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381A -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381A
KR20240026381A KR1020220103831A KR20220103831A KR20240026381A KR 20240026381 A KR20240026381 A KR 20240026381A KR 1020220103831 A KR1020220103831 A KR 1020220103831A KR 20220103831 A KR20220103831 A KR 20220103831A KR 20240026381 A KR20240026381 A KR 20240026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wireless
elevator call
button
cal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김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준 filed Critical 김현준
Priority to KR102022010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381A/ko
Publication of KR2024002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간편한 설치만으로 엘리베이터 업/다운 호출 요청을 건축물의 개별 호실이나 가구에서 발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기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의 스위치와 병렬로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의 입력에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릴레이들은 멀티-홉 릴레이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업/다운 신호를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에 연동된 무선 수신기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AN ELEVATOR CALL SYSTEM OPERATING IN CONNECTION WITH CALL BUTTON AND INTERFACE DEVICE THEREOF}
본 명세서는 엘리베이터의 호출방식, 더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호출 버튼과 연동하는 무선 호출 방식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 즉 업(up) 또는 다운(down)을 위한 명령은 엘리베이터 카(car)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때는 내부에 설치된 버튼 중 가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전달된다. 이와 달리 엘리베이터 카 외부에서는 통상적으로 건물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홀의 벽면에 매립된 호출 버튼 중 업/다운 버튼을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 버튼 리더가 업/다운 요청을 통신선을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전달한다. 근래에는 스마트홈 또는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이 널리 활용됨에 따라 아파트나 상업용 건물을 건설할 때 구분된 개별 호실의 벽면에 매립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위치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홈 또는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의 경우 엘리베이터 홀과 개별 호실을 시공할 때부터 배선과 단말장치를 매립하여야 하며, 이미 시공이 완료된 건축물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19154호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제어시스템 외부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엘리베이터 운행 서버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개념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1566호는 무선 단말기가 외부 통신망 대신 RF 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수신기를 통해 엘리베이터 운행 서버에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방식이 연구개발 된 바 있다. 그러나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된 수신기에 호출 요청을 전송하는 방식은 RF신호의 도달거리 및 주파수 간섭을 고려할 때 건물 내 개별 호실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6-0008687호는 텔레비전의 원격제어기를 이용하여 승강기 호출 요청을 송신하면,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I2C 버스를 통해 유선으로 승강기 제어부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승강기 호출 요청과 승강기의 현재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텔레비전의 원격제어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호출 방식은 텔레비전의 제어부가 유선망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와 접속되어야 하며 텔레비전에 RF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장소에서는 동작이 제약된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08-0090668호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본체에 무선 수신기를 내장하고, RF 방식의 원격제어기(리모콘)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전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RF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엘리베이터의 제어기가 접속되는 통신망을 통해 엘리베이터 홀의 버튼 동작회로와 별개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과 접속되어야 한다. 