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027A - 개수계 - Google Patents

개수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027A
KR20240031027A KR1020230096548A KR20230096548A KR20240031027A KR 20240031027 A KR20240031027 A KR 20240031027A KR 1020230096548 A KR1020230096548 A KR 1020230096548A KR 20230096548 A KR20230096548 A KR 20230096548A KR 20240031027 A KR20240031027 A KR 2024003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gistration data
candidate data
key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히코 오사와
카즈타카 스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 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 디
Publication of KR2024003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for counting by weig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5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combined with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8Frames, Housings
    • G01G21/283Details related to a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8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42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electrically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개수계에 있어서의 등록 데이터의 호출을 효율화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수계(10)는,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을 올리는 계량 접시(11)와, 상기 계량 접시에 접속된 계량 센서(21)와, 1개의 물품에 대해, 적어도, 고유의 식별 넘버, 품명, 단중을, 등록 데이터로서 기억한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을 갖는 기억부(24)와, 상기 계량 접시에 상기 대상 물품을 1개 올리도록 재촉하고, 상기 계량 센서로부터 상기 대상 물품 1개의 단 계량값을 산출하여, 상기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좁히고, 상기 후보 데이터를 상기 단 계량값과의 편차의 절대값이 가까운 순으로 선택 소트한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얻는 연산 처리부(23)와, 상기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검색 상위로부터 순서대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5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개수계{Counting Scale}
본 발명은, 물품의 개수를 계수하는 저울인, 개수계에 관한 것이다.
개수계는, 물품의 개수를 계수하는 저울이며, 물품의 식별 정보와 단중(單重)(물품 1개의 무게)을 기억부에 미리 등록해 두고, 등록이 완료된 동일 종류의 물품이 복수 개, 계량 접시에 올려졌을 때에 얻어진 계량값을 단중으로 나누어, 그 물품의 개수를 계수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개수계에서는, 미리 물품의 단중의 등록 작업을 실시하고, 계수하고자 하는 물품의 등록 데이터를 호출하여, 계수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계수하고자 하는 물품을 「대상 물품」이라고 한다.
등록 데이터를 호출하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이 있다.
(i) 대상 물품의 식별 넘버를 키 입력한다.
(ii) 대상 물품의 품명을 키 입력한다.
(iii) 대상 물품의 식별 넘버의 바코드를 스캔한다.
특허문헌 1에는, 상기 (iii)의 수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62030호
그러나, 종래의 수법으로 등록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은, 상기 (i)의 경우: 물품의 각각의 ID를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고, 상기 (ii)의 경우: 품명의 키 입력에 시간이 걸리고, 상기 (iii)의 경우: 대상 물품에 바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고, 특히, 등록 데이터가 50 품목 이상에 이르는 경우에는, 매번의 등록 데이터의 호출이, 계수 작업의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수계에 있어서의 등록 데이터의 호출을 효율화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개수계는,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을 올리는 계량 접시와, 상기 계량 접시에 접속된 계량 센서와, 1개의 물품에 대해, 적어도, 고유의 식별 넘버, 품명, 단중을, 등록 데이터로서 기억한 등록 데이터 테이블을 갖는 기억부와, 상기 계량 접시에 상기 대상 물품을 1개 올리도록 재촉하고, 상기 계량 센서로부터 상기 대상 물품 1개의 단(單) 계량값을 산출하여, 상기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좁히고, 상기 후보 데이터를 상기 단 계량값과의 편차의 절대값이 가까운 순으로 선택 소트한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얻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검색 상위로부터 순서대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제2 양태의 개수계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1개의 물품에 대해, 적어도, 고유의 식별 정보와 단중을, 등록 데이터로서 기억한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을 구비하는 외부 기억부와 접속하고, 상기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좁히고, 그 후보 데이터를, 리스트업 순으로, 상기 표시부에 호출하여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3 양태의 개수계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단 계량값이 미리 설정된 호출 하한값 미만일 때, 상기 계량 접시에 올리는 상기 대상 물품을 요구 개수까지 추가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 개수의 대상 물품의 총 계량값을 상기 요구 개수로 나눈 평균 단 계량값을 상기 단 계량값으로 하여, 상기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후보 데이터를 