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213A - 배터리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 - Google Patents

배터리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213A
KR20240031213A KR1020237031608A KR20237031608A KR20240031213A KR 20240031213 A KR20240031213 A KR 20240031213A KR 1020237031608 A KR1020237031608 A KR 1020237031608A KR 20237031608 A KR20237031608 A KR 20237031608A KR 20240031213 A KR20240031213 A KR 2024003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pper
assembly
orifice plate
battery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르쥬 니코아라
스콧 에이. 머쿠리오
Original Assignee
윌츠 매뉴팩처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츠 매뉴팩처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윌츠 매뉴팩처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23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B05C11/025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with an essentially cylindrical body, e.g. roll or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work consisting of separate articles
    • B05C5/0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work consisting of separate articles the work consisting of separate rectangular flat articles, e.g. flat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01M4/16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20Processes of manufacture of pas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2Grids
    • H01M4/73Grids for lead-acid accumulators, e.g. frame p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는 호퍼, 커넥터 조립체, 및 클램프 조립체를 포함한다.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는 접착기에 장착될 수 있다. 호퍼는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수용한다. 호퍼는 내부에 오리피스가 있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오리피스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하고 그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클램프 조립체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위치에서, 클램프 조립체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호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한다. 제2 위치에서는, 클램프 조립체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호퍼에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이 출원은 출원일이 2021년 2월 19일인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3/151,12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배터리용 그리드 또는 전극에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도포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제조 중에 배터리용 그리드 또는 전극에 배터리 페이스트를 도포하기 위한 기계의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용 그리드 또는 전극에 점성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다양한 기계 및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계들 중 일부에는,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호퍼에 부착된 플레이트의 오리피스를 통해 받아서 그 재료가 오리피스 플레이트 아래를 통과할 때 그리드 또는 전극으로 도포하는 호퍼가 있다.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어 호퍼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많은 캡 나사, 볼트, 또는 기타 체결구에 의해 호퍼의 고정 위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다른 구성 또는 구조를 갖는 각 그리드 또는 전극을 접착(pasting)시키는 데는 다른 구성을 갖는 상이한 오리피스 플레이트가 필요하다. 페이스트 호퍼를 갖춘 접착기(pasting machine)를 사용하는 경우,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해당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청소하고/하거나 페이스트 호퍼를 청소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고, 그런 다음 그 후 다시 설치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 또는 구조를 가진 그리드 또는 전극을 접착시키기 위해 다른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설치해야 한다.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재설치하거나 또 다른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30분이 소요되는데, 이 기간 동안에는 접착기를 사용하여 그리드 또는 전극을 접착시킬 수 없다. 이러한 접착기의 상업적 생산 환경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약 4 내지 5시간마다 해당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청소하고/하거나 호퍼를 청소하기 위해 - 상기 시간은 그렇지 않았으면 접착기가 연속 작동했을 시간임 - 제거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것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일련의 그리드 또는 전극을 접착시킬 때 그리고/또는 다른 구성을 갖는 그리드 또는 전극을 접착시키는 생산 가동을 위해 다른 구성을 갖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로 변경할 때에 상당한 생산 손실이 된다. 한 가지 이러한 유형의 접착기가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9,437,867호에 나타나 있으며,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착기 호퍼는 동일하거나 다른 오리피스 형태 및/또는 위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어떤 도구도 사용하지 않고 쉽고 빠르게 호퍼 상의 미리 결정된 고정 위치에 고정하고 그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기구를 포함한다. 일부 형태에서, 상기 기구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한 단부에 인접한 부분은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호퍼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부분은 클램프 조립체에 의해 해제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피벗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클램프 조립체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호퍼에 고정하는 폐쇄 위치와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호퍼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해제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 클램프 조립체는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상류 단부에 인접할 수 있고, 커넥터 조립체는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하류 단부에 인접할 수 있고,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하류 단부에 인접한 호퍼는 접착기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류 단부와 하류 단부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가로지르거나 오리피스 플레이트 아래에 있는 그리드 또는 전극의 이동 방향에 상대적이다.
