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45B1 -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45B1
KR102250145B1 KR1020190061986A KR20190061986A KR102250145B1 KR 102250145 B1 KR102250145 B1 KR 102250145B1 KR 1020190061986 A KR1020190061986 A KR 1020190061986A KR 20190061986 A KR20190061986 A KR 20190061986A KR 102250145 B1 KR102250145 B1 KR 10225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obile terminal
service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208A (ko
Inventor
이성호
위장우
최종욱
박용현
이주원
유웅선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9006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1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이,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객체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복수개의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선택 목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개의 서비스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 항목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METHOD FOR PROVIDING USER CONVENIENCE SERVICE BASED ON PROXIMAT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BJECT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객체가 소정 거리 내에 근접하여 모바일 단말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면, 서버는 해당 객체에 대한 다양한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바, 사용자에게 카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카드 서비스 이용자의 편의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카드 서비스 이용 내역 확인 및 한도 확인 등의 이용 카드에 대한 정보 조회 또는 확인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카드사의 웹페이지로 접속하여 조회하여야 하는 바, 사용자의 카드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오늘날 많은 대도시 소비자들은 여러 장의 플라스틱 카드를 소유하고 있는데,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각각의 플라스틱 카드를 통해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일정 기간 동안 자신이 카드를 얼마나 사용했고 얼마나 더 사용할 수 있는지 등을 궁금해한다. 바쁜 현대인들이 개별 카드의 혜택과 사용 내역을 일일이 기억하기는 어렵다. 이를 확인하려면 카드사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조회해야 하는데, 별도의 브라우저를 통한 수동 로그인 입력 절차가 필요하고 이는 사용자 편의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카드를 현실로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명의자이고, 그 사람에게 상기 정보들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단순히 웹 로그인을 통한 정보 제공방식은 진정한 카드 명의자를 보증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현실로 소지하고 있는 카드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카드 사용 내역 등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는 카드 서비스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진정한 카드 명의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다 안전한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카드 사용내역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사용 내역에 대한 데이터 정보만을 제공할 뿐, 카드 사용내역을 통해 내역 별 물품 구매 확인 링크 연동 또는 관련 상품 추천 링크 제공 등의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 바, 사용자가 사용 내역에 따른 구체적인 구매 내용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물품을 구매한 웹사이트로 별도 접속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객체의 모바일 단말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만으로 모바일 단말을 통해 다양한 카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추가적인 웹서비스가 연동된 카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객체를 모바일 단말에 소정 거리 내로 근접시키기만 하면, 해당 객체에 대한 카드 서비스가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바, 카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가, 모바일 단말과 객체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객체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가 반환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는, 플라스틱 카드이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 관련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 정보를 제공하면서, 관련 웹사이트 링크 또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미지가 함께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분석하고, 혜택 분석 결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는 근거리통신, GPS 및 모바일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이용하여 판단함 - 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와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객체를 분석 하여 상기 객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최적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의 이용 한도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로서, 보유 카드 정보, 여행상품 예약 또는 이용 이력, 운송수단 예약 또는 이용 이력, SNS 정보, 스케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여행/운송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맞는 여행상품 또는 운송상품이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과 객체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객체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를 수행하는 인증지원부; 및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가 반환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객체는, 플라스틱 카드이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 관련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 정보를 제공하면서, 관련 웹사이트 링크 또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미지가 함께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분석하고, 혜택 분석 결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는 근거리통신, GPS 및 모바일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이용하여 판단됨 - 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와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기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최적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의 이용 한도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로서, 보유 카드 정보, 여행상품 예약 또는 이용 이력, 운송수단 예약 또는 이용 이력, SNS 정보, 스케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여행/운송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맞는 여행상품 또는 운송상품이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객체를 모바일 단말의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키기만 하면 해당 객체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바, 사용자 입장에서는 해당 객체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별도로 접속하지 않아도 되므로, 객체에 대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과 객체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객체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 완료 후,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모바일 단말에 한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사용자 개인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보안성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 내역 확인 서비스 제공 시, 서버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에 대한 제공 서비스 확인 서비스 제공 시, 서버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 한도 확인 서비스 제공 시, 서버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항공권 예약 서비스 제공 시, 서버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객체(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객체(100), 모바일 단말(200), 서버(300) 및 무선 통신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객체(100), 모바일 단말(200), 서버(300) 및 무선 통신 장치(400)는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객체(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기능이 구비된 카드로,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기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IoT 디바이스, 스테이셔너리 터미널, 모바일 터미널이 될 수 있다.