좁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4 양태의 개수계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단 계량값이 미리 설정된 호출 하한값 미만일 때, 상기 계량 접시에 올리는 상기 대상 물품을 요구 개수까지 추가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 개수의 대상 물품의 총 계량값을 상기 요구 개수로 나눈 평균 단 계량값을 상기 단 계량값으로 하여, 상기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후보 데이터를 좁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5 양태의 개수계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추가로, 최종 계수일이 새로운 순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 루틴 설정의 순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소트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6 양태의 개수계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후보 데이터를, 추가로, 최종 계수일이 새로운 순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 루틴 설정의 순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소트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7 양태의 개수계로서, 제1, 3, 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단중의 수치를 해시화한 해시값을, 상기 식별 넘버로 상기 등록 데이터 테이블과 연결하여 기억한 해시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단 계량값을 상기 해시 테이블과 동일한 해시 함수로 해시화한 해시값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를 좁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8 양태의 개수계로서, 제2, 4, 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억부는, 상기 단중의 수치를 해시화한 해시값을, 상기 식별 정보로 상기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과 연결하여 기억한 해시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단 계량값을 상기 해시 테이블과 동일한 해시 함수로 해시화한 해시값을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를 좁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수계에 있어서의 등록 데이터의 호출을 효율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프런트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기능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등록 데이터 테이블의 구성예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이미지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계량 식별 호출의 결과 표시예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총량 확인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에 대응하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의 구성예이다.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의 기능 구성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구성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정면 사시도이다. 개수계(10)는, 계량 접시(11), 저울 본체(12), 프런트 패널(13)을 구비한다. 계량 접시(11) 위에는, 대상 물품을 넣기 위한 풍대(風袋) 용기(16)가 올려져도 된다. 프런트 패널(13)에 있어서, 중앙(파선으로 나타낸다)보다 좌측은, 주로 계수 작업시에 사용되는 요소가 많기 때문에, 이후, 계수 작업용 패널(14)로 한다. 중앙보다 우측은, 주로 단중의 등록 작업시에 사용되는 요소가 많기 때문에, 이후, 등록 작업용 패널(15)로 한다. 프런트 패널(13)은, 적어도, RS-232C 커넥터, USB 커넥터, SD 슬롯을 구비하는 커넥터군(26)을 측면에 구비하고 있고, 커넥터군(26)에는, 외부 기억부(34)(후술하는 도 3으로 나타낸다)가 접속되어 있다. 프런트 패널(13)은, RS-232C 또는 USB 케이블에 의해 저울 본체(12)와 세퍼레이트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RS-232C 또는 USB 케이블에 의해, 키보드, 바코드 리더 및 프린터(모두 도시 생략)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개수계(10)의 프런트 패널(13)의 정면도이다. 계수 작업용 패널(14)은, 개수 표시부(41), 중량 표시부(42), 단중 표시부(43), 계수 작업용 키군(44)을 구비한다. 각 표시부(41, 42, 43)는 액정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며, 계량 접시(11)에 대상 물품을 올렸을 때에, 중량 표시부(42)에는 계량 접시(11)에 올려진 대상 물품 전체 수의 중량이 표시되고, 단중 표시부(43)에는 대상 물품이 등록된 단중이 표시되고, 개수 표시부(41)에는 대상 물품의 개수가 표시된다. 계수 작업용 키군(44)은, 전원 키(441), 제로 키(442), 풍대 설정 키(443) 및 풍대 빼기 키(444)를 구비한다. 전원 키(441)는, 전원의 ON/OFF를 한다. 제로 키(442)는, 저울의 제로점을 설정한다. 풍대 빼기 키(444)는, 풍대 용기(16) 등의 풍대 중량을 뺀다. 풍대 설정 키(443)는, 풍대 중량을 텐키(531)(후술)로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등록 작업용 패널(15)은, 내용 표시부(51)와, 기본 키군(52)과, 등록 작업 키군(53)과, 기능 키군(54)을 구비한다. 내용 표시부(51)는 표시부(41, 42, 43)와 동일한 디스플레이이며, 작업 내용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기본 키군(52)은, 메모리 호출 키(521)와, 키 입력 키(522)와, 샘플 입력 키(523)를 구비한다.
기본 키군(52)은, 전원 키(441)가 눌렸을 때, 계수 작업에 필요한 단중을 설정하기 위해서, 최초로 눌리는 키군이다. 이 유도를 위해, 이들 키(521, 522, 523)에는, LED 램프(55)의 점멸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키 입력 키(522)는, 텐키(531)(후술)로부터 단중의 설정(등록)을 실시하는 것이다. 샘플 입력 키(523)는, 계량 접시(11) 상에 올리는 물품(단수 또는 복수)을 「샘플」로 하여, 샘플의 계량값을 단중으로서 설정(등록)하는 것이다. 메모리 호출 키(521)는, 후술하는 기억부(24, 34)에 기억(등록)된 데이터 중에서, 대상 물품의 등록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중을 설정하는 것이다. 메모리 호출 키(521)는, 이하의 종래적인 호출(i)∼(iii)에 추가로, 호출(iv)를 실시한다. 이들의 상세는 후술한다.
