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392B1 -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392B1
KR102321392B1 KR1020200001245A KR20200001245A KR102321392B1 KR 102321392 B1 KR102321392 B1 KR 102321392B1 KR 1020200001245 A KR1020200001245 A KR 1020200001245A KR 20200001245 A KR20200001245 A KR 20200001245A KR 102321392 B1 KR102321392 B1 KR 10232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ity service
iot device
service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115A (ko
Inventor
정규홍
정이현
Original Assignee
정규홍
정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홍, 정이현 filed Critical 정규홍
Priority to KR102020000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3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IOT DEVICE AND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MOBILITY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MOBILITY SERVICE USING THE SAME}
본원은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대두되는 21세기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의 수요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은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 나갈 주역으로 주목 받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이란 기존의 통신 유비쿼터스와 유사한 Machine-to-Machine(M2M) 개념으로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그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과 관련하여, 가정 내의 각종 스마트 기기를 통한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가 출시된바 있으며, 예를 들어 아파트의 각 가정 내에 설치되는 월패드를 통해 입주자들에게 상품 주문 등의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가 도입된바 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는 2010년대부터 기존 서비스보다 스마트함을 강조한 스마트 홈(Smart Home)이라는 용어로 표현되기 시작되어, 기업들의 신규 비즈니스 수익원으로 각광받았으나 표준 및 비즈니스 모델 부재 문제로 서비스 개발 및 확산 속도가 더디었다.
한편, 최근 들어 승객이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와 택시기사를 연결해 주는 택시 호출/배차 서비스는 흔히 찾아볼 수 있게 되었으나, 이러한 택시 호출/배차 서비스는 주로 스마트폰 앱 형태로 제공될 뿐 홈 IoT 디바이스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는 개발된바 없다. 또한, 카풀, 라이드쉐어링 등으로 표현되는 자동차 공유 서비스 역시 스마트 폰 앱 등을 통해 매칭이 이루어지거나 오프라인 상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카풀 제공자를 탐색하는 것에 의존하였을 뿐 홈 IoT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카쉐어링, 라이드쉐어링, 카풀 등의 차량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은 전무하였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82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월패드, 디스플레이 냉장고 등의 홈 IoT 디바이스를 통해 택시, 카쉐어링 등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예약(매칭)하고 예약(매칭)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 인가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는, 택시 호출 서비스 및 카쉐어링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출발 시간 정보, 도착 희망 시간 정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는,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요청부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매칭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IoT 디바이스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 인가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통합 관리 서버는, IoT 디바이스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차량을 매칭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부 및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상기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운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출발 시간 정보, 도착 희망 시간 정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는,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월패드, 디스플레이 냉장고 등의 홈 IoT 디바이스를 통해 택시, 카쉐어링 등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예약(매칭)하고 예약(매칭)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통합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 생성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100)(이하, IoT 디바이스(100)라 한다.),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통합 관리 서버(200)(이하, 통합 관리 서버(200)라 한다.), 사용자 단말(300) 및 운전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 통합 관리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및 운전자 단말(4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300) 및 운전자 단말(4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IoT 디바이스(100)는 아파트, 주택, 상가 건물, 사무실, 주거 공간 등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되되 센서 및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를 포괄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냉장고(100A) 등의 스마트 가전, 출입문 등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월패드(100B) 등 다양한 유형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IoT 디바이스(100)는 홈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300)은 IoT 디바이스(100)가 구비되는 아파트, 주택, 상가 건물, 사무실, 주거 공간 등 소정의 공간을 출입, 방문하거나 해당 공간에 거주하는 IoT 디바이스(100)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운전자 단말(400)은 IoT 디바이스(100)를 통해 요청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운전자가 보유한 단말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음성 인식 모듈에 인가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IoT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냉장고(100A)인 경우, 디스플레이 냉장고(100A)는 냉장고 문의 외면 일부 등 소정의 영역에 내부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 집안 온도, 습도 등의 주변 센싱 정보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냉장고(100A)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냉장고(100A)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형상화되는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서비스는 택시 호출 서비스 및 카쉐어링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택시 호출 서비스는 택시에 대한 즉시 배차 서비스, 특정 시점에서의 탑승을 예약하는 예약 배차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는 사용자가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 제공을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의 차량에 탑승할 탑승자를 검색하여 매칭해주는 것이거나 사용자가 카쉐어링을 통한 차량 탑승을 희망하는 경우, 목적지까지 사용자를 태워줄 카쉐어링 제공자를 검색하여 매칭해주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카쉐어링 서비스는 라이드쉐어링 서비스, 카풀 서비스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100)는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200)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출발 시간 정보, 도착 희망 시간 정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통합 관리 서버(200)가 전송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차량(1)을 매칭하여 생성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에 출발 시간 정보가 미포함된 경우, IoT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을 출발 시간 정보로 취급하여 이에 대응되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는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1) 정보,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운전자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차량(1)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차량(1) 정보,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운전자 정보는 후술하는 통합 관리 서버(200)에 구비된 운전자 DB(25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차량(1)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는 해당 운전자 단말(400) 또는 별도의 교통 정보 시스템(미도시)로부터 통합 관리 서버(200)가 획득하여 