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4881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4881A
KR20240024881A KR1020240021974A KR20240021974A KR20240024881A KR 20240024881 A KR20240024881 A KR 20240024881A KR 1020240021974 A KR1020240021974 A KR 1020240021974A KR 20240021974 A KR20240021974 A KR 20240021974A KR 20240024881 A KR20240024881 A KR 2024002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water supply
washing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김홍찬
서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2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4881A/ko
Publication of KR2024002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48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7Combination of dishwashers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 B67D2210/00073Cup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를 구비하는 본체; 음용수를 출수하는 디스펜서; 상기 필터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메인 급수 유로; 상기 메인 급수 유로에 설치되는 제 1 분지 밸브; 상기 제 1 분지 밸브에 연결되는 서브 급수 유로; 및 상기 서브 급수 유로로부터 상기 필터를 거친 세척수를 공급받는 용기 세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세척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고, 배수홀이 형성되는 싱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비산 방지 커버와, 상기 싱크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노즐은, 센터 노즐과, 상기 센터 노즐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사이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비산 방지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산 방지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 공간으로의 용기 수납과 상기 다수의 노즐로의 접근이 가능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산 방지 커버의 상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컵과 같은 용기 세척 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발명이다.
정수기는,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 성분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냉수, 온수, 및 정수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공하는 음용수 공급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정수기에서 물을 받아 커피나 차를 타먹기도 하고, 정수,냉수,또는 온수를 직접 마시기도 한다. 일례로, 머그 잔과 같은 용기에 커피를 타서 마시는 경우, 커피를 다 마신 후에도 커피가 용기 내면에 묻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용기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컵을 세척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컵 세척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장실로 이동하여 컵을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래의 선행 기술은 컵을 세척할 수 있는 브러쉬 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정수기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동일 브러쉬를 불특정 다수의 컵 세척에 사용되므로, 공공 장소나 사무실과 같이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에서는 위생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둘째, 컵 세척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브러쉬를 지속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셋째, 컵 세척을 위한 세척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정수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세척 장치의 고장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9232호(2017년02월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필터를 구비하는 본체; 음용수를 출수하는 디스펜서; 상기 필터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메인 급수 유로; 상기 메인 급수 유로에 설치되는 제 1 분지 밸브; 상기 제 1 분지 밸브에 연결되는 서브 급수 유로; 및 상기 서브 급수 유로로부터 상기 필터를 거친 세척수를 공급받는 용기 세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세척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고, 배수홀이 형성되는 싱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비산 방지 커버와, 상기 싱크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노즐은, 센터 노즐과, 상기 센터 노즐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사이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비산 방지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산 방지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 공간으로의 용기 수납과 상기 다수의 노즐로의 접근이 가능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산 방지 커버의 상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컵 세척을 위한 용기 세척 장치는 정수기에 탈부착 가능하므로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둘째, 용기 세척 장치를 정수기의 상면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항상 깨끗한 물로 세척을 하기 때문에, 브러쉬를 이용한 컵 세척 구조에 비하여 위생 측면에서 매우 안전한 장점이 있다.
넷째, 다수의 세척 노즐이 구비되고, 세척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컵 내부에서 회오리 유동을 형성하므로, 컵 내부가 깨끗하게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다수의 세척 노즐 중 어느 하나에서는 세척수와 세제가 함께 분사되므로, 컵 입구 부분에 묻은 립스틱과 같은 이물질도 깨끗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컵 세척 기능 외에 컵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내부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 장치의 위생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척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용기 세척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 노즐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노즐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컵을 세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비산 방지 커버에 리드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척 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디스펜서(12)와,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 세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12)의 상면에는 온수 취출구(13a)와 냉수 취출구(15a)가 돌출되며, 상기 디스펜서(12)의 상면 좌측과 우측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취출구(13a)의 전면에는 온수 잠금 버튼(14)이 구비되어, 온수 취출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취출구(15a)의 전면에는 냉수/정수 선택 버튼(16)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냉수와 정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냉수 취출구(15a)를 통해서 취출되는 물은 상온보다 낮은 온도의 냉수 또는 상온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온수 취출구(13a)의 