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99A -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99A
KR20240026699A KR1020220104874A KR20220104874A KR20240026699A KR 20240026699 A KR20240026699 A KR 20240026699A KR 1020220104874 A KR1020220104874 A KR 1020220104874A KR 20220104874 A KR20220104874 A KR 20220104874A KR 20240026699 A KR20240026699 A KR 2024002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plate
grilling
chamber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047B1 (ko
Inventor
박봉재
Original Assignee
박봉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재 filed Critical 박봉재
Priority to KR102022010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047B1/ko
Publication of KR2024002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에 직접구이와 함께 간접구이가 가능한 고기 구이판을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연소실과 히팅홀이 형성된 상판 및 연도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히팅홀을 개폐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챔버의 연도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통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연소실에 삽입 및 안착되어 고기가 올려지며 상기 고기를 직접구이 및 간접구이가 가능한 고기 구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Stove with roasting meat}
본 발명은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고기 구이판을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하여 직접구이 및 간접구이 방식으로 고기를 구어 먹을 수 있도록 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난로는 난방장치의 하나로서, 연료의 종류에 따라 전기난로, 연탄난로, 화목난로, 펠릿난로, 가스난로 및 석유난로 따위로 구분된다.
근래에는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캠핑으로 인해 여가할동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캠핑 용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동절기에는 나무 또는 펠릿을 원료로 사용하는 난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및 닭고기 등의 육류 및 어류를 굽기 위한 방식으로는 열원의 접촉방식에 따라 직접구이 방식과 간접구이 방식이 있다.
상기 직접구이 방식은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불, 숯불과 같은 열원에 고기가 직접 노출되어 구워지는 방식으로써, 구이용 석쇠와 같은 구이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직접구이 방식 중에서도 고기 구이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열원은 숯불로서, 숯이 산화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함과 동시에 산화되면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구워지는 고기에 침투하여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미감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고기 구이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고기 구이 방식, 특히 직접구이 방식은 노출된 상태에서 장시간 가열에 의해 육즙이 외부로 배출되어 고기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육질의 질감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쉽게 타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59017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65903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727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챔버의 내부에 직접구이와 함께 간접구이가 가능한 고기 구이판을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는 연소실과 히팅홀이 형성된 상판 및 연도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히팅홀을 개폐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챔버의 연도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통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연소실에 삽입 및 안착되어 고기가 올려지며 상기 고기를 직접구이 및 간접구이가 가능한 고기 구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챔버 내부면에는 상기 고기 구이판이 안착 및 고정되기 위해 서로 대응되면서 돌출되게 안착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히팅홀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수직상태로 뚫려있는 입구와 함께 손잡이를 갖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입구 하단에 빙둘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의 저면 가장자리를 받쳐서 결합 위치를 안내하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갖고 적층되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기 구이판은 본체 내부에 안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위에 안착되는 구이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의 홀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구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의 일측과 타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홀은 하부의 지름이 상부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은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홀의 지름이 커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연소실을 갖는 챔버의 내부에 직접구이와 함께 간접구이를 가능한 고기 구이판을 탈부착 방식으로 설치하여 원하는 고기를 직접구이 및 간접구이 방식으로 구어먹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에서 연통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에서 고기 구이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고기 구이판에서 구이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고정판 및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에서 연통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110)과 히팅홀(131)이 형성된 상판(130) 및 연도(120)를 