IoT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탑승자가 서비스 제공 차량(1)에 탑승한 경우의 탑승 정보,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동선) 정보 및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의 도착 정보 등을 포괄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서비스 제공 차량(1)에 탑승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 해당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운전자가 보유한 운전자 단말(400), 해당 서비스 제공 차량(1)에 구비되는 타코미터, OBD 등의 차량 탑재 단말(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술한 차량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IoT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IoT 디바이스(100)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달리 말해, 탑승자, 서비스 요청 대상자 등)가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1)에 탑승하여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의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IoT 디바이스(100)가 설치된 공간에 남아있는 다른 인원(예를 들면, 가족 구성원, 직장 동료 등)이 해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올바르게 목적지로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탑재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수신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 또는 차량 주행 정보를 표시(디스플레이)하거나 탑재된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 또는 차량 주행 정보와 연계된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표시 방식 및 음성 출력 방식을 모두 활용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 또는 차량 주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에 포함된 도착 예정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을 생성하고, 생성된 출발 알림을 기 설정된 시간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출발 알림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출발 알림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발 알림이 출력되는 기 설정된 시간은 IoT 디바이스(100)에 미리 인가된 알림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는 도착 예정 시간 5분전, 10분전 등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출발 알림 출력 시간에 대한 선택 항목을 제공하고, 제공된 선택 항목 중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이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100)는 별도로 수신된 해당 IoT 디바이스(100)가 설치된 가정의 건물 내 층수 정보, 해당 건물의 엘리베이터 운행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이 출력되는 시간을 설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출발 알림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 계좌 정보 등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결제를 위한 데이터를 미리 보유하여 모빌리티 서비스가 매칭되는 경우 매칭된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100)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100)는 해당 IoT 디바이스(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관리자 단말(미도시) 등과 연계하여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이 관리비, 월세 등 해당 건물을 사용함으로써 주기적으로 과금되는 소정의 요금에 합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획득하고,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보 및 해당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추출된 목적지 정보 및 한계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란, IoT 디바이스(100)에 별도의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IoT 디바이스(100) 또는 통합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가 설정한 스케쥴(개인 일정), 사용자의 통학 정보, 사용자의 통근 정보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모빌리티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사용자가 소정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IoT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는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에 대응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합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면, 추천 승인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스케쥴 정보는 IoT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스케쥴링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200)가 IoT 디바이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획득하고,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보 및 해당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추출된 목적지 정보 및 한계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IoT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해당 IoT 디바이스(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주거자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등록된 사용자 각각의 재학 학교 정보 또는 재직 직장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스케쥴 정보에 기초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소정의 사용자가 특정 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 해당 학교의 위치 정보, 해당 학교의 등하교 시간 정보 등을 미리 보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생성하여 IoT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소정의 사용자가 특정 직장에 재직 중인 경우, 해당 직장의 위치 정보, 해당 직장의 출퇴근 시간 정보 등을 미리 보유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생성하여 IoT 디바이스(1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IoT 디바이스(1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100)를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의 주변에 위치하여 영상 내 등장한 사용자의 성별 정보, 연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영상 정보를 통해 추출된 식별 정보 중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유형을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IoT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초등학생 등 소정 연령 이하로 어린 것으로 파악되면,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미리 설정된 캐릭터 화상, 카툰 형식의 화상 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IoT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성인인 것으로 파악되면, 전술한 캐릭터 화상, 카툰 형식의 화상 등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IoT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장년층, 노인 연령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각각의 텍스트의 크기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영상 정보를 통해 추출된 식별 정보 중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반영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는 파악된 사용자의 성별 정보가 여성인 것으로 파악되면,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여성 운전자에 의해 주행되는 서비스 제공 차량(1)을 우선적으로 매칭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관리 서버(200)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차량(1)을 매칭하는 경우, 여성 운전자에 의해 주행되는 서비스 제공 차량(1)을 우선적으로 매칭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영상 정보를 통해 추출된 식별 정보 중 사용자의 연령 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IoT 디바이스(100)를 통해 요청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의 유형을 일부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초등학생 등 소정 연령 이하로 어린 것으로 파악되면, 모빌리티 서비스 중 카쉐어링 서비스는 요청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택시 호출 서비스에 대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만을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IoT 디바이스(100)가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활용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IoT 디바이스(100)는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반영된 사용자 음성의 고유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성별 정보, 연령 정보 등)를 추출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영상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100)를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를 