특정 실시형태들 및 최선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배터리 그리드 또는 전극 접착기의 일 실시형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부착 기구를 갖춘 페이스트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리피스 플레이트와 페이스트 호퍼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4-4에서 대체로 취한 부분 단면도로서, 페이스트 호퍼에 해제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로서, 오리피스 플레이트로부터 해제된 클램프 조립체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페이스트 호퍼용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7-7에서 대체로 취한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페이스트 호퍼에 의해 유지(carried)되는 클램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페이스트 호퍼에 의해 유지(carried)되는 도 8의 클램프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도 1은 작동 시에 전기화학적 활성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복수의 직렬 연결 배터리 전극 또는 그리드(이하에서는 총칭하여 그리드 또는 배터리 그리드로 지칭할 수 있음)의 스트립에 도포하는 접착기(10)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드들의 스트립은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그들에 도포하는 페이스트 호퍼(18) 아래에서 벨트(14)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벨트(14)는 그리드들의 스트립을 접착기(10)의 입구 단부(20)로부터 출구 단부(22)까지 이송할 수 있다. 벨트(14)는 벨트(14)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24) 상에 수용될 수 있고, 롤러(24)는 또한 벨트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의 화살표 A는 벨트(14)의 상부 주행부(26) 및 하부 주행부(28)를 따르는 벨트(14)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폭의 무단 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인 벨트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 및 너비의 벨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벨트는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스테인리스강, 플라스틱, 펠트, 고무, 또는 각종 직조 재료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페이스트 호퍼(18)는 프레임(16)에 의해 벨트(14)의 상부 주행부(26) 위에서 수직으로 위에 놓이게 지지될 수 있고,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수용해서 담고 그리드들의 스트립이 페이스트 호퍼(18) 아래를 통과할 때에 그 위로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오리피스를 통해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페이스트 호퍼(18)는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32)를 획정하는 4개의 벽(30)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혼합 상태로 유지하고 더 쉽게 분배하기 위해, 페이스트 호퍼(18)는 적절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여러 개의 공급 롤러 및 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스트 호퍼(18)는, 오리피스 플레이트(40)와 페이스트 호퍼(18)의 바닥이 벨트(14)로부터 멀리 선회 가능하게 이동되거나 선회될 수 있도록, 각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베어링(36)에 저널링된 샤프트(34)에 의해, 하류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플레이트(40)는, 한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커넥터 조립체(46)에 의해 그리고 타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클램프 조립체(48)에 의해, 오리피스 개구(44)를 통해 페이스트 재료를 분배하기 위한 페이스트 호퍼(18)의 개방 바닥 부분(42)(도 5) 위에, 정확하게 위치되고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어떠한 도구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오리피스 플레이트(40)를 페이스트 호퍼(18)에 설치하고 그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그리드들의 스트립의 오리피스 플레이트(40)에 대한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커넥터 조립체(46)는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하류 단부에 인접하고 클램프 조립체(48)는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상류 단부에 인접해 있다. 커넥터 조립체(46) 및 클램프 조립체(48) 각각은, 다른 가능한 요인들 중에서도 특히, 연관된 페이스트 호퍼 및 연관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설계 및 구성에 따라 다른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설계,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면은 커넥터 조립체(46)와 클램프 조립체(48)의 많은 가능한 실시형태들 중 단지 하나의 실시형태를 제시한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46)는 머리부가 피벗 브래킷(50)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기계 나사(52) 또는 볼트와 같은 적절한 체결구에 의해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하류 단부에 각각 부착된 이격된 바 또는 피벗 브래킷(50)을 적어도 하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다수 가질 수 있는 피벗 조립체일 수 있고, 각각의 브래킷(50)은, 페이스트 호퍼(18)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기계 나사와 같은 적절한 체결구에 의해 페이스트 호퍼(18)에 부착된, 축방향으로 이격된 장착 브래킷들(60)에 의해 유지(carried)되는 로드 또는 샤프트(58)의 원통형 표면에 상보적이고, 그에 결합 가능하고, 그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그 위에서 선회 가능하게 회전하거나 활주할 수 있는 반원형 표면 또는 오목부(54)를 갖는다. 