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893A -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893A
KR20240032893A KR1020247003555A KR20247003555A KR20240032893A KR 20240032893 A KR20240032893 A KR 20240032893A KR 1020247003555 A KR1020247003555 A KR 1020247003555A KR 20247003555 A KR20247003555 A KR 20247003555A KR 20240032893 A KR20240032893 A KR 2024003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astening
tank
reg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부띠에
쿠로쉬 바라미안
에릭 파떼
Original Assignee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filed Critical 플라스틱 옴니엄 어드벤스드 이노베이션 앤드 리서치
Publication of KR2024003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8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 F16L3/24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in the profiled girder
    • F16L3/243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in the profiled girder the special member being inserted and subsequently rotated to a limited ex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60K2015/03315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for hyd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60K2015/0346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by clip or snap fit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지지체(3)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 상기 요소의 유지 수단(5), 및
- 지지체에 고정되기에 적합하되, 요소 유지 수단(5)과 일체형인 몸체(7)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몸체에는 일체형이며 서로 인접해 있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 1 파트(9) 및 제 2 파트(11)가 포함된다. 두 파트(9,11)는 각각 오목한 내표면(9i, 11i)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횡단면(transverse planes)(P9, P11) 내에서 연장됨으로써, 제 1 파트는 평면(P9)에서 결합 방향(D1)으로 지지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기에 적합하며, 제 1 파트가 배치됨으로써 제 2 파트도 지지체의 제 2 영역에 배치 가능하되, 상기 제 2 파트는 제 2 영역에 부합하도록 평면(P11) 내에서 변형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상기 고정 장치와 자동차 파트를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파트, 및 자동차내 요소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동차 파트는 특히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이다. 탱크는 차량 작동액, 다시 말해 예컨대 연료, 요소수, 물, 브레이크액, 워셔액 등을 담는 탱크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연료 탱크 상의 연료 주입 라인 고정에 관한 것이다. 요소는 또한 다른 배관, 예컨대 환기 배관일 수도 있다. 그러나 탱크의 히트 실드(heat shield), 와이어링 하니스 (wiring harness), 브레이크 케이블, 냉각 시스템의 냉각 라인, 차량 작동중 사용을 위한 스트랩(strap) 같은 사전 유지 시스템처럼, 탱크 부근에 고정되어야 하는 완전히 다른 요소일 수 있다.
특히 FR2942289에 의해서, 브레이크 회로 배관을 연료 탱크에 고정하기 위한 스테이플(staple)의 사용은 최신 기술로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문서에 기술된 고정 시스템은 탱크에 전용 고정 장치, 즉 지지체의 설치를 요한다. 지지체는 예컨대 탱크의 케이싱에 용접한다. 고로, 그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전용 지지체를 제작하여 탱크 상에 설치해야 한다. 이는 곧 추가 구성품을 용접하거나 접착할 수 있는 충분히 넓고 접근 가능한 영역을 탱크 상에 배치(positioning)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추가 구성품을 고정할 수 있는 그러한 영역이 반드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FR2824615를 통해, 자동차용 파이프 고정 브래킷도 알려져 있다. 고정 브래킷은 자동차 차체의 판금 구멍에 딸깍 끼워 넣을 수 있다. 브래킷에는 파이프 유지용 크래들(cradle)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FR3052605를 통해, 자동차 엔진 부근에 위치한 장치 둘레에 와이어링 하니스 유지용 칼라(collar)가 사용된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조임 칼라는 해당 장치의 원통형 영역의 둘레에 칼라의 조임부을 포함한다. 조임부는 와이어링 하니스 유지부와 연결된다. 하니스를 장착하기 위해서, 조임부가 원통형 영역에 끼워지고, 유지부는 평행이동하여 유지부의 인덱싱 수단이 제동 장치의 상보적인 인덱싱 수단과 협력하도록 한다. 고로, 와이어링 하니스를 고정하기 위해 조임 칼라는 전기모터 부근의 장치 내에, 하니스를 전기모터 부근에 위치시키는 전용 영역, 즉 인덱싱 수단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탱크 표면의 전용 영역,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표면의 전용 영역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고정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파트,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대상으로 하되, 상기 고정 장치는
- 상기 요소의 유지 수단, 및
-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몸체를 포함하되, 몸체는 유지 수단과 일체형이며,
- 몸체에는 일체형이며 서로 인접해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가 포함되고,
- 두 파트는 각기 오목한 내표면을 가지며,
- 두 파트는 서로 가로지르는 상이한 평면 내에서 연장됨으로써,
제 1 파트는 제 1 파트의 평면에 설정돼 있는 결합 방향으로 지지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어, 제 1 영역을 부분적으로 구속하기에 적합할 뿐 아니라, 제 1 파트를 지지체의 제 1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제 2 파트도 지지체의 제 2 영역에 배치 가능하며, 제 2 파트는 지지체의 제 2 영역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제 2 파트의 평면 내에서 변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파트는 제 1 영역에 클립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파트는 제 2 영역에 클립 고정(clipping)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한 표면은 돌출된 볼록한 표면과 달리 속이 비어 있다.
