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382B1 -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382B1
KR102184382B1 KR1020180157983A KR20180157983A KR102184382B1 KR 102184382 B1 KR102184382 B1 KR 102184382B1 KR 1020180157983 A KR1020180157983 A KR 1020180157983A KR 20180157983 A KR20180157983 A KR 20180157983A KR 102184382 B1 KR102184382 B1 KR 10218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dule
access network
request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637A (ko
Inventor
최성돈
Original Assignee
최성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돈 filed Critical 최성돈
Priority to KR102018015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3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n the policy decisions are valid for a limited amount of time

Abstract

본 발명은 요청단말기가 콘텐츠 열람에 따라 인터넷 접속망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망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급자는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수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호세기 또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한 불필요한 콘텐츠 열람을 방지할 수 있는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Supplying system based on reading contents for internet access network}
본 발명은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인터넷 접속망 제공업체 또는 개인단말기가 별도의 콘텐츠 제공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광고 등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인 이동단말기는 콘텐츠를 열람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인터넷 접속망과의 접속이 이루어짐으로써 공급자 및 수요자 모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인프라가 확장되고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밀화 및 고도화됨에 따라, 현대인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각종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망으로는 대표적으로 1)와이파이(Wi-Fi) 등과 같이 통신사의 요금제와 무관하게 제공되는 방식과, 2)3G, 4G, 5G, LTE 등과 같이 통신사의 요금제에 연동하여 제공되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이때 와이파이는 접속된 모든 노드들에게 통신망을 제공하는 개방형과, 접속된 노드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한 한정된 노드들에게만 통신망을 제공하는 비개방형으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의 와이파이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지하철, 카페, 사무실, 식당 등에서 제공하는 비개방형 통신망 또는 개방형 통신망에 접속하게 되고, 이들 중 개방형 통신망 또는 비밀번호를 인지하고 있는 비개방형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파이 제공방식은 다음의 문제점을 갖는다.
- 개방형 와이파이
개방형 와이파이는 주로 지하철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적용되며, 접속되는 모든 노드들에게 인터넷망을 제공한다.
그러나 개방형 와이파이의 경우, 해당 장소를 방문한 이용객들에게 인터넷망을 무료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있으나,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와이파이 제공에 따른 경제적 이득이 전혀 없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지하철 개방형 와이파이의 경우, 단순히 지하철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무료 인터넷망을 제공하여 편의성을 높인다는 목적 이외에는 와이파이 제공에 따른 이득이 전혀 없어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 비개방형 와이파이
비개방형 와이파이는 카페, 사무실, 식당 등에서 적용되며, 접속되는 노드들 중 비밀번호를 입력한 한정된 노드들에게만 인터넷망을 제공한다.
그러나 비개방형 와이파이의 경우, 개방형 와이파이와 마찬가지로 와이파이 제공에 따른 경제적 이득이 미비할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의 노출로 인해 해당 장소의 방문과 상관없는 유저가 인접한 위치에서 와아피이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카페 비개방형 와이파이의 경우, 카페와 인접한 위치에 사는 유저는 비밀번호를 최초 1회 입력한 이후에는, 해당 비개방형 와이파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테더링(Tethering)
테더링은 스마트폰 자체가 중계기 역할을 하여 접속된 승인된 노드들에게 무선 인터넷망을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테더링의 대표적인 활용방법으로는 1)스마트폰과 IT기기들을 연결하여 IT기기들을 무선랜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2)다른 스마트폰들과 연결하여 다른 스마트폰들을 무선랜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테더링은 유저가 자신이 승인된 노드들에게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온라인 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광고 시장 또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넘어가 온라인 광고시장의 수요도 및 시장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광고는 광고 공급자가 특정 사이트에 광고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찰을 통해 선택되어야하기 때문에 공급자들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입찰가가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특정 사이트에서의 온라인 광고는 Sponsored Product 캠페인, 검색광고, 배너광고, 메인광고 및 카테고리 광고 등으로 이루어져 구매자의 관심도와 상관없이 모든 구매자에게 동일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광고 수수료 대비 광고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광고 공급자가 개인인 경우, 특정 사이트를 통한 입찰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개인 광고 공급자가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더욱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온라인 광고는 광고 공급자가 특정 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광고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스팸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 콘텐츠를 공급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술하였던 방식에 비교하여 광고효율성이 더욱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온라인 광고는 시장성 및 수요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였으나, 광고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즉 무선인터넷망 제공을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1)무선인터넷 제공에 따른 경제적 이득을 높임과 동시에 2)광고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110272호(발명의 명칭 : 인터넷 연결방법 및 광고시청에 따른 무료 인터넷 이용시스템)에 개시된 광고시청에 따른 무료 인터넷 이용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광고시청에 따른 무료 인터넷 이용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사용자 단말로서 무선 및/또는 유선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120)와, 사용자가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웹브라우저를 통해 인증절차를 거치며, 인증과정 중 광고시청에 의해 무료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 재 인증 절차를 거치는 동작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웹서버(110)와, 후술되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웹서버(110)에 연결된 단말기(120)에 대한 인증절차를 진행하는 동안의 광고 시청에 따라 무료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서버(130), 공개된 와이파이이며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단말기(120) 및 웹서버(110)를 연결시키는 네트워크(140)로 이루어진다.