나아가 RF신호의 주파수 간섭 및 도달거리에 의한 제약이 발생하여 개별 호실이나 유닛에서 호출요청을 전송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등록실용 제20-0419154호 등록실용 제20-0421566호 공개특허 제10-2006-0008687호 공개특허 제10-2008-0090668호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간편한 설치만으로 엘리베이터 업/다운 호출 요청을 건축물의 개별 호실이나 가구에서 발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는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 및 그 밖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출 시스템은 건물 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며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릴레이; 및 상기 무선 릴레이로부터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를 통해 상기 업 신호 또는 상기 다운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호출 시스템은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의 온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에 출력단이 접속되는 논리합 게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릴레이 중 같은 구역에 설치되는 무선 릴레이들 간에 멀티-홉 릴레이 방식으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가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호출 시스템은 같은 구역에 설치되는 무선 릴레이들 중 실패 무선 릴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다른 구역 내의 임의의 무선 릴레이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발신한 무선 릴레이와 같은 구역의 무선 수신기에 도달하도록 라우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호출 시스템은 상기 무선 수신기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 상기 무선 호출기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 릴레이를 경유하여 엘리베이터의 현재층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물 내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과 연동하여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무선 릴레이로부터 상기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의 온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에 출력단이 접속되는 논리합 게이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하면, 개별 호실이나 엘리베이터 홀을 뜯어 배선과 단말장치를 재시공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개별 호실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하면, 고전력 면허주파수 대역 대신 저전력 비면허대역 무선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비용효율적으로 건물 내 임의의 지점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 외부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영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홀과 버튼 박스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멀티홉 방식을 이용하여 같은 구역에서 엘리베이터 호출신호가 릴레이 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같은 구역 내의 무선 릴레이 중 고장이 발생한 릴레이가 있는 경우 다른 구역의 무선 릴레이를 경유하는 라우팅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호실 내에서의 호출 요청의 전달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벽을 파괴하거나 유선통신선을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를 건물 내 임의의 위치에서 호출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 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은, 물리적인 버튼 뿐 아니라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인식, 비접촉식 신호전달 체계, 정지화상 및 동화상인식, 전자기파 등 엘리베이터 업(up) 또는 다운(down) 스위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영 시스템(100)의 개요도이다. 엘리베이터 운영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기(200)와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엘리베이터의 호출에 초점을 맞추어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각 층 버튼, 및 상기 각 층 버튼의 입력을 수신하여, 예를 들어, TCP/IP를 이용하여 제어기(200)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매립설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기(200)로 간소하게 기재하였으나 선택과 시스템 구축조건에 따라 제어기(200)는 제어서버나 운용서버, 운용장치일 수 있으며 클라우드를 통해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시스템의 백본이 TCP/IP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설계제약 및 선택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터페이스와 제어기(200)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홀(300)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reader)(330)와 통신가능하게 접속된다. 엘리베이터 홀(300)에는 엘리베이터 도어(310),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320) 및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330)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도어(310)는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도착하면 열리고 떠나기 전에 닫히는 동작을 수행한다. 엘리베이터 도어(310)의 상부 또는 측면에는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현재 위치하는 층수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또는 도착예정임을 알리는 램프가 점멸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홀(300)의 엘리베이터 도어(310)의 옆에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320)이 위치한다. 