갖는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의 히팅홀(131)을 개폐하는 덮개부재(200)와, 상기 챔버(100)의 연도(120)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통(300) 및 상기 챔버(100) 내부의 연소실(110)에 삽입 및 안착되어 고기가 올려지며 상기 고기를 직접구이 및 간접구이가 가능한 고기 구이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100) 내부면에는 상기 고기 구이판(400)이 안착 및 고정되기 위해 서로 대응되면서 돌출되게 안착부재(180)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재(180)는 상기 챔버(100) 내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내부면 주위를 따라 소정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0)는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챔버(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연소실(110)에서 연소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챔버(100)는 대략 내부가 빈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챔버(100)의 외경에는 보호망(101)이 설치되어 연소실(110)에서 발산된 열로 인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는 덮개부재(200)가 결합되도록 히팅홀(131)이 형성된 상판(130)이 구비된다. 상기 상판(130)은 네 개의 변을 갖는 사각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고, 네 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장착공(133)이 형성된 브래킷(132)이 연결된다. 상기 상판(130)에는 히팅홀(131)의 내경 크기를 조절하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서포트링(14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링(140)은 내경을 달리하는 복수로 이루어져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0)의 전면 중앙에는 화구문(150)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연소실(110)로 연료를 넣을 수 있는데, 상기 화구문(150)에는 내열성을 갖는 투명창(151)이 구비되어 연소실(110)의 연소 상황을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챔버(100)의 하부에는 캐스터(160)가 구비되어 사방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챔버(100)의 내부 중앙에는 연료받침판(111)에 놓인 연료를 태우는 연소실(1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연소실(110)에서 연소 후 떨어지는 재를 받는 재받침대(170)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챔버(100)의 후면 상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연도(120)가 구비되어 연소실(110)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연도(120)를 통해 챔버(100)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덮개부재(200)는 상기 히팅홀(131)을 개폐하도록 상판(130)에 안착되어 상하로 연통(300)된 입구(211)와 손잡이(212)를 갖는 커버플레이트(21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10)는 원형의 입구(211)가 중앙에 형성된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히팅홀(131)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10)의 상면 좌우 양측에는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부재(200)는 상기 고기 구이판(4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연소실(110)에서 발생한 불꽃이나 연기 및 연소열이 외부로 나가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챔버(100)의 상부를 뚜껑 형태로 덮게 된다.
상기 연통(300)은 연도(120)의 외측 단부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어 연소실(110)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기한다.
상기 연통(300)은 연도(120)의 외측 단부를 덮도록 챔버(100)에 힌지부재(400)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도커버(310)를 갖는다.
상기 고기 구이판(400)은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챔버(00)의 연소실(110) 내부에 안착되는 받침판(410)과, 상기 받침판(410)위에 안착되고 고기가 올려지는 구이판(420)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410)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의 홀(411)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4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상기 구이판(420)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4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42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손잡이(4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410)의 홀(411)은 하부의 지름이 상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상기 홀(411)의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판(410)에 형성된 홀(411)에 의해 상기 구이판(420)에 올려진 고기의 직접구이가 가능하면서 상기 홀(411)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는 간접구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판(410)에 형성된 홀(411)에 대한 하부의 지름(H2)이 상부의 지름(H1)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소실(110) 내에서 연소될 때 발생하는 불이 상기 구이판(420)쪽으로 화각을 넓게 가져갈 수 있어 상기 구이판(420) 위에 올려진 고기에 대해 보다 균일하게 직접구이가 가능해 진다.
상기 받침판(410)에 형성된 걸림턱(412) 사이로 상기 구이판(420)을 상기 받침판(410)의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면서 결합되게 하고, 상기 구이판(420)과 받침판(41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구이판(420)의 손잡이(421)를 잡고 들게 되면 상기 구이판(420)과 받침판(410)은 함께 움직이게 되면서 상기 받침판(410)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구이판(420)은 평면상 원형 구조의 테두리부(422)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정렬된 다수의 환봉(R)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환봉(R)은 측면상으로 보았을 때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는 브래킷(132)의 장착공(13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반(500)을 더 포함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선반(500)의 저면 양측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킥스탠드(510)가 설치되어 브래킷(132)의 장착공(13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반(500)은 챔버(100)의 상판(130) 네 변에 연결된 네 개의 브래킷(132)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반(500)은 챔버(100)의 상판(130) 네 변에 연결된 네 개의 브래킷(13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500)에는 고기를 구워 먹을 때 필요한 야채, 양념 및 덮개부재(200)뿐만 아니라 난로 주변에 여러 사람이 앉아서 이용할 때 따뜻하게 마시는 찻잔 등을 상기 선반(500) 위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챔버 110 : 연소실