(i) 식별 넘버의 키 입력 호출
(ii) 품명 호출
(iii) 식별 넘버의 바코드 호출
(iv) 계량 식별 호출
등록 작업 키군(53)은, 텐키(531), 상하한 키(532), 메모리 키(533), 등록 키(534)를 구비하고, 키(531, 532, 533, 534)는, 단중 설정에 사용된다. 텐키(531)는, 수치, 로마자, 가나, 기호의 입력과 클리어가 가능하다. 상하한 키(532)는, 컴퍼레이터 기능(계수 작업시에, 설정된 상한값, 하한값에 대해 개수 혹은 중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HI」,「OK」,「LO」등의 단계로 표시하는 기능)을 위한 상하한값을 설정한다. 메모리 키(533)는, 기억부(24)에 기억시키는 내용의 확인을 위해서 내용 표시부(51)에 입력 내용(식별 넘버, 단중, 품명, 상하한값)을 표시한다. 등록 키(534)는, 메모리 키(533)로 확인한 내용을 기억부(24, 34)에 기억(등록)한다. 누르는 것을 잊지 않도록, 등록 키(534)에도, LED 램프(55)의 점멸에 의한 유도가 발생하게 되어 있다.
기능 키군(54)은, 프린터로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인자 키(541)와, 합계 기능(계수 작업시에, 계수한 개수의 누계를 실시하는 기능)을 위한 가산 키(542) 및 감산 키(543)와, 합계 기능에서의 합계값과 가산 횟수를 확인하는 합계 키(544)와, 등록 작업시의 입력 내용의 초기화와 계수 작업시의 계량 상태의 초기화를 실시하기 위한 리셋 키(545)를 구비한다. 인자 키(541)와 합계 키(544)는, 메모리 호출 키(521)가 눌렸을 때에는, 표시의 송출 키 및 복구 키로서도 기능한다(이 때문에, 이후, 송출 키(541), 복구 키(544)라고도 기재한다). 가산 키(542)는, 등록 작업시에, 텐키(531)를 영/가나/기호의 입력 키로 변경하도록 기능한다. 감산 키(543)는, 내용 표시부(51)의 표시(도 2 참조)를, 식별 넘버(ID)와 단중(UW)의 조합이나, 품명(IC)과 단중(UW)의 조합을 바꾸는, 전환 키로서도 기능한다.
도 3은, 개수계(10)의 기능 구성 블럭도이다. 개수계(10)는, 계량 센서(21)와, A/D 변환부(22)와, 연산 처리부(23)와, 기억부(24)와, 커넥터군(26)과, 외부 기억부(34)와, 표시부(41, 42, 43, 51)와 키군(44, 52, 53, 54)을 구비한다.
계량 센서(21)는 계량 접시(11)와 접속되어 있고, 계량 접시(11)가 받은 하중이 전달되어, 검출된다. 계량 센서(21)에는, 전자 평형식, 변형 게이지식 또는 정전 용량식 등의 센서가 사용되어도 된다. 계량 센서(21)가 검출한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부(22)에 있어서 디지털의 하중 신호로 변환되어, 연산 처리부(23)에 출력된다.
기억부(24)는, RAM(Random·Access·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이고, 프런트 패널(13) 중에 수용되어 연산 처리부(23)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24)는, 연산 처리부(23)의 각 기능부(후술한다)의 연산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격납함과 함께,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을 구비한다. 도 4는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의 구성예이다.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은, 1000품목을 등록 가능하며, 1개의 물품에 대해, 고유의 식별 넘버(000001∼999999까지의 숫자), 품명, 단중을 기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별 넘버 「000001」에 대해, 품명 「Spoon」, 단중 「100.000g」, 식별 넘버 「000002」에 대해, 「Plate」, 단중「101.000g」라고 하도록 기억(등록)되어 있다. 상하한값, 풍대 중량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4의 식별 넘버 「000050」에 있는 것과 같이, 품명 「Plate 1000」단중 「101.000g」, 상한값 「101.0500g」, 하한값 「100.950g」풍대 중량「5.000g」이 기억(등록)되어 있다.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은, 후술하는 단중 등록부(233)에서 작성된다.
외부 기억부(34)는, 예를 들면 SD 카드, USB 메모리, 포터블 SSD(Solid·State·Drive) 또는, HDD(Hard·Disc·Drive)나 광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이며, 커넥터군(26)으로부터 외부 부착으로 연산 처리부(23)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기억부(34)는, 1개의 물품에 대해, 적어도, 고유의 식별 정보(숫자, 알파벳, 가나 중 어느 것 또는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식별 정보. 식별 넘버, 품명도 이것에 포함된다)와 단중을 기억한,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은, 주로, 도시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작성되는 것이다. 등록 데이터 테이블(25)과 마찬가지로 상하한값, 풍대 중량을 기억하고 있으면,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로부터도, 이것들이 판독 입력된다.