웹서버(110)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단말기(120)로부터 인터넷 사용 인증을 요청받으면 인증을 수행한 후, 광고서버(130)로부터 입력되는 광고를 해당 단말기(120)에 전송하여 단말기(120)에 의해 광고 시청이 완료되면 단말기(120)로 네트워크(14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공공기관이나 공개된 장소에서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에 연결 시 공개된 와이파이에 접속한 후 웹브라우저를 통한 인증을 거쳐 사용승인을 얻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웹서버(110)가 네트워크(140)를 공급하는 공유기, 라우터, 중계기 등의 공급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공급 장치로 접속을 요청한 노드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웹서버(110) 및 공급 장치가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영이 가능하나, 스마트폰 등과 같아 공급 장치가 이동식인 경우에는 구현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특히 최근 들어 스마트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테더링 사용도가 확장되고 있는데, 종래기술(100)은 네트워크(140)를 공급하는 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접속대상의 선택이 공급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접속 가능한 접속망을 선택할 수 없어 일방향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동 또는 특정 장소 방문 시 다양한 와이파이들과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데, 종래기술(100)은 단순히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웹서버(110)에서 접속대상인 사용자를 택일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의도 및 관심도와는 상관없이 특정 와이파이에 접속해야만 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광고서버(130)가 해당 장소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1)광고서버(130)가 해당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테더링 등과 같이 개인단말기에서는 운영이 불가능한 구조적 한계를 갖고, 2)광고서버(130)가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파일크기가 큰 동영상이 광고일 때, 광고서버(130)로부터 단말기(120)로의 광고파일 전송이 광고서버(130) -> 웹서버(110) -> 단말기(120)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및 코딩 연산처리로 인한 부하로 인해 단말기(120)에서의 광고 전시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요청단말기가 콘텐츠 열람에 따라 인터넷 접속망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망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급자는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가 자신의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수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사용자가 신호세기 또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한 불필요한 콘텐츠 열람을 방지할 수 있는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접속망을 제공하는 접속망 공급단말기들과,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망들에 접속 가능한 요청단말기들과, 상기 공급단말기들 및 상기 요청단말기들에 설치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접속망 공급단말기로부터 기 제작된 콘텐츠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접속망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망 공급단말기들에서 운영되는 공급모드 운영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요청단말기들에서 운영되는 요청모드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는 실행 시,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킨 후 접속 가능한 접속망을 탐색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접속망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며,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에서 콘텐츠 열람이 완료되면, 해당 공급모드 운영부로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여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의 요청단말기가 해당 공급모드 운영부의 공급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접속망에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콘텐츠들이 단말기 식별정보 또는 접속망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접속가능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접속가능정보의 접속망들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지 않은 접속망을 제외시킨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는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의 접속망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요청받은 콘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콘텐츠 열람이 확인되었다는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구동되며, 해당 공급모드 운영부로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라는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증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는 실행 시,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통신모듈 활성화모듈; 접속 가능한 접속망들을 탐색하며, 상기 접속가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접속망 탐색 및 접속가능정보 생성모듈;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시하는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접속대상 리스트들의 접속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접속망의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열람하며, 콘텐츠 열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는 열람판별모듈; 상기 열람판별모듈에 의해 콘텐츠 열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동작하여 열람 확인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열람 확인데이터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모드 