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66Y1 -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66Y1
KR200421566Y1 KR2020060011968U KR20060011968U KR200421566Y1 KR 200421566 Y1 KR200421566 Y1 KR 200421566Y1 KR 2020060011968 U KR2020060011968 U KR 2020060011968U KR 20060011968 U KR20060011968 U KR 20060011968U KR 200421566 Y1 KR200421566 Y1 KR 200421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elevator
vehicle
signal
car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2020060011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 및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의 알에프 카 리모콘은, 주차관제시스템으로부터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승강기 호출신호와 차량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RF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차량의 주차위치 정보신호 및 상기 신호입력수단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종 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하는 RF송신수단과; 상기 RF 수신수단, 신호입력수단, RF 송신수단의 동작상태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6031523521-utm00001
승강기, 주차장, 주차위치, RFID, 호출

Description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A Radio Frequency Car Remote Contoler For Elevator Calling And An Unified Managing System For Parking Lot}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호출시스템을 예시한 상태도.
도 2는 종래 승강기 호출을 위한 주차장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의 주차장을 예시한 개요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6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알에프 카 리모콘 101.......RF수신부
103.......RF 송신부 110.......신호입력부
111.......차량제어키 113.......승강기 호출신호입력키
115.......모드선택키 115a......화물모드입력키
115b......일반모드입력키 130.......차량
140,150...RFID 태그 200.......주차관제시스템
205.......차량통제부 210.......RFID 리더
220.......중앙통제부 250.......로컬 네트워크시스템
330.......승강기 운행관리서버 350.......승강장 버튼
본 고안은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얻어진 주차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하 주차장으로 승강기를 무선호출하는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공개특허 10-2004-0095552, 10-2005-0119020에 각각 기재된 고안은 무선통신수단을 통하여 승강기를 호출하는 장치에 대한 고안이다.
공개특허 10-2004-0095552에 기재된 종래 고안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승강기 의 자동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도 1에서처럼 다수자가 승강기(1)를 이용하는 경우 승강기를 이용하는 자마다 승강장 버튼(10)과 승강기 카 내부의 조작반을 직접 조작해야 하는데 따르는 번거로움과 버튼의 과사용으로 인한 버튼막힘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승강기(1)를 호출하거나 예약층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고안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 전자기기는 승강기의 승강장 버튼(10) 등에 내장된 통신모듈과 직접통신에 의해 승강기 제어를 하는 것이므로, 승강기(1) 내부 또는 승강장에 매우 근접해 있는 경우에 대해서만 승강기(1)에서 인식 가능한 장치여서 지하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경우처럼 승강장(15)에서 승객(20)이 멀리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5-0119020에 기재된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승강기 운행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고안은, 목적층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켜 놓은 단말기(11) 소지 승객(20)이 승강장(15)에 있는 경우, 승강기운행시스템과 단말기(11)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신호를 교환한다. 따라서 승객(20)이 특별히 승강기 조작신호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승강기(1)를 자동운행모드로 전환하여 단말기(11)에 저장된 목적층으로 승강기(1)를 운행한다.