후측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12)의 상면에는 온수 취출 레버(13)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 취출구(15a)의 후측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펜서(12)의 상면에는 냉수 취출 레버(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취출 레버(13)와 냉수 취출 레버(15)는 상기 디스펜서(12)의 상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펜서(12)의 배면에 틸팅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전면 중앙에는 필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필터 상태 표시부(1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전면,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펜서(12)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1)의 전면에는 용기 세척 버튼(19)과 내부 세척 버튼(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 세척 버튼(19)을 누르면, 용기 세척 명령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상기 내부 세척 버튼(20)을 누르면, 상기 용기 세척 장치(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 공간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2)의 바닥에는 트레이(17)가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17)의 하측에는 잔수 수집을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 세척 장치(30)는 상기 정수기(10)의 본체(11) 상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110)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함몰부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가 상기 본체(11)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정수기(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본체(11)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의 바닥부 외주면을 감싸는 장착 슬리브(미도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 슬리브의 내측에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는 상기 정수기(10)의 본체(11),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착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관은 상기 본체(11)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11) 내부로 급수되는 유로는, 메인 급수 유로(24)와, 상기 메인 급수 유로(24)에서 분지되어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로 연장되는 서브 급수 유로(25)와, 상기 메인 급수 유로(24)의 어느 지점에서 온수 공급 유로(243)와, 냉수 공급 유로(242), 및 정수 공급 유로(241)가 각각 분지될 수 있다. 상기 온수,냉수, 및 정수 공급 유로(241,242,243)는 분지 급수 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급수 유로(25)가 분지되는 지점에 제 1 분지 밸브(V1)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냉수 공급 유로(242)가 분지되는 지점에 제 2 분지 밸브(V2)가 장착되며, 상기 온수 공급 유로(243)가 분지되는 지점에 제 3 분지 밸브(V3)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 공급 유로(241)와 상기 냉수 공급 유로(242)는 상기 냉수 취출구(15a)로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는 냉수 취출구(15a)를 통하여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의 바닥부에는 배수 유로(26)가 연장되고, 상기 배수 유로(26)의 출구단은 정수기(10)의 외부에 구비된 배수 시설, 예컨대 주방 싱크대 또는 화장실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정수기(10) 내부에 배수 탱크(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 유로(26)가 상기 배수 탱크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 급수 유로(24) 상에는 필터(21)가 장착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급수 유로(25)는 필터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급수 유로(24)의 어느 지점에서 분지되어 상기 용기 세척 장치로 연장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메인 급수 유로(24) 상의 어느 지점에서 분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컵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은 필터를 거치지 않은 물을 사용하여도 위생에 큰 문제가 없을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 공급 유로(242)의 어느 지점에는 냉수 케이스(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케이스(22)는 상기 필터(21)를 통과한 물이 저온으로 냉각되어 저장되는 냉수 저장 탱크일 수도 있고, 상기 필터(21)를 통과한 물을 저온으로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coolant tank)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냉수 공급 유로(242)의 일부분은 상기 냉수 케이스(22)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냉수 공급 유로(242)를 따라 흐르는 정수된 물이 상기 냉수 케이스(22)에 저장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저온으로 냉각된 후 직접 냉수 취출구(15a)로 취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직수형(direct type) 정수기로 정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냉수 케이스(22)에 저장된 물이 냉수 공급 유로(242)를 통하여 상기 냉수 취출구(15a)로 취출되도록 하는 구조는 저수형(storage type) 정수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케이스(23) 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상기 온수 케이스(23)에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용기 세척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척 장치(30)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상단에 안착되는 싱크(sink)(33)와, 상기 싱크(33)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노즐들, 및 상기 하우징(31)의 상단에 결합되는 비산 방지 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싱크(33)의 대략 중앙 지점에 세워지는 센터 노즐(34)과, 상기 싱크(33)의 가장자리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사이드 노즐들(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노즐(35)의 개수는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싱크(33)는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낮게 반구 형태로 라운드지게 성형될 수 있고, 상기 싱크(33)의 중앙에 배수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노즐(34)은 상기 배수홀(33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약간 이격되는 지점에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싱크(33)에는 상기 다수의 노즐들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노즐들은 상기 싱크(33)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노즐들의 하단부는 상기 서브 급수 유로(25)에서 분지되는 다수의 급수 호스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의 저면에는 상기 서브 급수 유로(25)에서 분지되는 다수의 급수 호스 및 상기 배수홀(331)에 연결되는 배수 호스가 통과하기 위한 호스 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노즐들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31)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1)의 상면은 개방되고, 상기 싱크(33)의 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31)의 상단에 얹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싱크(33)의 라운드진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싱크(33)의 