연산 처리부(23)는, 예를 들면 CPU(Central·Processing·Unit), ROM(Read·Only·Memory), RAM 등을 집적 회로에 실장한 마이크로 콘트롤러이다. 연산 처리부(23)는, 계량부(231)와, 계수부(232)와, 단중 등록부(233)와, 넘버/바코드 호출부(234)와, 품명 호출부(235)와, 계량 식별 호출부(236)를 구비한다. 이들 기능부(231, 232, 233, 234, 235, 236)는, CPU, ASIC(Application·Specific·Integrated·Circuit), FPGA(Field·Programmable·Gate·Array) 등의 PLD(Programmable·Logic·Device)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계량부(231)는, 계량 센서(21)로부터의 하중 신호에 기초하여 계량 접시(11)에 올려진 대상 물품 전체 수의 계량값(중량)을, 중량 표시부(42)에 표시한다. 계수부(232)는, 대상 물품 전체 수의 계량값을 대상 물품의 단중으로 나누어, 계량 접시(11)에 올려진 대상 물품의 개수를 계수하여, 개수 표시부(41)에 표시한다.
단중 등록부(233)는, 등록 작업시, 키 입력 키(522)에 의해, 텐키(531)로부터 물품의 단중의 값이 입력되었을 때와, 샘플 입력 키(523)에 의해, 물품의 샘플의 계량값이 단중으로서 입력되었을 때에, 물품의 품명과 단중을, 예를 들면, 품명 「Spoon」과 단중「100.000g」을 관련지어, 빈 곳이 있는 식별 넘버를 부여하여, 기억부(24)의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에 등록한다. 상하한 키(532)에 의해 물품의 상하한값이, 풍대 설정 키(443)로부터 풍대 용기(16)의 중량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단중 등록부(233)는, 이들 값도 관련지어 등록한다.
넘버/바코드 호출부(234), 품명 호출부(235) 및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메모리 호출 키(521)가 눌렸을 때에 기능하고, 계수를 실시하는 대상 물품의 등록 데이터를 호출한다. 넘버/바코드 호출부(234)는, 계수 작업시, 텐키(531)로부터 식별 넘버의 입력이 있었을 때, 또는 바코드 리더로부터 식별 넘버의 바코드가 스캔되었을 때에 기능하고, 등록 데이터 테이블(25)(또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로부터 해당하는 물품의 등록 데이터를 호출한다. 즉, 전술하는 메모리 호출 키(521)에 의한 (i): 식별 넘버의 키 입력 호출과, (iii): 식별 넘버의 바코드 호출을 실시한다. 품명 호출부(235)는, 계수 작업시, 텐키(531)로부터 품명의 입력이 있었을 때에 기능하고, 등록 데이터 테이블(25)(또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로부터 해당하는 물품의 등록 데이터를 호출한다. 즉, 전술하는 메모리 호출 키(521)에 의한 (ii): 품명 호출을 실시한다.
그러나, 호출(i)의 경우: 물품의 각각의 ID가, 기억부(24)에서는 1000건, 외부 기억부(34)에서는 품목 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ID 관리가 번거로움, 호출(ii)의 경우: 품명의 키 입력에 시간이 걸리고, 호출(iii)의 경우: 대상 물품에 바코드가 없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신규한 호출(iv): 계량 식별 호출도 실시한다. 계량 식별 호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개수계(10)의 계수 작업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원 키(441)가 눌리면, 기본 키군(52)의 메모리 호출 키(521), 키 입력 키(522), 샘플 입력 키(523)의 3개의 LED 램프(55)가 점멸하고, 대상 물품의 단중을 설정하도록 재촉한다.
키 입력 키(522), 샘플 입력 키(523)가 눌린 경우에는, 전술하는 단중 등록부(233)가 기능하여, 키 입력 또는 샘플의 값으로부터 단중이 설정되어, 등록되고 나서, 계수 작업으로 이동한다. 메모리 호출 키(521)가 눌린 경우에는, 계수 작업으로 이동하기 전에, 등록 데이터의 호출을 실시한다. 바코드 리더로부터 식별 넘버의 스캔이 있던 경우에는, 넘버/바코드 호출부(234)가 기능하고, 텐키(531)로부터의 입력이 있던 경우에는, 품명 호출부(235) 또는 넘버/바코드 호출부(234)가 기능한다. 여기서, 계량부(231)가 하중 신호를 받은 경우에는, 계량 식별 호출부(236)가 기능하여, 등록 데이터 테이블(25)(또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로부터, 대상 물품을, 도 5에 나타내는 계량 식별 호출로 호출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먼저, 스텝 S11에서, 작업자는, 전원 키(441)에 이어 메모리 호출 키(521)를 누른다. 그러면, 넘버/바코드 호출부(234) 및 품명 호출부(235)의 기동이 없는 경우, 계량 식별 호출부(236)가 기능한다. 또는, 미리 개수계(10)에 「자동 모드」를 설정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전원 ON 후, 메모리 호출 키(521)를 누르지 않아도, 계량 식별 호출부(236)가 자동으로 기능하여, 곧바로 스텝 S1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12에서,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내용 표시부(51)를 통해, 작업자에게, 계량 접시(11)에 대상 물품을 「1개」 올리도록 지시를 내린다(풍대 용기(16)가 있는 경우에는, 풍대 빼기 키(444)의 이후에 올리도록 지시를 내린다). 작업자가 대상 물품을 1개 계량 접시(11)에 올리면, 스텝 S13으로 이동하고, 계량부(231)가 기능하여, 대상 물품 1개의 계량값(이후, 「단 계량값」이라고 한다)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S14로 이동하고,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외부 기억부(34)의 접속의 유무를 검출한다. 외부 기억부(34)가 없는 경우(No)에는 스텝 S15로 이행하고, 외부 기억부(34)가 있는 경우(Yes)에는, 스텝 S21로 이행한다.
