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382A -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382A
KR20240028382A KR1020240022446A KR20240022446A KR20240028382A KR 20240028382 A KR20240028382 A KR 20240028382A KR 1020240022446 A KR1020240022446 A KR 1020240022446A KR 20240022446 A KR20240022446 A KR 20240022446A KR 20240028382 A KR20240028382 A KR 20240028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store
time
location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혁
박지연
박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넘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넘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넘버
Priority to KR102024002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382A/ko
Publication of KR2024002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반영하여 대기 및 예약 순번을 할당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 및 상기 도착 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에 의해 매장 예약 고객에게 예약 및 대기 순번을 제시함에 있어서 고객의 위치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방문 예약 시각 고객 집중 현상 방지를 통한 혼잡을 해소하고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2O Platform of waiting list and reservation, Smart Kiosk}
본 발명은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반영하여 대기 및 예약 순번을 할당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2O란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이 결합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말이며, 최근에는 주로 전자상거래 혹은 마케팅 분야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결되는 현상을 말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키오스크 내부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PC의 형태로, 이에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프린터·네트워크·스피커·비디오카메라·인터폰·감지기 등의 다양한 입출력 주변기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키오스크 내부에서는 키오스크 관리 및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 등이 실행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상으로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복구하는 서버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는 공공장소, 식당, 버스터미널, 지하철, 관공서, 쇼핑몰 등 유동인구가 많고 개방된 장소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상품 정보 안내, 시설물 이용 안내, 장소 및 관광 정보 안내 등의 정보 제공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푸시기능을 지녀 화면 일부에 광고를 전송하거나 전면 광고 또는 특화된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병원 및 항공사 체크인, 자동 정산 및 결제, 티켓 발매용 기기나 및 현금자동입출금기로도 사용된다. 키오스크에 멀티미디어 환경을 구축하면 화상 회의 시스템과 스캐닝, 화면공유 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과 음성인식 기능을 갖출 수도 있다.
KR 10-2019-0032936 A KR 10-2018-0129700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매장 예약 고객에게 예약 및 대기 순번을 제시함에 있어서 고객의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제시함으로써 방문 예약 시각 고객 집중 현상 방지를 통한 혼잡을 해소하고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예약 상황과 고객 위치를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 알림 메시지를 제공해줌으로써 매장 이용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수 있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는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 및 상기 도착 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는 상기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가 전송한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수신부로 수신한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에 기반하여, 매장 내 입장 안내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한다.
한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방법은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장 예약 고객에게 예약 및 대기 순번을 제시함에 있어서 고객의 위치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방문 예약 시각에 고객 집중 현상 방지를 통한 혼잡을 해소하고 안정성을 확보할수 있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뿐만 아니라 예약 상황과 고객 위치를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 알림 메시지를 제공해줌으로써 매장 이용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수 있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 따른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매장을 이용하기 원하는 고객으로부터 예약 요청 및 결제 요청에 따른 예약 처리 및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이 소지하는 예약 고객 단말에서 구동되는 예약 전용 앱이나 특정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매장의 예약 또는 결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고객으로부터의 예약 또는 결제 처리에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그에 대응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처리하도록 매장에 전달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고객에게 고객의 매장 이용 이력 내역등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에 기반한 맞춤형 매장이나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매장으로 고객의 매장 이용 이력 내역등의 데이터 분석 결과 및 고객 정보등의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에서는 이용 고객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고객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등을 활용하여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고객은 매장 예약을 비롯한 대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즉, 매장 내 입장 대기로 인한 시간적 비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고 실시간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코자 하는 매장에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과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판매 및 렌탈 함으로써, 판매 및 렌탈에 따른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은 고객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효율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며, 그로 인한 수익 향상 효과를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식당이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을 이용함에 있어서, 고객의 위치를 반영하여 대기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앱 및 웹과 연결 가능한 스마트 키오스크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대기 알람, 결제, 열화상 카메라, 음성 안내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의 스마트 키오스크와 모바일, PC등과 연결한 간편 예약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매장 방문 예약 시간에 고객 집중 현상 방지를 통한 혼잡을 해소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예약 대기 순번 및 예약 상황을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 알림 메시지를 통한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스마트 키오스크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탑재하여 고객 단말기를 통한 고객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고객의 단말 위치를 매장 내 예약 관리자에게 전달해줄 수 있다. 매장내 예약 관리자는 고객의 단말 위치를 이용한 도착 순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고객을 호출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제공 장치(10)는 위치 파악부(110), 도착시각 예측부(120), 메시지 전송부(130), 및 최적 시각 산출부(140)를 포함한다.