오목한 내표면은 예컨대 원호 형태이다. 제 1 파트의 오목한 내표면은 U 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 고정(clipping)'이라 함은 스프링 클립의 도움으로 고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파트가 적어도 제 1 영역의 50 % 를 덮는 경우, 제 1 파트는 제 1 영역을 부분적으로 구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 파트의 평면'은 한 파트의 중앙 평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몸체의 각 파트를 지지체내 별개의 두 영역에 위치시키면서 요소를 장착하되, 몸체의 각 파트는 상이한 결합 방향으로 지지체의 한 영역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 2 파트는 제 1 파트의 결합 방향이 설정돼 있는 평면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가로지른다(transversal)'는 표현이 반드시 바람직한 실시 방식인 직교 또는 수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탱크 표면 및/또는 탱크 구성품의 접근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기존 형태가 요소를 설치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탱크 구성품의 용접 전 또는 후에 사용하기 쉬우며 추가 구성품을 용접하거나 접착할 수 있는 충분히 넓고 접근 가능한 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용접, 접착(bonding) 또는 나사 체결(screwing) 단계를 거치지 않아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신속하게 요소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성품이 제자리에 잘 위치하도록 보장한다. 게다가, 몸체와 유지 수단은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재활용 전에 지지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자재 분류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요소의 유지 수단이 클립, 페그(peg), 조립나사, 핀, 조임 칼라, 스테이플, 크림프, 리벳, 고정 수단을 수용하는 구멍일 수 있다.
유리하게도, 제 1 파트의 평면은 제 1 파트의 오목한 내표면을 가로지르며, 선택적으로 직교한다. 또한 유리하게도, 제 2 파트는 제 2 파트의 오목한 내표면을 가로지르며, 선택적으로 직교한다. 오목한 내표면에 직교하는 평면은 2개의 할선에 의해 정의된 평면으로서, 각 할선은 오목한 내표면에 수직이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되는, 고정 장치의 기타 선택 가능한 특징들에 따르면;
- 제 1 파트는 제 1 보강 리브를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리브가 제 1 파트에 의해 정의 된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위치한다.
- 제 2 파트는 이외에도 제 1 파트에 인접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몸체의 제 2 파트를 제 2 영역에 맞고정하기에 적합한 쐐기(wedging) 수단을 포함한다. 쐐기 수단은 예컨대 제 2 파트로부터 돌출 된 러그이다.
- 제 2 파트는 이외에도 제 1 파트에 인접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제 2 파트를 제 2 영역에 배치된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영역의 잠금 수단과 상보적인 제 2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 제 2 잠금 수단은 제 2 영역에 있는 리브에 고정 가능한 걸쇠이다. 예컨대, 지지체로 사용되는 구성품 상에 리브가 있다는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데, 리브의 기능은 구성품의 설치(용접)를 위한 마커(marker)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그러한 마킹 리브는 충전 제한 통기 밸브(FLVV, 'Fill Limiting Vent Valve'), 또는 복합 밸브(CFLVV), 또는 통상적으로 연료 탱크에 장착되는 구성품인 탈기 피펫(degassing pipet)에 사용된다. 이들 구성품처럼 원통형 지지체에 제 2 잠금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제 2 파트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실제로, 제 2 잠금 수단 덕분에, 원통형 지지체 상에서, 제 2 파트를 연장시켜 구성품 원둘레의 2분의 1정도만 걸쳐도 충분히 위치 고정이 가능하다. 대안으로서, 제 2 파트를 구성품 원둘레, 바람직하게는 구성품 원둘레의 4분의 3을 넘지 않는 선에서 클립 고정 가능하다.
