektion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WO2019132027A1 (ja) * 2017-12-28 2020-12-24 日東電工株式会社 電磁波吸収体、電磁波吸収体付物品、及び電磁波吸収体の製造方法
JP2020060506A (ja) * 2018-10-12 2020-04-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レドーム
JP2020057759A (ja) * 2019-02-20 2020-04-0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および電子部品搭載基板
JP2020150221A (ja) * 2019-03-15 2020-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波吸収体及び電波吸収体用キット
JP7488262B2 (ja) * 2019-07-18 2024-05-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レーダモジュール及び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6781U (ko) 1979-12-26 1981-07-31
JP2004153135A (ja) 2002-10-31 2004-05-27 Nichias Corp 電磁波吸収体
US10074907B2 (en) 2015-03-12 2018-09-11 Veoneer 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ng multipath effects and improving absorption of an automotive radar module
WO2021058450A1 (en) 2019-09-24 2021-04-01 Veoneer Sweden Ab A radar side-shield and a radar transceiv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3003033A1 (ko) 2023-01-26
EP4375696A1 (en) 2024-05-29
WO2023003033A1 (ja) 2023-01-26
CN117813522A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615B2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JP6510439B2 (ja) アンテナ装置
JP6643203B2 (ja) レーダ装置
US20130141269A1 (en) Device for Fastening a Sensor Assembly, Especially a Radar Sensor
KR20240035572A (ko) 전자파 실드 및 레이더용 커버
KR20240037173A (ko) 전자파 실드
WO2023003034A1 (ja) 電磁波シールド
WO2023003035A1 (ja) 電磁波シールド
WO2023033011A1 (ja) 電磁波シールド
WO2023013753A1 (ja) 電磁波シールド
JP4821535B2 (ja) フロントグリル
KR20240035936A (ko) 전자파 실드 및 어셈블리
US20240069154A1 (en) Radio wave scattering body, and member for attenuating radio waves comprising radio wave scattering body
JP7118233B2 (ja) 電波散乱体及び電波散乱体を備える電波を減衰させるための部材
US20230413499A1 (en) Electromagnetic shield
CN116685862A (zh) 电波散射体以及具备电波散射体的用于使电波衰减的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