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532A -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532A
KR20240030532A KR1020220109707A KR20220109707A KR20240030532A KR 20240030532 A KR20240030532 A KR 20240030532A KR 1020220109707 A KR1020220109707 A KR 1020220109707A KR 20220109707 A KR20220109707 A KR 20220109707A KR 20240030532 A KR20240030532 A KR 2024003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ck
support member
ship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형
오형순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532A/ko
Publication of KR2024003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를 적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이동대차(20); 상기 이동대차(20) 상에 붐대(32)와 이송카트(36)를 구비하고, 선박 블록 내부로 파이프의 진입을 유발하는 지지부재(30); 및 상기 이동대차(20)와 지지부재(30)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선박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대형 파이프류를 블록 내부로 적입함에 돌출된 플랜지와 분기배관을 갖춘 대경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실질적인 활용성 증대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Apparatus for stuffing large scale pipe of ship block}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파이프 적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대형 파이프류를 블록 내부로 적입하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수많은 배관들이 설치되며, 블록 건조 단계에서 배관류들이 설치된 후에 각 블록 간 조립 및 배관 연결 작업이 수행된다. 직경이 작거나 짧은 소형 파이프류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여 설치하거나 천장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 내부의 지정된 위치로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형 파이프류의 경우에는 고중량이면서 길이도 길어서 크레인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블록 상부가 완전히 오픈되지 않고 칸막이처럼 격자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 내부로 바로 투입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크레인으로 파이프를 들어올린 후, 롤러 치구류 등을 이용하여 블록 진입부에서부터 블록 끝단까지 밀어넣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파이프가 완전히 원통형 구조가 아니라 플랜지 및 타 배관류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부 등으로 인해 한 번에 밀어넣지 못해서 슬링밸트를 푼 후 크레인을 이동시켜 슬링밸트를 다시 묶고 대형 파이프를 상승 및 이동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지정된 위치까지 블록 내부로 적입시키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 이렇듯, 블록 내부로 대형 배관을 적입시키는 과정에서 끼임 및 협착 사고 위험이 높고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서, 대형 배관을 손쉽게 적입시킬 수 있는 전용 장비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87459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74921호 등의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다수의 휠부 상으로 단순하게 밀어서 이동시키는 방식이므로 플랜지와 분기배관을 갖춘 대경관 파이프를 적입하기 용이하지 않아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87459호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공개일자 : 2015.01.2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74921호 "파이프 적입 장치" (공개일자 : 2017.03.21.)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대형 파이프류를 블록 내부로 적입함에 돌출된 플랜지와 분기배관을 갖춘 대경관에도 적용이 가능한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를 적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 상에 붐대와 이송카트를 구비하고, 선박 블록 내부로 파이프의 진입을 유발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대차와 지지부재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대차는 승강테이블과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붐대에 접철 가능한 다수의 레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이송카트의 지지블록 상에 파이프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는 진입 과정의 위치 정렬, 자세 변동, 충돌 방지를 위해 라인레이저, 자세검출기, 충돌검출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대형 파이프류를 블록 내부로 적입함에 돌출된 플랜지와 분기배관을 갖춘 대경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실질적인 활용성 증대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충돌방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를 적입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선박의 블록 건조 단계에서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류들을 적입하는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 파이프류는 고중량이면서 길이도 길고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와 분기배관을 갖추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 블록(10)의 내부로 대경관 파이프(15)를 적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대경관 