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319A - 양 베어링형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형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319A
KR20240035319A KR1020230100262A KR20230100262A KR20240035319A KR 20240035319 A KR20240035319 A KR 20240035319A KR 1020230100262 A KR1020230100262 A KR 1020230100262A KR 20230100262 A KR20230100262 A KR 20230100262A KR 20240035319 A KR20240035319 A KR 2024003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dial
spool
side plate
handl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사키야마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쉽고, 릴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양 베어링형 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 베어링형 릴은, 릴 본체(1)의 좌우 측판 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좌우의 측판의 한쪽에 마련되어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핸들과, 반 핸들 측의 측판(1B)에 마련되어, 스풀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정 다이얼(10)을 갖는다. 반 핸들 측의 측판(1B)은, 스풀의 회전축과 대략 동일 축 상에서 조정 다이얼(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지지된 조정 다이얼(10)의 상방의 원호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20)를 구비하고 있고, 반 핸들 측의 측판(1B)의 상면 측에는, 원호 영역이 노출된 조정 다이얼(10)의 전방측의 외주면을 덮고, 후방측의 외주면을 노출시키는 덮개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양 베어링형 릴{DOUBLE BEARING TYPE REEL}
본 발명은 낚싯줄을 권회하는 스풀을, 릴 본체를 구성하는 좌우의 측판 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양 베어링형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 베어링형 릴은, 좌우의 프레임의 각각에 사이드 플레이트(커버 부재라고도 칭해짐)를 착탈 가능하게 피착한 좌우 측판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 측판 사이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쪽 측판 측에 배치된 핸들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스풀을 회전 구동하여 낚싯줄을 권회한다. 양 베어링형 릴로서는, 상기 핸들이 좌측판에 배치된 좌측 핸들 타입과, 우측판에 배치된 우측 핸들 타입이 존재한다.
상기한 양 베어링형 릴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쥐는 느낌이 좋고, 핸들과 반대 측의 측판을 낚싯대와 함께 꽉 쥐어 캐스팅 조작, 스풀의 제동력 조정 조작 등을 행할 수 있는 소형화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공지된 양 베어링형 릴은, 반 핸들 측의 측판의 전방측에,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정 다이얼을 배치하고 있고, 조정 다이얼은, 상측의 약 절반의 원호 영역이 노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조정 다이얼은, 제동력 조정 기구의 구성 부재를 작동시켜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해 회전 조작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루어를 교환하거나,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는 등, 루어를 캐스트 조작하기 전에 빈번히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23802호
상기한 양 베어링형 릴의 조정 다이얼은, 측판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 핸들 측의 측판을 파지하고 있는 손의 손가락으로 조정 다이얼의 회전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 조정 다이얼의 배치 위치를 고려하면,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을 전방으로 뻗을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상태에서는 회전 조작을 하기 어렵고, 제동력의 조정 시에는, 릴 본체를 바꿔 쥐어 회전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조정 다이얼이 측판의 전방측에 배치되므로, 릴 전체를 소형화함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쉽고, 릴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양 베어링형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형 릴은, 릴 본체의 좌우 측판 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측판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핸들과, 반 핸들 측의 측판에 마련되어, 스풀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정 다이얼을 갖고 있고, 상기 반 핸들 측의 측판은,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대략 동일 축 상에서 상기 조정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지지된 조정 다이얼의 상방의 원호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 핸들 측의 측판의 상면 측에는, 상기 원호 영역이 노출된 조정 다이얼의 전방측의 외주면을 덮고, 후방측의 외주면을 노출시키는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양 베어링형 릴에서는, 반 핸들 측의 측판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의 내부에, 스풀 회전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정 다이얼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조정 다이얼은,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동력이 조정되며, 스풀의 회전축과 대략 동일 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측판이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아, 측판을 전후 방향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정 다이얼은, 측판의 후방측에 배치되므로,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꽉 쥐었을 때, 반 핸들 측의 측판의 상면에 놓은 엄지손가락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조정 다이얼이 덮개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노출 영역에 엄지손가락을 갖다 댈 수 있어, 손을 바꿔 쥐지 않고도 조정 다이얼의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조정 다이얼의 전방측의 외주면은, 덮개부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실수로 조정 다이얼에 엄지손가락을 접촉시켜 버리는 일이 없이,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쉽고, 릴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양 베어링형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형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양 베어링형 릴을 반 핸들 측에서 본 측면도.
