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343A -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343A
KR20160139343A KR1020150073993A KR20150073993A KR20160139343A KR 20160139343 A KR20160139343 A KR 20160139343A KR 1020150073993 A KR1020150073993 A KR 1020150073993A KR 20150073993 A KR20150073993 A KR 20150073993A KR 20160139343 A KR20160139343 A KR 2016013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server
user interface
periphe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701B1 (ko
Inventor
강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701B1/ko
Priority to CN201680029869.6A priority patent/CN107736045B/zh
Priority to PCT/KR2016/004444 priority patent/WO2016190557A1/ko
Priority to US15/572,093 priority patent/US10594797B2/en
Publication of KR2016013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2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 H04Q2209/25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using a mesh network, e.g. a public urban network such as public lighting, bus stops or 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8Network protocols supporting networked applications, e.g. includ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제어 시스템은, ID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이 주변 기기로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고, 주변 기기가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서버로 사용자 단말과 관련된 정보를 보내면, 서버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Internet of Things (IoT)는 모든 사물들이 네트워크 연결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사물이 지닌 정보를 공유하거나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 가능한 패러다임을 일컫는 용어로, 사물 인터넷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렇게 주지하는 바와 같이, IoT는 연결성을 갖지만 키보드 같은 입력장치나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출력 장치를 갖지 못한 경우가 있어서, 스마트폰 및 PC에 해당 IoT 기기에 대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만 해당 IoT 기기에 연결한 후, 해당 IoT 기기를 제어하거나 해당 IoT 기기가 담고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상 이러한 IoT 기기들은 범용적인 하나의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각각의 IoT 기기에 대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여야 한다. 가령, 디스플레이부나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은 스마트 조명의 현재 조도 및 수명을 확인하거나 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스마트 조명에 스마트폰이나 PC 등의 기기를 연결한 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스마트 조명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TV와 같이 별도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TV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에 설치해야 한다.
IoT 기기의 정보를 조회하거나 해당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나 PC 등과 같은 단말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뒤 해당 IoT 기기 와 직접 또는 간접 연결 하여 해당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 및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IoT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해당 IoT 기기로 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조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IoT 기기는 별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사용자 단말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해당 IoT 기기와 연결하지 않으면 해당 IoT 기기를 사용하기가 어렵고, 또한 주변에 어떤 가용 서비스 및 제어 가능한 IoT 기기가 있는지 인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IoT 기기간에 각각 최초에 수행하는 서비스 등록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이 다양한 IoT 기기와 직접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등의 추가적인 사용자 조작 없이도 신속하게 사용자 단말을 통해 주변의 가용한 IoT 기기를 인지하고, IoT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하거나 또는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제공받아 신속하고 편리하게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제 1 통신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주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시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청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거리 통신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은, ID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는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와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변기기 제어 방법은,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주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방법은, 전자장치에서 ID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주변기기에서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는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와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주변 기기를 인지하고,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아,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와 동작하는 주변 기기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와 동작하는 서버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 상기 주변 기기 및 상기 서버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 제어 시스템은, ID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애드버타이징 하는 패킷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복수의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또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복수의 주변기기와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또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또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복수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modification), 균등물 (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 (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 (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 (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 (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 (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 (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 (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 (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 (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 (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 (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콘텐트는 동영상, 정지영상, 텍스트, 그래픽 오브젝트 및 웹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하나의 콘텐트 또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변기기는 사용자 단말 주변에 있는,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장치 또는 통신 기능이 있는 패치가 부착된 레거시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변기기는 IoT 기기일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의 경로 또는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서버내(內) 또는 전자장치 내(內)의 저장공간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RL 링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1), 제 1 디바이스(102), 제 2 디바이스(104) 및 서버(106)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및 이동 전화기(mobile phon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2) 및 제 2 디바이스(104)는 사용자 단말(101), 즉 전자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기기로서, 또 다른 전자장치이거나 또는 IoT 기기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101)은 전자장치로, 제 1 디바이스(102) 및 제 2 디바이스(104)는 주변기기로 명칭 될 수 있다. IoT 기기는 단독으로 또는 패치가 부착되어 네트워크 연결성을 가지는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V,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 조명, 청소기, 전자레인지, 카메라, 오디오 시스템 및 스마트 도어락(Smart Door Lock)과 같은 댁내 가전기기는 물론 공공장소에 있는 LFD(Large Flat Display) 등이 IoT 기기 일 수 있다.