이 고안에 의하는 경우에도 승객(20)이 승강장(15)에 있을 때에 한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며, 승객(20)이 승강장(15)에서 멀어지는 경우에는 승강기 운행시스템과의 정보교환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출력을 높여 정보교환의 문제를 해결한다 해도, 승강기는 상하이동을 하는 장치이고 승강기 호출에는 상하위치(즉, 호출층)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운행시스템이 승객이 몇층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하 주차장 승강기 이용시는 주차차량에서 하차하여 승강장(15)에 이르러서야 승강기 예약호출이 가능하므로 차량을 주차하는 시간과 차량에서 하차하여 승강기로의 이동시간이 소요됨에도 승강장(15)에서 다시 승강기의 도착을 기다려야 하므로 승객에 큰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종래 다른 고안들 중에는 CDMA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승강기(1)를 호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또한 CDMA이동통신망의 한계로 인해 차량이 진입한 지하주차장의 층(즉, 상하위치)을 구분하기가 곤란하고, 탑승자도 차량에서 하차하여 승강장에 근접하기 전에는 차량을 주차한 층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승강기 호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 이들의 통신수단들이 승강기 호출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경우라 하더라도 승객이 화물을 가지고 승강기에 탑승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탑승에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호출된 승강기가 대기시간을 초과하여 도어(19)가 닫혀버리거나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동일 발명자의 미공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6-0005460 호에는 RF 무선통신에 의해 승강기(1)를 호출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고안의 승강기 호출기(30)는 각층 주차장(50) 출입구에 설치된 층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40)를 읽어서 차량(33)이 주차된 층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고안의 승강기 호출기(30)는 승강기 운행시스템과 교신하여 승강 기(1) 운행정보 및 승강기 호출신호를 송수신한다. 이 승강기 호출기(30)는 RF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여 로컬네트워크나 승강기 운행시스템과 교신하며, 사용자가 승강기 호출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RFID 태그(40)에서 읽은 주차된 층에 대한 정보를 승강기 호출신호에 포함시켜 승강기 운행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런데, 주차장(50)의 통제와 관리를 위해 주차관제시스템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차량(33)의 주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중앙통제부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음에도 승강기 호출기(30) 및 승강기 운행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설비를 중복으로 주차장(50)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주차관제시스템과의 통일적인 주차장(50)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관제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 호출을 수행하여 승강기 운행동작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차관제시스템과 승강기 운행시스템이 연동하여 동작하여 승강기 운행의 정확성을 높이고 중복설비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사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은, 주차관제시스템으로부터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승강기 호출신호와 차량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신호입력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RF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호출신호나 차량 제어신호가 송출되는 RF송신수단; 그리고 상기 RF 수신수단, 신호입력수단, 및 RF 송신수단에 연결되어 각부의 동작상태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 송신수단은 주차장 내외부에서 접속 ID를 포함하는 RF신호를 발생시켜 주차관제시스템에 의한 출입통제부의 동작을 요청하거나 주차정보를 요청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주차위치 신호는 상기 차량의 주차된 층과 블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은,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의 접속 ID에 대응하는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차관제시스템; 그리고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주차위치정보 및 승강기 호출신호에 따라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을 동작시키는 승강기 호출 등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차차량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접속 ID를 포함하는 RF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 출입구 및 주차위치에서 RFID 리더에 의해 읽혀져서 차량 위치추적이 되며, 이 정보가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의 RF 수신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알에프 카 리모콘은, 사용자에 의해 승강기 호출신호와 차량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신호입력수단에서 입력되는 차량 제어신호나 로컬 네트워크 접속 ID를 포함한 승강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RF송수신수단;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수단, RF 송수신수단에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은,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 및 차량의 접속 ID에 대응하는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차관제시스템; 그리고,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주차위치정보 및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의 승강기 호출신호에 따라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을 동작시키는 승강기 호출 등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차장의 출입의 편의를 제공하며, 주차관제시스템과 승강기 운행시스템이 연동하여 운행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승강기의 원격호출이 가능하고, 주차장 제어와 주차장 승강기 운행 제어를 일원화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고, 주차장 및 주차장 승강기 사용자에 큰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의 주차장을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5 내지 7은 각각 제 1, 제 2, 제 3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이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100)은, 주차관제시스템(200)으로부터 주차차량(130)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수단(101)과, 승강기 호출신호와 차량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수단(110), 신호입력수단(110)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각종 제어신호를 무선송출하는 RF송신수단(103), 그리고, 각부의 동작상태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주차관제시스템(200)에 의해 제어되는 도 4의 주차장(210)은, 출입구에 차량통제부(205)가 설치되고, 여기에 RFID 리더(240)가 구비되어 진입차량(130)의 접속 ID를 읽어서 중앙통제부(220)로 전달하거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진입차량(130)의 주차장(210) 출입 권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주차장(210)의 각 층 출입구와 각각의 주차위치에는 RFID 리더(240)나 차량 번호인식장치 등 차량위치를 인식하거나 추적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차량통제부(205)를 통과한 차량(130)이 최종 주차된 위치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주차관제시스템(200)은 로컬네트워크 시스템(예컨대 홈네트워크 시스템)(250) 및 승강기 운행시스템(300)과 연결되어 있어서 주차장(210)의 차량(130) 제어 및 승강기(1) 운행제어를 위한 신호를 교환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주차관제시스템(200)은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250) 및 승강기 운행시스템(300)과 교신을 위한 통신수단, 예컨대 RF 송수신수단(230)을 구비하며, 중앙통제부(220)는 RF송수신수단(230) 및 차량통제부(205)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중앙통제부(220)는 차량(130)의 최종 주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250)을 경유하거나 직접 승강기운행시스템(300)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 알에프 카 리모콘(100)에서 승강기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주차관제시스템(200)에서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해당 ID에 대한 주차위치 정보를 전송한 상태이기 때문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기(1)의 승강장버튼(330)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7의 경우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주차관제시스템(200)과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250) 및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이 별개의 독립한 시스템으로 운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차관제시스템(200)에서 송출되는 주차위치정보를 알에프 카 리모콘(100)이 수신하여 승강기 호출을 하게 된다.