- 요소 유지 수단은 제 2 파트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지지체에서 이탈한다. 이로써 요소는 지지체와 이격된, 충분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 고정 수단이 연장되는 기점인 제 2 파트의 상기 부분에는 제 2 보강 리브가 포함된다. 이로써 제 2 파트의 변형 및, 요소 유지 수단 및 요소에 대한 지지 기능과 관련된 응력을 받는, 고정 장치의 이 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 제 2 보강 리브 섹션은, 제 2 영역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측면에, 제 2 영역의 표면 형태와 일치하도록 의도된 각을 갖는다. 이로써 이들 리브를 예컨대 퍼지 밸브 및 탈기 피펫의 특정 형태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실제로, 발명자들은 원통형 표면과 135°의 각을 형성하는 플랜지(flange)가 포함되는, 원통형 지지체 상에 고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 바 있다. 이 특정 형태에 부합하기 위해서, 고정 수단을 탑재한 제 2 보강 리브에 45 °의 각을 가진, 상보적 파트를 포함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유리하게도, 제 2 파트를 고정하는 쐐기 수단은 또한 제 2 영역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의도된 각을 갖는다.
- 제1 파트는 이외에도, 제2 파트에 인접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제1 영역에 배치된,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된 제 위치에 제 1 파트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제 1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제1 잠금 수단이 제1 파트의 비자발적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체의 표면 아래에 놓이도록 의도된 톱니이다. 플랜지와 제 2 보강 리브에 의해 형성된 각 때문에, 제 1 파트의 결합/탈거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고정 장치가 열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힘은 예컨대 차량이 급감속하는 경우나 과속 방지턱을 넘는 동안 가해질 수 있다. 제 1 잠금 수단은 이러한 조건에서 고정 장치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요소 유지 수단의 기본 재료는 동일하다. 이로써 두 파트 간 결속력이 향상된 고정 장치를 얻을 수 있고, 요소 유지 수단은 고정 장치의 두 파트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고정 장치는 POM(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같은 단일 폴리머의 사출 성형이나, 순수 또는 합금 형태의 금속 조형, 예컨대 주조 또는 굽힘 가공(bending)을 통해 제조된다.
- 요소 유지 수단은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의도된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 적어도 1개의 대응 지지(counter-support) 리브를 포함한다. 대응 지지 리브를 이용해 유지 수단과 요소의 조립시 지지체에 대한 대응 지지를 모색할 수 있다.
- 고정 장치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에 고정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에 대한 요소 고정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다. 이 고정 시스템은,
- 자동차의 한 파트,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
-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구성품은 예컨대 탱크에 장착하는 밸브, 또는 탈기 피펫 같은 센서, 또는 탱크 상에 또는 탱크 내부에 일단 장착되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제 1 영역 및/또는 제 2 영역을 제공하는 기타 구성품이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특징을 가진 탱크의 모든 표면은 지지대로서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몸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 탱크 내벽 또는 외벽의 한 영역, 즉 탱크 셸(shell)의 접합면일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제1 파트의 오목한 내표면과 제2 파트의 오목한 내표면에 구속될 수 있는 모든 표면, 다시 말해 볼록한 표면일 수 있다.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표면은 원호 형태이거나, 원호에 내접한 단부를 가진 적어도 3개의 연속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진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용되는, 고정 장치의 기타 선택 가능한 특징들에 따르면,
- 상기 자동차 파트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이다.