버튼(320)의 설치높이나 개수 등은 가변적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버튼(320)은 올라가고자 할 경우에는 업(up) 버튼을, 내려가고자 할 때는 다운(down) 버튼을 동작시킨다. 일반적으로 물리버튼인 경우에는 눌러서 동작시키며,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손을 접촉시키고, 비접촉식 RF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무선단말로 신호를 송신하여 동작시킨다. 또한 인공지능 및 영상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 등을 분석하거나 제스처를 인식하여 동작시키는 경우도 본 명세서에서는 버튼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간주한다. 버튼(320)은 통상 업/다운 버튼이 모두 존재할 수 있으나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서는 다운 또는 업 버튼만 제공될 수 있다. 버튼(320)이 물리 버튼인 경우 버튼(320)을 누르면 전기적인 방식으로 버튼 리더(330)가 업/다운 호출 요청을 판독하여 제어기(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 리더(330)는 버튼(320)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으나 병합되어 단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 리더(330)는 물리적 버튼(320)을 누르는 동작에 의한 업/다운 호출 요청 외에, 무선 릴레이(340)를 통해 전달되는 업/다운 신호에 응답하여 버튼(320)을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전달되는 업/다운 호출 요청을 호출 버튼(32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임의의 층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홀(300)에 설치되는 호출 버튼(320)의 구조가 상세히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320)은 업 버튼(350) 및 다운 버튼(360)을 포함할 수 있다. 업 버튼(350) 또는 다운 버튼(360)이 동작되면 각각 스위치(321) 또는 스위치(322)가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330)로 신호를 전달한다. 호출 버튼 리더(330)는 동작된 버튼이 업 버튼인지 또는 다운 버튼인지에 따라 업/다운 요청을 제어기(2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의 동작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호출 버튼(320)의 신호회로와 리더(330)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무선 수신기(370)를 포함한다. 단일 무선 수신기(370)가 업 스위치(321) 또는 다운 스위치(322)에 공통으로 병렬연결되거나 선택에 따라 업 스위치(321)와 다운 스위치(322) 각각에 개별적인 무선 수신기(370)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3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릴레이(340)로부터 업/다운 신호를 수신하고, 업 또는 다운 호출 요청인지 여부에 따라 도 2의 업 스위치(321) 또는 다운 스위치(322)가 접속된 회로에 신호를 발생시켜 리더(330)로 출력한다. 무선 수신기(370)는 업 스위치(321) 및 다운 스위치(322)와 병렬로 별도의 게이트 없이 리더(330)의 각각의 입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무선 수신기(370)는 업 스위치(321) 및 다운 스위치(322)와 논리합(OR) 게이트(미도시)를 통해 리더(330)의 입력단에 접속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홉 방식을 이용하여 같은 구역에서 엘리베이터 호출신호가 릴레이 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서 '구역'은 통상 건물의 같은 층(story) 내의 무선 릴레이(340)들의 집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층을 구분하여 복수의 구역을 나누거나, 또는 층이 다르더라도 선택에 따라 같은 구역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같은 층의 무선 릴레이(340)들이 같은 구역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건물의 5층의 엘리베이터 홀에 엘리베이터 도어(310)가 위치하고, 엘리베이터 도어(310)에 가장 가까운 개별 유닛(호실)이 510호로부터 가장 먼 유닛이 501호인 상황을 가정한다. 해당 구역에는 510호에 관련되는 무선 릴레이(340)로부터 509호에 관련되는 무선 릴레이(예를 들면 도 4의 341)와 같은 방식으로 501호까지 각각 무선 릴레이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502호와, 엘리베이터 도어(310)로부터 가장 먼 501호에 관련되는 무선 릴레이는 각각 무선 릴레이(348) 및 무선 릴레이(349)로 도시된다. 무선 릴레이(340~349)는 업 또는 다운 호출 요청을 캐리(carry)하는 메시지를 릴레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규격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무선 릴레이(340)는 지그비(zigbee)나 지웨이브(zwave)와 같이 저전력 근거리 무선 디지털 데이터 통신규격을 지원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FM 방식의 아날로그 변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일 수 있다. 무선 릴레이(340)는 면허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면허 대역의 주파수는 한정적인 자원인데다 면허를 획득하기 위한 행정절차가 필요한데다 유지를 위한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면허대역(ISM)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멀티-홉(multi-hop) 릴레이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활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릴레이(340)는 배터리나 태양광 등 독립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전원공급선을 유선으로 배선할 수 있다.
여기서 501호에서 외출을 하려고 1층으로 내려가기 위해 다운 신호를 발신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501호의 사용자가 다운 신호를 발신하면 무선 릴레이(349)로부터 502호에 관련되는 무선 릴레이(348)로 상기 신호가 전송되고, 무선 릴레이(348)는 다음 503호에 관련되는 무선 릴레이(347, 미도시)로 릴레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510호에 관련되는 무선 릴레이(340)를 경유하여 상기 다운 신호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320), 더 상세하게는 상기 버튼(320) 내의 무선 수신기(370)로 전송된다.