즉, 알에프 카 리모콘에서 수신된 주차위치 정보는 승강기 호출신호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전송되고,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의 승강기 운행관리서버(예컨대 제어반, 군관리서버 등)(330)는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승강장버튼(350)을 동작시켜 승강기 카부름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도 7의 경우처럼 차량의 위치추적을 위한 RFID 태그(140,150)는 차량(130)의 특정위치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와 6의 경우처럼 알에프 카 리모콘(100)에 내장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130)이 주차관제시스템(200)에 의해 제어되는 주차장(210)으로 진입하는 경우, 차량(130)이나 알에프 카 리모콘(100)에 내장된 RFID 태그(140,150)를 주차장의 RFID 리더(240)가 읽어들여 중앙통제부(220)으로 전달하며, 중앙통제부(220)는 해당 ID에 대한 권한여부를 판단하고 차량통제부(205)를 동작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통제부(205)를 통과하여 진입한 차량(130)이 주차장(21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주차관제시스템(200)은 RFID 태그(140,150) 등을 통하여 차량(130)의 위치추적을 하며, 주차가 완료되는 경우 해당 차량(130)의 주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이나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도록 되어있다.
주차관제시스템(200)의 주차차량 위치정보에는 차량(130)의 주차된 층의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해당 층에 있어서도 주차된 블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10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주차관제시스템(200)에서 수신된 주차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해당 주차위치의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승강기 운행정보는 승강기의 위치(진행중 또는 정지중인 층), 운행방향(상/하 화살표), 도어 개폐상태(open/close), 정상운행 여부(점검,고장)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RF 송신수단(103)을 통하여 송출되는 승강기 호출신호는 주차관제시스템(200)을 통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차관제시스템(200) 및 로컬 네트워크 관리서버(250)를 경유하여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승강기 운행정보신호는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에 의해 발생되어 주차관제시스템(200)을 경유하거나 주차관제시스템(200) 및 로컬 네트워크 시스템(250)을 경유하여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직접 해당 주차 층의 승강장 등에 구비된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의 RF 송수신수단(310)에 의해 승강기 호출신호와 승강기 운행정보 신호등을 직접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알에프 카 리모콘(100)의 디스플레이장치(125) 등의 표시상태를 보면서 승강기 호출을 할 수 있고, 승강기(1)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대기중인 경우에는 신호입력부(110)의 키버튼을 조작하여 승강장 대기시간을 연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주차장 승강기(1)의 이용에 큰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본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100)은 모드선택키(115) 즉,화물모드키(115a)와 일반모드키(115b)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승강기(1)의 승강장 대기시간을 연장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승강기(1)의 상하 이동방향을 지정하여 승강기(1)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화물모드는 화물을 차량에서 꺼내어 승강기 이용을 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승강기의 이용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은 경우를 위한 것이다. 일반모드는 화물을 소지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드입력키는 반복하여 동작되는 경우 각 모드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대기시간이 연장되도록 설정되는 등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및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의 설정상태에 따라서 호출된 승강기(1)에 사용자 탑승시 접속 ID에 대응하는 목적층을 자동등록하거나 사용자의 수동입력을 기다려 목적층 카부름 등록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차량제어키(111)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카도어가 온오프될 수 있으며, 이 상태도 디스플레이장치(12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등에 원격지에서도 본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신호가 전송되어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은, 상술한 바의 알에프 카 리모콘(100)과,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차관제시스템(200)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100)에서 전송되는 주차위치정보 및 승강기 호출신호에 따라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350)을 동작시키는 승강기 호출등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서 RFID 태그(140,150)를 장착하거나 본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 콘(100)을 포함한 차량(130)이 주차장(210) 출입구로 진입하게 되면, RFID 리더(240)는 RFID 태그(140,150)에서 접속 ID를 읽어들이고(혹은 다른 인식장치가 차량번호를 식별하여) 이를 중앙통제부(220)로 전송한다(제 60 단계,제 61 단계).