객체(100)는 메모리 내에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200)에 대하여 소정 거리 내에 근접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면,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개인 정보는, 객체(100)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 카드번호, 카드의 유효기간, CVC, 카드 소유자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은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드 되어 있는 앱 스토어 서버(미도시)에 접속한 후, 카드 사용내역 확인 서비스, 제공 서비스 확인 서비스, 카드 한도 확인 서비스, 항공권 예약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카드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서버(300)의 지원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서버(300)는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 및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동일한 이용자의 정보라고 결정되면,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항목이 나열된 선택 목록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하고자 하는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 선택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정보 또는 화면을 제공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300)는 무선 통신 장치(400)로부터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추가 정보와 객체(100)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반을 하여 해당하는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400)는 모바일 단말(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정보 전송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비콘, 기지국(AP) 등일 수 있다.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 또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요청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일 수 있다.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은 모바일 단말(200)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예: 동일하면),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가 반환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해쉬함수는 SHA256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키 값은 사용자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100)는 플라스틱 카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 정보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정보는 카드번호, 카드의 유효기간, CVC, 카드 소유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 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는 통신부(310), 인증지원부(320) 및 서비스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 등 여러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객체(100)및 무선 통신 장치(40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인증지원부(320)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 및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은 모바일 단말(200)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가 반환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객체(100)는 플라스틱 카드이고,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카드 관련 정보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번호, 카드의 유효기간, CVC, 카드 소유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지원부(32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인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지원부(32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동일하면 인증 되었음을 확인하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인증지원부(320)는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지원부(32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모바일 단말(200)에 한하여 해당 식별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증지원부(32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해당 모바일 단말(200)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로그인 절차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인증이 1차로 수행되고, 모바일 단말(200)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이 2차로 수행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200)에 대한 인증 및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대한 인증으로 이중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에 대한 보안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추가적으로 객체(100)가 이용되는 경우 객체(100)가 이용되는 가맹정의 위치와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여 추가적으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객체(100)가 이용되는 가맹정의 위치와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서버(300)는 결재를 중단하고, 모바일 단말(2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로그인 없이 인증을 수행하다가 객체(100)가 이용되는 가맹정의 위치와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전에 등록이 완료된 모바일 단말(200)에 한하여 객체(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등록되지 않은 모바일 단말(200)을 통한 무분별한 카드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해킹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 정보를 제공하면서, 관련 웹사이트 링크 또는 상품/서비스 이미지가 함께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로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330)는 관련 웹사이트 링크 또는 상품/서비스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200)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부(330)로부터 제공된 소유자의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 및 관련 링크나 이미지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날짜, 카드 정보, 가맹점 정보, 이용 금액 정보, 납부 종류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수수료 정보, 결제 후 잔액 정보, 포인트 정보, 할부 금액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가맹점의 온라인 주소 링크를 더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카드 사용 내역 확인과 함께 사용 내역 건 별 구매처 웹페이지에 대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또는 소유자로 하여금 카드를 통한 이용 내역 확인 시, 구매한 물품 또는 상세 구매 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가맹점의 웹페이지로의 용이한 접속으로 추가 상품 구매 또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비씨카드를 통해 현대홈쇼핑에서 "삼성 UHD TV"를 구매한 경우, 서비스 제공부(210)는 비씨카드에 대한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사용 내역 제공 시, 현대홈쇼핑에서 "삼성 UHD TV"를 구매한 내역 정보와 함께 현대홈쇼핑에 대한 접속 링크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접속 링크는 현대홈쇼핑에 대한 홈페이지 주소이거나, 상품 구매 페이지 주소 또는 현대홈쇼핑 웹페이지 내 상세 구매 내역 조회 페이지에 대한 주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접속 링크는, 사용자의 카드 결제 서비스 이용 시 결제 승인을 수행한 서버(300)에서 결제 승인 시 미리 저장해 둔 링크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사용자 또는 소유자의 카드 결제 이용 시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결제 상품에 대한 이미지 또는 결제 완료에 따른 결제 완료 이미지, 즉, 결제 인증 화면 정보를 카드 사용 내역 화면에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 카드에 대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소정의 광고 웹페이지, 상품 판매 사이트 또는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기반으로 하는 유사 사이트, 관련 사이트, 추천 상품 사이트의 주소 또는 상품을 더 추가로 제공하여 카드 사용 내역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분석하고, 혜택 분석 결과 및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와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근거리통신, GPS 및 모바일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객체(100)를 분석하여 객체(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가맹점 정보는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 서비스 선택 항목이 제공 서비스 확인 항목인 "카드 서비스 확인"인 경우, 서비스 제공부(33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해 있는 무선 통신 장치(4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100) 또는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부(330)는 카드 서비스 확인 정보 제공 시, 무선 통신 장치(400)로부터 위치 정보 등의 추가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추가 정보와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100)에 