위치 파악부(110)는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 파악부(110)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예약 고객 단말(30)과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약 고객 단말(3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위치 파악부(110)는, 매장 내 스마트 키오스크(20)를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은 직접 매장에 방문하여 키오스크를 통해 메뉴를 주문하고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키오스크(20)는 해당 고객 이전에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한 대기중인 고객들의 예약 상황을 파악하여 새로 주문한 고객에게 예약 대기번호를 발급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키오스크(20)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해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은 와이파이나 무선랜의 사용을 바탕으로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20)는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제공장치(10)의 위치 파악부(110)로 제공해준다.
스마트 키오스크(20)는 매장 내 예약 관리자로부터 매장내 고객 입장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제공 장치(10)와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예약 대기중인 고객이 소지하는 예약 고객 단말(30)로 매장 입장을 통보하는 호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위치 파악부(110)는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한다.
고객은 자신이 소지하는 예약 고객 단말(30)을 이용하여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을 통한 매장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예약 고객 단말(30)의 정보등을 이용하여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도착시각 예측부(120)는 위치 파악부(110)에서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30)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한다.
도착시각 예측부(120)는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 정보와 매장 간에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보로 가능한 거리 이내이면 평균 성인 걸음 속도로 간주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한다.
또한,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 정보와 매장 간 거리가 차량으로 이동해야 할 정도인 경우에 통상의 차량 속도를 반영하여 차량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추가적으로 매장까지 도보가 필요한 이동 거리만큼은 평균 걸음 속도를 반영하여 복합적인 이동 수단의 속도에 기반한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도착시각 예측부(120)는 예약 고객 단말(30)로부터 예약 고객의 예상 도착 시각을 직접 입력받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부(130)는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측되는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30)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20)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130)는 예약 도착 시각이 빠른 예약 고객 단말에게 먼저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차이로 예약한 둘 이상의 예약 고객들에 대해서, 또는 소정의 범위 이내의 대기번호를 받은 예약 고객들에 대해서, 메시지 전송부(130)는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예측된 예상 도착 시각이 빠른 순으로 매장 입장 하도록 입장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제 매장에 근접한 고객을 먼저 매장에 입장할 수 있도록 입장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효율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최적 시각 산출부(140)는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매장의 예약 상황을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한다.
이때 최적 시각 산출부(140)는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의 차가 최소값이 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한다.
최적 시각 산출부(140)에서 산출되는 방문 최적 시각은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같거나 그 이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적 시각 산출부(140)는 이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함에 있어서,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과 같거나 느리면,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보다 빠르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한다.
예를 들어 도착시각 예측부(120)에서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2시 40분이고,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이 2시 50분인 경우에, 최적 시각 산출부(140)는 매장 도착시각과 입장 예상 시각의 차가 최소가 되는 입장 예상 시각인 2시 50분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적 시각 산출부(140)는 고객이 매장 내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여 안내해줄 수 있다.
