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109A - 발바닥 접촉체 - Google Patents

발바닥 접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109A
KR20240027109A KR1020247003508A KR20247003508A KR20240027109A KR 20240027109 A KR20240027109 A KR 20240027109A KR 1020247003508 A KR1020247003508 A KR 1020247003508A KR 20247003508 A KR20247003508 A KR 20247003508A KR 20240027109 A KR20240027109 A KR 2024002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little
big
step surface
big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시카하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카하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33262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37485A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카하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카하마 세이사쿠쇼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45815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37568A1/ja
Publication of KR2024002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for sick or disabled persons, e.g. persons having osteoarthritis or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구두나 운동화, 샌들 등의 신발에 있어서의 발바닥 접촉체이다.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및 약지발가락에 대하여 각각 접하여 이들 중족지절관절 및 근위지절간관절의 위치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고, 또한,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 사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이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들어 올리지 않도록 구성된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융기부에, 엄지발가락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엄지발가락의 측부에 접하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과, 새끼발가락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새끼발가락의 측부에 접하는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바닥 접촉체
본 발명은 외반모지 및 내반소지의 교정에 적합한 구두나 운동화, 샌들 등의 신발에 있어서의 발바닥 접촉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하이힐(high-heeled shoes)용 깔창으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발가락 끝부에 대응한 횡단적인 전방부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발가락 끝의 하중면을 확대함으로써 발가락 끝의 측방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외반모지의 요인이 되는 발의 왜곡도 예방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것은 하이힐(high-heeled shoes) 착용에 따르는 발의 왜곡을 예방하는 데 그치는 것이었다.
또한, 하이힐(high-heeled shoes) 구두용 인솔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가로 아치를 형성하기 위한 융기부와,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모지구(중족지절관절/MTP 관절 아래의 조직)가 들어가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특허문헌 2의 도 1A, 도 1B, 단락 번호 0027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것에서는,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지구(指球)보다도 발가락 끝측은 융기부에 의해 들어 올려진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것에서는, 융기부에 의해,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지구보다도 발가락 끝측에 있어서 엄지발가락에 내족(足)측을 향한 교정력을 작용시킬 수는 없으며, 또한, 새끼발가락에 외족(外足)측을 향한 교정력을 작용시킬 수는 없다.
일본 특허 제53647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2332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신발을 착용하여 일상을 생활하는 것을 통하여,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또한 효과적으로, 발에 있어서의 가로 아치의 무너짐을 교정하고, 발의 가로 아치를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려서 외반모지나 내반소지를 교정하는 것이 가능한 발바닥 접촉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발바닥 접촉체는, 구두나 운동화, 샌들 등의 신발에 있어서의 발바닥 접촉체이며,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및 약지발가락에 대하여 각각 접하여 이들의 중족지절관절 및 근위지절간관절의 위치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고, 또한,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 사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이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들어 올리지 않도록 구성된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융기부에, 엄지발가락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엄지발가락의 측부에 접하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과, 새끼발가락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새끼발가락의 측부에 접하는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의 중족지절관절 및 근위지절간관절의 위치를 들어 올릴 수 있다. 한편,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 아래에는 융기부가 없어,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들어 올려지지 않는다. 중족지절관절의 위치에서의 인대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 점에서, 엄지발가락은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로부터 외족측으로 당겨지는 동시에, 새끼발가락은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로부터 내족측으로 당겨진다.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을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뿐만 아니라, 근위지절간관절의 위치에서도 들어 올림으로써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을 중족지절관절보다도 발가락 끝측에 있어서 이들을 들어 올리는 지레 형상의 힘을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의 중족지절관절측에 작용시킬 수 있어, 인대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발에 있어서의 정상적인 가로 아치가 효과적으로 재생된다.