최적화된 서비스 혜택 또는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최적화된 서비스 혜택 정보에는, 카드 별 가맹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330)는 개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조회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보유 카드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위치한 곳에서 보유하고 있는 카드로 어느 가맹점에 어떠한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의 이용 한도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 서비스 선택 항목이 사용 한도 확인 항목인 "카드 한도 확인"인 경우, 서비스 제공부(330)는 객체(100)에 대한 사용 한도 정보를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객체(100)에 대한 사용 한도 정보 제공 시,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한도 차감 현황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결제기준일에 따른 한도 복원 알림 또는 특정 부가서비스에 대한 알림 혜택을 더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로서, 보유 카드 정보, 여행상품 예약 또는 이용 이력, 운송수단 예약 또는 이용 이력, SNS 정보, 스케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여행/운송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맞는 여행상품 또는 운송상품이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 서비스 선택 항목이 항공권 예약 서비스 항목인 "항공권 예약 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제공부(33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인 정보에 대응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객체(100)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항공권 예약 서비스뿐만 아니라 해당 서비스 또는 여행사 이용 이력 기반의 항공권 또는 여행 상품 추천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공휴일 정보, 카드사 행사 이벤트 정보, 사진 이미지 분석,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는 사용자 맞춤 항공권 예약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부(330)는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위치, 객체(100)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모두 고려하여 현재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서비스의 목록을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모바일 단말(200)에서 가장 근접한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객체(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 S310에서 객체(100)는 모바일 단말(2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단계 S315에서 모바일 단말(220)은 서버(30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객체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단계 S32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모바일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단계 S325)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단계 S3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35에서 서버(300)는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은 모바일 단말(200)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은 서버(300)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를 반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UUID는 단계 S325에서 모바일 단말 정보의 일 예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는 단계 S340에서 인증 결과의 일 예일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된 경우 서버(300)는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에서의 선택 목록 화면 제공(단계 S345) 및 서비스 선택 입력 수신(단계 S350)에 따라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단계 S355)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서버(300)는 해당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단계 S360)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200)은 서비스를 제공(단계 S365)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 내역 확인 서비스 제공 시, 서버(300)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객체(100)로부터 개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객체(100)에 대하여 제공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객체(100)에 대하여 제공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 항목이 나열된 선택 목록 화면이 포함되며, 예를 들어, 해당 객체(10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내역 정보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1. 카드 사용내역 확인" 선택 인터페이스, 해당 객체(100)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인 "2. 카드서비스 확인" 선택 인터페이스, 해당 객체(100)에 대한 한도 정보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3. 카드 한도 할인" 선택 인터페이스 및 해당 객체(100)를 통해 이용 가능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4. 항공권 예약 서비스" 선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목록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1. 카드 사용내역 확인" 항목이 선택된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카드 사용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카드 사용 내역 정보 화면 제공 시, 카드 사용 내역 건 별 카드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웹사이트의 링크 주소를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연동되어 있는 링크 선택만으로 사용 내역 건 별 어떤 물품을 구매했는지 구체적인 구매 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해당 구매 웹사이트로의 연결이 즉시 이루어지는 바, 추가 상품의 구매 또한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8년 1월 30일에 "V898" 카드를 통해 현대홈쇼핑에서 삼성 UHD TV를 결제하였다고 가정하면, 모바일 단말(200)은 해당 내역 건에 대해 사용 내역 정보 확인 서비스 제공 시, 현대홈쇼핑 웹페이지 링크를 내역 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링크를 통해 접속하여 구매한 삼성 UHD TV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현대홈쇼핑 웹페이지를 통해 다른 상품 또한 추가 구매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100)에 대한 제공 서비스 확인 서비스 제공 시, 서버(300)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객체(100)로부터 개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객체(100)에 대하여 제공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2. 카드서비스 확인" 항목이 선택된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카드에 대하여 카드 별 제공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객체(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일 이상의 카드 정보가 나열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카드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카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며, 보유 카드 별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카드 중 "비씨패밀리카드(아시아나)" 카드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모바일 단말(200)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청구할인 혜택, 무이자 할부 혜택 등의 혜택 정보를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 한도 확인 서비스 제공 시, 서버(300)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객체(100)로부터 개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객체(100)에 대하여 제공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3. 카드 한도 확인" 항목이 선택된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카드에 대하여 카드 별 한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카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복수의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조회 요청이 입력되면, 해당 카드에 대한 한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카드뿐만 아니라 카드사에 따른 카드 별 한도 정보의 조회 및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항공권 예약 서비스 제공 시, 서버(300)의 지원에 따라 모바일 단말(2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객체(100)로부터 개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해당 객체(100)에 대하여 제공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4. 항공권 예약 서비스" 항목이 선택된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객체(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개인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객체(100)를 통해 이용 가능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 객체(100)를 통해 결제 가능한 항공권 예약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항공권 예약을 위해 별도의 항공권 예약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예약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별도의 예약 페이지에 접속했지만, 제공되는 항공권 예약 서비스 별 결제 가능한 카드의 종류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어, 결제 가능한 카드의 정보를 별도로 조회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객체를 모바일 단말(200)의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키기만 하면 해당 객체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가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바, 사용자 입장에서는 해당 객체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별도로 접속하지 않아도 되므로, 객체에 대한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과 객체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객체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 완료 후,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모바일 단말(200)에 한하여 해당 객체에 대한 사용자 개인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보안성이 확보된다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객체