도 3의 (a)는 조정 다이얼을 후방측에서 본 도면, (b)는 조정 다이얼 부분을 덮는 덮개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양 베어링형 릴을 낚싯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보유 지지하여 조정 다이얼을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조정 다이얼의 조작 양태를 나타내고, (a)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보유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조정 다이얼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양 베어링형 릴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이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양 베어링형 릴의 릴 본체(1)는, 좌측판(1A), 우측판(1B) 및 양 측판(1A, 1B) 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스풀(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판(1A) 측에 핸들(5)을 마련하고 있고, 핸들(5)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좌측판 내에 배치된 구동력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 스풀(3)을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좌측 핸들식). 또한, 핸들(5)에 대해서는, 우측판 측에 마련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릴 본체(1)는, 좌우의 측판(1A, 1B)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피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7A)과 우측 프레임(7B)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 프레임(7A)에는,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8A)(좌측 커버 부재)가 피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7B)에는,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우측 커버 부재)가 피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판(핸들 측 측판)(1A)은, 좌측 프레임(7A)과 이것에 피착되는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8A)에 의해 구성되고, 우측판(반 핸들 측 측판)(1B)은, 우측 프레임(7B)과 이것에 피착되는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7)은, 좌측 프레임(7A)과 우측 프레임(7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 예를 들어 전방 연결부(7C), 상방 연결부(섬 레스트로서 기능해도 됨)(7D) 및 하방 연결부(7E)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연결부 중, 스풀의 하방에 마련되는 하방 연결부(7E)에는, 낚싯대(100)(도 4, 5 참조)의 릴 시트(101)에 장착되는 릴 다리(7F)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측판(1A, 1B)의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실시 형태의 좌우의 측판(1A, 1B)은, 외주 형상이 측면으로 보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원형상(대략 타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좌우의 측판에 대해서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구동력 전달 기구의 구동 기어에 대형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구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되는 측의 측판(핸들 측의 측판)은 반 핸들 측의 측판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팽출시키는 등,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측의 측판(좌측판(1A))을 구성하는 좌측 프레임(7A)과 좌측 사이드 플레이트(8A) 사이에, 핸들(5)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공지된 구동력 전달 기구 및 스풀(3)의 프리 회전에 대하여 제동력을 조정하는 공지된 드래그 기구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좌측판(1A) 내에는, 상기의 구동력 전달 기구 및 드래그 기구 이외에도, 스풀(3)의 전방에 배치된 낚싯줄 안내체(9a)를 좌우로 왕복 구동하는 레벨 와인드 장치(9)용의 동력 전달 기어나, 핸들 축에 배치되어, 핸들 축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 등의 각종 기능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반 핸들 측의 측판(우측판(1B))에는, 스풀(3)의 회전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는 공지된 제동력 조정 기구가 수용되어 있다. 이 제동력 조정 기구는, 스풀(3)의 회전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자기 제동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다이얼(10)은, 반 핸들 측의 측판(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의 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다이얼(10)의 회전 중심(지지부)은 상기 스풀(3)의 회전축 X와 동일 축 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정 다이얼(10)을 스풀(3)의 회전축 X와 동일 축 상에 설치한 제동력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공지된 구성이며, 본 발명에서는, 제동력 조정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스풀(3)의 낚싯줄 권회 동체부의 내측 공간에 제동 자석이나 도전체를 배치함으로써,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를 스풀(3)의 회전축 X 상과 동일 축 상에 지지하고, 우측판의 제동력 조정 기구 부분이 축 방향으로 팽출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우의 측판(1A, 1B) 중 어느 것에는, 스풀(3)을 프리 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된 클러치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는, 스풀(3)의 후방의 좌우 측판 간에 가교 설치된 클러치 레버(12)를 밀어내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ON 상태로부터 클러치 OFF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스풀(3)은 프리 회전 상태(낚싯줄 방출 상태)가 된다. 