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305A -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 - Google Patents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305A
KR20240021305A KR1020247001690A KR20247001690A KR20240021305A KR 20240021305 A KR20240021305 A KR 20240021305A KR 1020247001690 A KR1020247001690 A KR 1020247001690A KR 20247001690 A KR20247001690 A KR 20247001690A KR 20240021305 A KR20240021305 A KR 20240021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gas
volute tongue
cross flow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총 투
뚜어더 우
얀동 우
치친 쑤
샤오원 후
동원 짠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2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33Fan casings with volutes extending mainly in axial or radially in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Abstract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100)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상류 에어덕트부(1)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 상에 가스 보충 경로(3)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입구(31)는 상기 바람 배출 섹션(212)에 위치하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가스 보충 경로(2)의 가스 출구(32)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211)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을 향해 개방되며 상기 상류 에어덕트(11)와 연통된다.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기체 유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2210114732.8이고, 출원일이 2022년 01월 30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출원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요구하며, 상술한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는 에어덕트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 따른 공조기와 같은 일부 공기 조절 설비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를 사용하여 기류의 흐름을 유발하고,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에 설치되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 내에서 볼류트 텅 근체에 편심 볼텍스가 존재하여,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가스 진입 효율이 떨어지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 내의 가스 흐름 성능이 보다 낮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압력 저항성이 보다 낮아,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풍량이 낮게 된다.
본 개시는 적어도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하나의 기술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는 에어덕트 어셈블리를 개시하며,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의 압력 저항성이 보다 우수하고,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에어덕트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를 더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의 실시예의 에어덕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류 에어덕트부 및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에 의해 상류 에어덕트가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의 횡단면 상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는 이격되게 설치된 제1 에어덕트벽과 제2 에어덕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덕트벽과 상기 제2 에어덕트벽 사이에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는 상기 상류 에어덕트의 하류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에어덕트벽은 볼류트 텅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의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과 상기 제2 에어덕트벽 사이에 형성된 임펠러 장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덕트벽의 상기 볼류트 텅 섹션에 위치하는 볼류트 텅 팁과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에어덕트 출구 사이의 부분은 바람 배출 섹션이고;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 상에 가스 보충 경로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보충 경로의 가스 입구는 상기 바람 배출 섹션에 위치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가스 보충 경로의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 밖을 향해 개방되며 상기 상류 에어덕트와 연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에어덕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가스 보충 경로의 가스 보충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편심 볼텍스와 저압 볼텍스의 유동 특성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가스 진입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 내의 기체 유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압력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출구는 제1 출구, 제2 출구 및 제3 출구 중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제1 에어덕트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출구는 상기 제1 에어덕트벽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의 간극 지점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볼류트 텅 섹션은 볼류트 텅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은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볼류트 텅 팁과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 상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볼류트 텅 팁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에 상기 제3 출구가 구성되고, 또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은 볼류트 텅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은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볼류트 텅 팁과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의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에 상기 제3 출구가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 에어덕트는 열교환기 장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과 상기 열교환기 장착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류 에어덕트의 상기 열교환기 장착 챔버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과 연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중심선은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는 물받이홈을 구성하는 물받이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섹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열교환기 장착 챔버와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 사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물받이 섹션의 상기 볼류트 텅 섹션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 상, 상기 물받이 섹션 상, 상기 볼류트 텅 섹션과 상기 물받이 섹션 사이의 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하류 에어덕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류 에어덕트부는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를 구성하고, 상기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하류에 연통되고, 상기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는 열교환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하류 장착 챔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출구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가스 출구가 복수일 때, 복수의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가스 출구는 하나의 개구이거나, 또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서브 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보충 경로는 상기 가스 출구와 상기 가스 입구를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 