스텝 S15로 이행하면,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기억부(24)의 등록 데이터 테이블(25)을 판독 출력한다. 스텝 S16으로 이동하고,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 플러스마이너스 5% 이내 등)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좁힌다. 모든 등록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을 끝내면, 본 스텝에서 좁힌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 하여, 스텝 S17로 이동한다.
스텝 S17에서,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후보 데이터를, 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과의 편차의 절대값이 가까운 순으로, 선택 소트한다. 선택 소트에 대해서, 도 6의 구체적인 예와 함께 설명한다.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검색 수를 n개(n: 자연수), 교환수를 α개(α: α≤n의 자연수)로 한다. 도 6은 n=5, α=5로 하여, 식별 넘버로 소트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스텝 S17에서,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n+α의 소트 데이터를 준비하고, 후보 데이터로부터 n+α의 요소를 소트 데이터에 카피하고(도 6(A)), 소트 데이터(n+α개)의 소트를 실시한다(도 6(B)). 다음으로, 소트 데이터의 선두의 요소 n개를 남기고, 후보 데이터로부터 다음 요소 α개를 카피하여(도 6(C)), 소트 데이터(n+α개)의 소트를 실시한다(도 6(D)). 다음으로,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스텝 S18로 이동하고, 후보 데이터의 모든 요소가 소트 완료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모든 요소가 소트 완료되지 않은 경우(No)는 스텝 S17을 반복한다. 모든 요소가 소트 완료된 경우(Yes)는 스텝 S19로 이동하여, 선두로부터 검색 상위 n개를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로서 얻는다(도 6(E)).
스텝 S20으로 이동하고,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n개의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수 표시부(41)에 개수를, 중량 표시부(42)에 단 계량값을, 및 내용 표시부(51)에 호출한 등록 데이터의 품명과 단중을, 검색 상위로부터 순서대로 호출하여, 1 품목씩 표시한다. 표시는, 송출 키(541) 및 복구 키(544)로 송출할 수 있다. 이후, 스텝 S24로 이행하고,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표시의 송출(이동)이 정지된 품목에서 대상 물품의 단중의 호출을 확정(설정)하고, 계수 작업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스텝 14에서 스텝 S21로 이행하면,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외부 기억부(34)의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을 판독 출력한다. 스텝 S22로 이동하여,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 플러스마이너스 5% 이내 등)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좁힌다. 외부 기억부(34)의 경우, 등록 데이터의 품목 수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선택 소트를 실시하지 않고, 모든 등록 데이터에 대해서 필터링을 끝내면, 본 스텝에서 좁힌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 하여, 스텝 S23으로 이동한다. 스텝 S23에서,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후보 데이터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수 표시부(41), 중량 표시부(42) 및 내용 표시부(51)에, 후보에 해당한 순(리스트업 순)으로 송출 표시한다. 이후, 스텝 S24로 이행하여,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표시의 송출(이동)이 정지된 품목에서 대상 물품의 단중의 호출을 확정(설정)하고, 계수 작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 본 형태의 개수계(10)에 의하면, 「계량 식별 호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을 1개, 저울(개수계(10))에 올리는 것만으로, 대상 물품의 등록 데이터의 후보가 자동으로 호출된다. 이 때문에, 등록 데이터의 품목이 많아도, 해당하는 데이터를 곧바로 찾아낼 수 있어, 계수 작업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 「계량 식별 호출」에서는, 대상 물품이 1개 있으면 등록 데이터의 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별 ID표나 키보드의 준비 등의 필요도 없다.