클러치 ON 상태로의 복귀는, 상기 핸들(5)을 권취 조작함으로써, 공지된 자동 복귀 기구를 통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동력 조정 기구의 조정 다이얼(10)의 측판에 대한 배치 양태에 특징이 있다. 이하, 조정 다이얼의 배치 양태와, 그 조작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 핸들 측의 측판(우측판(1B))을 구성하는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의 상면 측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0)는,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를 관통하고 있고,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우측 프레임(7B)이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개구부(20)에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저부가 형성된 구성이어도 되고,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와 우측 프레임(7B) 사이에, 각종 기능 부품을 지지하는 세트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그 세트 플레이트를 시인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능선(21)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능선(22)에 의해 규정된다. 개구부(20)를 규정하는 이들 능선(21, 22)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 시인되는 에지이며, 좌우 방향으로 다소의 두께를 갖는 부분의 단부 에지에 의해 구성된다(도 3 참조). 상기 하측 능선(21)과 상측 능선(22)은,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측의 교점(23)에서 교차하여 종단한다. 또한, 상기 하측 능선(21)과 상측 능선(22)은, 후단측에서는 교차하지 않고 개방 상태로 된다. 상기 조정 다이얼(10)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 개구부(20)를 통해 상방의 원호 영역이 노출된 상태로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하측 능선(21)은, 그 후방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 X보다 후방측에 있어서, 후방측의 능선(21A)이 전방측의 능선(21B)의 후단으로부터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0)는, 후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크게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4, 도 5 참조). 이 때문에, 개구부(20)는, 조정 다이얼(10)의 후방측의 노출 범위가, 전방측의 노출 범위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후술하는 θ1>θ2).
상기 상측 능선(22)은, 원호 영역이 노출된 조정 다이얼(10)의 전방측의 외주면(10a)을 덮는 덮개부(22D)의 단부 에지로 되어 있다. 덮개부(22D)는, 조정 다이얼(10)의 전방측의 외주면(10a)을 덮음과 함께, 프레임(7)의 상방 연결부(섬 레스트)(7D)의 측부의 스풀(3)의 회전축 근방의 표면 영역(7Db)에 엄지손가락을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그 엄지손가락을 측방으로 비켜 놓았을 때, 조정 다이얼(10)의 외주면(10a)에 맞닿을 수 있도록,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측 능선(22)은, 전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점 측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측에서는, 표면 영역(7Db)에 맞닿은 엄지손가락을 측방으로 비켜 놓았을 때, 조정 다이얼(10)의 외주면(10a)에 맞닿기 어렵고(맞닿을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함), 후방측에서는, 조정 다이얼(10)의 외주면(10a)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 능선(22)으로 규정되는 덮개부(22D)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부(22D)는, 조정 다이얼(10)의 노출된 원호 영역의 전방측을 덮어서 손가락을 갖다 대기 어렵게 함과 함께, 후방측의 원호 영역을 해방하여 손가락을 갖다 대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조정 다이얼(1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10a)에 요철이 형성되어 손가락이 걸리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직경 방향 외측의 윤대 영역(10b)에도 요철을 형성하여 손가락이 걸리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덮개부(22D)가 조정 다이얼(10)을 덮는 위치와, 덮지 않는 위치의 경계점을 부호 P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풀(3)의 회전축 X와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의 지지부(회전축 X)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회전축 X)가 측판(1B)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 La보다 후방측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를 도 5에 나타낸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조정 다이얼(10)이 후방측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측판(1B)을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할 필요성이 없어져, 릴 본체(릴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루어 등을 캐스팅 조작하는 경우, 릴 시트(101)에 형성된 트리거(102)의 전방측에 집게손가락 T2 및 약손가락 T3의 2개의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릴 본체(1)를 쥐고(도 6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엄지손가락 T1을, 그대로 좌우 방향으로 시프트시켜, 릴 본체(1)의 섬 레스트의 양쪽의 표면 영역(7Da, 7Db), 클러치 레버(12)의 밀어내림 조작, 스풀(3)에 권회된 낚싯줄 표면의 서밍 조작 등이 행해진다.