매장이 식당인 경우, 평균적으로 매장 내에서 식사를 위해 머무를 것으로 예상되는 식사시간의 평균을 40분이라고 가정하면 이를 반영하여, 테이블이 총 9개인 식당을 방문하기 원하는 B 고객의 대기 순번이 18번인 경우에, 40분 후를 방문 최적 시각으로, C 고객의 대기 순번이 19번인 경우에 80분 후를 방문 최적시각으로 산출하여 안내해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요소나 스펙을 더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메시지 전송부(130)는 예약 고객 단말(30)로 최적 시각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방문 최적 시각을 전송한다. 예약 고객은 몇시에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면 대기시간을 최소로하여 입장이 가능할지 최적 시각정보를 추천받아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방문 고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매장 입장까지 대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뿐만 아니라 최적 시각 산출부(140)는 고객이 원하는 시간 범위 내에서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 방문 고객 평균 데이터를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최적 산출부(140)는 예를들어 온라인 예약이 불가능한 식당인 경우에 매장 내에서 1시~2시 사이에 식사하기 원하는 경우에 몇시에 방문하여 대기번호를 받으면 원하는 시간에 매장 입장이 가능한지를 대략적으로 산출하여 제공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잡도가 높은 식사 시간에는 최소한 40분 전에 도착하여 대기표를 받아야 1시~2시사이에 식사가 가능하다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최적 산출부(140)는 매장별 혼잡도와 대기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각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몇시에 방문하는 것이 좋은지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여 제공해줌으로써 시간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 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20)는 통신부(210), 메시지 수신부(220), 메시지 표시부(230), 위치 파악부(240), 화면 표시부(250) 및 예약 및 결제 처리부(2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키오스크(20)는 일 양상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제공 장치(10)와 연동되며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20)는 그 내부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PC의 형태로, 이에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프린터·네트워크·스피커·비디오카메라·인터폰·감지기 등의 다양한 입출력 주변기기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키오스크 내부에서는 키오스크 관리 및 기기 제어 소프트웨어 등이 실행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상으로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복구하는 서버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키오스크(20)의 통신부(210)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해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구비한다.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은 와이파이나 무선랜의 사용을 바탕으로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210)는 근거리에 위치한 예약 고객 단말(30)과 통신을 수행하여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한다.
메시지 수신부(220)는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10)가 전송한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부(220)는 예약 고객이 소지한 예약 고객 단말(30)로부터 예약 전용 웹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매장 상품을 예약 또는 구매한 경우에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10)로부터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 표시부(230)는 메시지 수신부(220)로 수신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에 기반하여, 매장 입장 순번이 도래한 예약 대기 번호를 표시하거나, 매장 내 입장 안내 메시지를 표시한다.
화면 표시부(250)는 예약 화면 및 결제 화면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2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며, 광고 이미지나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고, 매장을 이용코자 하는 고객으로부터 매장의 상품을 구매하거나, 예약 및 결제에 필요한 주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예약 및 결제 처리부(260)는 화면 표시부(250)로 입력되는 예약 요청 및 결제 요청을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10)로 전달한다.
즉, 매장내 구비된 키오스크 자체로 매장 내 상품 구매 및 예약 요청을하거나, 결제 요청을 하는 경우에 화면 표시부(250)로 입력되는 예약 요청 및 결제 요청을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약 및 결제 처리부(260)는 매장 내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매장 내 관리자에게 예약 및 결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위치 파악부(240)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해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한다.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은 와이파이나 무선랜의 사용을 바탕으로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스마트 키오스크(20)는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10)와 연동하여 대기 알람 기능, 결제 기능, 열화상 카메라 촬영 기능, 및 음성 안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대기 알람 기능은 스마트 키오스크(20) 자체에 포함된 화면 표시부(250)를 통해 입장 순번이 된 대기 번호를 표시해주거나, 입장 순번이 도래한 예약 고객 단말로 입장 예약 안내 알람을 전송해준다. 또는 스마트 키오스크(20)를 통해 매장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예약 고객 단말로 전송한다.
결제 기능은 매장 내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이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 촬영 기능은 안면 인식을 통해 매장을 방문한 고객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발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방법은 예약 고객 단말로부터 매장 상품에 대한 구매 또는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S300),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다(S310).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일예로 매장 내 스마트 키오스크를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객은 직접 매장에 방문하여 키오스크를 통해 메뉴를 주문하고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키오스크는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해 예약 고객 단말(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은 와이파이나 무선랜의 사용을 바탕으로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키오스크는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를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제공장치로 제공해준다.
다른 예로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일 수도 있다.
고객은 자신이 소지하는 예약 고객 단말(30)을 이용하여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을 통한 매장 예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은 예약 고객 단말의 정보등을 이용하여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그리고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한다(S320).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것은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와 매장 간에 거리를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보로 가능한 거리 이내이면 평균 성인 걸음 속도로 간주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한다.