요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인원 수를 파악하고, 파악된 인원 수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100)는 파악된 인원 수가 소정의 수 이상인 경우, 대형 차량을 매칭해줄 것을 요청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100)는, 요청부(110), 매칭 정보 제공부(120) 및 센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부(110)는, 모빌리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요청부(1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200)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IoT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요청부(110)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음성 인식 모듈에 인가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매칭 정보 제공부(120)는, 통합 관리 서버(200)로부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정보 제공부(120)는 수신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IoT 디바이스(1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성별 정보, 연령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반영된 사용자 음성의 고유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통합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요청 수신부(210), 매칭부(220), 송신부(230), 사용자 DB(240) 및 운전자 DB(25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10)는, IoT 디바이스(100)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IoT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매칭부(220)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차량(1)을 매칭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부(220)는 복수의 운전자 각각에 대한 서비스 제공 차량(1) 정보, 운전자 정보 등을 저장하는 운전자 DB(25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전달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의 내용에 기초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여성 운전자를 우선적으로 매칭할 것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매칭부(220)는 운전자 DB(250)를 탐색하여 여성 운전자에 의해 주행되는 서비스 제공 차량(1)을 우선적으로 매칭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송신부(230)는,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IoT 디바이스(100) 및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운전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230)는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합 관리 서버(200)는 추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부는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획득하고,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보 및 해당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천부는 추출된 목적지 정보 및 한계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추천부는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는 송신부(230)에 의해 IoT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부는 IoT 디바이스(100)와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 스케쥴링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스케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DB(240)는 소정의 IoT 디바이스(100)가 설치되는 공간의 주거자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등록된 사용자 각각의 재학 학교 정보 또는 재직 직장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추천부는 사용자 DB(240)에 저장된 스케쥴 정보에 기초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IoT 디바이스(100) 및 통합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IoT 디바이스(100) 및 통합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요청부(110)는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20에서 요청부(11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200)의 요청 수신부(210)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30에서 매칭부(220)는 전송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차량(1)을 매칭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40에서 송신부(230)는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차량(1)의 운전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50에서 송신부(230)는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IoT 디바이스(100)의 매칭 정보 제공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60에서 매칭 정보 제공부(120)는 수신된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70에서 매칭 정보 제공부(120)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에 포함된 도착 예정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7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 생성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 생성 방법은 앞서 설명된 IoT 디바이스(100) 및 통합 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IoT 디바이스(100) 및 통합 관리 서버(2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의 추천부는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20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의 추천부는 획득된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30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의 추천부는 추출된 목적지 정보 및 한계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40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의 추천부는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기초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생성하여 IoT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IoT 디바이스
110: 요청부
120: 매칭 정보 제공부
130: 센서부
200: 통합 관리 서버
210: 요청 수신부
220: 매칭부
230: 송신부
240: 사용자 DB
250: 운전자 DB
300: 사용자 단말
400: 운전자 단말
1: 서비스 제공 차량
20: 네트워크

Claims (12)

  1.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발 알림의 출력 시간은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설치된 공간의 건물 내 층수 정보 및 상기 건물의 승강기 운행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하여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목적지 정보와 해당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따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에 대응하여 인가되는 추천 승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IoT 디바이스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 인가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는,
    택시 호출 서비스 및 카쉐어링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출발 시간 정보, 도착 희망 시간 정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는,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대금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8.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에 있어서,
    모빌리티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통합 관리 서버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요청부;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을 출력하는 매칭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출발 알림의 출력 시간은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설치된 가정의 건물 내 층수 정보 및 상기 건물의 승강기 운행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요청부는,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하여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목적지 정보와 해당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따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에 대응하여 인가되는 추천 승인 입력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인, IoT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성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IoT 디바이스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및 상기 음성 인식 모듈에 인가되는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는,
    택시 호출 서비스 및 카쉐어링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인, IoT 디바이스.