새끼발가락에 작용되는 교정력은 엄지발가락의 교정력으로서도 상승적으로 작용되어, 외반모지의 효과적인 교정이 실현된다. 중족지절관절보다 발가락 끝측에서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이 엄지발가락의 측부에 접하여 엄지발가락에 내족측으로의 교정력을 작용하고,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이 새끼발가락의 측부에 접하여 새끼발가락에 외족측으로의 교정력을 작용하고, 이들도 외반모지 및 내반소지의 교정에 기여한다.
융기부를 사이에 둔 내족측에 엄지발가락이 들어 올려지는 일없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융기부를 사이에 둔 외족측에 새끼발가락이 들어 올려지는 일없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을, 융기부의 좌우의 기초부를 포함하는 가상의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융기부의 중앙측에 있어서, 9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고 교차하는 가상의 종방향 평면을 따르도록 형성시킴과 함께,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을, 상기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상기 융기부의 중앙측에 있어서, 9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고 교차하는 가상의 종방향 평면을 따르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의 높이의 최댓값을 8mm 내지 11mm의 범위로 하고,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의 높이의 최댓값을 4mm 내지 7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 및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의 발가락 끝측의 측부에 접하는 부분의 일부를, 융기부의 중앙측을 만곡 외측으로 하는 완만한 만곡을 갖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및 약지발가락의 발가락 끝측에 각각 접하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을 구비시키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의 발가락 끝 아래에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이 존재하고, 상기와 같이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의 중족지절관절 및 근위지절간관절의 위치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의 발가락 끝측은 뜬 상태로는 되지 않고, 발가락 끝측 경사면을 이용하여 버틸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 들어 올려진 검지발가락 내지 약지발가락이 상기와 같이 버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보다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을 하방에 위치시킨 가로 아치가 효과적으로 재생되는 것이 인정되었다.
또한, 융기부에 있어서의 발가락 끝측 경사면보다도 후방이 되는 부분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그 높이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점감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의 바로 위의 위치에, 융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부를 형성시켜 두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돌출부의 융기부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5mm 내지 9mm의 범위로 하고, 돌출부의 폭 치수를 3mm 내지 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또한, 돌출부의 내족측을 향한 측면을 엄지발가락측 단차면과 동일면으로 해 두는 것이, 본 발명의 형태 중 하나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바닥 접촉체를 구비한 신발을 착용하여 일상을 생활하는 것을 통하여,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또한 효과적으로, 발에 있어서의 가로 아치의 무너짐을 교정하고, 발의 가로 아치를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려서 외반모지나 내반소지를 교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바닥 접촉체(제1 예)의 사시 구성도이며, 융기부를 실선으로, 베이스부의 주요부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제1 예의 평면 구성도이며, 융기부를 실선으로, 베이스부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D-D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E-E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F-F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2에 있어서의 G-G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제1 예의 기능을 이해하기 쉽도록, 융기부와 왼발의 골격을 함께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H-H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발바닥 접촉체(제2 예)의 사시 구성도이며, 융기부를 실선으로, 베이스부의 주요부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제2 예의 평면 구성도이며, 융기부를 실선으로, 베이스부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의 I-I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의 J-J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있어서의 K-K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있어서의 L-L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있어서의 M-M선 위치에서의 절단 단부면 구성도이다.
도 19는 정상적인 왼발의 뼈 구조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0은 정상적인 왼발에 있어서의 중족지절관절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1은 외반모지가 된 왼발의 뼈 구조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22는 외반모지가 된 왼발에 있어서의 중족지절관절 위치에서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2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발바닥 접촉체(1)의 제1 예를, 도 12 내지 도 18은 발바닥 접촉체(1)의 제2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바닥 접촉체(1)는 구두나 운동화, 샌들 등의 신발에 있어서 발바닥에 접하는 부분, 혹은 이들에 추가적으로 조합되어 발바닥에 접하는 부재이다.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발바닥 접촉체(1)는 인솔(깔창), 이너솔(제거 가능한 깔창)이다. 이러한 발바닥 접촉체(1)는 이를 구비한 신발을 착용하여 일상을 생활하는 것을 통하여,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또한 효과적으로, 발에 있어서의 가로 아치(Ac)의 무너짐을 교정하고, 발의 가로 아치(Ac)를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19는, 정상적인 왼발의 뼈 구조를 나타낸다. 엄지발가락(f1) 내지 새끼발가락(f5)의 중족지절관절(100)(MTP 관절) 위치에는 인접하는 중족골(102)끼리를 잇는 인대(101)(심횡중족인대(101))가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인대(101)의 위치에 있어서 가로 아치(A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이 접지한 상태에서도,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은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에서는 떠있는 것 같은 상태로 되어 있고, 검지발가락(f2)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으며 약지발가락(f4)이 가장 낮은 위치가 된다(도 20).