운영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등록받을 때,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중 등록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중 사용자로부터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적어도 2개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의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는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접속가능정보를 입력받는 접속가능정보 입력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탐색하여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과 비교하는 탐색 및 비교모듈; 상기 탐색 및 비교모듈을 통해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중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제외시키는 데이터 필터링모듈; 기 등록된 각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데이터 필터링모듈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않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각의 콘텐츠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정보들을 추출한 후, 해당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의 우선순위에 비례하는 관심도를 산출하는 관심도 산출모듈; 상기 데이터 필터링모듈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않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관심도를 매칭시킨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하는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의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은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의 접속망들의 관심도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를 정렬시키는 관심도 기반 정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모드 운영부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접수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접수받은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는 콘텐츠 접수모듈;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의 요청단말기가 자신의 접속망 공급단말기가 제공하는 접속망에 접속되도록 접속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실행모듈; 인증이 실행된 이후 경과시간(t)을 산출하는 타이머모듈; 상기 타이머모듈에 의해 산출된 경과시간(t)이 기 설정된 인증주기(T)에 도달하면, 재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재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모드 운영부로부터 재인증을 요청받으면, 해당 콘텐츠를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여 콘텐츠 열람 및 재인증 과정을 재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의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은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의 접속망들의 신호세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신호세기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를 정렬시키는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 상기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에 의해 정렬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시하는 전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망은 와이파이(Wi-fi) 또는 테더링(Tethe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청단말기가 콘텐츠 열람에 따라 인터넷 접속망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망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급자는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수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호세기 또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한 불필요한 콘텐츠 열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110272호(발명의 명칭 : 인터넷 연결방법 및 광고시청에 따른 무료 인터넷 이용시스템)에 개시된 광고시청에 따른 무료 인터넷 이용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요청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공급모드 운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7의 요청모드 운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망(20)을 공급하는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과, 와, 통신 공급단말기(5)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망(20)과의 접속을 요청하는 요청단말기(7-1), ..., (7-N)들과, 단말기(5), (7-1), ..., (7-N)들 각각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관리서버(3)와 연동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들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관리서버(3)와, 접속망 공급단말기(5)에서 제공하여 접속되는 단말기들을 통신망(10)과 접속시키는 인터넷 접속망(20)과, 관리서버(3) 및 단말기(5), (7-1), ..., (7-N)들 사이이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5), (7-1), ..., (7-N)들이 통신망(10)과 접속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말기(5), (7-1), ..., (7-N)들은 통신망(10)과 연결되어 관리서버(3)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관리서버(3) 및 단말기(5), (7-1), ..., (7-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 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망, 이동통신망, 3G, 4G, 5G, 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넷 접속망(20)은 접속망 공급단말기(5)로부터 제공되어 접속되는 단말기들을 통신망(10)과 접속시키는 네트워크망이며, 상세하게로는 와이파이(Wi-Fi) 또는 해당 공급단말기(5)에 적용되는 테더링(Tethe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테더링을 통해 접속된 요청단말기(7)들은 접속망 공급단말기(5)에서 사용하는 통신망(10)을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은 통신망(20)과의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망(20)을 제공하는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라우터, 공유기, 중계기,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1)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이 가 라우터, 공유기 및 중계기인 경우 인터넷 접속망(20)은 와이파이일 수 있고, 2)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이 스마트폰인 경우 인터넷 접속망(20)은 테더링일 수 있다.
또한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망(10)과 연결되어 관리서버(3)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접속망 공급단말기(5)는 후술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이 설치된다.