또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와 매장 간 거리가 차량으로 이동해야 할 정도인 경우에 통상의 차량 속도를 반영하여 차량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추가적으로 매장까지 도보가 필요한 이동 거리만큼은 평균 걸음 속도를 반영하여 복합적인 이동 수단의 속도에 기반한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추가적으로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것은 예약 고객 단말로부터 예약 고객의 예상 도착 시각을 직접 입력받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로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예약 도착 시각이 빠른 예약 고객 단말에게 먼저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차이로 예약한 둘 이상의 예약 고객들에 대해서, 또는 소정의 범위 이내의 대기번호를 받은 예약 고객들에 대해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예측된 예상 도착 시각이 빠른 순으로 매장 입장 하도록 입장 통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제 매장에 근접한 고객을 먼저 매장에 입장할 수 있도록 입장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여 효율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예측되는 매장 도착 시각과 매장의 예약 상황을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한다(S340).
이때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것은,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의 차가 최소값이 되도록 매장 도착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되는 방문 최적 시각은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같거나 그 이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함에 있어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과 같거나 느리면,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보다 빠르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예약 고객 단말로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방문 최적 시각을 전송한다(S350).
매장 예약 고객이 몇시에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면 대기시간을 최소로하여 입장이 가능할지 최적 시각정보를 추천받아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방문 고객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매장 입장까지 대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 플랫폼 제공장치
110 : 위치 파악부 120 : 도착시각 예측부
130 : 메시지 전송부 140 : 최적 시각 산출부
20 : 스마트 키오스크 210 : 통신부
220 :메시지 수신부 230 : 메시지 표시부
240 : 위치 파악부 250 : 화면 표시부
260 : 예약 및 결제 처리부 30 : 예약 고객 단말

Claims (2)

  1.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위치 파악부에서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도착 시각 예측부; 및
    상기 도착 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착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매장의 예약 상황을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최적 시각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이고,
    상기 메시지 전송부가 예약 고객 단말로 상기 최적 시각 산출부에서 산출된 방문 최적 시각을 전송하고,
    상기 최적 시각 산출부는,
    상기 도착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같거나 늦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되,
    상기 도착 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의 차가 최소가 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며,
    상기 최적 시각 산출부는,
    도착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과 같거나 느리면,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상기 도착시각 예측부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보다 빠르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시간대별 방문 고객 평균 데이터를 더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며,
    상기 위치 파악부는,
    매장 내 키오스크를 통해 예약을 수행하거나,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최적 시각 산출부는,
    시간대별 방문 고객 평균 데이터에 따른 대기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예약 고객 단말로부터 예약 고객이 원하는 시각에 매장 입장이 가능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더 산출하여 제공하며,
    예약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고객이 원하는 시간 범위 내에서 매장 방문시 대기시간을 최소로하는 입장 예상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더 산출하여 제공하고,
    상기 도착시각 예측부는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와 매장 간 거리가 차량으로 이동해야 할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통상의 차량 속도를 반영하여 차량 이동 거리에 대한 이동 시간을 산출하고, 추가적으로 매장까지 도보가 필요한 이동 거리만큼은 평균 걸음 속도를 반영하여 복합적인 이동 수단의 속도에 기반한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예약 도착 시각이 빠른 예약 고객 단말에게 먼저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최적 산출부는 매장별 혼잡도와 대기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고객이 원하는 시각에 입장하기 위해서는 몇시에 방문하는 것이 좋은지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는 스마트 키오스크와 연동되되,
    상기 스마트 키오스크는
    상기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가 전송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수신부로 수신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에 기반하여, 매장 내 입장 안내를 위한 호출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예약 화면 및 결제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 표시부; 및
    상기 화면 표시부로 입력되는 예약 요청 및 결제 요청을 상기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로 전달하는 예약 및 결제 처리부; 를 더 포함하며,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을 구비한 통신부; 및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해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키오스크는,
    상기 위치 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와 연동하여 대기 알람 기능, 결제 기능, 열화상 카메라 촬영 기능, 및 음성 안내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기재된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과 매장 간 거리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에 기반하여 예약 고객 단말 또는 매장에 설치된 스마트 키오스크로 대기 및 예약 고객의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되는 매장 도착 시각과 매장의 예약 상황을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 및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예약 고객 단말로 상기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산출된 방문 최적 시각을 전송하며,