서버(106)는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101) 및 주변기기(102, 104)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서버(106)는 서비스 수행을 위한 연산부, 연산 결과 및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댁내에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자장치(101) 및 주변기기(102, 104)는 서버(106)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164, 165, 166). 제 2 통신 방식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 와 주변기기(102, 104)는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171, 172). 제 1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적외선통신(IR : Infra Red), 초음파 통신(Ultrasound)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또는 근거리에서 감지할 수 있는 깜빡거림에 정보를 인코딩 하는 Visual Light Communication (VL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210), 제 1 통신부(221), 제 2 통신부(225), 입력부(250), 출력부(260) 및 저장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제 1 통신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ID 정보를 주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UI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기기 제어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서는 전자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털) 펜 센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는 마이크(예: 마이크))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출력부(260)는 시각 출력부, 청각 출력부 및 촉각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 출력부는 시각 피드백(Visual Feedback)을 제공하며,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출력부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각 출력부는, 청각 피드백(Audio Feedback)을 제공하며, 전기신호를 소리(sound)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또는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촉각 출력부는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스크린으로도 불리며,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전자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명령 처리 결과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통신부(221)와 제 2 통신부(225)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221)는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적외선통신(IR : Infra Red), 초음파 통신(Ultrasound)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또는 근거리에서 감지할 수 있는 깜빡거림에 정보를 인코딩 하는 Visual Light Communication (VL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25)는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의 식별 정보(이하, ID 정보)를 주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단계 S301) 전자장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전자장치는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advertise)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는 가능한 많은 대상의 수신을 목적으로 특정 대상으로 지정하지 않고 송신하는 것을 말하며, 무선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많지 않은 정보를 담고 빈번하게 애드버타이즈되는 정보를 비콘(beacon)이라고 한다. 즉, 전자장치의 ID 정보는 비콘일 수 있다. 비콘 서비스는 어드버타이즈(Advertise)된 비콘을 수신한 기기가 해당 비콘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ID 정보는 미리 지정된 형식에 부합하며, 각 기기마다 고유한 값으로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즉, 여러 기기의 ID 정보는 각자 다른 고유 식별 정보를 반드시 포함하고 있으며, 스피커 유무, 디스플레이 유무를 의미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기기에서 이벤트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의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정보 브로드캐스트 기술, 근거리에서만 수신할 수 있는 작은 송출 세기의 비대역 가청음인 Ultrasound, 근거리에서 감지할 수 있는 깜빡거림에 정보를 인코딩 하는 Visual Light Communication (VLC), 또는 Infra-Red (IR)를 이용한 근거리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기기에서 이벤트를 유발한다. 즉, 주변기기는 전자장치에서 애드버타이즈 되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벤트를 발생한다.
주변기기에서 이러한 이벤트를 유발시키기 위해 전자장치에서 사용되는 수단(이하, 이벤트 유발 수단으로 칭함)은 IR 신호 같은 지향성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일 수도 있고 BLE (Bluetooth Low Energy)의 애드버타이즈먼트와 같은 기존 무선 기술의 무지향성 송신일 수도 있다. 이들 이벤트 유발 수단은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만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한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애드버타이즈 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한 번 지시되면 중지 명령 수신 전까지 계속 이벤트 유발 수단을 애드버타이즈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벤트 유발 수단을 BLE를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전자장치는 BLE에 특정 정보를 인코딩하거나 담을 수 있고, 신호 강도에 따라 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는 BLE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의 데이터 페이로드(Data Payload)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주변기기는 전자장치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주변기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주변기기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ID 정보를 추출한다.
주변 기기는 추출한 전자 장치의 ID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주변기기는 제 2 통신 방식으로 추출한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주변기기로부터 수신한 ID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 1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제 2 통신 방식으로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전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되어 있는 경로 정보, 즉 서버내(內)의 주소일 수 있다. 즉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되어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링크이거나 또는 전자장치의 저장부에 위치한 데이터의 경로일 수 있다.
전자장치는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03) 전자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즉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출력부에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가 터치스크린 인 경우, 전자장치는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수신한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소리로 변환시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는 수신한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택타일 정보로 변환시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는 진동의 패턴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에 제 1 정보 및/또는 주변기기에 대한 상태정보가 제공된 이후, 전자장치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305)
입력부는 사용자의 음성, 터치 및 모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V의 음량을 줄이기 위해 ?볼륨 다운? 으로 음성 명령을 내리면,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TV의 음량이 줄어들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면,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TV의 음량이 줄어들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흔들면, 모션 입력에 대응하여 TV의 음량이 줄어들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한 신호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한다.(단계 S307) 상기 신호는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가 수신한 사용자 입력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서버(106)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407). 전자장치가 ID 정보를 송신하면 주변기기(102)는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기기(102)는 TV 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제 1 통신부를 통해 ID 정보를 주변기기(102)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으로 ID 정보를 주변기기(1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BLE를 통해 ID 정보를 주변기기(102)로 송신(407) 할 수 있다.
BLE 애드버타이즈먼트는 많은 정보를 담지는 못하지만 수백분의 1초 주기로 애드버타이즈가 가능하면서도 소모되는 에너지는 매우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BLE Advertisement 패킷은 총 47 바이트인데, 이 중 페이로드(Pay Load)는 31바이트이며 원하는 정보를 담아 애드버타이즈 할 수 있다.
주변기기(102)가 BLE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주변기기(102)는 수신한 BLE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패킷으로부터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주변기기(102)는 BLE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일정 개수의 문자를 추출하고, 이를 보안 키로 리졸브(resolve)하여 상기 전자장치(101)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D 정보를 추출하여 ?chulsoo?라는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주변기기(102)는 ?chulsoo?라는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106)로 보내서 서버(106)가 ?chulsoo?에 대응하는 기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주변기기(102)는 확인한 전자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106)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장치(101)로부터 수신한 ID 정보를 서버(106)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6)는 주변기기(102)로부터 수신한 ID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장치(101)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6)가 주변기기(102)로부터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102)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401), 서버(106)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를 식별하고 또한 주변기기(102)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기기(102)에 대응하는 제 1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주변기기(10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 및 주변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서버(106)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서버(106)에는 해당 전자장치(10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는 Bluetooth Device Address, 서비스 고유 식별 정보, 현재 통신 가능 유무, 전자장치 소유자의 성별 및 나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102)가 서버(106)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서버(106)에는 주변기기(102)의 기능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제 1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서버(106)가 주변기기(102)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주변기기(102)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시간으로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6)는 주변기기(102)에서 수신한 주변기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5)를 서버(106)의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추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405)를 전자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6)는 주변기기(102)로부터 수신한 전자장치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106)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장치(101)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에는 전자장치(101)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106)는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101)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춰 가공한 후 전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로 송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등과 같은 웹 정보일 수 있으며, 전자장치(101)는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 2 통신방식으로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403). 제 2 통신 방식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다.