요청단말기(7-1), ..., (7-N)들은 인터넷 접속망(20)에 접속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스마트폰, 태플릿PC, 노트북, PDA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청단말기(7-1), ..., (7-N)들 각각에는 후술되는 도 7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이 설치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은 단말기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은 공급모드 및 요청모드로 운영되며, 상세하게로는 1)유저에 의해 공급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를 접속망 공급단말기(5)로 운영하고, 2)유저에 의해 요청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단말기를 요청단말기(7)로 운영하게 된다.
이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이 공급모드로 운영될 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이라고 명칭하기로 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이 요청모드로 운영될 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이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은 접속망 공급단말기(5)에 설치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은 관리서버(3)로부터 요청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요청단말기(7)의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과 접속하여 인터넷 접속망(20)의 접속에 필요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은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요청단말기(7)의 접속시간(t)을 카운팅 하며, 접속시간(t)이 기 설정된 재인증주기(T)가 되면 관리서버(3)로 콘텐츠 재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3)의 제어에 따라 해당 요청단말기(7)에서 콘텐츠 재열람이 이루어지면 관리서버(3)는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 재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은 재인증을 수행한다.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요청단말기(7-1), ..., (7-N)들 각각에 설치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이다.
또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유저에 의해 실행되면, 해당 요청단말기(7)의 와이파이 및 테더링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실시간으로 접속되는 인터넷 접속망(20)을 탐색하며, 탐색되는 인터넷 접속망(20)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포함하는 접속가능정보를 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접속가능정보를 전송받으면, 기 등록된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탐색하여 전송받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중 등록되지 않은 식별정보들을 제외시켜 등록된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로만 이루어지는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한다.
또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관리서버(3)로부터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를 요청단말기(7)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전시되는 접속대상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유저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접속대상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데이터를 관리서버(3)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 제작된 콘텐츠를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 전송한다.
또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며, 콘텐츠 열람이 완료되면, 관리서버(3)로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하고,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단말기 식별정보의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인증 작업 시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과 연동하여 인증에 관련된 절차를 수행한다.
관리서버(3)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을 관리 및 제어하는 서버이다.
또한 관리서버(3)는 유저(공급자)에 의해 기 제작된 콘텐츠를 등록받아 저장한다. 이때 관리서버(3)는 콘텐츠를 해당 접속망 공급단말기(5)의 식별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중 등록받은 콘텐츠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유저로부터 선택받으며, 선택된 카테고리 정보를 콘텐츠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접속가능정보를 전송받으면, 기 등록된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탐색하여 접속가능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들 중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제외한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 전송한다. 이때 접속대상 리스트에는 각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나타내는 정보,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선택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콘텐츠 요청데이터에 포함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키워드로 하여 기 등록된 콘텐츠를 추출한 후, 추출된 콘텐츠를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 전송한다. 이때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전송받은 콘텐츠의 열람이 완료되면, 관리서버(3)로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에 의해 접속을 요청한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의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은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망(2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3)는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부터 콘텐츠 재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다시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 콘텐츠를 전송하여 전술하였던 과정을 반복한다.
도 4는 도 2의 요청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요청단말기(7)는 인터넷 접속망(20)과의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청단말기(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71)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72)와, 통신망(10) 또는 인터넷 접속망2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73)과, 요청단말기(7)의 O.S(Operating System)를 담당하는 제어모듈(74)과,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수신 받는 GPS모듈(75)과, 후술되는 도 7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모듈(76)로 이루어진다.
이때 만약 접속망 공급단말기(5)가 스마트폰인 경우, 접속망 공급단말기(5)는 도 4의 요청단말기(7)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도 2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관리서버(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와, 데이터베이스부(31), 통신 인터페이스부(32), 인터페이스 관리부(33), 콘텐츠 등록 및 매칭부(34),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35),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36), 인증관리부(37)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관리서버(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부터 콘텐츠 등록을 요청받으면, 콘텐츠 등록 및 매칭부(34)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접속가능정보를 전송받으면,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35)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36)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인증관리부(37)를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부터 재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36)를 재동작시킨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의 프로그램 파일, 업데이트 정보, 펌웨어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회원정보, 개인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때 회원정보에는 단말기 식별정보 및 해당 유저의 관심사인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관심 카테고리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콘텐츠 등록 및 매칭부(34)에 의해 등록된 콘텐츠들과, 각 콘텐츠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정보 및 단말기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되는 접속대상 리스트가 임시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2)는 통신망(10)을 통해 접속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33)는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 및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을 관리 및 제어한다.