200 : 모바일 단말
300 : 서버
310 : 통신부
320 : 인증지원부
330 : 서비스 제공부
400 : 무선 통신 장치

Claims (18)

  1. 서버가, 모바일 단말과 객체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객체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가 반환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플라스틱 카드이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 정보를 제공하면서, 관련 웹사이트 링크 또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미지가 함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분석하고, 혜택 분석 결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는 근거리통신, GPS 및 모바일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이용하여 판단함 - 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와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최적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가맹점 정보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의 이용 한도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로서, 보유 카드 정보, 여행상품 예약 또는 이용 이력, 운송수단 예약 또는 이용 이력, SNS 정보, 스케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여행/운송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맞는 여행상품 또는 운송상품이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모바일 단말과 객체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객체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달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x)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를 인증하거나 인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y)를 수행하는 인증지원부; 및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개의 카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화된 사용자 편의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획득된 후,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해쉬한 값이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은,
    (i) 미리 저장된 해쉬값과, (ii) 상기 획득된 UUID와 소정의 키 값이 결합된 값을 새롭게 해쉬한 값을 비교하여 양 자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소유자 인증 성공결과가 반환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플라스틱 카드이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카드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온라인 상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 정보를 제공하면서, 관련 웹사이트 링크 또는 상기 상품/서비스 이미지가 함께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분석하고, 혜택 분석 결과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는 근거리통신, GPS 및 모바일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이용하여 판단됨 - 에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서비스와 가맹점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객체를 분석하여 상기 객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최적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근접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의 이용 한도 정보가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프로세스(x)의 결과로서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프로세스(y)의 결과로서 인증된 소유자 정보가 대응되면,
    상기 인증된 사용자 또는 소유자 정보로서, 보유 카드 정보, 여행상품 예약 또는 이용 이력, 운송수단 예약 또는 이용 이력, SNS 정보, 스케쥴 정보, 이미지 정보 및 여행/운송 상품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소유자에게 맞는 여행상품 또는 운송상품이 제공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1020190061986A 2019-05-27 2019-05-27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25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86A KR102250145B1 (ko) 2019-05-27 2019-05-27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86A KR102250145B1 (ko) 2019-05-27 2019-05-27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08A KR20200136208A (ko) 2020-12-07
KR102250145B1 true KR102250145B1 (ko) 2021-05-10

Family

ID=7379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986A KR102250145B1 (ko) 2019-05-27 2019-05-27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37B1 (ko) * 2013-06-27 2014-10-06 유비벨록스(주)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1767535B1 (ko) * 2016-09-12 2017-08-1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카드를 통하여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인증용 단말, 인증 지원 서버 및 본인 인증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807B1 (ko) * 2016-11-30 2018-12-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탑승 고객 중심의 대중 교통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37B1 (ko) * 2013-06-27 2014-10-06 유비벨록스(주)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101767535B1 (ko) * 2016-09-12 2017-08-1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카드를 통하여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인증용 단말, 인증 지원 서버 및 본인 인증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208A (ko) 202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0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US10346821B2 (en) Online purchas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US202003946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yptocurrency point of sale
CN111033549A (zh) 用面料唯一标识符提供线下商铺链接网上商城服务的方法
KR20100045586A (ko)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50145B1 (ko)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50107125A (ko) ''url-nfc카드''의 인터넷 전용사이트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시스템과 사업방법
KR101169181B1 (ko) 결제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결제 처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결제 처리 대행 서버와 그 제어방법
KR101636281B1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 방법
KR20180041030A (ko) 방문자 인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87977B1 (ko) 통합 쿠폰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84382B1 (ko) 콘텐츠 열람 기반 인터넷 접속망 제공시스템
KR20170079049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89186A (ko) 개인 정보 금고 시스템
KR20150123133A (ko) 모바일 기반 스마트 오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9322A (ko) 주소 자동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주소 자동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 관리 서버 및 주소 자동 입력 방법
KR20100048851A (ko) 고유통신번호를 이용한 결제수단 승인 처리 시스템
KR2017007905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30144A (ko) ''url-nfc카드''의 인터넷 전용사이트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시스템과 사업방법
KR20170029856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10616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후원 결제 서비스 서버 및 후원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