도 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애드버타이징 하는 패킷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를 참조하면 패킷 데이터(530)는 47 바이트(byte)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리앰블(531), 액세스 어드레스(532), PDU 헤더(533), 맥어드레스(534), 애드버타이즈먼트 데이터(535) 및 CRC(536)를 포함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먼트 데이터(535)는 31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전자장치의 ID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주변기기는 패킷 데이터(530)를 수신하고 애드버타이즈먼트 데이터에 포함된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추출하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 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5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되어 있는 URL(553)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51)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 2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51)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상의 주소 정보(URL, 553)가 전자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송신된 URL(553)을 참조하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이미지 정보 일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내(內)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면, 주소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버 이외의 다른 엔티티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전자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저장된 다른 엔티티의 주소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주소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서버(106) 및 주변기기(102)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주변기기(102)는 TV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서버(106)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서버(106)에서 수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부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장치(101)의 터치스크린에는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5)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5)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등과 같은 웹 정보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5)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TV(102)의 음량을 줄이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볼륨 다운 버튼을 터치하면,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주변기기(예컨대 TV)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503). 예를 들면 볼륨 다운 명령을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송신한다. 이 때 서버로 송신되는 데이터(503)는 볼륨 다운 명령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 위치 지정자) 일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저장된 서버의 위치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명령어가 저장된 주소일 수 있다.
서버(106)는 전자장치(101)로부터 수신하는 주변기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전자장치(101)에서 송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명령 데이터를 주변기기(102)로 송신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101)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볼륨 다운을 터치하면 볼륨 다운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106) 내(內)의 위치 정보가 서버(106)로 송신되고 서버(106)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서버(106)에 저장되어 있는 볼륨 다운 명령 데이터를 검색한다. 서버(106)는 검색된 TV의 음량을 줄이는 볼륨 다운 데이터(501)를 주변기기(102, TV)로 송신하여 TV의 음량을 줄일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서버(106) 및 로컬 허브(Local Hub)(103)가 도시되어 있다. 로컬 허브(Local Hub)(103), 전자장치(101) 및 주변기기(102)는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제 2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와 주변기기(102)는 BL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 허브(103)는 WiFi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로컬 허브(103) 및 서버(106)는 LTE(Long Term Evolution)(셀룰러 통신) 및 기타 원거리 유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BLE를 이용하여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징(602)하면 주변기기(102)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수신하고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의 ID 정보에는 전자장치와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로컬 허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는 로컬 허브(103)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102)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서 추출한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서버(106)로 송신(601)한다.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에는 주변기기(102)와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로컬 허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는 로컬 허브(103)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와 주변기기(102)가 동일한 로컬 허브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 로컬 허브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서버(106)는 수신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에 포함된 로컬 허브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허브(103)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 허브(103)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허브(103)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 서버(106)는 로컬 허브(103)로 주변기기(102)의 상태 정보 및 주변기기를(102) 제어할 수 있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를 송신(603)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가 로컬 허브에 맞게 변경된 것이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는 전자장치(101)가 서버(106)에 등록되는 경우 생성된 것이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서버(106)의 주소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613)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로컬 허브(103)의 주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6)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611)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를 로컬 허브(103)의 주소로 변경하여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를 생성할 수 있다. 목적지 주소는 전자장치(101)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1)에 표시되는 데이터 및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주소일 수 있다. 즉, 로컬 허브(103)가 서버(106)의 역할을 수행하며, 로컬 허브(103)에서 주변기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를 전자장치로 송신(607)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로컬 허브(103)로부터 수신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605)를 이용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로컬 허브(130)는 전자장치(101)로부터 수신하는 주변기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로컬 허브(106)는 전자장치(101)에서 송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명령 데이터를 주변기기(102)로 송신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101)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볼륨 다운을 터치하면 볼륨 다운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터가 저장된 로컬 허브(103) 내(內)의 위치 정보가 로컬 허브(103)로 송신되고 로컬 허브(103)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허브(103)에 저장되어 있는 볼륨 다운 명령 데이터를 검색한다. 로컬 허브(103)는 검색된 TV의 음량을 줄이는 볼륨 다운 데이터를 주변기기(102, TV)로 송신하여 TV의 음량을 줄일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전가장치(101) 및 주변 기기(102)와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므로 서버(106)에서 주변기기(102)를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연이 덜하며, 응답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서버(106) 및 로컬 허브(Local Hub)(103)가 도시되어 있다. 