콘텐츠 등록 및 매칭부(34)는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으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함과 동시에 유저로부터 입력된 해당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 및 단말기 식별정보를 콘텐츠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한다.
이때 카테고리는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시킬 수 있는 종류로 정의되고,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410)은 유저로부터 해당 콘텐츠에 관련된 카테고리를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적어도 2개 이상을 입력받는다.
도 6은 도 5의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35)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접속가능정보를 전송받을 때 동작한다.
또한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가능정보 입력모듈(351)과, 탐색 및 비교모듈(352), 데이터 필터링모듈(353), 관심도 산출모듈(354),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모듈(355)로 이루어진다.
접속가능정보 입력모듈(351)은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전송받은 접속가능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접속가능정보는 해당 요청단말기에서 접속되는 인터넷 접속망(20)을 제공하는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탐색 및 비교모듈(352)은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기 등록된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탐색하여 전송받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비교한다.
데이터 필터링모듈(353)은 탐색 및 비교모듈(352)을 통해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중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제외시킨다.
관심도 산출모듈(354)은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의 유저로부터 최초 등록된 관심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의 관심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관심도 산출모듈(354)은 데이터 필터링모듈(353)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않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각의 콘텐츠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정보들을 추출한다.
또한 관심도 산출모듈(354)은 관심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정보들을 추출한 후, 해당 관심 카테고리의 우선순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관심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A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에 관심 카테고리가 2순위로 설정되고, B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에 관심 카테고리가 1순위로 설정되고, C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에 관심 카테고리가 3순위로 설정되는 경우, 관심도는 B콘텐츠 -> A콘텐츠 -> C콘텐츠의 순서대로 낮아지게 된다.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모듈(355)은 데이터 필터링모듈(353)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않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관심도를 매칭시킨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모듈(355)에 의해 생성되는 접속대상 리스트는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 전송된다.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36)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동작한다.
또한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36)는 기 등록된 콘텐츠들을 탐색하여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7)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추출한다. 이때 추출된 콘텐츠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7)으로 전송된다.
인증관리부(36)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동작하며, 열람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5)으로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7은 도 2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은 접속망 공급단말기(5) 및 요청단말기(7)에 설치되어 관리서버(3)와 연계하여 인터넷 접속망(20)과의 인증 및 콘텐츠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40)과, 데이터 입출력부(41), 인터페이스 처리부(43), 공급모드 운영부(45), 요청모드 운영부(47)로 이루어진다.
제어부(4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41), (42), (43), (45), (4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최초 유저에게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유저로부터 공급모드를 선택받으면 공급모드 운영부(45)를 구동시키되, 유저로부터 요청모드를 선택받으면 선택모드 운영부(47)를 구동시킨다.
데이터 입출력부(41)는 단말기(5, 7)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인터페이스 처리부(42)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단말기의 모니터에 전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연산을 처리한 후 결과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42)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4) 실행 시, 사용자로부터 공급모드 또는 요청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도 8은 도 7의 공급모드 운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공급모드 운영부(4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접수모듈(451)과, 인증실행모듈(452), 타이머모듈(453), 재인증 판별모듈(454), 콘텐츠 재요청데이터 생성모듈(455)로 이루어진다.
콘텐츠 접수모듈(451)은 인터페이스 처리부(42)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공급자(유저)로부터 콘텐츠와, 콘텐츠 카테고리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접속망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콘텐츠 접수모듈(451)은 입력된 콘텐츠, 콘텐츠 카테고리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 및 접속망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등록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콘텐츠 접수모듈(451)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등록요청데이터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접속망 공급단말기(5)를 통해 관리서버(3)로 전송된다.