    상기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과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의 차가 최소값이 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과 같거나 느리면,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상기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을 예측하는 단계에서 예측되는 예약 고객의 매장 도착 시각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보다 빠르면, 예약 매장의 예약 상황에 따른 입장 예상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시간대별 방문 고객 평균 데이터를 더 반영하여 방문 최적 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매장 내 키오스크를 통해 예약을 수행하거나, 온라인 예약 웹 페이지 또는 예약 전용 앱을 통해 예약을 수행한 예약 고객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최적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는,
    시간대별 방문 고객 평균 데이터에 따른 대기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예약 고객 단말로부터 예약 고객이 원하는 시각에 매장 입장이 가능하도록 방문 최적 시각을 더 산출하여 제공하며,
    예약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예약 고객이 원하는 시간 범위 내에서 매장 방문시 대기시간을 최소로하는 입장 예상 시각을 방문 최적 시각으로 더 산출하여 제공하는,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방법.
KR1020240022446A 2021-02-08 2024-02-16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KR20240028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2446A KR20240028382A (ko) 2021-02-08 2024-02-16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37 2021-02-08
KR1020220003574A KR20220114471A (ko) 2021-02-08 2022-01-10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KR1020240022446A KR20240028382A (ko) 2021-02-08 2024-02-16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74A Division KR20220114471A (ko) 2021-02-08 2022-01-10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382A true KR20240028382A (ko) 2024-03-05

Family

ID=827412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74A KR20220114471A (ko) 2021-02-08 2022-01-10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KR1020240022446A KR20240028382A (ko) 2021-02-08 2024-02-16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74A KR20220114471A (ko) 2021-02-08 2022-01-10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20114471A (ko)
WO (1) WO2022169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772B1 (ko) * 2023-02-09 2024-01-18 (주)큐잉씨스템즈 위치기반 예약 및 자동 출결 확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700A (ko)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스마트 웨이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2936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엘토브 음식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641A (ko) * 2011-12-12 2013-07-22 주식회사 하나은행 방문 예약 서버 및 방법
KR101486513B1 (ko) * 2012-11-23 2015-01-26 주식회사 신세계 푸드 코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50828A (ko) * 2013-11-01 2015-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대기 순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700A (ko)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스마트 웨이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2936A (ko)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엘토브 음식점 예약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71A (ko) 2022-08-17
WO2022169063A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8888B2 (en) Bluetooth low energy (BLE) pre-check in
JP5958723B2 (ja) 待ち行列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164863B2 (en) Detecting relative crowd density via client devices
RU26485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осредством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на устройстве отображения
KR20240028382A (ko) 위치기반 대기 및 예약 o2o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그와 연동되는 스마트 키오스크
US20140122218A1 (en) Generating targeted group based offers to increase sales
JP2016100018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コンテンツ表示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184410A (ja) 注文方法および処理方法
US11120370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029649B1 (ko) 키오스크 앱 기반의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509137A (zh) 用于在预定位置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US20180268466A1 (en) Beacon service method, device and server
KR20160029896A (ko) 비콘 신호 인식에 기반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8530A (ko) 레거시 광고 플랫폼에 부가되는 동적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75774B1 (ko) 위치기반의 실시간 정보 검색 및 중계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105090A (ko) 서비스 연계를 통한 범용 예약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6576718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KR102130623B1 (ko) 포스 기반 고객 방문 유도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102506977B1 (ko) 위치 추적 기능을 구비한 대기 번호표 발행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67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102184382B1 (ko)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KR102321392B1 (ko)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43995B1 (ko) 서비스 가입 유도에 따른 회원유치 실적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10428B1 (ko) 비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JP7132892B2 (ja) 販売方法、販売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