중앙통제부(220)에서는 수신된 ID의 권한 여부를 판단하여 권한이 확인된 경우에는 차량통제부(205)로 신호를 보내어 차량통과를 가능케 한다(제 63 단계,제 64 단계).
차량(130)이 주차장(210) 출입구를 통과하여 주차장 내부를 이동함에 따라 주차관제시스템(200)에서는 RF 송수신장치(230) 등을 통하여 차량(130)의 위치를 추적하며, 차량(130)의 최종위치를 확인한다. 주차위치 정보는 주차된 층과 동일층의 경우도 커버 영역이 넓은 경우에는 주차된 각 블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제 65 단계).
주차위치가 확인되면, 중앙통제부(220)는 이를 RF 신호로 전환하여 로컬네트워크(250) 또는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전송하거나 알에프 카 리모콘으로 전송한다(제 66 단계).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에서는 주차관제시스템(200), 알에프 카 리모콘(100) 및 로컬 네트워크로부터의 RF신호를 모니터링 한다(제 70 단계).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은 각층 주차장의 각 블럭에 대응하는 승강기 운행정보를 발생시켜 직접 또는 로컬네트워크 시스템(250)이나 주차관제시스템(200)을 경유하여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전송한다(제 71 단계,제 72 단계).
이 승강기 운행정보의 전송은 주차관제시스템(200)이 발생시키는 주차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130)의 리모콘(100)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고, 주차위치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각층 주차장에 항상적으로 전송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사항은 실시예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210)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알에프 카 리모콘(100)은 RF 수신부를 통하여 주차관제 시스템(200) 및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부터의 RF신호를 수신하며 시스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제80 단계).
차량탑승자가 주차를 완료하고 나서 주차관제 시스템(200)으로부터 주차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에서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125)에 실시간 디스프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제 83 단계).
사용자가 알에프 카 리모콘(100)을 동작시키면 승강기 호출이 이루어진다(제 85 단계,제 86 단계).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은 승강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접속 ID를 추출하며, 대응하는 차량의 주차위치를 판단하여 승강장버튼(350)을 동작시켜 승강장 카부름등록을 한다(제 73 단계,제 74 단계).
또한,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에서는 해당 주차장(210)을 운행하는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시로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전송하며, 사용자는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승강장에 도달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승강기(1)의 승강장 대기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제 83 단계,제87 단계,제 89 단계).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화물모드는 일반모드에 비해 승강기의 승강장 대기시간이 길며, 어느 모드 입력키를 반복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승강기의 승강장 대기시간이 설정된 시간만큼 연장될 수 있다.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은 승강기가 승강장에 도착하면, 입력된 호출모드를 판단하여 승강기 대기시간을 산정하며, 대기시간의 연장이 있는 경우에는 입력된 모드에 대응하여 승강기의 승강장 대기시간을 연장시킨다(제 77단계,제 78 단계).
사용자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대기중인 승강기(1)에 탑승하면, 승강기 도어가 닫히고 목적층이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등록된다. 이 경우, 목적층은 접속 ID에 대해 기 등록된 목적층이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목적층이 자동입력될 수 있다(제 79 단계).
다음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알에프 카 리모콘(100) 신호입력부(110) 조작에 의해 주차관제시스템(200)과 신호교환을 하여 주차장 출입시 출입구에서 차량통제부(20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주차를 완료한 후에는 다시 주차관제시스템(200)과 교신하여 주차위치를 확인 및 확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 사용자가 주차장 승강기 호출신호를 입력하면, 그 승강기를 호출한 시점의 주차위치 또는 알에프 카 리모콘의 위치를 주차관제시스템(200)이 확인하고, 자동으로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에 전송되게 하는 것이다.