도 21은, 외반모지가 된 왼발의 뼈 구조를 나타낸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아치(Ac)가 상실되어 엄지발가락(f1)의 중족지절관절(100)이 내족측(x)(오른발측)으로 돌출되고, 엄지발가락(f1)의 발가락 끝측은 통상보다도 외족측(y)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엄지발가락(f1) 내지 새끼발가락(f5)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엄지발가락(f1)의 변형에 의해 발 폭은 넓어진다.
전형적으로는 외반모지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1) 가로 아치(Ac)가 무너져서 개장족이 만들어진다.
(2) 엄지발가락(f1)의 중족골(102)이 내족측(x)으로 변형된다.
(3) 하이힐(high-heeled shoes) 등의 발가락 끝측이 좁혀져 있는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엄지발가락(f1)의 기절골(103)이 외족측(y)으로 변형되고, 엄지발가락(f1)의 중족골(102)의 내족측(x)으로의 변형이 조장된다.
도시는 생략하나, 내반소지는 가로 아치(Ac)가 상실되어 새끼발가락(f5)의 중족지절관절(100)이 외족측(y)으로 돌출되고, 새끼발가락(f5)의 발가락 끝측은 통상보다도 내족측(x)에 위치하게 된 상태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바닥 접촉체(1)는 특히, 이러한 외반모지와 내반소지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바닥 접촉체(1)는 융기부(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바닥 접촉체(1)는 전형적으로는 고무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구비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신발의 내부 윤곽을 따르듯이 형성된 베이스부(3)의 상면(3a)에 융기부(2)가 되는 융기부 구성체(2a)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발바닥 접촉체(1)를 구성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나, 발바닥 접촉체(1)는 신발의 내부 윤곽을 따르듯이 형성된 베이스판의 상면에 융기부(2)가 되는 융기부 구성체(2a)의 하면을 고착시킴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발바닥 접촉체(1)는 기존의 신발의 인솔이나 샌들의 저부 상면에 상기와 같은 융기부 구성체(2a)를 고착시킴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다.
융기부(2)는 검지발가락(f2), 중지발가락(f3) 및 약지발가락(f4)에 대하여 각각 접하여 이들 중족지절관절(100) 및 근위지절간관절(104)(PIP 관절)의 위치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고, 또한,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 사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이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들어 올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융기부(2)는 발에 정상적인 가로 아치(Ac)(도 20 참조)를 갖게 하는 높이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왼발용 발바닥 접촉체(1)를 구성하는 융기부(2)를 나타낸다. 도시한 예에서는, 융기부(2)는 베이스부(3)의 좌우 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부(3)의 전단부(3b)(발가락 끝측)와 융기부(2)의 전단부(2b) 사이에 간격을 두는 동시에, 베이스부(3)의 후단부(3c)(발뒤꿈치측)와 융기부(2)의 후단부(2c) 사이에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융기부(2)의 내족측(x)의 측부와 베이스부(3)의 내족측(x)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엄지발가락이 들어가는 간격(3d)이 형성되고, 또한, 융기부(2)의 외족측(y)의 측부와 베이스부(3)의 외족측(y)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새끼발가락이 들어가는 간격(3e)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융기부(2)를 사이에 둔 내족측(x)에 엄지발가락(f1)이 들어 올려지는 일없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융기부(2)를 사이에 둔 외족측(y)에 새끼발가락(f5)이 들어 올려지는 일없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부(3)에는 또한, 발의 내측 세로 아치에 대응한 내측 보조 융기부(4)와 발의 외측 세로 아치에 대응한 외측 보조 융기부(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의 후단부(3c), 즉 발뒤꿈치측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족측(x)을 높게 외족측(y)을 낮게 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뒤꿈치뼈는 외족측(y)에 치우쳐 있어 발뒤꿈치측에 있어서는 내족측(x)의 조직은 뼈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 이 발뒤꿈치뼈의 형태에 기인한 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융기부(2)는, 엄지발가락(f1)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엄지발가락(f1)의 측부에 접하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과,
새끼발가락(f5)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새끼발가락(f5)의 측부에 접하는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과,