인증실행모듈(452)은 관리서버(3)로부터 인증대상인 요청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데이터 또는 재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구동되며, 자신이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망(20)에 접속 요청한 요청단말기들 중 전송받은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요청단말기와 접속하여 인증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한다.
타이머모듈(453)은 인증실행모듈(452)에 의해 인증이 실행된 이후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
재인증 판별모듈(454)은 타이머모듈(453)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t)이 기 설정된 인증주기(T)에 도달하면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7)의 재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콘텐츠 재요청데이터 생성모듈(455)은 재인증 판별모듈(454)에 의해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7)의 재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구동되며, 해당 요청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재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콘텐츠 재요청데이터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3)로 전송된다.
도 9는 도 7의 요청모드 운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요청모드 운영부(47)는 요청단말기(7)들 각각에 설치되며, 관리서버(3)와 연동하여 접속되는 인터넷 접속망(20)으로 접속을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요청모드 운영부(4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 활성화모듈(470)과, 접속망 탐색모듈(471), 접속가능정보 생성모듈(472),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473), 콘텐츠 요청데이터 생성모듈(474), 콘텐츠 전시모듈(475), 열람판별모듈(476), 열람 확인데이터 생성모듈(477), 제2 인증실행모듈(478)로 이루어진다.
통신모듈 활성화모듈(470)은 인터페이스 처리부(42)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탐색을 요청받을 때 구동되며, 해당 요청단말기(7)의 인터넷 접속망(2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통신모듈, 테더링 접속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망 탐색모듈(471)은 통신모듈 활성화모듈(470)에 의해 요청단말기(7)의 통신모듈이 활성화되면 구동되며, 해당 요청단말기(7)에서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20)들을 탐색한다.
접속가능정보 생성모듈(472)은 접속망 탐색모듈(471)에 의해 탐색된 인터넷 접속망(20)들을 나타내는 접속가능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접속가능정보는 탐색된 인터넷 접속망(20)들 각각의 접속망 식별정보 또는 탐색된 인터넷 접속망(20)들을 제공한 접속망 공급단말기(5)들 각각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포함한다.
이때 접속망 탐색모듈(471)에 의해 생성된 접속가능정보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3)로 전송되고, 관리서버(3)는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접속가공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전송받은 접속가공정보를 활용하여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 전송한다.
도 10은 도 9의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47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대상 리스트 입력모듈(4731)과, 관심도 기반 정렬모듈(4732),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4733), 전시모듈(4744)로 이루어진다.
접소대상 리스트 입력모듈(4731)은 관리서버93)로부터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접속대상 리스트는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20)들의 접속망 식별정보 및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관심도를 포함한다.
관심도 기반 정렬모듈(4732)은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 입력모듈(4731)을 통해 입력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관심도의 순서에 따라 정렬시킨다. 즉 유저는 자신의 관심 카테고리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망(20)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에 따른 열람의 집중도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4733)은 유저의 요청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의 각 인터넷 접속망(20)과의 신호세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신호세기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를 정렬시킨다. 즉 유저는 자신이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20)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큰 인터넷 접속망(20)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시모듈(4734)은 관심도 기반 정렬모듈(4732) 또는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4733)에 의해 정렬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요청단말기(7)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전시모듈(4734)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리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렬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시하게 되고, 리스트 인터페이스는 전시되는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를 유저로부터 선택받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요청데이터 생성모듈(474)은 리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로부터 특정 인터넷 접속망(20)이 선택될 때 구동되며,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콘텐츠 요청데이터에는 선택된 인터넷 접속망(20)의 접속망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요청데이터 생성모듈(474)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요청데이터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관리서버(3)로 전송된다.
콘텐츠 전시모듈(475)은 관리서버(3)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요청단말기(5)의 모니터(72)에 전시한다.