저면 전체가 상기 하우징(31)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서 용기의 세척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의 상면에는 용기 투입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의 상면은,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용기 투입홀(321) 쪽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에 의하여 정의되는 용기 세척 공간으로부터 세척수가 용기 투입홀(321)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는 상기 하우징(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 노즐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 노즐(34)은, 노즐 가이드(341)와, 상기 노즐 가이드(341)의 상단에 끼워지는 노즐 샤프트(342)와, 상기 노즐 샤프트(34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헤드(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노즐 가이드(341)는 상기 싱크(33)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싱크(33)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샤프트(342)와 노즐 가이드(341)의 내부에는 세척수 유로가 형성되는 워통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샤프트(342)에는 다수의 안내홀(34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안내홀(342a)은 상기 노즐 샤프트(342)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샤프트(34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노즐 헤드(343)의 내주면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노즐 샤프트(342)와 노즐 헤드(343) 사이에 세척수가 흐르기 위한 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헤드(343)에는 다수의 측면 토출구(344)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측면 토출구(344)는, 상기 노즐 헤드(343)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측면 토출구(344)는 상기 노즐 헤드(343)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측면 토출구(344) 각각은 상기 노즐 샤프트(342)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토출구(344)를 통과하는 세척수의 분사 압력에 의하여 상기 노즐 헤드(343)는 상기 노즐 샤프트(34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노즐 헤드(343)의 회전은 작용-반작용의 원리에 의한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상기 노즐 헤드(343)의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태의 가이드 홈(347)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347)은 상기 노즐 헤드(343)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홈(347)은 2의 배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상기 노즐 헤드(34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347)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회오리 토출구(3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오리 토출구(346)도 상기 측면 토출구(344)와 마찬가지로 θ상기 노즐 헤드(343)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유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노즐 샤프트(342)으 안내홀(342a)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회오리 토출구(346)를 통하여 노즐 헤드(343)의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토출구(344)는 상기 노즐 헤드(343)의 반경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상기 회오리 토출구(346)는 세척수가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노즐 헤드(343)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오리 토출구(346)를 통하여 세척수가 토출되므로, 상기 회오리 토출구(346)를 통하여 토출되는 세축수는 회오리 형상 또는 나선 형상을 그리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 샤프트(342)의 상면 중앙에는 상면 토출구(345)가 추가적으로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상면 토출구(345)로부터 토출되는 세척수는 세척 대상 용기, 즉 컵의 바닥부에 직접 부딪혀서 상기 컵의 바닥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노즐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노즐(35)은, 상기 싱크(33)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연장되는 노즐 가이드(351)와, 상기 노즐 가이드(351)의 상단에 장착되는 노즐 헤드(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헤드(352)는, 상기 센터 노즐(34)와 마주보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 쪽 면으로 정의되는 후면과,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 및 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은 수직면으로부터 소정 각도(θ) 만큼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 헤드(352)의 전면에는 돌기부(35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부(352a)에 토출구(3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53)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353)를 통하여 토출되는 세척수는 얇고 넓게 퍼지는 형태로 세척 대상 용기의 외주면으로 분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컵을 세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세척 대상 용기, 즉 컵을 뒤집어서 바닥부가 위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용기 세척 장치(30) 쪽으로 가져간다. 그리고, 상기 컵을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의 용기 투입홀(321)을 통하여 세척 공간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세척 공간이라 함은 상기 싱크(33)의 바닥부와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센터 토즐(34)이 상기 컵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컵의 개구부가 상기 용기 투입홀(321)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센터 노즐(34)의 상면이 상기 컵의 바닥부에 닿지 않는 정도의 위치까지 컵을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된 용기 세척 버튼(19)을 누르면, 상기 센터 노즐(34) 및 상기 다수의 사이드 노즐(35)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기 컵의 내주면 및 외주면 일부분이 세척된다. 특히, 상기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상기 컵의 개구부 영역은 상기 사이드 노즐(35)의 토출구(353)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노즐(34)의 하단부, 즉 입구단에는 급수 배관 뿐만 아니라 세제 공급을 위한 세제 공급 배관(미도시)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세제 공급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가 상기 컵의 내주면에 먼저 분사되도록 한 다음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 상기 사이드 노즐(35)의 전부 또는 일부에도 세제 공급 배관이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상면 또는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의 외주면에는 세척 대상 용기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S)가 장착되어, 상기 세척 대상 용기가 세척 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세척 대상 용기가 세척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 세척 버튼(19)을 누르더라도 세척 과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비산 방지 커버에 리드가 연결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의 용기 투입홀(321)은 리드(lid)(3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드(36)는 상기 용기 투입홀(3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36)는 상기 용기 투입홀(321)의 가장자리에 회동 가능하게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36)가 상기 용기 투입홀(321)을 차폐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리드(36)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투입홀(32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세척 버튼(20)을 누르면, 상기 비산 방지 커버(32)의 내주면과 상기 싱크(33)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상기 다수의 노즐들(34,35)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드(36)가 상기 용기 투입홀(321)을 차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세척 버튼(20)을 눌러도 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1)