검지발가락(2f), 중지발가락(3f) 및 약지발가락(4f)의 발가락 끝측에 있어서, 이들 발가락의 바닥측에 각각 접하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을 구비하고 있다.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의 경사 아래(2fa)는 융기부(2)의 전단부(2b)가 되어 있다. 융기부(2)에 있어서의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의 경사 위(2fb)보다 후방이 되는 부분은 융기부(2)의 후단부(2c)를 향함에 따라, 융기부(2)의 높이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점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바닥 접촉체(1) 상에 발을 얹은 상태에 있어서, 융기부(2)의 전단부(2b)는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발가락 끝 아래에 위치하고, 융기부(2)의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의 경사 위(2fb)는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기절골(103) 전단부(103a) 아래에 위치하고, 융기부(2)의 후단부(2c)는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중족골(102) 후단부(102a) 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융기부(2)의 전단부(2b)측에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의 경사 위(2fb)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른 능선(2g)이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2)의 전단부(2b)측은 이 능선(2g) 위치를 가장 높게 한다. 융기부(2)의 전단부(2b)와 능선(2g) 사이는 좌우 방향에 걸치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이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은 하방을 만곡 내측으로 한 만곡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도 3 참조). 능선(2g)의 직후에는 후방을 향한 작은 단차(2j)가 있고, 이 단차(2j)로부터 융기부(2)의 후단부(2c)와의 사이는, 융기부(2)의 상면(2k)이 완만한 면으로 되어 있다.
융기부(2)의 전단부(2a)측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건전한 상태에 있어서의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융기부(2)의 전단부(2b)측에, 내족측(x)을 향한 급준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도 4에 있어서의 우측)과 외족측(y)을 향한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도 4에 있어서의 좌측)이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2)에 있어서의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은 좌우 방향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또한, 검지발가락(f2)에 접하는 측에서 높고, 약지발가락(f4)에 접하는 측에서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건전한 상태의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위치 관계를 따른 것이다.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 및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은, 융기부(2)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z)(도 2 참조)보다도 약간 전방측에서 종료되어 있다. 이 종료 위치는 엄지발가락(f1) 및 새끼발가락(f5)의 대략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 및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의 종료 위치로부터 후방에서는, 융기부(2)는 좌우 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하방이 만곡 내측으로 된 가상의 만곡면을 따른 형태로 되어 있다(도 7, 도 8).
도 10은 발바닥 접촉체(1)에 발을 얹은 상태에 있어서의 왼발의 뼈 구조를 나타낸다.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 아래에, 그 발가락 끝으로부터 중족골(102) 후단부(102a)와의 사이에서 융기부(2)가 위치한다. 이에 의해,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중족지절관절(100) 및 근위지절간관절(104)의 위치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융기부(2)의 능선(2g)은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과 이들의 기절골(103)의 전단부(103a)측에서 접하고, 이 능선(2g)보다 후방에 있어서 융기부(2)의 상면은 검지발가락(2f) 내지 약지발가락(4f)과 이들의 기절골(103)의 후단부(103b)측에서 접하고, 검지발가락(2f) 내지 약지발가락(4f)은 기절골(103)의 전단부(103a)측과 후단부(103b)측의 2군데에서 전단부(103a)측을 높게 하도록 들어 올려지고(도 11 참조), 이에 의해,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은 근위지절간관절(104)의 위치에서도 들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엄지발가락(f1) 및 새끼발가락(f5) 아래에는 융기부(2)는 없고, 또한, 이들을 들어 올리는 다른 구조도 없어,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들어 올려지지 않는다.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은 융기부(2)의 측방에 있어서 발가락 바닥을 베이스부(3)의 상면(3a)에 접하게 한다.