오리피스 플레이트(40)를 페이스트 호퍼(18)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피벗 브래킷(50)을 샤프트(58)와의 결합에서 쉽게 분리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피벗 브래킷(50)의 반원형 표면(54)은 180o 이하, 바람직하게는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그보다 약간 작은, 아치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반원형 표면(54)은 적어도 90o의 아치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장착 브래킷들(60)은 조립 시 장착 브래킷들(60)이 피벗 브래킷들(50)의 단부에 인접하게 그 피벗 브래킷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다. 원할 경우, 피벗 브래킷(50)은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일체형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피벗 샤프트(58)는 장착 브래킷들(60)을 통해 보어들을 통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그 안에, 예컨대 피벗 샤프트(58)의 양 단부에 인접한 홈에 수용되며 연관된 인접한 장착 브래킷들(60)의 외부에 수용되는 유지 링(6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단부를 페이스트 호퍼(18)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다른 구성, 예컨대 핑거 또는 돌출부가 오리피스 플레이트(40) 또는 페이스트 호퍼(18) 중 하나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이고, 오리피스 플레이트(40) 또는 페이스트 호퍼(18) 중 다른 하나에 부착되거나 일체형인 브래킷의 리세스 또는 포켓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당업자에게 떠오를 수 있다. 돌출부 또는 리세스 또는 둘 모두는 돌출부가 리세스 또는 포켓 내로 전진할 때 오리피스 플레이트(40)를 페이스트 호퍼(18)와 결합되게 하는 테이퍼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조립체(48)는, 오리피스 플레이트(40)를 페이스트 호퍼(18)에 결합시키고 클램핑하는 도 4에 도시된 제1 위치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오리피스 플레이트(40)가 페이스트 호퍼(18)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 플레이트(40)로부터 분리 및 해제되는 도 5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이격된 클램프 핑거(70)를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다수 가질 수 있다. 클램프 핑거(70)는 클램프 핑거(7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적어도 2개의, 푸시-풀 클램프(72)에 의해 제1 및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프 핑거(70)는 원통형 캐리어 샤프트(74) 상에 선회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기계 캡 나사(80)와 같은 적절한 체결구에 의해 페이스트 호퍼(18)에 부착된 요크 장착 브래킷(78)의 한 쌍의 타인(tine) 또는 포크(76)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캐리어 샤프트(74)는 장착 브래킷들(78)의 타인들(76)을 통해 동축 보어들을 통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그 안에, 캐리어 샤프트(74)의 각 단부에 인접한 홈에 수용되고 인접한 타인(76)의 외부에 배치되는 스냅 링들(8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클램프 핑거(70)는 또한, 예컨대 커넥터 샤프트(84)의 각 단부에 인접한 홈에 수용되고 인접한 클램프 핑거(70)의 외부에 배치된 스냅 링들(86)에 의해, 각 클램프 핑거(70)를 통해 보어를 통해 수용된 커넥터 샤프트(84)에 연결될 수 있고, 각 클램프 핑거(70)의 다른 단부에 인접하게 캐리어 샤프트(74)로부터 이격되고, 그 안에 유지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커넥터 샤프트(84)는 클램프 핑거들(70)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푸시-풀 클램프(72)는, 일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커넥터 샤프트(84)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88)에 의해 커넥터 샤프트(84)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한 쌍의 로드(94) 각각이 부착되는 클램프 브래킷(92)에, 핀(9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88)를 통해 보어를 통해 수용된다. 각각의 링크(88)는 이의 양 단부 사이에서, 기계 캡 나사(100)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페이스트 호퍼(18)에 부착된 장착 브래킷(98)에 핀(96)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로드(94)는 일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연관된 클램프 브래킷(92)에 나사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타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연관된 푸시-풀 클램프(72)에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푸시-풀 클램프(72)는, 한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핸들 부분(104)이 있으며 타 단부에 인접한 부분은, 페이스트 호퍼(18)에 부착된 베이스 브래킷(106)에 기계 캡 나사(108)와 같은 적절한 체결구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10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브래킷(106)은 페이스트 호퍼(18)의 벽들(30) 중 하나에 부착된다. 레버(102)는 이의 양 단부 사이에서, 핀(110)을 통해 보어를 통해 수용된 관련된 쌍의 로드들(94) 각각에 핀(11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로드(94)의 유효 축방향 길이는 로드(94)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너트(112)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조립 시 핀(110)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푸시-풀 클램프(72)는, 푸시-풀 클램프(72)를 그의 폐쇄된 제1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retain)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브래킷(106)과 해제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며 손잡이 레버(102)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유지(carried)되는 래치 레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적합한 클램프는 미국 오하이오주 오로라 소재의 McMaster-Car로부터 모델 번호 51335A68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그렇지만, 다른 예에서는 다른 회사의 다른 클램프 제품도 가능하다.