  1. 필터를 구비하는 본체;
    음용수를 출수하는 디스펜서;
    상기 필터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메인 급수 유로;
    상기 메인 급수 유로에 설치되는 제 1 분지 밸브;
    상기 제 1 분지 밸브에 연결되는 서브 급수 유로; 및
    상기 서브 급수 유로로부터 상기 필터를 거친 세척수를 공급받는 용기 세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세척 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제공되고, 배수홀이 형성되는 싱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비산 방지 커버와,
    상기 싱크에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노즐은,
    센터 노즐과,
    상기 센터 노즐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사이드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비산 방지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비산 방지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 공간으로의 용기 수납과 상기 다수의 노즐로의 접근이 가능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산 방지 커버의 상면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센터 노즐은,
    세척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 샤프트와
    상기 노즐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헤드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 헤드의 접선 방향으로 분사되어 상기 노즐 헤드가 상기 노즐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노즐 샤프트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측면 토출구와,
    상기 노즐 헤드가 회전할 때 회오리 형태의 수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노즐 헤드의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회오리 토출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노즐은,
    상기 싱크를 관통하여 상기 싱크에 고정되는 노즐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샤프트는 상기 노즐 가이드의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센터 노즐의 상면에는 상면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급수 유로로부터 다수의 세척수 공급 배관이 분지되고,
    상기 다수의 세척수 공급 배관은 상기 다수의 노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에는 배수 호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노즐은,
    상기 싱크를 관통하여 상기 싱크에 고정되는 노즐 가이드와,
    상기 노즐 가이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되는 노즐 헤드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센터 노즐과 마주보되, 수직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으로 정의되는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에 형성되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상기 센터 노즐과 마주보되, 수직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으로 정의되는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과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면에 형성되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용기 세척 버튼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내부 세척 버튼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단 및 하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40021974A 2018-10-04 2024-02-15 정수기 KR20240024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1974A KR20240024881A (ko) 2018-10-04 2024-02-15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340A KR20200039081A (ko) 2018-10-04 2018-10-04 정수기
KR1020240021974A KR20240024881A (ko) 2018-10-04 2024-02-15 정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40A Division KR20200039081A (ko) 2018-10-04 2018-10-04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4881A true KR20240024881A (ko) 2024-02-26

Family

ID=704546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40A KR20200039081A (ko) 2018-10-04 2018-10-04 정수기
KR1020240021974A KR20240024881A (ko) 2018-10-04 2024-02-15 정수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340A KR20200039081A (ko) 2018-10-04 2018-10-04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390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676A2 (en) * 2021-09-24 2023-03-30 Fas Plastik Filtre Aritm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Innovation in the tank on the top of the dispensers enabling the water treated in the water purifier to be stored and used on the dispen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2B1 (ko) 2016-09-01 2017-02-23 박종주 컵세척 기능이 부가된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2B1 (ko) 2016-09-01 2017-02-23 박종주 컵세척 기능이 부가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081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24881A (ko) 정수기
JP4035661B1 (ja) 浴室洗浄装置及び浴室ユニット
KR102643769B1 (ko) 노즐 외부 세정을 가진 음료 브루잉 장치
KR101176199B1 (ko) 세정 기능을 갖는 냉온 정수기
CN107249419A (zh) 洗涤电器的洗涤系统
US20070034086A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JP5948553B2 (ja) 槽体と排水器との接続構造及び排水器の構造。
CN108396840B (zh) 一种冲水坐便器
KR20150103492A (ko) 벽걸이식 세안장치
CN110772130B (zh) 一种自清洗的食品加工机
JP2007513653A (ja) 飲料生成装置
CN110772110B (zh) 一种智能清洗的食品加工机
US1553013A (en) Dishwashing machine
JP2020196994A (ja) シンクの排水構造及び調理台
KR102288480B1 (ko) 음료용 디스펜서
JP2017082406A (ja) 流し台
KR102111599B1 (ko) 정수기
JP3130516B2 (ja) 食器洗浄機及びこれを用いたキッチン
JP2007282751A (ja) 食器洗い機
JP6994625B2 (ja) 食器洗い機
JP3016732U (ja) 洗米装置
KR20090082655A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배수장치
CN110680257A (zh) 水槽清洗机及其腔体
KR20150003898U (ko) 싱크대용 혼합수전
JPH03495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