로컬 허브(103), 전자장치(101) 및 주변기기는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제 2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와 주변기기(102)는 BL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 허브(103)는 WiFi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로컬 허브(103) 및 서버(106)는 LT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BLE를 이용하여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징(713)하면 주변기기(102)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을 수신하고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의 ID 정보에는 전자장치(101)와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로컬 허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는 로컬 허브(103)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102)는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서 추출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를 서버(106)로 송신(701)한다.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에는 주변기기(102)와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로컬 허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기기(102)의 상태정보는 로컬 허브(103)의 맥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와 주변기기(102)가 동일한 로컬 허브(103)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 로컬 허브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서버(106)는 수신한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에 포함된 로컬 허브 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허브(103)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 허브(103)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허브(103)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 서버(106)는 로컬 허브(103)로 주변기기(102)의 상태 정보 및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705)를 송신(703)할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수신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705)를 로컬 허브(103)에 맞게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709)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705)는 전자장치(101)가 서버(106)에 등록되는 경우 생성된 것이며,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705)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서버(106)의 주소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709)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로컬 허브(103)의 주소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컬 허브(103)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705)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를 로컬 허브(103)의 주소로 변경하여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709)를 생성할 수 있다. 목적지 주소는 전자장치(101)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장치(101)에 표시되는 데이터 및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대한 주소일 수 있다. 즉, 로컬 허브(103)가 서버(106)의 역할을 수행하며, 로컬 허브(106)에서 주변기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709)를 전자장치(101)로 송신(711)할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전가장치(101) 및 주변 기기(102)와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므로 서버(106)에서 주변기기(102)를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연이 덜하며, 응답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서버(106) 및 로컬 허브(Local Hub)(103)가 도시되어 있다. 로컬 허브(103), 전자장치(101) 및 주변기기(102)는 로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제 2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와 주변기기(102)는 BL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및 로컬 허브(103)는 WiFi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2), 로컬 허브(103) 및 서버(106)는 LT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로컬 허브(103)로부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803)하면 터치스크린에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807)가 표시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목적지 주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목적지 주소는 로컬 허브(103)의 주소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613)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는 로컬 허브(103)의 주소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에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터치하면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데이터를 로컬 허브(103)로 송신할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명령을 주변기기(102)로 송신(801)하며, 주변기기(102)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101)에 표시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볼륨 다운 버튼을 누르면 전자장치(101)는 볼륨 다운 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로컬 허브(103)로 송신하고, 로컬 허브(103)는 볼륨 다운 버튼에 대응하는 명령을 주변기기(102)로 송신하며, 주변기기(102)는 수신한 명령에 기반하여 음량을 줄인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허브를 이용한 주변기기 제어 과정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로컬 허브(103) 및 주변기기(102)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주변기기(102)는 TV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의 터치스크린에는 로컬 허브(103)로부터 수신한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909)가 표시될 수 있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909)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등과 같은 웹 정보일 수 있으며, 전자장치(101)는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909)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909)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주변에 있는 TV(102)의 음량을 줄이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볼륨 다운 버튼을 터치하면,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볼륨 다운 명령을 로컬 허브(103)로 송신(905)한다. 이 때, 로컬 허브(103)로 송신되는 데이터(907)는 볼륨 다운 명령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 위치 지정자) 일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가 저장된 로컬 허브(103) 내(內)의 위치 정보를 로컬 허브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명령어가 저장된 주소일 수 있다.
로컬 허브(103)는 전자장치(101)에서 송신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고 상기 명령어를 주변기기(102)로 송신(901)하여 주변기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장치(101)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볼륨 다운을 터치하면 볼륨 다운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저장된 로컬 허브(103) 내(內)의 위치 정보가 로컬 허브(103)로 송신되고 로컬 허브(103)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로컬 허브(103)에 저장되어 있는 볼륨 다운 명령어를 검색한다. 로컬 허브(103)는 검색된 주변기기(102)의 음량을 줄이는 볼륨 다운 명령어(903)을 주변기기(102)로 송신하여 주변기기의 음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주변기기(104) 및 서버(106)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1007) 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하면 주변기기(104)는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기기(104)는 스마트 조명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제 1 통신부를 통해 ID 정보를 스마트 조명(104)으로 송신(1007)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으로 ID 정보를 스마트 조명(104)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는 BLE를 통해 ID 정보를 스마트 조명(104)으로 애드버타이즈(1007) 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104)이 BLE Advertisement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조명(104)은 수신한 BLE Advertisement 패킷으로부터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추출한다. 스마트 조명(104)은 추출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1001)한다.
