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040A - 시트 접이식 용기 - Google Patents

시트 접이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040A
KR20240027040A KR1020247002901A KR20247002901A KR20240027040A KR 20240027040 A KR20240027040 A KR 20240027040A KR 1020247002901 A KR1020247002901 A KR 1020247002901A KR 20247002901 A KR20247002901 A KR 20247002901A KR 20240027040 A KR20240027040 A KR 2024002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heet
dart
flap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오쿠무라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쿠무라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쿠무라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at least one side being extended and doubled-over to enclose the adjacent gusset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32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e.g. formed by folding a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시트 (1) 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바닥부 (10) 와, 그 바닥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측벽부 (11, 11') 와, 그 바닥부의 주연부의 점 (a) 에서부터 상기 시트의 외주를 향해 형성되는 제 1 접음선 (b) 및 제 2 접음선 (c) 과, 상기 제 1 접음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되접혀 형성되는 다트부 (14) 와, 상기 측벽부의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되접음 가능한 플랩부 (12) 와,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삽입편 (13) 을 구비하고, 상기 다트부를 상기 제 2 접음선으로 되접어 상기 측벽부에 겹치고, 상기 플랩부를 되접어, 상기 다트부를 상기 측벽부와 그 플랩부에 의해 사이에 끼우고, 상기 플랩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편이 되접혀, 상기 다트부에 꽂아지고, 서로 대향하는 2 개 1 조의 상기 측벽부는 모두 평면에서 보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Description

시트 접이식 용기
본 발명은, 종이 혹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한 장의 시트를 구부려 접어서 작성되는 시트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캠프장이나 피난소에서 사용되는 식기 등의 용기는, 비사용시에는 평판상으로 부피가 커지지 않고, 사용시에 용이하게 입체화할 수 있는 것이, 휴대, 비축의 편리성 상에서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 1 장의 시트를 구부려 접어서 입체적으로 형성한 용기가 있다. 예를 들면, 난연성 합성지를 1 장의 팔각형의 종이편으로 형성하고, 종이편 중앙에 종이편과 서로 닮은 팔각형을 구획 형성한다. 그리고 구획된 팔각형의 각 변을 연장한 점에서부터, 외주의 팔각형의 꼭지점에 이르는 접음선 및 이 꼭지점에 이어지는 변과 직교하는 접음선을 형성한다. 그 후, 이들 접음선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을 인접하는 2 변의 사이로 접어 넣고, 다시 그 2 변에 겹쳐서 접착한 끓이기 조리용 종이 용기가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53130호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이 용기는, 비사용시에는 부피가 커지지 않는 평평한 시트상으로 해 두고, 사용할 때에 구부려 접어서 입체적인 냄비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접어 넣은 부분을 접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립 작업이 번거로웠다. 게다가, 종이 용기의 사용 후에 시트상으로 되돌릴 수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사용시에는 시트상이므로 부피가 커지지 않고, 사용할 때에는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 또한, 종이 용기의 강도가 높아 변형되기 어렵고, 종이 용기의 사용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부피가 커지지 않는 시트상으로 되돌릴 수 있는, 시트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시트를 구부려 접어서 형성되는 시트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바닥부와, 그 바닥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측벽부와, 그 바닥부의 주연부 (周緣部) 의 점에서부터 상기 시트의 외주를 향해 형성되는 제 1 접음선 및 제 2 접음선과, 상기 제 1 접음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되접혀 형성되는 다트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단부 (端部) 에 형성되고, 되접음 가능한 플랩부와,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삽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다트부를 상기 제 2 접음선으로 되접어 상기 측벽부에 겹치고, 상기 플랩부를 되접어, 상기 다트부를 상기 측벽부와 그 플랩부에 의해 사이에 끼우고, 상기 플랩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편이 되접혀, 상기 다트부에 꽂아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트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겹쳐지고, 상기 플랩부는 외면측으로 되접힌다.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트부를 그 측벽부에 겹치고, 상기 측벽부의 단부에 형성한 플랩부의 선단에 있어서,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트부의 사이에 상기 삽입편을 형성하고, 그 삽입편이 되접혀, 양측의 상기 다트부에 꽂아지는 경우가 있다.