  11.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통합 관리 서버에 있어서,
    IoT 디바이스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따라 서비스 제공 차량을 매칭하고,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부; 및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를 상기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운전자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는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출발 알림을 출력하되, 상기 출발 알림의 출력 시간은 상기 IoT 디바이스가 설치된 가정의 건물 내 층수 정보 및 상기 건물의 승강기 운행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 또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하여 기 연동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목적지 정보와 해당 목적지까지의 한계 도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 적정 출발 시간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를 전송하는 추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추천 신호에 대응하여 인가된 추천 승인 입력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인, 통합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요청 신호는,
    출발 시간 정보, 도착 희망 시간 정보,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빌리티 서비스 매칭 정보는,
    매칭된 서비스 제공 차량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통합 관리 서버.
KR1020200001245A 2020-01-06 2020-01-06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2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45A KR102321392B1 (ko) 2020-01-06 2020-01-06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45A KR102321392B1 (ko) 2020-01-06 2020-01-06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15A KR20210088115A (ko) 2021-07-14
KR102321392B1 true KR102321392B1 (ko) 2021-11-03

Family

ID=7686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45A KR102321392B1 (ko) 2020-01-06 2020-01-06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3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50B1 (ko) * 2011-12-30 2014-10-16 윤성중 택시-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2768B1 (ko) * 2013-08-22 2015-09-14 한국과학기술원 사물 정보의 가상객체 생성을 위한 인스턴스 프로파일 스키마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9823A (ko) * 2013-09-10 2015-03-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택시 콜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택시 콜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850221B1 (ko) * 2016-02-23 2018-04-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 인터넷을 위한 규칙기반 상황인식에 의한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15A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24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location information
US20200256691A1 (en) System for generating travel route to be serviced by primary transportation service and secondary transportation service
US11713972B2 (en) System for navigating drivers to passengers based on start times of events
US20190073738A1 (en) System to facilitate a correct identification of a service provider
CN110462655B (zh) 运力调度系统和方法
CN109376311A (zh) 适用于多个共乘模型的驾驶员-乘车者匹配的系统、方法和装置
JP6058139B2 (ja) 公共輸送機関ナビゲータ
JP2019528427A (ja) 経路計画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014527A1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US20180101878A1 (en) System for navigating drivers to passengers based on arrival times and surge pricing information
JP2018120596A (ja) 車共有ユーザ仲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412264A (zh) 预先缓存与旅行目的地相关的数据
US20150161533A1 (en)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on-dem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11120370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US20160063616A1 (en) Techniques for completing pre-arranged transactions
KR20200011109A (ko) 인공지능 기반 자동매칭을 통하여 당사자의 정보 쌍방교환 및 매칭거부를 제로화한 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70169622A1 (en) System for Navigating Driver to Passenger for Ride Authorized by Another User of Transporation Service
KR102321392B1 (ko) 모빌리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IoT 디바이스와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09156A (ko) O2o 기반 택시, 관광객 및 관광지를 연결하는 다국어 지원 서비스를 이용한 통합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
US11263716B2 (en) Rendering digitized services in a smart environment
KR101431754B1 (ko) 광고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US20230140057A1 (en) Conversational user experience for multimodal travel system
US20220148035A1 (en) Predicting uti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 and managing travel demand
KR20240029890A (ko) 모빌리티에 대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80003311A (ko) 대리 운전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