- 지지체는 충전 제한 통기 밸브(FLVV, 'Fill Limiting Vent Valve'), 또는 복합 밸브(CFLVV), 혹은 탈기 피펫이다. 이들 구성품은 통상적으로 연료 탱크에 장착되며 특히 고정 시스템을 배치하기에 적합하므로 특히나 흥미롭다. 실제로, 이들 구성품은 제 2 파트의 배치에 적합한 원통형 표면을 가지고 있다. 이들 구성품은 또한 배관 입구, 예컨대 밸브 배기용 배관도 포함하고 있어, 제 1 파트의 지지체 역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구성품에는 위치표시용 리브(marking rib)도 포함된다. 제 2 파트 지지 영역의 시작점에서 원둘레의 2분의 1도 안 되는 지점에 위치한, 이 리브를 제 2 잠금 수단이 고정될 수 있는 제 2 파트의 지지 영역을, 제 3 잠금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시스템에 의해 요소가 고정되거나 그 내부에 고정되는 자동차 파트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파트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내 요소 설치 방법을 대상으로 하되,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되,
- 고정 시스템의 지지체에 몸체를 장착하기 전 또는 후에 구성품을 유지 수단과 조립하는 단계,
- 몸체의 제 1 파트가 제 1 파트의 결합 방향을 따라 지지체의 제 1 영역에 배치되어, 제1 영역을 부분적으로 구속하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되는 단계,
- 몸체의 제 2 파트가 제 1 파트의 결합 방향이 설정돼 있는 평면을 가로지르는 평면 내에서 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지지체의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제 1 파트를 배치하는 단계는 몸체의 제 2 파트를 지지체의 제 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보다 선행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되고 별첨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방식에 따른 고정 장치에 대한 평면도로서,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도 2는 자동차 파트에 설치된 도 1a 및 도 1b의 고정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자동차 파트에 설치된 고정 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1a 및 도 1b의 고정 장치에 대한 사시도로서,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 방식에 따른 고정 장치를 도시하고, 도면 부호 1로 표시하였다. 상기 장치(1)는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지지체(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이다. 지지체(3)는 자동차 파트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체(3)는 자동차 탱크, 보다 정확하게는 연료 탱크(도시되지 않음)의 구성품이다. 특히, 이것은 복합 충전 제한 통기 밸브(CFLVV-'Combined Fill-Limiting Vent Valve')이다. 고정 장치(1)는 요소 유지 수단(5)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요소 유지 수단(5)은 클립이다. 고정 장치(1)는 또한 지지체(3)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몸체(7)를 포함한다. 몸체(7)는 요소 유지 수단(5)과 일체형이다. 몸체(7)는 제 1 파트(9)와 제 2 파트(11)를 포함한다. 상기 두 파트는 일체형이며 서로 인접해있다. 그리고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1 파트(9)는 오목한 내표면(9i)을 가지며, 제2 파트(11)는 오목한 내표면(11i)을 가진다. 제1 파트(9)는 평면(P9) 내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파트(11)는 평면(P11) 내에서 연장된다. 평면(P9)과 평면(P11)은 상이하며, 서로 가로지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평면(P9)과 평면(P11)은 직교한다. 제1 파트(9)의 평면(P9)은 제1 파트(9)의 오목한 내표면(9i)에 대해 횡방향이고, 제2 파트(11)의 평면(P11)은 제2 파트(11)의 오목한 내표면(11i)에 대해 횡방향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 파트(9)의 평면(P9)은 오목한 내표면(9i)과 직교하고, 제2 파트(11)의 평면(P11)은 제2 파트(11)의 오목한 내표면(11i)과 직교한다. 한편 고정 장치(1)는, 제1 파트(9)가 제1 파트(9)의 평면(P9)에 설정돼 있는 도 4a에 도시된 결합 방향(D1)으로 지지체(3)의 제 1 영역(13)에 배치되어, 제 1 영역(13)을 부분적으로 구속하기에 적합하고, 제 1 파트(9)를 제 1 영역(13)에 배치함으로써 제 2 파트(11)도 지지체(3)의 제 2 영역(15)에 배치 가능하며, 평면(P11)에서 지지체(3)의 제 2 영역(15)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변형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고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요소를 연료 탱크 외부에 고정하는 데 기존 형상, 즉 CFLVV 밸브가 사용된다.
지지체(3)와 고정 장치(1)의 조립체는 요소 고정 시스템(17)을 형성한다.
도시된 상기 실시 방식에 있어, 제 1 파트(9)는 제 1 보강 리브(1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브는 제1 파트(9)에 의해 정의된 평면(P9)과 평행한, 도 1a에 도시된 평면(P19)에 위치한다.