혹은,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트부를 그 측벽부에 겹침과 함께, 상기 다트부의 상부를 하방으로 되접어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한 플랩부의 양측부에 상기 삽입편을 형성하고, 그 삽입편을 되접어, 상기 다트부의 걸림부에 각각 꽂아 넣는 경우도 있다.
상기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보아, 외면측으로 볼록하게 굴곡 혹은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대향하는 2 개 1 조의 상기 측벽부를 2 조 갖고, 적어도 1 조의 상기 측벽부가, 평면에서 보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 혹은 만곡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사용시에는 시트상이므로, 옥외에 휴대하거나, 피난소 등에서 비축하는 경우에 부피가 커지지 않는다. 또한, 파손될 우려도 없고, 사용할 때에는, 시트를 구부려 접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입체적인 용기로 성형할 수 있다. 게다가, 사용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원래의 시트상으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가지고 돌아갈 때에도 거추장스럽지 않다.
측벽부로부터 되접은 플랩부로 다트부를 누르고, 플랩부와 플랩부로부터 되접은 삽입편에 의해 다트부를 사이에 끼워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지고, 사용시에 다트부가 열려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 혹은 만곡시키면, 강도가 증가하여 사용 중에 변형되기 어렵다. 나아가, 측벽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다트부에 삽입된 삽입편이 빠지기 어렵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시트 접이식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D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E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F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G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H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시트 접이식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C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D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시트 접이식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C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D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E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접이식 용기의 작성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A ∼ 도 2H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접이식 용기는 컵 (A) 이고, 1 장의 시트 (1) 를 구부려 접어서 컵 (A) 이 형성된다.
컵 (A) 은, 대략 사각형의 바닥부 (10) 의 주연으로부터, 대향하는 2 개 1 조의 측벽부 (11) 및 측벽부 (11) 와 직교하는 방향의 2 개 1 조의 측벽부 (11') 를 2 조 올려 세우고, 측벽부 (11) 의 외면에 각각 손잡이 (2) 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컵 (A) 을 작성할 때에는, 먼저,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대지 (臺紙) (B) 로부터, 1 장의 시트 (1) 및 2 장의 손잡이용 시트 (2a) 를 잘라낸다.
대지 (B) 는, 표면에 발수 처리를 실시한 두꺼운 종이, 합성 수지 시트 등이다.
또, 시트 (1) 및 손잡이용 시트 (2a) 는, 절취선 등의 파단하기 쉬운 선에 의해 주위를 구획하고 있다.
시트 (1) 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중앙 부분에 바닥부 (10) 가 구획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닥부 (10) 와 측벽부 (11, 11') 의 사이는 접힘 자국을 내어 구부러져 있지 않고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부 (10) 의 주연에는 명료한 접음선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바닥부 (10) 의 주연에 있어서, 바닥부 (10) 의 모서리부에서, 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설정한 4 개의 점 (a) 에서부터, 각각 시트 (1) 의 외주를 향해 제 1 접음선 (b) 및 제 2 접음선 (c) 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4 개의 제 1 접음선 (b) 은, 바닥부 (10) 의 점 (a) 에서부터 시트 (1) 의 외주면을 향하여, 시트 (1) 의 대략 중심부로부터 시트 (1) 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접음선 (b) 은, 시트 (1) 상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제 2 접음선 (c) 은, 완성시에 측벽부 (11) 의 좌우에 있어서의 경계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1 조의 점 (a) 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제 2 접음선 (c), 및 다른 1 조의 점 (a) 으로부터 연장되는 2 개의 제 2 접음선 (c) 은, 양측의 제 1 접음선 (b) 에 의해 사이에 끼인 상태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제 2 접음선 (c) 의 사이는 측벽부 (11) 가 되고, 이 측벽부 (11) 의 직경 방향 외단 (컵 (A) 의 상단) 에, 플랩 되접음선 (d) 을 개재하여 플랩부 (12) 가 연이어 형성된다. 플랩부 (12) 의 선단 중앙부에는, 삽입편 (13) 이 삽입편 되접음선 (e) 을 개재하여 연이어 형성된다.