열람판별모듈(476)은 콘텐츠 전시모듈(475)을 통해 전시되는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열람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열람 확인데이터 생성모듈(477)은 열람판별모듈(476)에 의해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열람되었다고 판별될 때 구동되며, 해당 요청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열람 확인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열람 확인데이터 생성모듈(477)에 의해 생성된 열람 확인데이터를 관리서버(3)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으로부터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5)으로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제2 인증실행모듈(478)은 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5)의 인증실행모듈(452)과 연동하여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430)이 인터넷 접속망(20)에 접속되도록 인증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1)은 요청단말기가 콘텐츠 열람에 따라 인터넷 접속망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망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급자는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1)은 사용자가 자신의 접속 가능한 인터넷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수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1)은사용자가 신호세기 또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접속망을 택일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한 불필요한 콘텐츠 열람을 방지할 수 있다.
1: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3:관리서버 4:서비스 어플리케이션
5:접속망 공급단말기들 7-1, ..., 7-N:요청단말기들
10:통신망 20:인터넷 접속망 30:제어부
31:데이터베이스부 32:통신 인터페이스부
33:인터페이스 관리부 34:콘텐츠 등록 및 매칭부
35: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 36: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
37:인증관리부 40:제어부 41:데이터 입출력부
43:인터페이스 처리부 45:공급모드 운영부
47:요청모드 운영부 351:접속가공정보 입력모듈
352:탐색 및 비교모듈 353:데이터 필터링모듈
354:관심도 산출모듈 355: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모듈
410:공급모드 어플리케이션 430: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
470:통신모듈 활성화모듈 471:접속망 탐색모듈
472:접속가능정보 생성모듈 473: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
474:콘텐츠 요청데이터 생성모듈
475:콘텐츠 전시모듈 476:열람판별모듈
477:열람확인데이터 생성모듈 478:제2 인증실행모듈
4731:접속대상 리스트 입력모듈 4732:관심도 기반 정렬모듈
4733: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 4734:전시모듈

Claims (6)

  1. 접속망을 제공하는 접속망 공급단말기들과,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접속망들에 접속 가능한 요청단말기들과, 상기 공급단말기들 및 상기 요청단말기들에 설치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관리 및 제어하며 상기 접속망 공급단말기로부터 기 제작된 콘텐츠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접속망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망 공급단말기들에서 운영되는 공급모드 운영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요청단말기들에서 운영되는 요청모드 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는
    실행 시,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킨 후 접속 가능한 접속망을 탐색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접속망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출하여 추출된 콘텐츠를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며,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에서 콘텐츠 열람이 완료되면, 해당 공급모드 운영부로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여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의 요청단말기가 해당 공급모드 운영부의 공급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접속망에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콘텐츠들이 단말기 식별정보 또는 접속망 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접속가능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접속가능정보의 접속망들 중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지 않은 접속망을 제외시킨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는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의 접속망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요청받은 콘텐츠를 추출한 후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는 콘텐츠 탐색 및 추출부;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콘텐츠 열람이 확인되었다는 열람 확인데이터를 전송받으면 구동되며, 해당 공급모드 운영부로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의 접속 인증을 수행하라는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증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는
    실행 시, 상기 통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통신모듈 활성화모듈;
    접속 가능한 접속망들을 탐색하며, 상기 접속가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접속망 탐색 및 접속가능정보 생성모듈;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시하는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에 의해 전시되는 접속대상 리스트들의 접속망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면, 선택받은 접속망의 식별정보 또는 단말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 생성모듈;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콘텐츠를 열람하며, 콘텐츠 열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는 열람판별모듈;
    상기 열람판별모듈에 의해 콘텐츠 열람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 동작하여 열람 확인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열람 확인데이터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모드 운영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등록받을 때,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중 등록된 콘텐츠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유저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며,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로부터 기 설정된 카테고리들 중 사용자로부터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적어도 2개 이상의 관심 카테고리들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관리서버의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부는
    해당 요청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접속가능정보를 입력받는 접속가능정보 입력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기 등록된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탐색하여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과 비교하는 탐색 및 비교모듈;