또한,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발가락 끝 아래(근위지절간관절(104)보다 앞부분)에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이 존재하고, 상기와 같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의 발가락 끝측은 떠있는 상태로는 되지 않고, 발가락 끝측 경사면(2f)을 이용하여 버틸 수 있는 상태에 놓인다(도 11 참조).
들어 올려진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이 상기와 같이 버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들보다 엄지발가락(f1)과 새끼발가락(f5)을 하방에 위치시킨 가로 아치(Ac)가 효과적으로 재생되는 것이 인정되었다.
중족지절관절(100) 위치에서의 인대(101)의 길이는 변하지 않는 점에서, 도 10, 도 11의 상태 하에서는, 엄지발가락(f1)은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에서 외족측(y)으로 당겨지는 동시에, 새끼발가락(f5)은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에서 내족측(x)으로 당겨진다.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을 중족지절관절(100)의 위치뿐만 아니라 근위지절간관절(104)의 위치에서도 들어 올림으로써, 검지발가락(f2) 내지 약지발가락(f4)을 중족지절관절(100)보다도 발가락 끝측에 있어서 이들을 들어 올리는 지레 형상의 힘을 검지발가락(2f) 내지 약지발가락(4f)의 중족지절관절(100)측에 작용시킬 수 있어, 인대(101)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발에 있어서의 정상적인 가로 아치(Ac)가 효과적으로 재생된다.
새끼발가락(f5)에 작용되는 교정력은 엄지발가락(f1)의 교정력으로서도 상승적으로 작용되어, 외반모지의 효과적인 교정이 실현된다.
중족지절관절(100)보다 발가락 끝측에서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이 엄지발가락(f1)의 측부에 접하여 엄지발가락에 내족측(x)으로의 교정력을 작용하고,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이 새끼발가락(f5)의 측부에 접하여 새끼발가락(f5)에 외족측(y)으로의 교정력을 작용하여, 이들도 외반모지 및 내반소지의 교정에 기여한다.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은 융기부(2)의 좌우 기초부(2h)(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의 하단부 및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가상의 횡방향 평면(S1)에 대하여, 융기부(2)의 중앙측(2i)으로 횡방향 평면(S1) 상에 있어서 90도 내지 60도의 각도(θ1)를 갖고 교차하는 가상의 종방향 평면(S2)을 따르게 형성시킴과 함께,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은, 횡방향 평면(S1)에 대하여, 융기부(2)의 중앙측(2i)으로 횡방향 평면(S1) 상에 있어서 90도 내지 60도의 각도(θ2)를 갖도록 교차하는 가상의 종방향 평면(S3)을 따르도록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의 높이(h1), 즉, 횡방향 평면(S1)으로부터 융기부(2)의 최상부(부호 2fb의 위치)까지의 최댓값은 8mm 내지 11mm의 범위로 하고,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의 높이(h1)의 최댓값은 4mm 내지 7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족지절관절(100)보다 발가락 끝측에 있어서,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을 엄지발가락(f1)의 측부에 확실하게 접하게 하여 엄지발가락에 내족측(x)으로의 교정력을 작용시킬 수 있고, 또한,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을 새끼발가락(f5)의 측부에 확실하게 접하게 하여 새끼발가락(f5)에 외족측(y)으로의 교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 및 새끼발가락측 단차면(2e)에 있어서의 적어도 엄지발가락(f1) 및 새끼발가락(f5)의 발가락 끝측의 측부에 접하는 부분의 일부는, 융기부(2)의 중앙측(2i)을 만곡 외측으로 하는 완만한 만곡을 갖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는 생략하나, 오른발용 발바닥 접촉체는 이상에서 설명한 왼발용 발바닥 접촉체(1)와 선 대칭이 되는 형태로서 구성된다.