고정 장치(1)의 제2 파트(11)는 제1파트(9)에 인접한 단부(11a)와, 상기 단부의 반대쪽 단부(11b)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제 2 파트(11)의 경우 이외에도 단부(11b)에, 몸체(7)의 제 2 파트(11)를 제 2 영역(15)에 맞고정하는 쐐기 수단(21)을 포함하는데, 이는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다. 본 실시 방식에서, 쐐기 수단(21)은 제2 파트(11)로부터 돌출된 러그이다.
본 실시 방식에 있어, 제2 파트(11)는 이외에도 단부(11b)에 지지체(3)의 제2 영역(15)에 배치된 제 위치에 제 2 파트(11)를 고정하는 제2 잠금 수단(23)을 포함한다. 제2 잠금 수단(23)은 제2 영역(15)의 잠금 수단(25)과 상보적인 것이다. 이들 잠금 수단(23, 25)은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다. 도시된 고정 장치(1)에서, 제2 잠금 수단(23)은 제2 영역(15)에 있는 리브(25)에 고정 가능한 걸쇠이다. 도시된 예에서, 리브(25)는 CFLVV 밸브(3)의 위치표시용 리브이다. 이 CFLVV 밸브와 같은 원통형 지지체 상에, 제 2 잠금 수단(23)을 사용하면 제 2 파트(11)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실제로, 도 4c 및 도 1b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파트(11)를 연장시켜 CFLVV 밸브(3) 원둘레의 2분의 1 정도만 걸쳐도 충분히 위치 고정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방식에 있어, 요소 유지 수단(5)은 제2 파트(11)의 한 부분(27)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체(3)에서 이탈한다. 이로써 요소는 지지체(3)와 이격되어, 충분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부분(27)은 제2 보강 리브(29)를 포함한다.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CFLVV 밸브(3)는 원통형 표면과 135°의 각을 형성하는 플랜지(flange)(31)를 포함하고 있어, 제2 영역(15)의 표면에 특정 형태(33)를 부여한다. 이 형태(33)와 일치하도록, 제 2 파트(11) 부분(27)에 있는 제 2 보강 리브(29) 섹션의 측면(35)은 각(α)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α각은 45°이다. 특히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파트(11)의 쐐기 수단(21)은 또한 제2 영역(15)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의도된 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장치(1)의 제1 파트(9)는 제2 파트(11)에 인접한 단부(9a)와 그 단부의 반대쪽 단부(9b)를 포함한다.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파트(9)는 이외에도 단부(9b)에 제1 영역(13)에 배치된 제 위치에 제1 파트(9)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제1 잠금 수단(37)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잠금 수단(37)이 제1 파트(9)의 비자발적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체(3)의 표면 아래에 놓이도록 의도된 톱니이다. 실제로, 제2 영역의 표면 형태(33)(여기서는 플랜지(31)와 CFLVV 밸브(3)의 원통형 표면 사이에 형성된 135°의 각) 때문에, 제 1 파트의 결합/탈거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제 1 파트(9)의 탈거에 의해) 고정 장치(1)가 열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힘은 예컨대 차량이 급감속하는 경우나 과속 방지턱을 넘는 동안 가해질 수 있다. 제1 잠금 수단(37)은 이러한 조건에서 고정 장치(1)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방식의 변형에 있어, 제1 파트(9), 제2 파트(11) 및 요소 유지 수단(5)의 기본 재료는 동일하다. 고정 장치(1)는 예컨대POM(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같은 단일 폴리머의 사출 성형이나, 순수 또는 합금 형태의 금속 조형을 통해 제조된다.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유지 수단들은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의도된 측면(39)과, 요소의 반대쪽 측면(41)을 포함한다. 요소 유지 수단(5)은 측면(41)에, 적어도 1개의 대응 지지 리브(43)를 포함한다. 대응 지지 리브(43)를 이용해 유지 수단(5)과 요소의 조립시 지지체(3)에 대한 대응 지지를 모색할 수 있다.