파이프(15)를 블록 내부로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서 대경관 파이프의 반복적 상승/하강 및 이동을 배제해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대차(20)가 상기 파이프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닌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대차(20)가 주행휠(22)을 갖추고 이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동대차(20)는 작업자가 승차하는 방식이 선호되지만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이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동대차(20)의 적재 하중은 선박의 종류에 따른 대경관 파이프(15)의 규격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이동대차(20)는 승강테이블(24)과 턴테이블(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이동대차(20)를 구성하는 승강테이블(24), 턴테이블(26) 등이 나타난다. 승강테이블(24)은 테이블의 저면에 리프터 링크와 작동실린더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26)은 승강테이블(24)의 상면에 테이블과 회동모터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승강테이블(24)과 턴테이블(26)을 사용하면 파이프를 진입시키는 높이와 방향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대차(20) 상에 붐대(32)와 이송카트(36)를 구비하는 지지부재(30)가 선박 블록 내부로 파이프의 진입을 유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a)(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0)를 구성하는 붐대(32), 이송카트(36) 등이 나타난다. 붐대(32)는 턴테이블(26)의 상측으로 고정되고 상측으로 대경관 파이프(15)를 평행한 상태로 지지한다. 이송카트(36)는 붐대(32) 상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송카트(36)의 왕복운동 모션은 윈치-와이어 방식, LM가이드-모터 방식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붐대(32)는 이송카트(36)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가이드레일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30)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붐대(32)에 접철 가능한 다수의 레그(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c)에서, 붐대(32)의 텔레스코픽 구조와 더불어 다수의 레그(34)가 나타난다. 붐대(32)가 텔레스코픽 구조로 길이가 늘어나면 처짐이 발생하므로 다수의 레그(34)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레그(34)는 사용하지 않을 때 붐대(32)와 평행을 이루도록 접철 모션을 부가한다. 접철 모션은 90˚로 회전하는 모션과 높이를 변동하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접철 모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동식이 선호되지만 수동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30)는 이송카트(36)의 지지블록(38) 상에 파이프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에서 이송카트(36)의 상면에 다수의 지지블록(38)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블록(38)은 V자 형태로 형성되어 대경관 파이프(15)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시하지 않으나 지지블록(38)의 V자 접촉면에 롤러를 더 부가할 수도 있다. 롤러의 적어도 일부는 모터를 연결하여 강제적인 회전과 대경관 파이프(15)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40)가 상기 이동대차(20)와 지지부재(30)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에서, 이동대차(20)의 일측으로 제어기(40)가 탑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기(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갖춘 마이컴 회로로 구성한다. 제어기(40)의 출력인터페이스에는 승강테이블(24), 턴테이블(26), 붐대(32), 이송카트(36) 등이 연결된다. 이동대차(20)와 지지부재(30)를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메모리에 프로그램과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40)는 진입 과정의 위치 정렬, 자세 변동, 충돌 방지를 위해 라인레이저(42), 자세검출기(44), 충돌검출기(4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40)의 입력인터페이스에 라인레이저(42), 자세검출기(44), 충돌검출기(46) 등이 연결된다. 라인레이저(42)와 이송카트(36)는 붐대(32)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라인레이저(42)는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기능 외에 반사광을 수신하는 기능도 갖춘다. 자세검출기(44)는 승강테이블(24)과 턴테이블(26)의 기울어짐 상태, 붐대(32)의 기울어짐과 처짐 상태 등을 검출한다. 이외에 주요부의 모션을 감지하는 위치검출기도 포함한다. 충돌검출기(46)는 붐대(32) 상의 다수의 영역에서 충돌 상태를 검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기(40)를 기반으로 일련의 동작을 구현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처럼 이동대차(20)는 선박 블록(10)의 일단에서 붐대(32)를 블록 내부로 전개시키고 대기할 수 있다. 도 5(b)처럼 이동대차(20)의 이송카트(36) 상으로 부호 15A의 첫 번째 파이프가 로딩될 수도 있고, 이동대차(20)가 직접 파이프를 이송카트(36)에 탑재하고 이동하여 도 5(a)처럼 대기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붐대(32)의 전개후에 레그(34)를 내리고 승강테이블(24) 및 턴테이블(26)과 연계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도 5(c)에서 이송카트(36)를 이동시켜 대경관 파이프(15)를 블록의 내측으로 보내고, 도 5(d)처럼 붐대(32)의 길이를 약간 줄인 다음 부호 15B의 두 번째 파이프를 이송카트(36)에 로딩한다. 도 5(e)처럼 부호 15B의 파이프를 부호 15A의 파이프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언로딩한다. 도 5(f)에서 붐대(32)를 최소한의 길이로 접은 다음 대경관 파이프(15A)(15B)의 연결 작업을 속행할 수 있다.