서버(106)가 스마트 조명(104)으로부터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스마트 조명(104)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106)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를 식별하고 또한 스마트 조명(104)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조명(104)에 대응하는 제 1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스마트 조명(104)의 상태 정보에는 스마트 조명(104)의 ID 정보, 현재 색상, 현재 조도, 수명 시간 스마트 조명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스마트 조명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데이터 및 스마트 조명(104)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6)는 스마트 조명(104)에서 수신한 스마트 조명(104)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조명(104)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를 서버(106)의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추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 및 스마트 조명(104)의 상태정보를 전자장치(101)로 송신(1003)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로 송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또는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등과 같은 웹 정보일 수 있으며, 전자장치(101)는 웹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 2 통신방식으로 스마트 조명(104)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를 전자장치(101)로 송신(1003)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및 스마트 조명(104)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에는 스마트 조명(104)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5) 및 스마트 조명(104)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에는 스마트 조명(104)이 설치된 위치, 현재 조도 및 스마트 조명(104)의 남은 수명 등이 표시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1)에는 스마트 조명(104)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서버로 송신되고, 서버에서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조명(104)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를 스마트 조명(104)으로 송신하여 스마트 조명(104)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에스마트 조명(104)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을 좌우로 움직이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식별되는 색상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조명(104)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복수의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전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201, 1205)가 표시되어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1201)는 TV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고,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1205)는 스마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전자장치(101) 주변에 복수의 주변기기 즉, 제 1 주변 기기 및 제 2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장치(101)가 애드버타이징한 패킷을 복수의 주변기기가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01) 주변에 제 1 주변 기기 및 제 2 주변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주변기기 및 제 2 주변기기 모두 전자장치(101)에서 애드버타이징 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제 1 주변기기는 제 1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 및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제 2 주변기기는 제 2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 및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 제 2 주변기기의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2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서버로부터 제 1 주변 기기 및 제 2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장치(101)에는 제 1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2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한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다른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른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화면 전환을 하여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는 다른 페이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UI 엘리먼트(1203, 1207)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UI 엘리먼트(1203, 1207)을 클릭하여 화면간에 페이지 전환을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201)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 엘리먼트(1203)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1205)가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1205)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 엘리먼트(1207)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1201)가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또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블루투쓰 지원 장치(이하에서 블루투쓰 지원 장치는 블루투쓰 이어폰(1311)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주변기기(104) 및 서버(106)이 도시되어 있다. 주변기기(104)는 스마트 도어락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블루투쓰 이어폰(1311)과 블루투쓰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와 스마트 도어락(104)은 근접 통신, 예컨대 BLE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장치(106), 스마트 도어락(104) 및 서버(106)은 원거리 통신, 예컨대 LTE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신(1303, 1305, 1307, 1309)은 제 2 통신 방식으로 수행되며 LTE와 같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다. 통신(1301, 1311)은 제 1 통신 방식으로 수행되며 블루투쓰와 같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도어락에 근접하면 전자장치(101)가 애드버타이징한 패킷(1301)을 스마트 도어락(104)이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104)은 전자장치에서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추출하고, ID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104)의 상태정보를 LTE 통신과 같은 제 2 통신 방식으로 서버(106)로 송신(1303)한다. 서버(106)에서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스마트 도어락(104)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로 스마트 도어락(104)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는 스마트 도어락(104)의 열림 또는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101)로 송신(1305)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서버(106)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전자장치(101)에 스마트 도어락(104)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블루투쓰 이어폰(1321)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131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11)는 스마트 도어락(104)의 동작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루투쓰 이어폰(1321)에서는 상기 제1 정보로서"현관문을 열까요"(1323) 라는 멘트가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스마트 도어락(104)의 동작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제2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2 정보로서"응"(1325)이라고 응답하고, 전자장치(101)는 상기 제2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식별된 음성(제2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106)로 송신(1307)하고, 서버(106)는 스마트 도어락(104)을 오픈(open)하는 명령어를 송신(1303)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104)은 명령어를 수신하여 스마트 도어락(104)을 오픈하고, 제3 정보(예를 들어,"문이 열렸습니다"(1327)) 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도어락(104)은 상기 제3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복수의 주변기기와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TV(102), 스마트 조명(104) 및 서버(106)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 조명(104) 및 TV(102)는 주변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주변에 복수의 주변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모든 주변기기를 다 제어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106)는 상대적으로 전자장치(101)에 가까운 거리에 있는 주변기기에 대해서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와 주변기기 사이의 거리는 주변기기에서 측정되는 전자장치(101)가 애드버타이징하는 신호의 수신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패킷을 애드버타이징하면 주변기기에서는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수신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할 수 있다. 주변기기는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수신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수신된 패킷을 무시하고 서버(106)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주변기기는 애드버타이징 신호의 수신강도 측정 값을 서버(106)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6)는 수신강도가 임계값 이하인 값을 갖는 주변기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가 애드버타이징(1413, 1411)하면 TV(102) 및 스마트전구(104)에서 애드버타이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강도를 측정한다. TV(102)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가 -62dBm, 스마트 조명(104)에서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가 -30dBm, 임계값이 -60dBm 인 경우, TV(102)는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스마트전구(104)는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가 임계값보다 크므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1401)할 수 있다. 서버(106)는 스마트전구(104)로부터 수신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스마트전구(104)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로 스마트전구(104)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5) 및 스마트전구(104)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1405)를 송신(1403)할 수 있다.
또는 TV(102)는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값, TV(102)의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6)는 TV(102)로부터 수신한 수신강도 값이 임계값보다 작으므로 TV(102)로부터 수신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상태정보를 처리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스마트전구(104)는 수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값, 스마트전구(104)의 상태정보 및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6)는 스마트전구(104)로부터 수신한 수신강도 값이 임계값보다 크므로 스마트전구(104)로부터 수신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 및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1)로 스마트전구(104)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5) 및 스마트전구(104)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1405)를 송신(1403)할 수 있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두 명의 사용자가 광교용 LFD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제 1 전자장치(101), 제 2 전자장치(102), 주변기기(104) 및 서버(106)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전자장치(101) 및 제 2 전자장치(102)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주변기기(104)는 지하철 역에 설치된 광고용 LFD(Large Flat Display)일 수 있다.
통신(1501, 1521)은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통신은 BLE 통신일 수 있다. 통신(1503, 1505, 1523, 1525, 1507, 1509, 1527, 1529)은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방식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다. 예컨대, 제 2 통신은 LTE 통신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제 1 전자장치(101)을 소지하고 있다. 제 2 사용자는 제 2 전자장치(102)를 소지하고 있다.