또는, 주차관제시스템(200)에 의한 주차위치정보 등이 알에프 카 리모콘(100)으로 계속 수신되어 승강기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순간에 함께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차장 승강기 호출시 주차관제시스템(200)에 의해 바로 층정보가 승강기 운행시스템(300)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승강장의 승강장버튼(330)이 동작되어 승강기 카부름이 등록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청구범위 기재와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차장의 출입의 편의를 제공하며 주차장 승강기의 원격호출이 가능하여 승강기 사용자에 큰 편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차장의 출입의 편의를 제공하며, 주차관제시스템과 승강기 운행시스템이 연동하여 운행될 수 있기 때문에 주차장 승강기의 원격호출이 가능하고, 주차장 제어와 주차장 승강기 운행 제어를 일원화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고, 주차장 및 주차장 승강기 사용자에 큰 편의를 제공한다.

Claims (7)

  1. 주차관제시스템으로부터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승강기 호출신호와 차량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신호입력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RF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승강기 호출신호나 차량 제어신호가 송출되는 RF송신수단; 그리고
    상기 RF 수신수단, 신호입력수단, 및 RF 송신수단에 연결되어 각부의 동작상태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 송신수단은 주차장 내외부에서 접속 ID를 포함하는 RF신호를 발생시켜 주차관제시스템에 의한 출입통제부의 동작을 요청하거나 주차정보를 요청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주차위치 신호는 상기 차량의 주차된 층과 블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의 접속 ID에 대응하는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차관제시스템; 그리고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주차위치정보 및 승강기 호출신호에 따라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을 동작시키는 승강기 호출 등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차차량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는 접속 ID를 포함하는 RF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 출입구 및 주차위치에서 RFID 리더에 의해 읽혀져서 차량 위치추적이 되며, 이 정보가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의 RF 수신수단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
  6. 사용자에 의해 승강기 호출신호와 차량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신호입력수단에서 입력되는 차량 제어신호나 로컬 네트워크 접속 ID를 포함한 승강기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RF송수신수단; 그리고
    상기 신호입력수단, RF 송수신수단에 연결되어 동작상태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
  7. 청구항 6에 있어서의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 및 차량의 접속 ID에 대응하는 주차차량의 주차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차관제시스템; 그리고,
    상기 주차관제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주차위치정보 및 상기 알에프 카 리모콘의 승강기 호출신호에 따라 주차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승강장의 승강장 버튼을 동작시키는 승강기 호출 등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통합관리시스템.
KR2020060011968U 2006-05-03 2006-05-03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KR200421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968U KR200421566Y1 (ko) 2006-05-03 2006-05-03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968U KR200421566Y1 (ko) 2006-05-03 2006-05-03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66Y1 true KR200421566Y1 (ko) 2006-07-12

Family

ID=4177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968U KR200421566Y1 (ko) 2006-05-03 2006-05-03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381A (ko) 2022-08-19 2024-02-28 김현준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381A (ko) 2022-08-19 2024-02-28 김현준 호출버튼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시스템 및 호출 인터페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4403B2 (en)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area accessible by persons, particularly to a space closed by a door
KR101275735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419154Y1 (ko) 주차장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주차장승강기 호출시스템
US88139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access rights within a building
CN111091170B (zh) 基于uwb定位和毫米波成像的场所人员管理系统及管理方法
CA2553592C (en) Method of guiding a user in an environment, particularly in a building
CN101065312B (zh) 多功能的终点输入乘客界面
KR101134028B1 (ko) 원패스 태그를 이용한 주차 및 출입 관리 시스템 그리고 세대원 주차관리 방법과 세대원 출입 관리 방법
KR100991477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반의 실시간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물의 공동 편의시설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CN104321266A (zh) 用于控制电梯系统访问的系统和方法
JPH088114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70104271A (ko) 엘리베이터 설비의 복수의 작동 유닛의 층 부가의 설정방법
AU200832089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destination call for use in a lift system and a lift system
JP2000289943A (ja) エレベータ設備の使用方法
KR20070014989A (ko)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 특히, 도어에 의해폐쇄되는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KR20160131601A (ko)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EP2891138B1 (en) Inputting commands to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1011800B1 (ko)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9274801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H0327297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991478B1 (ko) 무선주파수 수신장치의 배열을 이용한 건물의 공동 편의시설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2440546B1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버스 승차요금 결제방법
KR200421566Y1 (ko) 승강기 호출이 가능한 알에프 카 리모콘과 주차장통합관리시스템
RU23414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вязи пассажира с транспортером
KR200416178Y1 (ko) 주차장 승강기 호출기 및 주차장 승강기 호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