도 4처럼 붐대(32)를 선박 블록(10)의 내부로 전개하는 과정에서 제어기(40)는 라인레이저(42), 자세검출기(44), 충돌검출기(46)의 신호를 입력하면서 대경관 파이프(15A)(15B)의 연결 방향과 자세를 조절한다. 만일 붐대(32)의 전개 또는 이송카트(36)의 이동 과정에서 설정치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가동을 일시 정지하고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블록(10)으로 파이프의 적입 작업 시 작업자 끼임 및 협착 등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추어 안전한 파이프 적입 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더욱이, 대경관 파이프를 지면에서 더욱 길게 조립하여 탑재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대경관 파이프 적입 및 설치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선박 블록 15: 대경관 파이프
20: 이동대차 22: 주행휠
24: 승강테이블 26: 턴테이블
30: 지지부재 32: 붐대
34: 레그 36: 이송카트
38: 지지블록 40: 제어기
42: 라인레이저 44: 자세검출기
46: 충돌검출기

Claims (5)

  1.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를 적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지닌 이동대차(20);
    상기 이동대차(20) 상에 붐대(32)와 이송카트(36)를 구비하고, 선박 블록 내부로 파이프의 진입을 유발하는 지지부재(30); 및
    상기 이동대차(20)와 지지부재(30)를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20)는 승강테이블(24)과 턴테이블(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붐대(32)에 접철 가능한 다수의 레그(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0)는 이송카트(36)의 지지블록(38) 상에 파이프의 축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40)는 진입 과정의 위치 정렬, 자세 변동, 충돌 방지를 위해 라인레이저(42), 자세검출기(44), 충돌검출기(4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KR1020220109707A 2022-08-31 2022-08-31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KR20240030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07A KR20240030532A (ko) 2022-08-31 2022-08-31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07A KR20240030532A (ko) 2022-08-31 2022-08-31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532A true KR20240030532A (ko) 2024-03-07

Family

ID=9027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707A KR20240030532A (ko) 2022-08-31 2022-08-31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053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59B1 (ko) 2013-07-12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774921B1 (ko) 2015-09-11 2017-09-05 삼성중공업(주) 파이프 적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459B1 (ko) 2013-07-12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형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774921B1 (ko) 2015-09-11 2017-09-05 삼성중공업(주) 파이프 적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98B1 (ko) 하중 유닛을 교환하기 위한 교환 방법 및 장치
CN110562856B (zh) 重物的起重装置以及起重搬运方法
KR20240030532A (ko) 선박 블록의 대경관 파이프 적입 장치
KR101950669B1 (ko) 원통형 부재 운반용 케이블 로봇
KR101465398B1 (ko) 터널의 풍도슬래브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 시공방법
JP4508073B2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9206423A (ja) 揚重雇、及び、その楊重雇を用いた重量物の楊重運搬方法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JP3260029B2 (ja) 荷揚げリフト
JPH081278Y2 (ja) 重量物運搬装置
EP0963904A1 (en) Transport system with suspended load and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on board
JPH079156B2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JPS63300100A (ja) 重量物運搬装置
JP7446505B1 (ja) 部材運搬装置、及び部材運搬方法
JP2019182609A (ja) 巻上機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JP3187141B2 (ja) 高所作業台車装置
CN212425224U (zh) 搬运装置
JPH06146600A (ja) 建築資材用積降し装置
JP2008063055A (ja) 吊持装置
JP2018104943A (ja) 建物中間階設置型クレーン装置
JP2024029846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搬入、据付方法及びその巻上機搬入、据付装置
JPH0530009Y2 (ko)
US3458063A (en) Tube bundle vehicle
EP3078618B1 (en) Goods movement apparatus
KR20220012043A (ko) 레일가이드를 이용한 이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