사용 시, 페이스트 호퍼(18)를 그의 바닥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시키고, 두 푸시-풀 클램프(72)를 이들의 개방된 제2 위치로 이동시켜서 클램프 핑거(70)를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오리피스 플레이트(40) 상의 피벗 브래킷들 또는 바들(50, bars)을 페이스트 호퍼(18)에 의해 유지(carried)되는 샤프트(58)와 결합시키고,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상부면(116)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트 호퍼(18)의 상보형 바닥면(118)과 결합되도록 이동시키고, 그리고 두 푸시-풀 클램프(72)를 이들의 닫힌 제1 위치로 이동시켜서 클램프 핑거들(70)을 오리피스 플레이트(40)와 단단히 결합하도록 이동시키고 오리피스 플레이트(40)를 페이스트 호퍼(18)에 고정시킴으로써, 오리피스 플레이트(40)가 페이스트 호퍼(18)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페이스트 호퍼(18)는, 스트립이 오리피스 플레이트(40)에 대해 그리고 페이스트 호퍼(18)에 대해 전진함에 따라, 오리피스 플레이트(40)의 오리피스(44)를 통해 배터리 그리드의 스트립 상으로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방출하기 위한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 플레이트(40)는 페이스트 호퍼(18) 상에 오리피스 플레이트(40)를 설치하고 고정하기 위한 이들 단계들을 대체로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페이스트 호퍼(18)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정의가 아니라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 포함된 설명은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고, 용어 또는 어구가 위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 및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지게 될 것이다. 그러한 모든 다른 실시형태,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및 "~와 같은" 및 동사 "포함하는", "가지는", "포함하는" 및 이들의 다른 동사 형태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기타 항목들의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각각 개방형으로 해석되고, 이는 상기 목록이 다른 추가 구성요소들 또는 항목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른 용어들은 다른 해석이 필요한 맥락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최광의의 합리적인 의미를 사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에 있어서,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호퍼로서,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배터리 페이스트 재료를 분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갖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갖는 호퍼;
    상기 호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고,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와 결합 가능하며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호퍼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클램프 조립체로서, 상기 호퍼 및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클램프 조립체, 커넥터 조립체, 및 호퍼로부터의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분리 및 제거를 이루어지게 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클램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결합 가능하고 그 주위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로부터 분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또는 브래킷 중 하나는 상기 호퍼에 의해 유지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는 180o 이하의 아치형 범위를 갖는 반원형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결합될 수 있는 90o 초과 내지 180o 이하의 아치형 범위를 갖는 반원형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상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호퍼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 분리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상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호퍼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 분리되게 하며 상기 호퍼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상기 호퍼에 의해 유지되고 수동으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상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호퍼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 분리되게 하며 상기 클램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호퍼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각각이 상기 호퍼에 의해 유지되며 각각이 수동으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와, 상기 제1 클램프와 연관된 제1 핑거 및 상기 제2 클램프와 연관된 제2 핑거를 포함하고, 제1 핑거 및 제2 핑거 각각은 상기 호퍼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유지되고 그 각각의 클램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각각의 클램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상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호퍼와 결합되게 하고 그 각각의 클램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상기 호퍼에 의해 유지되고 수동으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클램프와, 상기 호퍼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유지되는 핑거와, 상기 호퍼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핑거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상기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호퍼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 클램프 조립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수동으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수동으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램프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레버를 그의 제1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클램프 레버가 그의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레버를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래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체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클램프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 레버를 그의 제1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클램프 레버를 그의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제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래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바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격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 또는 상기 브래킷들 중 하나는 상기 호퍼에 의해 유지되고 다른 것은 오리피스 플레이트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이한 오리피스 형태, 크기, 또는 위치를 가지며 각각이 상기 호퍼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2개의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결합 가능하고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와 결합될 때 선회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는 상기 호퍼 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중 하나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은 상기 호퍼 또는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 중 다른 것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
  17. 제1항에 따른 상기 배터리 페이스트 도포 툴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접착기.