제 1 전자장치(101)는 LFD(104)로 제 1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징(1501)한다. LFD(104)는 제 1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LFD(104)의 상태정보를 서버(106)로 송신(1503)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 1 전자장치(101)로 LFD(104)에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1515)를 제어할 수 있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1513)를 송신(1507)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6)는 LFD(104)에 표시될 화면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01)에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1513)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전자장치(101)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 1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106)로 송신(1509)하고 서버(106)는 LFD(104)로 제 1 오브젝트(1515)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 1 오브젝트(151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는 LFD(104)에 표시될 게임의 화면(1500)을 송신하고, 제 1 전자장치(101)에는 게임에 사용되는 제 1 캐릭터(character)(1515)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1513)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전자장치(101)에서 좌측 방향키를 터치하면 제 1 전자장치(101)에서 서버로 우측 방향키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송신된다. 서버(106)는 LFD(104)에 표시되어 있는 제 1 캐릭터(1515)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LFD(104)에 표시된 제 1 캐릭터(1515)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 2 전자장치(102)는 LFD(104)로 제 2 전자장치(102)의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징(1521)한다. LFD(104)는 제 2 전자장치(102)의 ID 정보 및 LFD(104)의 상태정보를 서버(106)로 송신(1523)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 2 전자장치(102)로 LFD(104)에 표시되는 제 2 오브젝트(1535)를 제어할 수 있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3)를 송신(1529)할 수 있다. 제 2 전자장치(102)에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1533)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전자장치(102)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 2 전자장치(102)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106)로 송신(1527)하고 서버(106)는 LFD(104)로 제 2 오브젝트(1535)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 2 오브젝트(153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는 제 2 전자장치(102)로 게임에 사용되는 제 1 캐릭터(character)(1535)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1533)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2 전자장치(102)에서 좌측 방향키를 터치하면 제 2 전자장치(102)에서 서버로 좌측 방향키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송신된다. 서버(106)는 LFD(104)에 표시되어 있는 제 2 캐릭터(1535)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LFD(104)에 표시된 제 2 캐릭터(1535)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또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및 주변기기(106)이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주변기기(106)는 공공장소에 있는 TV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기기(106)는 고속버스 터미널에 있는 TV 일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1601) 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가 TV(106)에 접근하면 TV(106)는 전자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ID 정보 및 TV(106)의 상태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TV(106)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TV(106)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03)를 전자장치(101)로 송신하고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03)를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3)가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전자장치(101)가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전자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TV(106)로 해당 기능 제어를 위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또 다른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댁내에 있는 가전기기에 인접한 경우, 사용자에 따라 각각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전자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운동을 한 것으로 확인되는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 다가서면 서버는 사용자에게 운동량에 맞는 물을 섭취할 것을 권하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최근 식재료를 구매한 이력이 있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에게 해당 식재료 조리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1), 웨어러블장치(1721, 1723), 주변기기(103) 및 서버(106)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01)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웨어러블장치(1721)는 스마트워치일 수 있다. 웨어러블장치(1723)는 블루투쓰 이어폰일 수 있다. 주변기기(103)는 냉장고일 수 있다. 통신(1703, 1705, 1706)은 제 2 통신방식의 통신이며, 통신(1707, 1703)은 제 1 통신방식의 통신일 수 있다. 제 2 통신방식은 원거리 통신일 수 있고, 제 1 통신방식은 근거리 통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방식은 LTE 통신일 수 있다. 제 1 통신방식은 블루투쓰 통신일 수 있다.
스마트워치(1721) 및 블루투쓰 이어폰(1723)은 스마트폰(101)과 페어링된 상태이며, 블루투쓰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워치(1721)를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하면 운동량 데이터 및 스마트워치(1721) 정보가 서버(106)로 송신될 수 있다. 스마트워치(1721) 정보는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을 마친 후 냉장고(103)에 접근하면 냉장고(103)는 전자장치(101)에서 애드버타이즈(1701)한 전자장치(101)의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냉장고(103)는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서버(106)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06)는 냉장고(103)로부터 수신한 전자장치의 ID 정보 및 스마트워치(1721)로부터 수신한 운동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적합한 메시지를 결정하고 메시지를 전자장치(101)로 송신(1706)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수신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블루투쓰 이어폰(1723)으로 송신(1707)할 수 있다. 블루투쓰 이어폰(1723)은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171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장치가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에서 하나의 주변기기는 다수의 사용자, 즉 복수의 전자장치(1801, 1803, 1805)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예를 들면 광고를 표시하는 LFD(1800) 주위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서버(1809)는 복수의 사용자(A, B,C)가 사용중인 전자장치(1801, 1803, 1805)로 표시중인 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복수의 사용자(A, B, C)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선호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투표)를 입력할 수 있고, 이는 서버(1809)로 전달될 수 있다. 서버(1809)는 입력한 선호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LFD(1800)에 표시중인 광고 내용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현재 광고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서버(1809)는 투표를 입력한 사용자에게 크레딧을 지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수의 승객이 탑승한 지하철에서 승객이 서로 다른 희망 온도를 입력한 경우 서버는 복수의 희망 온도를 입력 받고 복수의 희망 온도에 대한 평균 값을 결정하고 평균 값에 해당하는 온도로 지하철의 온도로 조정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도 18 을 참조하면 복수의 전자장치(1801, 1803, 1805), 하나의 주변기기(1800) 및 서버(1809)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전자장치(1801, 1803, 1805)는 서로 다른 사용자(A, B, C)가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전자장치(1801)는 사용자 A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전자장치(1803)는 사용자 B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전자장치(1805)는 사용자 C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주변기기(1800)는 광고(1850)가 표시되고 있는 LFD(1801)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1850)는 다른 콘텐트로 대치될 수도 있다.