고정 시스템(17)을 이용한 자동차내 요소 설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시스템(17)의 지지체(3) 상에 몸체(7)를 장착하기 전 또는 후에, 요소(미도시)를 유지 수단(5)과 조립한다. 몸체(7)의 제1 파트(9)는 제1 파트(9)의 결합 방향(D1)을 따라 지지체(3)의 제1 영역(13)에 배치되어, 특히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영역(13)은 제1 파트(9)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속된다. 이어서, 몸체(7)의 제2 파트(11)는 상기 제 1 파트의 결합 방향(D1)이 설정돼 있는 평면(P9)을 가로지르는 평면(P11) 내에서 한 방향(D2)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지지체(3)의 제2 영역(15)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제2 파트(11)는 도 1b 및 도 5c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영역(15)에 배치된다. 필요한 경우, 제 2 영역(15)에서 제 2 파트(11)의 위치는 잠금 수단(23, 25)에 의해 고정된다. 또 필요한 경우, 제 1 파트(9)도 제 1 잠금 수단(37)에 의해 제 1 영역(13) 상의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실시 방식들도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특히, 고정 시스템의 지지체가 자동차의 다른 파트와, 특히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다른 구성품일 수 있다. 예컨대, 탈기 피펫과 같은 다른 구성품일 수도 있다. 요소 유지 수단은 클립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요소 유지 수단도 가능하다.

Claims (19)

  1. 자동차 파트,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3)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로서,
    - 요소 유지 수단(5), 및
    - 상기 지지체(3)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몸체(7)로서, 상기 몸체(7)는 상기 유지 수단(5)과 일체형인, 상기 몸체(7)
    를 포함하고,
    - 상기 몸체(7)에는, 일체형이며 서로 인접해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제 1 파트(9) 및 제 2 파트(11)가 포함되고,
    - 두 파트(9, 11)는 각기 오목한 내표면(9i, 11i)을 가지며,
    - 두 파트(9, 11)는 서로 가로지르는, 상이한 평면(P9, P11) 내에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 1 파트(9)는 상기 제 1 파트(9)의 평면(P9)에 설정돼 있는 결합 방향(D1)으로 상기 지지체(3)의 제 1 지지 영역(13)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지지 영역(13)을 부분적으로 구속하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하기에 적합할 뿐 아니라, 상기 제 1 파트(9)를 상기 지지체(3)의 상기 제 1 지지 영역(13)에 배치,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2 파트(11)도 상기 지지체(3)의 제 2 영역(15)에 배치,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파트(11)는 상기 지지체(3)의 상기 제 2 영역(15)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상기 제 2 파트(11)의 평면(P11) 내에서 변형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9)는 제 1 보강 리브(19)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파트(9)에 의해 정의된 평면(P9)과 평행한 평면(P19)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11)는, 상기 제 1 파트(9)에 인접한 단부(11a)의 반대쪽 단부(11b)에, 상기 몸체(7)의 상기 제 2 파트(11)를 상기 제 2 영역(15)에 맞고정하기에 적합한 쐐기 수단(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트(11)는, 상기 제 1 파트(9)에 인접한 단부(11a)의 반대쪽 단부(11b)에, 상기 제 2 파트(11)를 상기 제 2 영역(15)에 배치된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 2 영역(15)의 잠금 수단(25)과 상보적인 제 2 잠금 수단(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 수단(23)이 상기 제 2 영역(15)에 있는 리브(25)에 고정 가능한 걸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유지 수단(5)이 상기 제 2 파트(11)의 한 부분(27)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체(3)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27)이 제 2 보강 리브(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 리브(29)의 섹션이, 상기 제 2 영역(15)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측면(35)에, 상기 제 2 영역(15)의 표면 형태(33)와 일치하도록 의도된 각(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9)는, 상기 제 2 파트(11)에 인접한 단부(9a)의 반대쪽 단부(9b)에, 상기 제 1 파트(9)를 배치하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된 제 위치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제 1 잠금 수단(3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트(9)와 상기 제 2 파트(11), 및 상기 요소 고정 수단(5)의 기본 재료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유지 수단(5)은, 요소와 상호작용하도록 의도된 측면(39)의 반대쪽 측면(41)에, 적어도 1개의 대응 지지(counter-support) 리브(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상기 지지체(3)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고정 장치(1)
  13. 자동차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17)으로서,
    - 자동차 파트,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지지체(3),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시스템(17).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파트(3)가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시스템(17).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가 충전 제한 통기 밸브(FLVV, 'Fill Limiting Vent Valve'), 또는 복합 밸브(CFLVV), 혹은 탈기 피펫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시스템(17).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시스템(17)에 의해 하나의 요소가 표면 또는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자동차 파트(3).