또, 본 형태의 개수계(10)에 의하면, 기억부(24)에 한하지 않고, 외부 기억부(34)에 있는 등록 데이터도 사용할 수 있어, 기억부(24)와 외부 기억부(34)의 각각에 대응하여, 효율이 양호한 호출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계량 식별 호출」에 있어서,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대처한다. 예를 들면 와셔 등의 작은 부품에서는, 1개(단중)가 0.05g 정도밖에 없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면 개수계(10)의 최소 표시(표시부에 표시되는 최소 단위)가 0.01g일 때, 주위 환경의 변화나 내부 드리프트에 의해 계량 오차가 10% 나오면, 단중 0.05g에 대해 계량값이 0.06g으로서 산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계량 오차의 영향에 의해, 대상 물품의 등록 데이터의 후보가 올바르게 좁혀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에 대비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동작 플로에, 「총량 확인」이 추가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플로차트이고, 제1 실시형태의 도 5와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12에서, 대상 물품이 「1개」계량 접시(11)에 올려지고, 스텝 S13에서 단 계량값이 산출되면, 「총량 확인」이 실시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총량 확인의 동작 플로차트이다.
총량 확인이 개시되면,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스텝 S101로 이행하여, 대상 물품(1개)의 단 계량값이 중량 표시부(42)의 최소 표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호출 하한값 이상인지 확인한다. 단 계량값이 호출 하한값 이상이면(Yes), 총량 확인을 종료하고, 취득한 단 계량값이 대상 물품(1개)의 단중인 것으로 하여, 스텝 S14(도 8)로 되돌아와, 이 단중으로, 등록 데이터의 판독 출력이 실시된다.
한편, 단 계량값이 호출 하한값 미만이면(No),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스텝 S102로 이행하고, 작업자에게, 내용 표시부(51)를 통해, 대상 물품의 개수의 추가를 요구한다. 스텝 S103으로 이행하고, 작업자는, 추가하는 수(이후, 「요구 개수」라고 한다.)를 입력한다. 요구 개수는, 작업자가 내용 표시부(51)에 표시되는 선택지, 5개/10개/25개/50개/100개 등을 송출 키(541) 및 복구 키(544)에 의해 선택하거나, 텐키(531)로부터 임의의 값을 입력한다. 스텝 S104로 이행하여, 작업자는, 계량 접시(11)에, 요구 개수까지 대상 물품을 추가하여, 등록 키(534)를 누른다. 스텝 S105로 이행하여,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대상 물품(요구 개수)의 계량값이 호출 하한값 이상인지 확인한다. 계량값이 호출 하한값 미만이면(No), 스텝 S102로 되돌아와, 요구 개수의 추가를 요구한다. 계량값이 호출 하한값 이상이면(Yes), 스텝 S106으로 이행하여, 대상 물품(요구 개수)의 총 계량값을 요구 개수로 나누어, 대상 물품(1개)의 평균 단 계량값을 구하여, 총량 확인을 종료한다. 그리고, 스텝 S14(도 8)로 되돌아와, 평균 단 계량값으로, 등록 데이터의 판독 출력이 행해진다.
이상, 본 형태의 개수계(10) 에 의하면, 「계량 식별 호출」의 기능에 「총량 확인」을 추가했기 때문에, 대상 물품 1개에서는 중량이 지나치게 가벼운 경우의 계량 오차의 영향에 대처하여, 「계량 식별 호출」이 적절히 기능하게(대상 물품이 올바르게 좁혀지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는, 「계량 식별 호출」에 있어서, 다음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대처한다. 기억부(24)의 등록 데이터는 상한이 1000품목으로 되어 있고, 전술한 선택 소트에 의해, 가까운 후보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기억부(34)의 등록 데이터는, 품목 수의 상한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된 것이, 리스트업 순으로 표시될 뿐이다. 예를 들면 소(小) 나사 등은, 나사 산의 보통과 미세, 나사 머리의 형상(냄비, 접시, 둥근, 편평, 바인드 등), 재료(3가 크로메이트, 니켈, 아연, 스테인리스 등), 표면 처리의 유무 등에서 방대한 종류가 있기 때문에,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라는 필터링만으로는, 리스트업되는 품목이 많아, 대상 물품의 등록 데이터가 좀처럼 표시에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부품은 형번으로 관리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유사한 품명과 단중으로, 예를 들면 「품명: 소 나사 A-1534, 단중: 1.20000g」「품명: 소 나사 A-1543, 단중: 1.21000g」의 후보 데이터가 거론된 경우, 작업자가, 데이터를 잘못 뽑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에 대비하여,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동작 플로에, 「추가 소트」가 추가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계량 식별 호출의 동작 플로차트이고, 제1 실시형태의 도 5, 제2 실시형태의 도 8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22에서, 외부 기억부(34)의 등록 데이터로부터 대상 물품의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후보 데이터가 좁혀지면, 「추가 소트」가 행해진다. 「추가 소트」는, 적어도 다음의 3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행해진다.