그런데 같은 구역, 전술한 시나리오에서 5층의 무선 릴레이(340~349) 중 고장을 포함하는 장비 동작 실패(failure)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5층의 동일 구역 내의 무선 릴레이(345)가 호출 신호를 발신할 때 도시된 6개의 무선 릴레이(340~345)들 중 무선 릴레이(343)가 실패를 겪는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이 때 다른 구역, 예를 들어 4층에서 정상동작하는 무선 릴레이들(442, 443)을 경유하여 릴레이(343)을 우회해서 릴레이(340~342)를 거쳐 다시 5층의 호출 버튼(3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유닛에서 발신되는 호출 신호에는 업 요청 또는 다운 요청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 플래그), 및 해당 릴레이가 속하는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캐리(carry)할 수 있다. 따라서 구역 정보를 기초로 메시지가 우회하더라도 다시 호출 요청이 발신된 구역의 호출 버튼(320)으로 최종적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이러한 라우팅 기능은 무선 릴레이들이 복도식 건물의 복도에 설치되는 경우나, 건물의 층간에 자유공간 내지는 전파 투과성이 좋은 재질로 지어진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5는 개별 유닛, 예를 들어 510호에 있는 사람이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발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무선 릴레이(340)는 개별 유닛 내부에 설치되고 업/다운 선택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으나, 무선 릴레이(340)가 저전력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경우 도달거리의 한계로 인하여 호출 요청이 원활하게 릴레이 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로 무선 릴레이(340)는 건물 내의 복도와 같이 무선 릴레이들(340)끼리 원활하게 릴레이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되, 무선 릴레이(340)에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가 본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무선 호출기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출 시스템의 제어기(200)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발신하는 한편, 제어기(200)로부터 엘리베이터의 현재층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호출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용 광역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SM) 네트워크, 범용 패킷 무선 네트워크(General Packet Radio Network; GPRN),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거대도시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셀룰러 네트워크, 공중 전화 교환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개인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초광대역(Ultra-Wide band),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수학 학습 보조 장치 및 수학 학습 보조 장치에 의한 수학 평가 문제를 생성하는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들, 과정들 또는 동작들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 과정 또는 동작으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 과정 또는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 과정 또는 동작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과정 또는 동작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부"는(예를 들면, 제어부 등),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부"는,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부"는,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부"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하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정의된다. 또한, 청구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과 같은 도입 문구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청구항에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과 같은 도입 문구 및 "하나" 같은 불명료한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불명료한 문구 "하나"에 의한 다른 청구항 요소의 도입이 그러한 요소를 하나만을 포함하는 발명에 대해 그렇게 도입된 청구항 요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그러한 용어가 설명하는 요소들을 임의로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그러한 요소들의 시간적 또는 다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도록 반드시 의도된 것은 아니며, 특정 수단이 서로 다른 청구항들에 열거되어 있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이러한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그러한 요소의 시간적 또는 다른 우선 순위를 나타내도록 반드시 의도되지는 않는다. 특정 조치가 서로 다른 주장에 인용되었다는 단순한 사실만으로 이러한 조치의 조합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의 배열은 효과적으로 "관련"되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따라서, 특정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결합된 임의의 2 개의 구성 요소는 구조 또는 중개하는 구성 요소와 관계없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연관된 두 개의 구성 요소는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동작들의 기능성 사이의 경계가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복수의 동작들은 단일 동작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단일 동작은 추가 동작들로 분산될 수 있으며, 동작들은 시간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특정 동작에 대한 복수의 인스턴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동작들의 순서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수정, 변형 및 대안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X일 수 있다"는 문구는 조건 X가 충족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문구는 또한 조건 X가 충족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특정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참조는 시스템이 특정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시나리오도 포함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는 해당 방법이 특정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시나리오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또 다른 예를 들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에 대한 참조는 시스템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시나리오도 포함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구성된",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방법은 적어도 도면 및/또는 명세서에 포함된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면 및/또는 명세서에 포함된 동작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청구항에 나열된 요소들 또는 동작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논리 블록들 사이의 경계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인 실시 예들이 논리 블록들 또는 회로 소자들을 병합하거나 또는 다양한 논리 블록들 또는 회로 소자들 상에 기능의 대체적인 분해를 부과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 도시된 아키텍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사실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예들은 단일 집적 회로 상에 또는 동일한 장치 내에 위치된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예들은 임의의 수의 개별적인 집적 회로들 또는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상호 접속된 개별 장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 수정, 변형 및 대안들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예들 또는 그 일부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하드웨어 기술 언어와 같은, 물리적 회로 또는 물리적 회로로 변환 가능한 논리적 표현의 소프트웨어 또는 코드 표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로 구현된 물리적 장치 또는 유닛으로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본원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표시되는 메인 프레임, 미니 컴퓨터, 서버,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 노트패드(notepad), 개인용 디지털 정보 단말기(PDA), 전자 게임(electronic games), 자동차 및 기타 임베디드 시스템, 휴대전화 및 다양한 다른 무선 장치 등과 같은, 적절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원하는 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 또는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 언급된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들은 예를 들어 중간 장치를 통해 각각의 노드, 유닛 또는 장치로부터 또는 각각의 노드, 유닛 또는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연결일 수 있다. 