서버(1809)는 사용자 A의 어카운트(1811), 사용자 B의 어카운트(1813) 및 사용자 C의 어카운트(1815)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어카운트에는 각 사용자의 크레딧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1821, 1822, 1823)은 제 1 통신방식의 통신, 예컨대 BLE 통신일 수 있다. 통신(1824, 1825, 1826, 1827, 1828, 1829, 1830)은 제 2 통신방식의 통신, 예컨대 LTE 통신일 수 있다.
주변기기(1800)는 광고(1850)가 표시되고 있는 LFD(1800)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1850)는 다른 콘텐트로 대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자장치(1801, 1803, 1805)는 각각의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1821, 1822, 1823)할 수 있다. 사용자 A, B, C가 LFD(1800)에 근접하면 LFD(1800)는 복수의 전자장치(1801, 1803, 1805)로부터 ID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
제 1 전자장치(1801)가 제 1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1821)하면 LFD(1800)는 제 1 ID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1809)로 제 1 ID 정보를 송신(1828) 한다. 서버(1809)는 제 1 ID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전자장치(1801)로 투표를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1825)한다. 사용자 A가 제 1 전자장치(1801)에서 투표를 하면 제 1 전자장치(1801)는 투표한 결과를 서버(1809)로 송신(1825)하고 서버(1809)는 사용자 A의 어카운트(1811)의 크레딧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제 2 전자장치(1803)가 제 2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1822)하면 LFD(1800)는 제 2 ID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1809)로 제 2 ID 정보를 송신(1828) 한다. 서버(1809)는 제 2 ID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전자장치(1803)로 투표를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1827)한다. 사용자 B가 제 2 전자장치(1803)에서 투표를 하면 제 2 전자장치(1801)는 투표한 결과를 서버(1809)로 송신(1826)하고 서버(1809)는 사용자 B의 어카운트(1813)의 크레딧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제 3 전자장치(1805)가 제 3 ID 정보를 애드버타이즈(1823)하면 LFD(1800)는 제 3 ID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1809)로 제 3 ID 정보를 송신(1828) 한다. 서버(1809)는 제 3 ID 정보를 수신하고, 제 3 전자장치(1805)로 투표를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송신(1830)한다. 사용자 C가 제 3 전자장치(1805)에서 투표를 하면 제 3 전자장치(1805)는 투표한 결과를 서버(1809)로 송신(1829)하고 서버(1809)는 사용자 C의 어카운트(1815)의 크레딧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서버(1809)는 복수의 전자장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변기기(18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1809)는 제 1 전자장치(1801)로부터 송신된 투표결과, 제 2 전자장치(1803)로부터 송신된 투표결과 및 제 3 전자장치(1805)로부터 송신된 투표결과에 기초하여 LFD(1800)에 표시된 광고를 다른 광고 또는 다른 콘텐트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809)는 수신된 투표결과를 분석하여 LFD(1800)에 표시중인 광고의 선호 여부를 결정한다(1841). 서버(1809)는 투표 결과에 기반하여 투표결과가 적합한지를 판단한다(1842). 예를 들어, 투표 후 시간 경과 및/또는 표본 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투표 결과의 적합성 또는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 경과 또는 기 설정된 표본 수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 적합하지 않은 또는 유효하지 않은 투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809)는 투표결과에 기초하여 LFD(180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842). 예를 들어, 투표 결과에 기반하여 광고를 변경하는 명령을 LFD(1800)로 송신하여 LFD의 광고를 변경할 수 있다. 투표 결과에 기반하여 광고를 유지하는 명령을 LFD(1800)로 송신하여 LFD의 광고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복수의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주변기기는 엘리베이터일 수 있다. 즉, 도 19 는 스마트폰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 위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 접근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층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층 수를 선택하여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빌딩 관리자가 자신의 단말기로 스마트조명을 제어하거나 또는 공조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9 를 참조하면 전자장치(1901) 및 복수의 주변기기(1905, 1907, 1909)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장치(1901)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복수의 주변기기(1905, 1907, 1909)는 엘리베이터 일 수 있다.
전자장치(1901)는 ID 정보를 복수의 주변기기(1905, 1907, 1909)로 애드버타이즈 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기기(1905, 1907, 1909)는 전자장치(1901)로부터 수신한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의 주변기기(1905, 1907, 1909)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로부터 전자장치(1901)에 가장 근접한 주변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19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A(1905)는 20층에 있고, 엘리베이터 B(1907)는 35층에 있고, 엘리베이터 C(1909)는 12층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폰(1901)을 소지한 상태에서 1층에서 엘리베이터에 접근하면 각각의 엘리베이터는 스마트폰(1901)에서 애드버타이즈 하는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엘리베이터는 스마트폰(1901)으로부터 수신한 ID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 예컨대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에서는 각각의 엘리베이터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로부터 가장 근접한 엘리베이터 C(1901)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마트폰(1901)으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1901)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층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층을 선택하면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서버로 송신되며 서버는 엘리베이터 C(1901)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사용자 단말(전자장치)
102 : 제 1 디바이스(주변기기)
104 : 제 2 디바이스(주변기기)
106 : 서버
164, 165, 166 : 제 2 통신방식 통신(원거리 통신)
171, 172 : 제 1 통신방식 통신(근거리 통신)

Claims (20)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부;
    제 1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제 1 통신부;
    제 2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주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시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청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거리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ID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장치;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는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와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시스템.