플랩부 (12) 는, 선단측이 폭이 좁은 사다리꼴이고, 삽입편 (13) 은, 선단측이 폭이 넓은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또한, 플랩부 (12) 에는, 삽입편 (13) 의 측연을 연장한 선을 따라 보강용 절곡선 (g)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점 (a) 에서부터 시트 (1) 의 외주를 향해, 제 1 접음선 (b) 에 대하여 제 2 접음선 (c) 과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가상선 (f) 을 설정하면, 서로 대향하는 가상선 (d) 의 사이가 측벽부 (11') 가 된다.
이 측벽부 (11') 는, 제 2 접음선 (c) 사이에 형성되는 측벽부 (11) 와 대략 동일한 형태이며, 그 직경 방향 외단 (컵 (A) 의 상단) 에 플랩 되접음선 (d) 을 개재하여 플랩부 (12) 가 연이어 형성된다. 플랩부 (12) 에는, 보강용 절곡선 (g)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하는 2 개의 제 2 접음선 (c) 및 가상선 (d) 은, 각각 측벽부 (11) 및 측벽부 (11') 를 형성하는 1 조가, 시트 (1) 에 있어서, 바닥부 (10) 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시트 (1) 의 외주를 향하여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벽부 (11), 측벽부 (11') 는 상방이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1) 를, 제 1 접음선 (b) 에 있어서 산접기 형상으로 되접어, 제 1 접음선 (b) 과 제 2 접음선 (c) 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과, 제 1 접음선 (b) 과 가상선 (f) 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을 이중으로 겹친다. 이와 같이 하여, 시트 (1) 의 외주측이 폭넓은 삼각형의 다트부 (14) 를 형성함으로써, 바닥부 (10) 의 주연으로부터 측벽부 (11, 11') 가 올려 세워진다. 그 때에, 가상선 (f) 을 따른 지점은 만곡되지만, 가상선 (f) 에 있어서 명확한 접힘 자국은 형성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측벽부 (11, 11') 는, 상방을 향해 폭이 넓은 형상이므로, 측벽부 (11, 11') 의 상단으로 둘러싸이는 개구부는, 바닥부 (10) 의 면적보다 크다.
제 2 접음선 (c) 에 있어서 골접기 형상으로 되접음으로써, 다트부 (14) 는, 선단에 삽입편 (13) 을 갖는 측벽부 (11) 의 외면 양측에 겹쳐진다.
또, 도 2D 의 좌측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음선 (b) 과 가상선 (f) 사이의 부분 및 제 1 접음선 (b) 과 제 2 접음선 (c) 사이의 부분의 상단은, 겹쳤을 때에 측벽부 (11) 의 상단인 플랩 되접음선 (d) 과 일치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부 (12) 를 플랩 되접음선 (d) 으로부터 외면측 하방으로 되접어, 플랩부 (12) 와 측벽부 (11) 에 의해 다트부 (14) 를 사이에 끼운다.
이 때, 플랩부 (12) 의 선단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편 (13) 은, 양측의 다트부 (14)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삽입편 (13) 을 삽입편 되접음선 (e) 으로 되접어, 양측의 다트부 (14) 에 하방으로부터 꽂아 넣는다. 도 2E 는 삽입편 (13) 이 다트부 (14) 에 꽂아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삽입편 (13) 을 다트부 (14) 에 꽂아 넣을 때에는, 측벽부 (11) 를 조금 내측으로 누르면서 실시하면, 삽입편 (13) 을 다트부 (14) 에 꽂아 넣기 쉬워진다.
플랩부 (12) 와 삽입편 (13) 에 의해 다트부 (14) 를 사이에 끼워 고정시킨다. 삽입편 (13) 은 사다리꼴 형상이므로, 삽입편 (13) 의 양측부가 측벽부 (11) 와 다트부 (14) 의 사이에 깊게 꽂아져 빠지기 어려워지고, 이로써 다트부 (14) 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 (11) 의 상단부 중앙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려 접어, 측벽부 (11) 를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시킨다. 그 후, 도 2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트부 (14) 가 겹쳐지지 않은 측벽부 (11') 의 상단에 형성된 플랩부 (12) 를, 플랩 되접음선 (d) 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되접는다. 또한, 이 후, 측벽부 (11') 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시킨다.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시킴으로써, 측벽부 (11') 가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다트부 (14) 에 삽입된 삽입편 (13) 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플랩부 (12) 는, 도 2F, 도 2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용 절곡선 (g)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부 (11 및 11') 를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시킬 때 용이하면서 또한 형태가 무너지지 않게 굴곡시킬 수 있다.