따라서, 묵시적으로 또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연결은 예를 들어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일 수 있다. 연결은 단일 연결, 다수의 연결, 단방향 연결 또는 양방향 연결이라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되거나 묘사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실시 예들은 연결의 구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방향 연결이 아닌 별도의 단방향 연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결은 복수의 신호를 순차적으로 또는 시간 다중화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일 연결로 대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일 연결은 이러한 신호의 서브 세트를 전송하는 다양한 연결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많은 옵션들이 존재한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100: 엘리베이터 운영 시스템 200: 제어기
300: 엘리베이터 홀 310: 엘리베이터 도어
320: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321, 322: 업 스위치, 다운 스위치
330: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 340~349: 무선 릴레이
350: 업 버튼 360: 다운 버튼
370: 무선 수신기
440~445: 무선 릴레이

Claims (7)

  1.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으로서:
    건물 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며 업(up) 신호 또는 다운(down)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릴레이; 및
    상기 무선 릴레이로부터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reader)를 통해 상기 업 신호 또는 상기 다운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의 온(ON)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에 출력단이 접속되는 논리합(OR)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릴레이 중 같은 구역에 설치되는 무선 릴레이들 간에 멀티-홉(multi-hop) 릴레이 방식으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가 상기 무선 수신기로 전달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은 상기 같은 구역에 설치되는 무선 릴레이들 중 실패(failure) 무선 릴레이가 존재하는 경우 다른 구역 내의 임의의 무선 릴레이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발신한 무선 릴레이와 같은 구역의 무선 수신기에 도달하도록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로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호출기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호출기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선 릴레이를 경유하여 엘리베이터의 현재층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7. 건물 내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 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과 연동하여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무선 릴레이로부터 상기 업 신호 또는 다운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를 통해 엘리베이터 제어기로 전달하는 무선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수신기의 출력과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의 온 출력이 입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리더에 출력단이 접속되는 논리합 게이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220103831A 2022-08-19 2022-08-19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KR20240026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831A KR20240026381A (ko) 2022-08-19 2022-08-19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3831A KR20240026381A (ko) 2022-08-19 2022-08-19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381A true KR20240026381A (ko) 2024-02-28

Family

ID=9012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831A KR20240026381A (ko) 2022-08-19 2022-08-19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38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687A (ko)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을 이용한 승강기 호출 시스템
KR200419154Y1 (ko) 2006-02-28 2006-06-16 (주)에이치피엔알티 주차장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주차장승강기 호출시스템
KR200421566Y1 (ko) 2006-05-03 2006-07-12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KR20080090668A (ko) 2007-04-05 2008-10-09 김종은 리모콘방식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687A (ko)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을 이용한 승강기 호출 시스템
KR200419154Y1 (ko) 2006-02-28 2006-06-16 (주)에이치피엔알티 주차장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주차장승강기 호출시스템
KR200421566Y1 (ko) 2006-05-03 2006-07-12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KR20080090668A (ko) 2007-04-05 2008-10-09 김종은 리모콘방식 엘리베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3564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KR102281704B1 (ko)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통신 방법
EP1457452B1 (en) Elevator operating apparatus
US105947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CN102298363B (zh) 简单节点式运输系统的控制方法与装置
US10046948B2 (en) Variable elevator assignment
EP3566991B1 (en) Elevator service requesting based on social media application module
CN104767726A (zh) 用于无线媒体设备的自动设备选择的装置和方法
JP2006321607A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装置
CN10535400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和车载终端互联的显示方法及装置
CN102938170A (zh) 移动通讯设备、门禁设备及其控制方法和门禁控制系统
JP2020104953A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40026381A (ko)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CN110636147B (zh) 一种双控开关配网方法、装置、开关及智能开关系统
CN112623892A (zh) 电梯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及其与电梯的通信方法
EP4319255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network management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89782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822122B2 (ja) 降車信号通信装置
CN113766478A (zh) Nfc卡的激活方法及装置
KR101232687B1 (ko) 음성유도장치
KR20220017057A (ko) IoT 환경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200751B1 (ko) 음성유도기의 중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699283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23117357A (ja) 端末、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