KR1020237031608A 2021-02-19 2022-02-22 배터리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 KR202400312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51125P 2021-02-19 2021-02-19
US63/151,125 2021-02-19
PCT/US2022/017260 WO2022178401A1 (en) 2021-02-19 2022-02-22 Battery paste hopper and too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213A true KR20240031213A (ko) 2024-03-07

Family

ID=8290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608A KR20240031213A (ko) 2021-02-19 2022-02-22 배터리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49086B2 (ko)
EP (1) EP4294581A1 (ko)
KR (1) KR20240031213A (ko)
WO (1) WO2022178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0547A (en) * 1948-04-05 1954-06-08 George A Donath Battery grid plate pasting machine
BE549284A (ko) * 1955-07-05
US3486942A (en) * 1968-05-16 1969-12-30 Ford Motor Co Process for manufacturing battery plates
US3554726A (en) * 1968-07-11 1971-01-12 Emhart Corp Glass feeding apparatus with orifice plate support frame and lifting means therefor
US3894886A (en) * 1972-04-17 1975-07-15 Gates Rubber Co Apparatus for pasting battery plates
US4606383A (en) * 1983-12-15 1986-08-19 Wirtz Manufacturing Company, Inc. Battery grid pasting machine
US4932443A (en) * 1989-04-21 1990-06-12 Globe-Un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aste to battery grids
ITVR940050A1 (it) * 1994-05-27 1995-11-27 Sovema Srl Macchina spalmatrice di griglie di piombo per la realizzazione di placche per accumulatori elettrici.
JP3665258B2 (ja) * 2000-07-13 2005-06-29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用活物質ペースト充填装置
US8272408B2 (en) * 2008-04-09 2012-09-25 Mac Engineering And Equipment Company, Inc. P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9397331B2 (en) * 2012-09-24 2016-07-19 Wirtz Manufacturing Company, Inc. Battery grid pasting machine and system
US9437867B2 (en) * 2013-10-04 2016-09-06 Wirtz Manufacturing Company, Inc. Battery plate grid strip pasting assembly
US10232453B2 (en) * 2016-05-26 2019-03-19 Wirtz Manufacturing Company, Inc. Battery plate cutter system and method
US10388942B2 (en) * 2017-08-30 2019-08-20 Mac Engineering And Equipment Company, Inc. Battery grid pasting machine
KR20210007990A (ko) * 2018-04-27 2021-01-20 윌츠 매뉴팩처링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머신 툴 시스템 및 방법
EP3788664A4 (en) * 2018-06-04 2021-05-26 Wirtz Manufacturing Co., Inc. BATTERY ELECTRODE PLATE PRODUCTION LINE AND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4581A1 (en) 2023-12-27
WO2022178401A1 (en) 2022-08-25
US11949086B2 (en) 2024-04-02
US20220266289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589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mplettieren von (Tabak-)Beuteln mit Wickellasche
KR20240031213A (ko) 배터리 페이스트 호퍼 및 툴링
EP0362740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Abtransportieren von Stapeln aus Folienabschnitten
DE69722057T2 (de)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Paketen
WO2016173899A2 (de) Rundlauf-gruppierungsmodul, schlitten und zugehörige verfahren
DE2606458A1 (de) Kopiergeraet
CN110759036B (zh) 一种带式输送机用可拆式导料机构
EP2110318A1 (de) Vorrichtung zur Übergabe von in einem Vorratsbehälter gelagerten Schüttgut
JP6852718B2 (ja) コンベヤ装置
US11634284B1 (en) Dry brush conveyor belt cleaning device and system
DE10200800283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von Gebindelagen in eine Beladestation
SE508274C2 (sv) Filteranordning
CN209815243U (zh) 片状产品的折叠输送装置
US11304436B2 (en) Destemming devices
DE102019107631A1 (de) Förderbandkassette
US65431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belts
CN114026034B (zh) 输送机的驱动组件
EP0686562B1 (de) Vorrichtung zum Aufreissen und/oder Öffnen von Säcken
JPH11319725A (ja) ロッド選別機
SE445966B (sv) Anordning for att fora iser ett bandpar
CS214832B2 (en) Strap cleaning device for the ducting rolls
DE3245154A1 (de) Vorrichtung zur foerderung von etiketten
DE2137770C3 (de) Teigs tückbearbeitungseinrichtung
DE3032957A1 (de) Foerder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kassen am ausgang von laeden
DE3620816C2 (de) Späneförderer für Werkzeugmaschin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