  11. 제 1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의 ID 정보를 주변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제 2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주변기기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통신부에 비해 원거리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 제어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6. 전자장치에서 ID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주변기기에서 상기 ID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ID 정보 및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는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주변기기와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주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는 웹기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신한 신호의 수신강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기기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기기 제어 방법.
KR1020150073993A 2015-05-27 2015-05-27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0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93A KR102307701B1 (ko) 2015-05-27 2015-05-27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1680029869.6A CN107736045B (zh) 2015-05-27 2016-04-28 控制外围设备的方法和装置
PCT/KR2016/004444 WO2016190557A1 (ko) 2015-05-27 2016-04-28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572,093 US10594797B2 (en) 2015-05-27 2016-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93A KR102307701B1 (ko) 2015-05-27 2015-05-27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43A true KR20160139343A (ko) 2016-12-07
KR102307701B1 KR102307701B1 (ko) 2021-10-05

Family

ID=5739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993A KR102307701B1 (ko) 2015-05-27 2015-05-27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94797B2 (ko)
KR (1) KR102307701B1 (ko)
CN (1) CN107736045B (ko)
WO (1) WO20161905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445A (ko) * 2017-10-27 201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수행 방법
KR20190135595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아이오 허브 장치,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7552B2 (en) * 2016-02-17 2020-05-19 Paypal, Inc. Tap proximity
WO2018013564A1 (en) * 2016-07-12 2018-01-18 Bose Corporation Combining gesture and voice user interfaces
JP2019049925A (ja) * 2017-09-12 2019-03-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428712B1 (ko) * 2017-11-24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8717852B (zh) * 2018-04-28 2024-02-09 湖南师范大学 一种基于白光通信和类脑认知的智能机器人语义交互系统和方法
CN109189356A (zh) * 2018-08-28 2019-01-11 万得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终端转屏系统和方法
CN109389980A (zh) * 2018-12-06 2019-02-26 新视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方法、系统、电子设备及服务器
CN109410941A (zh) * 2018-12-06 2019-03-01 新视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系统、电子设备及服务器
CN109616110A (zh) * 2018-12-06 2019-04-12 新视家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系统、电子设备及服务器
US11592794B2 (en) 2019-06-18 2023-02-28 Carrier Corporation Mobile application for smart systems interaction
US11429344B1 (en) * 2019-09-27 2022-08-30 Amazon Technologies, Inc. Locally grouping voice-enabled device state communications
KR20210123709A (ko) * 2020-04-03 2021-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장치들의 인스트럭션 공유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20383709A1 (en) * 2021-05-26 2022-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ar-field communication enabled luggage item stowage bins
WO2022251991A1 (en) 2021-05-31 2022-12-08 Citrix Systems, Inc. Resource recommend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352A (ja) * 1998-11-18 2000-05-30 Sharp Corp 無線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50005061A (ko) * 2013-07-04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50028008A (ko) * 2013-09-05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516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09246543A (ja) 2008-03-28 2009-10-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モコン操作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738990A (zh) * 2008-11-14 2010-06-16 东北大学兴科中小企业服务中心 设备控制方法和系统
US10553209B2 (en) 2010-01-18 2020-02-0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notification summaries
KR20130077734A (ko) * 2011-12-29 2013-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디바이스간 정보교환 프로토콜 기반의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012237B2 (ja) * 2012-04-18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346937A (zh) * 2013-06-20 2013-10-09 广州唯创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wifi的智能家电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9131335B2 (en) * 2013-08-22 2015-09-0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ement of connected devices, such as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CN104144470B (zh) * 2014-03-12 2015-12-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蓝牙连接方法和客户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352A (ja) * 1998-11-18 2000-05-30 Sharp Corp 無線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50005061A (ko) * 2013-07-04 201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50028008A (ko) * 2013-09-05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445A (ko) * 2017-10-27 201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수행 방법
KR20190135595A (ko) * 2018-05-29 2019-12-09 주식회사 아이오 허브 장치,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36045A (zh) 2018-02-23
US20180146045A1 (en) 2018-05-24
US10594797B2 (en) 2020-03-17
CN107736045B (zh) 2021-01-19
KR102307701B1 (ko) 2021-10-05
WO2016190557A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701B1 (ko) 주변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389873B2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6479B1 (ko) 사물인터넷 제어방법, 단말 및 피제어 기기
KR102186547B1 (ko)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5025710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beacon signal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KR102267713B1 (ko) 송신 전력 제어와 관련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75698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360309B1 (en) Iot interaction system
KR102243027B1 (ko) 하이브리드 방식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60127863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1760898B1 (ko) 상황 인지 기반 양방향 안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80049293A1 (en) Presence request via light adjustment
KR101729062B1 (ko)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스마트 사물 인터넷 하드웨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46215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거주 시설 공실 관리 시스템
KR20220017057A (ko) IoT 환경에서 타겟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16564312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60150550A (ko)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US20230083823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CN113285940B (zh) 一种设备连接方法及装置
CN111526504B (zh) 设备交互方法、装置、移动机器人和物联网系统
CN114501449B (zh) 信息查询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30394951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device for searching for loca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by using bluetooth pairing
KR20240049118A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8227B1 (ko) iBeacon 기반의 단말 간 3차원 상대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