도 2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용 시트 (2a) 는, 측벽부 (11) 의 외면에 중합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중합편 (20) 을 갖는다. 중합편 (20) 의 짧은 변에는 굴곡선 (h) 을 개재하여 띠 형상의 손잡이부 (21) 가 일체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 (21) 의 선단에는, 약간 폭이 좁은 삽입편 (22) 이, 굴곡선 (h) 과 평행한 선단부 굴곡선 (i) 를 개재하여 연이어 형성된다. 선단부 굴곡선 (i) 보다 약간 중합편 (20) 근처에는, 중간부 굴곡선 (j) 이 굴곡선 (h) 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합편 (20) 에는, 굴곡선 (h) 의 양단부로부터 중합편 (20) 의 긴 변 중앙을 향해 경사 접음선 (k) 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용 시트 (2a) 의 손잡이부 (21) 를, 굴곡선 (h) 으로부터 중합편 (20) 의 외측으로 구부려 접는다. 그 후, 중간부 굴곡선 (j) 으로부터 선단측을 중합편 (20) 을 향해 굴곡시킨다. 그 후, 삽입편 (22) 을 선단부 굴곡선 (i) 으로부터 중합편 (20) 에 대해 평행하게 접어 올려, 전체적으로 대략 고리상의 손잡이 (2) 를 형성한다. 중합편 (20) 의 긴 변 근처의 양측부는 경사 접음선 (k) 을 따라 도 2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려 접혀 있다.
손잡이 (2) 는, 중합편 (20) 을, 측벽부 (11) 와 양측의 다트부 (14) 및 삽입편 (13) 의 사이에, 도 2H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하방으로부터 꽂는다. 삽입편 (22) 은, 중합편 (20) 과 삽입편 (13) 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꽂아 넣음으로써, 측벽부 (11) 의 외면에 장착된다.
중합편 (20) 은, 경사 접음선 (k) 을 따라 접혀 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측벽부 (11) 와 다트부 (14) 의 사이로부터 잘 빠져 나가지 않고, 삽입편 (22) 이 다트부 (14) 로부터 빠지는 것도 방지한다.
이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컵 (A) 이 작성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3 및 도 4A ∼ 도 4D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접이식 용기가 접시 (C) 이다.
접시 (C) 는, 1 장의 시트 (101) 를 구부려 접어서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부 (110) 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바닥부 (110) 의 짧은 변으로부터 대향하는 2 개의 측벽부 (111) 를 올려 세우고, 긴 변으로부터 대향하는 2 개의 측벽부 (111') 를 올려 세우고 있다.
측벽부 (111, 111')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측벽부 (11, 11') 보다 높이가 낮고, 측벽부 (111') 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장의 시트 (101) 와, 스푼 (3) 및 포크 (4) 를 대지 (B) 로부터 잘라낸다.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101) 의 중앙부에는, 바닥부 (110) 가 구획 설정되고, 바닥부 (110) 의 주연의 네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점 (a1) 이 설정된다.
각 점 (a1) 으로부터는, 제 1 접음선 (b1) 및 제 2 접음선 (c1) 이 시트 (101) 의 외주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접음선 (b1) 에 대해 제 2 접음선 (c1) 과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가상선 (f1) 이 설정된다.
2 개의 제 2 접음선 (c1) 사이에 형성되는 측벽부 (111) 의 직경 방향 외단에는, 플랩 되접음선 (d1) 을 개재하여 플랩부 (112) 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랩부 (112) 의 외단에는, 삽입편 (113) 이 삽입편 되접음선 (e1) 을 개재하여 연이어 형성된다.
2 개의 가상선 (f1) 사이에 형성되는 측벽부 (111') 의 외주연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101) 를, 제 1 접음선 (b1) 으로 산접기하여, 제 1 접음선 (b1) 과 제 2 접음선 (c1) 사이의 부분과, 제 1 접음선 (b1) 과 가상선 (f1) 사이의 부분을 겹쳐서 다트부 (114) 를 형성한다. 이로써, 측벽부 (111, 111') 를 바닥부 (110) 의 주연으로부터 올려 세울 수 있다.