(1) 최종 계수일
(2) 사용 빈도
(3) 루틴 설정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에 대응하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의 구성예이다. 본 형태에 대응하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에는, 식별 넘버, 품명, 단중,(상하한값), (풍대 중량)에 더하여, 최종 계수일, 사용 빈도, 루틴 설정이 기억(등록)되어 있다. 최종 계수일은, 계수 작업에서 대상 물품의 단중이 설정되었을 때(스텝 S24)에, 이때의 일시가 최종 계수일로서 등록 또는 갱신된다. 사용 빈도도, 마찬가지로, 계수 작업에서 대상 물품의 단중이 설정되었을 때(스텝 S24)에, 사용 빈도가 1 카운트 추가되어 갱신된다. 루틴 설정은, 작업자가 미리 등록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 작성되거나, 등록 작업 키군(53)으로부터 설정된다. 루틴 설정은, 계수 작업에 일련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고, 예를 들면 품명으로 「나사 A →와셔 B →너트 C」나, 식별 넘버로 「1→50→70」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다.
도 10의 스텝 S22에서, 외부 기억부(34)의 등록 데이터로부터 후보 데이터가 좁혀지면,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후보 데이터에 대해, 추가로, 최종 계수일, 사용 빈도, 또는 루틴 설정의 소트를 한다. 어느 소트를 실시할지는, 내용 표시부(51)에 체크 박스가 표시되어, 송출 키(541)와 복구 키(544), 및 등록 키(534)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다(복수 선택 가능). 최종 계수일의 소트가 선택되면, 후보 데이터가, 최종 계수일이 새로운 순으로 소트된다. 사용 빈도의 소트가 선택되면, 후보 데이터가, 사용 빈도가 높은 순으로 소트된다. 루틴 설정의 소트가 선택되면, 후보 데이터가, 루틴 순으로 소트된다.
이상, 본 형태의 개수계(10) 에 의하면, 「계량 식별 호출」의 기능에, 최종 계수일, 사용 빈도, 루틴 설정에 의한 「추가 소트」를 추가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것이 먼저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외부 기억부(34)의 등록 데이터의 호출이 효율화된다.
본 형태는, 외부 기억부(34)를 구비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지만, 내부의 기억부(24)에 대한 선택 소트의 검색수 n을 많이 취할 때에도 유용하다. 이 경우, 등록 데이터 테이블(25)도, 도 11과 마찬가지로 최종 계수일, 사용 빈도, 루틴 설정이 기억(등록)되어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 S19 후에,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에 대해 추가 소트를 실시하는 것이 유용하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계량 식별 호출」에 있어서, 필터링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더욱 단축한다.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개수계(10)의 기능 구성 블럭도이다. 본 형태의 기억부(24)(및/또는 외부 기억부(34))는, 추가로, 해시 테이블(27)을 구비한다. 해시 테이블(27)은, 물품의, 식별 정보와, 규정된 해시 함수로 단중의 수치를 해시화한 해시값을 기억하고 있고, 식별 정보에 의해 등록 데이터 테이블(25)(및/또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과 연결되어 있다. 해시 테이블(27)은, 단중 등록부(233)가 등록 데이터 테이블(25)(및/또는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35))에 단중을 기억(등록)할 때에 자동으로 작성된다.
해시 테이블(27)은, 「계량 식별 호출」의, 계량 식별 호출부(236)가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후보 데이터를 좁힐 때에 사용된다. 즉, 계량 식별 호출부(236)는, 도 5(도 8, 도 10도 동일하다)의 스텝 16 또는 스텝 22에서,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단중의 값을, 해시 검색한다. 예를 들면, 단 계량값 101.00g 에 대해 플러스마이너스 1% 이내를 소정 범위로 하는 경우에는, 102.01g, 102.00g, 101.99g, 101.98g, … 99.99g의 각 값을 해시 테이블(27)과 동일한 해시 함수로 해시화하고, 이들 해시값을 갖는 단중을 검색한다. 본 형태의 개수계(10)에 의하면, 「계량 식별 호출」에 있어서, 보다 빠른 필터링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변형을 서술했지만, 각 형태 및 각 변형을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조합하는 것은 가능하고, 그러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개수계
11: 계량 접시
12: 저울 본체
13: 프런트 패널
14: 계수 작업용 패널
15: 등록 작업용 패널
16: 풍대 용기
21: 계량 센서
23: 연산 처리부
231: 계량부
232: 계수부
233: 단중 등록부
234: 넘버/바코드 호출부
235: 품명 호출부
236: 계량 식별 호출부
24: 기억부
25: 등록 데이터 테이블
27: 해시 테이블
34: 외부 기억부
35: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
51: 내용 표시부

Claims (6)

  1.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 물품을 올리는 계량 접시와,
    상기 계량 접시에 접속된 계량 센서와,
    1개의 물품에 대해, 적어도, 고유의 식별 넘버, 품명, 단중을, 등록 데이터로서 기억한 등록 데이터 테이블을 갖는 기억부와,
    상기 계량 접시에 상기 대상 물품을 1개 올리도록 재촉하고, 상기 계량 센서로부터 상기 대상 물품 1개의 단 계량값을 산출하여, 상기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좁히고, 상기 후보 데이터를 상기 단 계량값과의 편차의 절대값이 가까운 순으로 선택 소트한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얻는 연산 처리부와,