이러한 조작에 있어서,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를, 반 핸들 측의 측판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 La보다 후방측에 설치함으로써, 표면 영역(7Db)에 놓은 엄지손가락을 그대로 측방으로 시프트하여, 조정 다이얼(1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정 다이얼(10)의 지지 위치를 스풀(3)의 회전축 X와 일치시킴으로써, 릴 본체(1)를 파지한 상태에서, 낚싯줄이 권회된 스풀 표면이나 섬 레스트의 표면 영역(7Db)에 맞닿은 엄지손가락 T1을, 측방으로 그대로 비켜 놓는 것만으로 조정 다이얼(10)의 외주면에 갖다 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캐스팅 조작하기 전에, 낚싯대(100)와 함께 릴 본체(1)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정 다이얼(10)의 회전 조작(스풀(3)의 제동력 조정 조작)을 행하고, 이어서, 클러치 OFF 조작, 서밍 조작의 일련의 조작을, 손을 바꿔 쥐지 않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도 5, 도 6 참조).
또한,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에 형성된 덮개부(22D)는, 조정 다이얼의 전방측을 덮고 있고, 후방측의 넓게 개구된 부분에 대해서는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싯대(100)와 함께 릴 본체(1)를 쥔 손의 엄지손가락을, 후방측으로부터 조정 다이얼(10)에 걸기 쉬워져, 조정 조작이 용이하면서, 오조작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구부(20)가, 조정 다이얼(10)의 상반분의 원호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고, 조작에 필요한 개소만을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조정 다이얼의 조작을 행하기 쉽고, 또한 오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2D)에 대해서는,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회전축 X)를 중심으로 하여, 조정 다이얼(10)의 외주면을 덮는 범위가, 덮고 있지 않은 범위보다 적은 범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조정 다이얼(10)에 대하여, 덮개부(22D)에 의해 덮이지 않는 범위와 덮는 범위의 경계점 P의 위치는, 조정 다이얼(10)의 후방측의 노출 범위 θ1이, 전방측의 노출 범위 θ2보다 커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θ1>θ2; 도 2 참조).
이와 같이, 후방측의 노출 범위를 전방측보다 넓게 함으로써, 조정 다이얼의 조정 조작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θ1과 θ2의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θ1>θ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양호한 조작성과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도록, θ1과 θ2는, 60:4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θ1+θ2를, 예를 들어 120°로 설정하는 것이면, 70°<θ1<75°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개구부(20)에 대해서는, 측판(1B)의 높이의 관계에서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너무 높은 위치나 낮은 위치에 형성하면, 조정 다이얼에 손가락을 걸기 어려워져서 조작성이 저하되거나, 오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회전축 X)의 위치로부터 반 핸들 측의 측판의 가장 높은 위치까지의 높이를 H, 조정 다이얼(10)의 지지부의 위치로부터 조정 다이얼이 노출되는 가장 낮은 위치까지의 높이를 h라 한 경우, 개구부(20)는, 0.2H≤h≤0.4H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반 핸들 측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개구부(20)의 위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반 핸들 측의 사이드 플레이트에 대해서는, 로크 장치를 구비한 개폐 기구에 의해,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개폐 기구는 공지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반 핸들 측의 측판(1B)의 하면에 마련된 조작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우측 사이드 플레이트(8B)를 프레임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 다이얼(10)은, 반 핸들 측의 측판에 있어서, 그 지지부가 스풀(3)의 회전축 X와 동일 축 상이 되도록 배치했지만, 회전축 X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직경 방향으로 다소 어긋난 대략 동일 축 상이면 됨). 또한, 조정 다이얼(10)의 크기, 형상, 두께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고, 그 지지부에 대해서는, 회전축 X와 대략 동일 축 상에 존재하지 않아도, 제동력 조정 기구의 구조에 따라, 측판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중간 위치 La보다 후방에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이러한 위치여도, 측판의 전방으로의 돌출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조정 다이얼(10)의 전방측을 덮는 덮개부(22D)에 대해서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이행함에 따라, 연속적인 곡선 형상으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했지만, 단계적으로 돌출시키거나, 직선 형상으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등, 적절히,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릴 본체