다트부 (114) 는, 상방이 폭이 넓은 삼각형으로서, 제 2 접음선 (c1) 으로 골접기함으로써 측벽부 (111) 의 외면에 겹쳐진다. 측벽부 (111') 는 평면에서 보아 외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다.
다음으로, 플랩부 (112) 를 플랩 되접음선 (d1) 으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되접어, 플랩부 (112) 와 측벽부 (111) 에 의해 다트부 (114) 를 사이에 끼운다.
그 후, 도 4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편 (113) 을 삽입편 되접음선 (e1) 으로 되접어, 양측의 다트부 (114) 에 대해 하방으로부터 꽂아 넣는다. 그리고, 플랩부 (112) 와 삽입편 (113) 에 의해 다트부 (114) 를 사이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로써 삽입편 (113) 이 다트부 (114) 에 꽂아지고 잘 빠지지 않게 되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접시 (C) 가 완성된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 및 도 6A ∼ 도 6E 와 함께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접이식 용기는 보울 (D) 이다.
보울 (D) 은, 사각형의 바닥부 (210) 의 4 변으로부터, 대향하는 2 개 1 조의 측벽부 (211) 및 측벽부 (211') 를 2 조 올려 세워 이루어지며, 시트 (201) 를 구부려 접어서 형성된다.
측벽부 (211, 211') 의 높이 치수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측벽부 (111, 111') 보다 높고, 1 조의 측벽부 (211) 는 다른 1 조의 측벽부 (211') 보다 폭이 좁다.
폭이 넓은 측벽부 (211') 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그 상단을 따라 플랜지 (215) 가 튀어나와 있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201) 를 대지 (B) 로부터 잘라낸다.
시트 (201) 는,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바닥부 (210) 가 구획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 (210) 의 주연의 네 모서리에 설정된 점 (a2) 으로부터, 각각 제 1 접음선 (b2) 과, 제 2 접음선 (c2) 이 시트 (1) 의 외주를 향해 형성된다.
2 개의 제 2 접음선 (c2) 사이에 형성되는 측벽부 (211) 의 선단에는, 선단측이 폭이 넓은 사다리꼴의 플랩부 (212) 가 플랩 되접음선 (d2) 을 개재하여 연이어 형성된다. 플랩부 (212) 의 양측부에는, 플랩부 (212) 의 측연으로부터 플랩부 (212) 의 선단을 향하여, 서로 접근해 가도록 경사진 삽입편 되접음선 (e2) 을 개재하여 삽입편 (213) 이 연이어 형성된다.
제 1 접음선 (b2) 에 대해 제 2 접음선 (c2) 과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가상선 (f2) 이 설정된다. 그리고 2 개의 가상선 (f2) 사이의 부분으로 측벽부 (211') 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접음선 (c2) 과 가상선 (f2) 에 의해 사이에 끼인 부분이 다트부 (214) (도 6C 참조) 가 된다.
다트부 (214) 의 선단부는, 제 1 접음선 (b2) 의 선단을 꼭지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걸림부 (216) 로 되어 있다. 이 걸림부 (216) 는, 걸림부 되접음선 (l2) 을 개재하여 삽입편 (213) 과 측벽부 (211') 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벽부 (211') 의 선단에는, 만곡된 플랜지 굽힘선 (m2) 을 개재하여 플랜지 (215) 가 연이어 형성된다. 플랜지 (215) 를 형성함으로써, 측벽부 (211') 가 구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보울 (D) 안에 고온의 액체 등을 넣은 경우에도, 플랜지 (215) 의 부분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뜨거움을 느끼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울 (D) 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벽부 (211') 에는, 플랜지 굽힘선 (m2) 과 동심상의 보강 리브 (217) 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201) 를 접기 위해서는, 먼저, 도 6B,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 (216) 를 걸림부 되접음선 (l2) 을 따라 외면측으로 되접는다.