120 : 연도 130 : 상판
131 : 히팅홀 132: 브래킷
140 : 서포트링 150 : 화구문
160 : 캐스터 170 : 재받침대
180 : 안착부재 200 : 덮개부재
210 : 커버플레이트 211 : 입구
213 : 가이드링 300 : 연통
400 : 고기 구이판 500 : 선반

Claims (5)

  1. 연소실과 히팅홀이 형성된 상판 및 연도를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히팅홀을 개폐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챔버의 연도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는 연통 및
    상기 챔버 내부의 연소실에 삽입 및 안착되어 고기가 올려지며 상기 고기를 직접구이 및 간접구이가 가능한 고기 구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 측면에 상기 고기 구이판이 안착 및 고정되기 위해 서로 대응되면서 돌출되게 안착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히팅홀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수직상태로 뚫려있는 입구와 함께 손잡이를 갖는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입구 하단에 빙둘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입구의 저면 가장자리를 받쳐서 결합 위치를 안내하고 서로 다른 지름을 갖고 적층되는 가이드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기 구이판은 본체 내부에 안착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위에 안착되는 구이판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의 홀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구이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의 일측과 타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홀은 하부의 지름이 상부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홀은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외곽으로 갈수록 홀의 지름이 커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KR1020220104874A 2022-08-22 2022-08-22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KR10266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74A KR102660047B1 (ko) 2022-08-22 2022-08-22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74A KR102660047B1 (ko) 2022-08-22 2022-08-22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99A true KR20240026699A (ko) 2024-02-29
KR102660047B1 KR102660047B1 (ko) 2024-04-24

Family

ID=9004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874A KR102660047B1 (ko) 2022-08-22 2022-08-22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0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5473A (en) * 1918-09-06 1920-03-30 Archacki Piotr Field-kitchen
KR19980065903A (ko) 1997-01-16 1998-10-15 홍응수 고기구이용 바이오세라믹 화덕
KR20030043891A (ko) * 2003-05-15 2003-06-02 이병용 이중석쇠
KR200359017Y1 (ko) 2004-05-07 2004-08-21 이금열 고기구이용 화덕
KR200397274Y1 (ko) 2005-07-08 2005-09-29 임윤한 고기구이용 화덕
KR101890418B1 (ko) * 2017-08-17 2018-08-21 이상훈 바비큐 그릴장치
KR102343254B1 (ko) * 2021-03-23 2021-12-24 한덕희 난방 겸용 화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5473A (en) * 1918-09-06 1920-03-30 Archacki Piotr Field-kitchen
KR19980065903A (ko) 1997-01-16 1998-10-15 홍응수 고기구이용 바이오세라믹 화덕
KR20030043891A (ko) * 2003-05-15 2003-06-02 이병용 이중석쇠
KR200359017Y1 (ko) 2004-05-07 2004-08-21 이금열 고기구이용 화덕
KR200397274Y1 (ko) 2005-07-08 2005-09-29 임윤한 고기구이용 화덕
KR101890418B1 (ko) * 2017-08-17 2018-08-21 이상훈 바비큐 그릴장치
KR102343254B1 (ko) * 2021-03-23 2021-12-24 한덕희 난방 겸용 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047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291B2 (en) Food cooker
US9038620B2 (en) Convertible mobile fire pit and cooker assembly
US9788688B1 (en) Combination barbecue grill and smoker apparatus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10568459B2 (en) Cooking apparatus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US10849457B2 (en) Portable three-in-one food griller, food smoker and fire pit
JP2018510756A (ja) 側面直火焼き装置
KR102328873B1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US7475632B2 (en) Smokeless barbecue grill
KR100704443B1 (ko) 하향 방열식 구이 장치
US5156083A (en) Smoke-free grill for gas ranges
US20150297028A1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102660047B1 (ko)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US20080053315A1 (en) Grilling and cooking apparatus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EP1886606B1 (en) Smokeless barbecue grill
KR200486112Y1 (ko) 바비큐 그릴
KR20160122404A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198107Y1 (ko) 구이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KR102503380B1 (ko) 조리기능을 갖는 난로
KR200434509Y1 (ko) 야외용 고기구이기
AU2006100635A4 (en) Smokeless barbecue g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