1A, 1B: 좌우 측판
3: 스풀
5: 핸들
7A, 7B: 좌우측 프레임
8A, 8B: 좌우측 사이드 플레이트
10: 조정 다이얼
12: 클러치 레버
20: 개구부
21: 하측 능선
22: 상측 능선
22D: 덮개부
100: 낚싯대
101: 릴 시트
102: 트리거

Claims (4)

  1. 릴 본체의 좌우 측판 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측판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핸들과, 반 핸들 측의 측판에 마련되어, 스풀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정 다이얼을 갖는 양 베어링형 릴에 있어서,
    상기 반 핸들 측의 측판은,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대략 동일 축 상에서 상기 조정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지지된 조정 다이얼의 상방의 원호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반 핸들 측의 측판의 상면 측에는, 상기 원호 영역이 노출된 조정 다이얼의 전방측의 외주면을 덮고, 후방측의 외주면을 노출시키는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형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다이얼의 지지부는, 상기 반 핸들 측의 측판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보다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형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조정 다이얼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조정 다이얼의 외주면을 덮는 범위가 덮고 있지 않은 범위보다 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형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다이얼의 지지부의 위치로부터 반 핸들 측의 측판의 가장 높은 위치까지의 높이를 H, 상기 조정 다이얼의 지지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조정 다이얼이 노출되는 가장 낮은 위치까지의 높이를 h라 한 경우, 상기 개구부는, 0.2H≤h≤0.4H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형 릴.
KR1020230100262A 2022-09-08 2023-08-01 양 베어링형 릴 KR202400353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42666 2022-09-08
JP2022142666A JP2024038569A (ja) 2022-09-08 2022-09-08 両軸受け型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319A true KR20240035319A (ko) 2024-03-15

Family

ID=9006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262A KR20240035319A (ko) 2022-09-08 2023-08-01 양 베어링형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1308A1 (ko)
JP (1) JP2024038569A (ko)
KR (1) KR20240035319A (ko)
CN (1) CN1176524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3802A (ja) 2016-01-13 2017-07-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3802A (ja) 2016-01-13 2017-07-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52464A (zh) 2024-03-08
US20240081308A1 (en) 2024-03-14
JP2024038569A (ja)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6442B (zh) 双轴承型卷线器
US20090250541A1 (en) Fishing reel
JP2010263836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52620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5525568B2 (ja) 魚釣用リール
KR20040036564A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20240035319A (ko) 양 베어링형 릴
JP6534477B2 (ja) 下向き回転ロック式サイドカバーを備えた釣りリール
JP6026870B2 (ja) 魚釣用リール
KR0120068Y1 (ko) 플라이 릴(fly reel)의 드래그(drag)방향 변환장치
US20180116194A1 (en) Double bearing reel
US6056220A (en) Fishing reel with trip link for repositioning a bail assembly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JP4572125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TW202410799A (zh) 雙軸承型捲線器
JP2012200153A (ja) 魚釣用リール
US10506802B2 (en) Anti-reverse device for fishing spinning reel and fishing spinning reel having the same
JP200331011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螺軸取付構造
EP2130719A1 (en) Lever switch device
JP3455629B2 (ja) リアドラグ型スピニング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2014023476A (ja) 魚釣用リール
JP5797170B2 (ja) 魚釣用リール
JP4939475B2 (ja) 魚釣用リール
JP5047879B2 (ja) 魚釣用リール
KR960006125Y1 (ko) 베이트 캐스팅 릴의 클러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