다음으로, 도 6C, 도 6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음선 (b2) 을 따라 산접기하고, 제 1 접음선 (b2) 의 양측을 걸림부 (216) 와 함께 겹쳐서 다트부 (214) 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측벽부 (211, 211') 를 바닥부 (210) 의 주연으로부터 올려 세운다. 걸림부 (216) 는 다트부 (214) 의 외면을 둘러싸듯이 하방으로 되접힌다.
그 후, 플랩부 (212) 를 플랩 되접음선 (d2) 을 따라 외면측으로 되접어, 측벽부 (211) 와 플랩부 (212) 에 의해 다트부 (214) 및 걸림부 (216) 를 사이에 끼운다.
이어서, 도 6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랩부 (212) 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 (213) 을, 삽입편 되접음선 (e2) 으로부터 내면측으로 되접어, 통형상으로 되접힌 걸림부 (216) 에 꽂아 넣는다. 이렇게 하여, 플랩부 (212) 와 삽입편 (213) 에 의해, 양측의 걸림부 (216) 를 사이에 끼워 고정시킨다.
또한, 플랜지 (215) 를 플랜지 굽힘선 (m2) 을 따라 보울 (D) 의 외면측으로 구부려 접어, 측벽부 (211') 의 상단으로부터 플랜지 (201) 를 튀어나오게 한다. 이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울 (D) 을 작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도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컵 (A), 접시 (C), 보울 (D) 모두 바닥부의 주연으로부터 4 면의 측벽부를 올려 세우고 있지만, 측벽부의 수는 3 면 또는 만곡된 2 면이어도 되고, 4 면보다 많아도 된다.
다트부를 측벽부의 내면에 겹치고,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한 플랩부를 내면측으로 되접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용기 내면을 평활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다트부를 측벽부의 외면에 겹치고, 플랩부를 용기의 외면측으로 되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컵 (A) 에 2 개의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지만, 손잡이는 없어도 되고, 1 개뿐이어도 된다.
별체의 손잡이로 하지 않고, 단면 역 U 자 형상으로 구부려 접은 손잡이를,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외향으로 일체로 연장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되는 측벽부의 상단으로부터 플랜지가 튀어나와 있지만, 측벽부의 폭이 좁은 경우 등에는,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측벽부에 형성한 보강 리브는 1 개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복수 개로 하거나, 반대로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리브는 보강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안에 넣는 액체 등의 용량을 나타내는 눈금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 : 컵
B : 대지
C : 접시
D : 보울
1, 101, 201 : 시트
10, 110, 210 : 바닥부
11, 11', 111, 111', 211, 211' : 측벽부
12, 112, 212 : 플랩부
13, 113, 213 : 삽입부
14, 114, 214 : 다트부
215 : 플랜지
216 : 걸림부
217 : 보강 리브
a, a1, a2 : 점
b, b1, b2 : 제 1 접음선
c, c1, c2 : 제 2 접음선
d, d1, d2 : 플랩 되접음선
e, e1, e2 : 삽입편 되접음선
f, f1, f2 : 가상선
g : 보강용 절곡선
2 : 손잡이
2a : 손잡이용 시트
20 : 중합편
21 : 손잡이부
22 : 삽입편
h : 굴곡선
i : 선단부 굴곡선
j : 중간부 굴곡선
k : 경사 접음선
l2 : 걸림부 되접음선
m2 : 플랜지 굽힘선
3 : 스푼
4 : 포크

Claims (4)

  1. 시트를 구부려 접어서 형성되는 시트 접이식 용기로서,
    상기 시트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바닥부와, 그 바닥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측벽부와, 그 바닥부의 주연부의 점에서부터 상기 시트의 외주를 향해 형성되는 제 1 접음선 및 제 2 접음선과, 상기 제 1 접음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되접혀 형성되는 다트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되접음 가능한 플랩부와,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삽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다트부를 상기 제 2 접음선으로 되접어 상기 측벽부에 겹치고, 상기 플랩부를 되접어, 상기 다트부를 상기 측벽부와 그 플랩부에 의해 사이에 끼우고, 상기 플랩부에 형성한 상기 삽입편이 되접혀, 상기 다트부에 꽂아지고,
    서로 대향하는 2 개 1 조의 상기 측벽부는 모두 평면에서 보아,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접이식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겹쳐지고, 상기 플랩부는 외면측으로 되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접이식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트부를 그 측벽부에 겹치고, 상기 측벽부의 단부에 형성한 플랩부의 선단에 있어서,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트부의 사이에 상기 삽입편을 형성하고, 그 삽입편이 되접혀, 양측의 상기 다트부에 꽂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접이식 용기.