도 12 내지 도 18은 이상에서 설명한 발바닥 접촉체(1)(제1 예)의 구성의 일부를 변경한 제2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예에서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의 바로 위의 위치에, 융기부(2)의 상면(2k)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부(2m)를 형성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돌출부(2m)는 이 돌출부(2m)가 없을 경우,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과 융기부(2)의 상면(2k)이 서로 접하는, 융기부(2)의 전후 방향에 따른 테두리부(2n)를 둘러싸듯이 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15, 도 16 참조).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돌출부(2m)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 바로 위의 위치 중, 융기부(2)의 전단부(2b)로부터 능선(2g) 후방의 단차(2j)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돌출부(2m)는 그 연속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윤곽 형상을, 그 연속 방향에서의 모든 위치에 있어서 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2m)는 엄지발가락(f1)과 검지발가락(f2) 사이에 들어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m)에 의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구두 속에서도 발의 촉감에 의해 돌출부(2m)를 기준으로 하여, 돌출부(2m)의 외족측(y)에 검지발가락(f2)을 위치시키고, 돌출부(2m)의 내족측(x)의 융기부(2) 아래에 엄지발가락(f1)을 위치시키도록 하여, 헤매지 않고 구두를 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지발가락(2f) 내지 약지발가락(4f)을 과도하게 들어 올리는 일없이, 돌출부(2m)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과 하나가 되어 융기부(2) 측방에 있어서 엄지발가락(f1)의 발가락 끝측을 떨어트린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들을 고려하면, 돌출부(2m)의 융기부(2)의 상면(2k)으로부터의 돌출 치수(h3)(도 15, 도 16 참조)는 5mm 내지 9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돌출부(2m)의 폭 치수(w1)(도 15, 도 16 참조)는 3mm 내지 8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돌출부(2m)의 내족측(x)을 향한 측면(2o)은 엄지발가락측 단차면(2d)과 동일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 도 16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예의 기타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되는 발바닥 접촉체(1)(제1 예)의 대응하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1에 첨부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발바닥 접촉체
2: 융기부
2d: 엄지발가락측 단차면
2e: 새끼발가락측 단차면
2f: 발가락 끝측 경사면
f1: 엄지발가락
f2: 검지발가락
f3: 중지발가락
f4: 약지발가락
f5: 새끼발가락
100: 중족지절관절
104: 근위지절간관절

Claims (10)

  1. 구두, 운동화, 샌들 등의 신발에 있어서의 발바닥 접촉제로서,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및 약지발가락에 대하여 각각 접하여 이들 중족지절관절 및 근위지절간관절의 위치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고, 또한,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 사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엄지발가락과 상기 새끼발가락을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들어 올리지 않도록 구성된 융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융기부에, 상기 엄지발가락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상기 엄지발가락의 측부에 접하는 엄지발가락측 단차면과,
    상기 새끼발가락에 대하여 그 중족지절관절의 위치보다도 발가락 끝측에서 상기 새끼발가락의 측부에 접하는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를 사이에 둔 내족측에 상기 엄지발가락이 들어 올려지는 일없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융기부를 사이에 둔 외족측에 상기 새끼발가락이 들어 올려지는 일없이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을, 상기 융기부의 좌우의 기초부를 포함하는 가상의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상기 융기부의 중앙측으로 9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고 교차하는 가상의 종방향 평면을 따르도록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을, 상기 횡방향 평면에 대하여, 상기 융기부의 중앙측으로 9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갖고 교차하는 가상의 종방향 평면을 따르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의 높이의 최댓값을 8mm 내지 11mm의 범위로 하고,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의 높이의 최댓값을 4mm 내지 7mm의 범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측 단차면 및 상기 새끼발가락측 단차면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엄지발가락 및 상기 새끼발가락의 발가락 끝측의 측부에 접하는 부분의 일부를, 상기 융기부의 중앙측을 만곡 외측으로 하는 완만한 만곡을 갖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발가락, 상기 중지발가락 및 상기 약지발가락의 발가락 끝측에 각각 접하는 발가락 끝측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 있어서의 상기 발가락 끝측 경사면보다도 후방이 되는 부분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그 높이 및 좌우 방향의 치수를 점감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발가락측 단차면의 바로 위의 위치에, 상기 융기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융기부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5mm 내지 9mm의 범위로 하고, 상기 돌출부의 폭 치수를 3mm 내지 8mm의 범위로 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족측을 향한 측면을 상기 엄지발가락측 단차면과 동일면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발바닥 접촉체.