    상기 탐색 및 비교모듈을 통해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중 등록되지 않은 단말기 식별정보들을 제외시키는 데이터 필터링모듈;
    기 등록된 각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데이터 필터링모듈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않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각의 콘텐츠에 매칭되는 카테고리 정보들을 추출한 후, 해당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추출된 카테고리 정보들 각각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의 우선순위에 비례하는 관심도를 산출하는 관심도 산출모듈;
    상기 데이터 필터링모듈에 의해 필터링 되지 않은 접속가능정보의 단말기 식별정보들,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카테고리 정보, 각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관심도를 매칭시킨 접속대상 리스트를 생성하는 접속대상 리스트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의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은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의 접속망들의 관심도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를 정렬시키는 관심도 기반 정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제공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드 운영부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접수받아 상기 관리서버로 접수받은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는 콘텐츠 접수모듈;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인증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의 요청단말기가 자신의 접속망 공급단말기가 제공하는 접속망에 접속되도록 접속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실행모듈;
    인증이 실행된 이후 경과시간(t)을 산출하는 타이머모듈;
    상기 타이머모듈에 의해 산출된 경과시간(t)이 기 설정된 인증주기(T)에 도달하면, 재인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재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모드 운영부로부터 재인증을 요청받으면, 해당 콘텐츠를 해당 요청모드 운영부로 전송하여 콘텐츠 열람 및 재인증 과정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제공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모드 운영부의 상기 접속대상 리스트 정렬 및 전시모듈은
    전송받은 접속대상 리스트의 접속망들의 신호세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신호세기에 따라 접속대상 리스트를 정렬시키는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
    상기 신호세기 기반 정렬모듈에 의해 정렬된 접속대상 리스트를 전시하는 전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제공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은 와이파이(Wi-fi) 또는 테더링(Tethe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망 제공시스템.
KR1020180157983A 2018-12-10 2018-12-10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KR10218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83A KR102184382B1 (ko) 2018-12-10 2018-12-10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83A KR102184382B1 (ko) 2018-12-10 2018-12-10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37A KR20200070637A (ko) 2020-06-18
KR102184382B1 true KR102184382B1 (ko) 2020-11-30

Family

ID=7114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983A KR102184382B1 (ko) 2018-12-10 2018-12-10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3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78B1 (ko) * 2010-11-24 2012-04-30 성 완 김 무료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59B1 (ko) * 2010-06-04 2016-08-18 네이버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08174B1 (ko) * 2011-11-15 2017-12-12 주식회사 케이티 와이파이(wifi)시스템의 공유기 자동 선택장치 및 방법
KR20170110272A (ko) * 2016-03-23 2017-10-11 안철수 인터넷 연결방법 및 광고시청에 따른 무료 인터넷 이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78B1 (ko) * 2010-11-24 2012-04-30 성 완 김 무료 광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37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043B1 (en) Multi-channel geo-fencing systems and methods
US11640739B2 (en) Method and systems for event entry with facial recognition
KR101971134B1 (ko) 식별, 위치결정 및 인증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4509137B (zh) 用于在预定位置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US20170293963A1 (en) Discovery engine storefront
KR102004328B1 (ko) 모바일 키오스크형 주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3480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spitality services using beacons
US20140006451A1 (en) Remote-Controllable Kiosk
KR102399440B1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11729578B1 (en) Real time custom interfaces through multi-channel geo-fencing
US20210243279A1 (en) Event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s at a Venue
JP2018025862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7101062A4 (en) Frameworks and methodologies configured to enable biometric payments using locally stored biometric data
KR20180118398A (ko) 혜택 기반 상품 추천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10152548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er
KR102184382B1 (ko)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JP2021527905A (ja) ジオフェンスベースの位置追跡および通知トリガシステム
US20180336212A1 (en) Search result prioritization based on device location
US87311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secure transactions within a defined geographic region
AU2015101271A4 (en) A hotel management system adapted for interfacing with authori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2250145B1 (ko)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1282267B1 (ko) 엔에프씨 통신을 이용한 미디어 단말기의 화면제어시스템 및 방법
US20230214886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entry trigger, applic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application implementing the same
US20220138751A1 (en) Remote server processing
KR20180041030A (ko) 방문자 인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