  17. 제 16 항에 있어서,
    자동차 탱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 및/또는 상기 표면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수소 탱크를 포함하는 섀시 또는 프레임 상에 장착하도록 의도된 탱크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파트(3).
  18. 자동차내 요소 설치 방법으로서,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시스템(17)을 이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고,
    - 상기 고정 시스템(17)의 지지체(3) 상에 몸체(7)를 장착하기 전 또는 후에, 요소를 유지 수단(5)과 조립하는 단계,
    - 상기 몸체(7)의 제 1 파트(9)가 상기 제 1 파트(9)의 결합 방향(D1)을 따라, 상기 지지체(3)의 제 1 영역(13)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파트(9)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13)을 부분적으로 구속하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되는 단계,
    - 상기 제 1 파트의 결합 방향(D1)이 설정돼 있는 평면(P9)을 가로지르는 평면(P11)에서 한 방향(D2)을 따라 제 2 파트(11)를 연장하여, 상기 몸체(7)의 제 2 파트(11)가 상기 지지체(3)의 제 2 영역(15)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립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7)의 제 1 파트(9)를 배치하는 단계가 상기 몸체(7)의 상기 제 2 파트(11)를 상기 지지체(3)의 제 2 영역(15)에 배치하는 단계보다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KR1020247003555A 2021-07-15 2022-07-13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240032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LU102844 2021-07-15
LU102844A LU102844B1 (fr) 2021-07-15 2021-07-15 Dispositif de fixation d'un élément sur une partie d'un véhicule automobile
PCT/EP2022/069560 WO2023285512A1 (fr) 2021-07-15 2022-07-13 Dispositif de fixation d'un élément sur une partie d'un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893A true KR20240032893A (ko) 2024-03-12

Family

ID=7783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555A KR20240032893A (ko) 2021-07-15 2022-07-13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0818A1 (ko)
KR (1) KR20240032893A (ko)
CN (1) CN117616219A (ko)
LU (1) LU102844B1 (ko)
WO (1) WO20232855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4615B1 (fr) * 2001-05-11 2006-03-03 Renault Patte encliquetable de fixation de tuyau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42289A1 (fr) 2009-02-19 2010-08-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rafe de fixation amovible d'une canalisation sur un support
FR3052605A1 (fr) * 2016-06-10 2017-12-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llier de maintien d’un faisceau electrique
WO2018150419A1 (en) * 2017-02-14 2018-08-23 Raval A.C.S. Ltd. Float valve
EP3737883A1 (en) * 2018-01-14 2020-11-18 Hydra-Zorb Saddle pipe support
DE102019128912B3 (de) * 2019-10-25 2020-11-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dapter zur Befestigung einer Leitung in einem Kraft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5512A1 (fr) 2023-01-19
CN117616219A (zh) 2024-02-27
EP4370818A1 (fr) 2024-05-22
LU102844B1 (fr) 202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902B2 (en) Device for retaining a battery
US82208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ening an airbag in a motor vehicle
US7284789B2 (en) Crossmember
EP1225097B1 (en) Line Holder
US20060186645A1 (en) Retaining device
US20120160585A1 (en) Carrier and holder for a vehicle battery
EP1847755B1 (en) Piping fixing structure
US7967373B2 (en) Vehicle body of a motor vehicle with a front-end module
US6354654B2 (en) Vehicle frame reinforcement
US20200056531A1 (en) Exhaust System Isolator Mount With Anti-Rotation Feature
KR20240032893A (ko) 자동차 파트에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EP1138533A2 (en) Mounting bracket
JP2009270686A (ja) 配索部材の保持具
US7628178B2 (en) Safety device
EP2916017B1 (en) Noise reduction baffl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H0530679U (ja) 配管用クランプの取付け構造
CN101456432A (zh) 用于在车辆中安装驾驶座舱模块的导向结构
JPH027700Y2 (ko)
WO2013062467A1 (en) Attachment element for fastening an airbag
JP4802880B2 (ja) 遮熱板の取付構造
US6786292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fastening to a vehicle body
CN112166057B (zh) 包括真空泵和通气装置的车辆的制动系统
CN211951705U (zh) 空调管路支架及空调管路组件
CN113226898B (zh) 用于机动车辆的乘客舱元件及包括这种乘客舱元件的组件
JP4400164B2 (ja) 床下部材の取付け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