  4. 시트를 구부려 접어서 형성되는 시트 접이식 용기로서,
    상기 시트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바닥부와, 그 바닥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측벽부와, 그 바닥부의 주연부의 점에서부터 상기 시트의 외주를 향해 형성되는 제 1 접음선 및 제 2 접음선과, 상기 제 1 접음선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되접혀 형성되는 다트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되접음 가능한 플랩부와,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는 삽입편을 구비하고, 상기 다트부를 상기 제 2 접음선으로 되접어 상기 측벽부에 겹치고, 상기 플랩부를 되접어, 상기 다트부를 상기 측벽부와 그 플랩부에 의해 사이에 끼우고, 상기 플랩부에 형성한 상기 삽입편이 되접혀, 상기 다트부에 꽂아져 있고,
    상기 측벽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트부를 그 측벽부에 겹침과 함께, 그 다트부의 상부를 하방으로 되접어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형성한 플랩부의 양측부에 상기 삽입편을 형성하고, 그 삽입편이 되접혀, 양측의 상기 걸림부에 각각 꽂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접이식 용기.
KR1020247002901A 2021-06-24 2022-06-23 시트 접이식 용기 KR20240027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04835 2021-06-24
JP2021104835A JP7120679B1 (ja) 2021-06-24 2021-06-24 シート折り容器
PCT/JP2022/025182 WO2022270599A1 (ja) 2021-06-24 2022-06-23 シート折り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040A true KR20240027040A (ko) 2024-02-29

Family

ID=8285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901A KR20240027040A (ko) 2021-06-24 2022-06-23 시트 접이식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1056A1 (ko)
JP (1) JP7120679B1 (ko)
KR (1) KR20240027040A (ko)
CN (1) CN117545699A (ko)
WO (1) WO202227059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30B1 (ko) 2007-04-17 2012-06-04 도너 에스에이에스 일회용 물품 또는 의류에 사용되는 루프 앤드 후크 형 체결부재용 루프 물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1122U (ko) * 1980-03-27 1981-10-24
JPS5917768Y2 (ja) * 1981-03-27 1984-05-23 留雄 飯島 トレ−状紙製組立て容器
JPS6426220U (ko) * 1987-08-07 1989-02-14
JPH01153130U (ko) * 1988-04-16 1989-10-2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130B1 (ko) 2007-04-17 2012-06-04 도너 에스에이에스 일회용 물품 또는 의류에 사용되는 루프 앤드 후크 형 체결부재용 루프 물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1056A1 (en) 2024-05-01
CN117545699A (zh) 2024-02-09
WO2022270599A1 (ja) 2022-12-29
JP7120679B1 (ja) 2022-08-17
JP2023003641A (ja)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1941B2 (en) Packing case
US2220110A (en) Individual pie cut container
KR20240027040A (ko) 시트 접이식 용기
JP3203567U (ja) 畳箱用シート
US9145225B2 (en) Tray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items such as yogurt containers
US20080093258A1 (en) Transparent shirt box
US4055292A (en) Carton with integral separable measuring vessel
ES1110730U (es) Caja apilable hecha de cartón o material similar
JP6894183B2 (ja) 収納容器
JP2019001504A (ja) 包装箱
JP2019064719A (ja) 包装箱
JP3111003U (ja)
JP3222272U (ja) 簡易ベッド
JP2018024451A (ja) 可変箱
JP6936941B2 (ja) 飲料容器組み立てキット
JP6752019B2 (ja) ホルダ
JPS6219529Y2 (ko)
TWM635753U (zh) 組合式提籃
JP2021116086A (ja) 補強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箱
JP2001261024A (ja) トレー
JP421332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GB1564444A (en) Carton with integral separable measuring vessel
JPS6323301Y2 (ko)
JP2011173592A (ja) 簡易組立トレー
JPS609141Y2 (ja) 組立紙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