KR1020247003508A 2021-09-10 2021-12-13 발바닥 접촉체 KR20240027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21/033262 2021-09-10
PCT/JP2021/033262 WO2023037485A1 (ja) 2021-09-10 2021-09-10 足裏接触体
JPPCT/JP2021/041531 2021-11-11
PCT/JP2021/041531 WO2023037565A1 (ja) 2021-09-10 2021-11-11 足裏接触体
PCT/JP2021/045815 WO2023037568A1 (ja) 2021-09-10 2021-12-13 足裏接触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109A true KR20240027109A (ko) 2024-02-29

Family

ID=8359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508A KR20240027109A (ko) 2021-09-10 2021-12-13 발바닥 접촉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52826B1 (ko)
KR (1) KR2024002710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3321A (ja) 2011-04-19 2012-11-15 Kyowa Rubber Kk ハイヒール靴用インソール及びハイヒール靴
JP5364797B2 (ja) 2009-12-06 2013-12-11 和芳 蒲田 ハイヒール用中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9885B2 (ja) * 1996-12-25 2003-01-20 正人 木野 靴及び付属品
JP4163237B2 (ja) * 2002-10-08 2008-10-08 株式会社村井 履き物用中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4797B2 (ja) 2009-12-06 2013-12-11 和芳 蒲田 ハイヒール用中敷
JP2012223321A (ja) 2011-04-19 2012-11-15 Kyowa Rubber Kk ハイヒール靴用インソール及びハイヒール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52826B1 (ja) 2022-10-13
JPWO2023037568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4245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la conformación de calzado
KR100239314B1 (ko) 교정용 발 깔창
JP5808934B2 (ja) ハイヒール靴用インソール及びハイヒール靴
TWI678977B (zh) 鞋用內底
KR200414204Y1 (ko) 신발
EP2787855B1 (en) Footwear/insole for footwear
EP2641495B1 (en) Footwear
JPH09140405A (ja) 外反母趾対策用履物および靴中敷き
JP6467141B2 (ja) 後足部傾斜領域付インソール及び多層の後足部傾斜領域付インソール
KR20240027109A (ko) 발바닥 접촉체
JP3108236U (ja) 矯正フットパッド
EP4381982A1 (en) Sole contact body
JP3177013U (ja) ハイヒール用インソール及び同インソールを具備したハイヒール
WO2023037568A1 (ja) 足裏接触体
WO2023037565A1 (ja) 足裏接触体
CN117794416A (zh) 脚掌接触体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US11540588B1 (en) Footwear insole
JP2001258928A (ja) 足裏の凹凸を正常に整える靴下
WO2021246016A1 (ja) 靴の中敷き、及び中敷き構造を備えた靴
US11805850B1 (en) Cuboid pad
US20180295937A1 (en) Insole for high-heeled footwear
JP2022072544A (ja) 靴底及び靴
CN116685230A (zh) 鞋底结构及鞋
JP2019217063A (ja) 靴用インソ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