    상기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검색 상위로부터 순서대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1개의 물품에 대해, 적어도, 고유의 식별 정보와 단중을, 등록 데이터로서 기억한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을 구비하는 외부 기억부와 접속하고, 상기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단 계량값에 대해 소정 범위 내가 되는 단중을 갖는 등록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로서 좁히고, 그 후보 데이터를, 리스트업 순으로, 상기 표시부에 호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단 계량값이 미리 설정된 호출 하한값 미만일 때, 상기 계량 접시에 올리는 상기 대상 물품을 요구 개수까지 추가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 개수의 대상 물품의 총 계량값을 상기 요구 개수로 나눈 평균 단 계량값을 상기 단 계량값으로 하여, 상기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후보 데이터를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단 계량값이 미리 설정된 호출 하한값 미만일 때, 상기 계량 접시에 올리는 상기 대상 물품을 요구 개수까지 추가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요구 개수의 대상 물품의 총 계량값을 상기 요구 개수로 나눈 평균 단 계량값을 상기 단 계량값으로 하여, 상기 외부 등록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후보 데이터를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소트 완료 후보 데이터를, 추가로, 최종 계수일이 새로운 순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 루틴 설정의 순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소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후보 데이터를, 추가로, 최종 계수일이 새로운 순서,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 루틴 설정의 순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소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수계.
KR1020230096548A 2022-08-30 2023-07-25 개수계 KR20240031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36776 2022-08-30
JP2022136776A JP7175076B1 (ja) 2022-08-30 2022-08-30 個数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027A true KR20240031027A (ko) 2024-03-07

Family

ID=8410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548A KR20240031027A (ko) 2022-08-30 2023-07-25 개수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68861A1 (ko)
EP (1) EP4332523A1 (ko)
JP (1) JP7175076B1 (ko)
KR (1) KR202400310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030A (ja) 1994-08-22 1996-03-08 Toshiba Corp ワーク個数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8026B2 (en) * 2003-06-26 2006-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ositively identifying an item
JP2010249606A (ja) * 2009-04-14 2010-11-04 Shimadzu Corp 電子天秤
JP5799593B2 (ja) * 2011-06-07 2015-10-28 株式会社寺岡精工 商品検索装置、商品情報処理装置及びラベル発行装置
JP5931617B2 (ja) * 2012-07-10 2016-06-08 大和製衡株式会社 計量装置及び計量システム
JP7297288B2 (ja) * 2019-03-05 2023-06-26 株式会社寺岡精工 計量装置、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W202205163A (zh) * 2020-07-22 2022-02-01 李建文 辨識物品及存量的系統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2030A (ja) 1994-08-22 1996-03-08 Toshiba Corp ワーク個数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5076B1 (ja) 2022-11-18
US20240068861A1 (en) 2024-02-29
JP2024033278A (ja) 2024-03-13
EP4332523A1 (en)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0894B1 (en) Evaluation devices
US4064954A (en) Computing postal scale and method with taring capability
US4495581A (en) User programmable postal rate calculator
US20020134589A1 (en) Programmable digital scale
US20130175099A1 (en) Pos system
US4036316A (en) Computing scale and method with taring capability
CN110019798B (zh) 一种用于对进销项商品种类差异进行度量的方法及系统
KR20240031027A (ko) 개수계
US4685525A (en) Balance with counting scale
GB2027914A (en) Quantity verifying weighing apparatus
US3861479A (en) Tare entry circuitry for a computing scale
GB2155190A (en) Counting by weighing
US3937287A (en) Data filtering circuitry
JP4364918B2 (ja) 商品処理装置
JPH0652189B2 (ja) 計数はかり
JPS6029883B2 (ja) 分類集計機能付電子式デジタル表示秤装置
US2793025A (en) Price indicating apparatus for weighing scales
EP3499197A1 (en) Electronic balance and target weighing value setting method
JPS61217724A (ja) 電子秤
RU151605U1 (ru) Весы с подсчетом калорий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S5824174Y2 (ja) 分類集計機付き料金秤
JPH0152793B2 (ko)
JPH081396B2 (ja) 計量装置
JP5292989B2 (ja) 料金秤
JP2010249606A (ja) 電子天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