보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상기 가스 입구로부터 상기 가스 출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가스 출구, 상기 가스 입구,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의 폭은 3mm ~ 7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상기 가스 입구로부터 상기 가스 출구까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직선과 직선의 결합, 또는 직선과 곡선의 결합을 따라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의 종단면 상에서, 연통되는 상기 가스 출구, 상기 가스 입구 및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축방향 상에서의 위치가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보충 경로는 상기 가스 출구와 상기 가스 입구를 연통시키기 위한 밀폐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캐비티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가스 출구와 연통되는 것, 및/또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가스 입구와 연통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상기 가스 출구와 전체 상기 가스 입구는 모두 상기 밀폐 캐비티와 연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에어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디플렉터는 상기 가스 출구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출구의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 디플렉터는 탄성적으로 스윙 가능하거나 구동 스윙 가능하여, 상기 가스 출구에 가까워지는 것과 상기 가스 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 사이에서 스윙 가능한 것, 및/또는, 상기 에어 디플렉터는 호면 에어 디플렉터 또는 평면 에어 디플렉터이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의 실시예의 공기 조절 설비에 따르면, 본 개시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 어셈블리;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에 설치되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공기 조절 설비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측면의 실시예의 에어덕트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공기 조절 설비의 통퐁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부가적인 측면과 이점은 아래의 설명에서 제공되며, 일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지거나, 본 개시의 실시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유동장 스뮬레이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기 조절 설비의 가스 보충 경로가 취소된 후의 유동장 스뮬레이션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속도장 스뮬레이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 조절 설비의 가스 보충 경로가 취소된 후의 속도장 스뮬레이션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상술한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그 중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를 나타낸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아래의 개시는 본 개시의 다양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다른 실시예 또는 예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특정 예의 부재와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이들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목적이 아니다. 또한, 본 개시는 다른 예에서 참조 숫자 및/또는 문자를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화와 명확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그 자체는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설치 간의 관계를 지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특정 공정 및 재료의 예를 제공하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공정의 적용 가능성 및/또는 기타 재료의 사용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상류 에어덕트부(1)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를 포함하고, 상류 에어덕트부(1)에 의해 상류 에어덕트(11)가 구성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의 횡단면 상에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는 이격되게 설치된 제1 에어덕트벽(21)과 제2 에어덕트벽(22)을 포함하고, 제1 에어덕트벽(21)과 제2 에어덕트벽(22) 사이에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가 형성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는 상류 에어덕트(11)의 하류에 연통되고, 제1 에어덕트벽(21)은 볼류트 텅 섹션((Volute tongue section, 211)을 포함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는 볼류트 텅 섹션(211)의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과 제2 에어덕트벽(22) 사이에 형성된 임펠러 장착 챔버(231)를 포함하고, 볼류트 텅 섹션(211)의 볼류트 텅 팁(Volute tongue tip, 2b)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에어덕트 출구(23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에어덕트벽(21)의 부분은 바람 배출 섹션(212)이다. 예를 들어, 볼류트 텅 섹션(211)은 볼류트 텅 바람 가이드면(2c)을 더 포함하고, 볼류트 텅 바람 가이드면(2c)과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은 곡면을 통해 매끈하게 과도하게 서로 연결되어 볼류트 텅 팁(2b)을 형성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 장착 챔버(231)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의 횡단면이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중심축선과 서로 수직되는 평면을 사용하여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를 절단하여 얻어진 횡단면을 의미한다.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시, 기류가 상류 에어덕트(11)를 흘러지나고, 상류 에어덕트(11)로부터 유출된 기류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에어덕트 입구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진입한 후, 에어덕트 출구(232)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으로 배출되도록 유발한다. 임펠러 장착 챔버(231)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에어덕트 입구 지점에 위치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 어셈블리 상에 가스 보충 경로(3)가 구비되고,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입구(31)는 바람 배출 섹션(212)에 위치하며, 가스 입구(31)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제1 영역(233))과 연통된다.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는 볼류트 텅 섹션(211)과 상류 에어덕트부(1) 사이에 설치되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으로 향해 개방되며, 상류 에어덕트(11)와 연통되고, 이에 따라 가스 출구(32)는 임펠러 장착 챔버(231)의 상류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의 상류 에어덕트(11)로 기류를 송출할 수 있고, 기류는 이어서 다시 상류 에어덕트(11)로부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흐르고, 즉 가스 출구(32)로부터 송출된 기류는 먼저 상류 에어덕트(11)로 진입하고, 다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진입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한편, 가스 출구(32)가 향하는 방향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부를 향해 개방되지만 않으면 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본문에서 언급하는 특정 특징의 상류란 기류가 특정 특징에 진입하기 전의 위치를 의미하고, 특정 특징의 하류란 기류가 특정 특징으로부터 유출된 후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가스 출구(32)의 기압은 가스 입구(31)의 기압보다 작을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로부터 유출된 일부분 기류는, 가스 입구(31)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기압의 작용 하에 가스 입구(31)에 의해 흡입된 후, 가스 출구(32)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으로 배출되어, 임펠러 장착 챔버(231) 밖의 상류에 위치할 수 있고, 다음 다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에어덕트 입구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진입하고, 이어서 임펠러 장착 챔버(231)로 진입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가까운 지점의 편심 볼텍스에 대해 제어하여,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출원인은 연구 과정에서,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섹션(211)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설치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으로 향해 개방되며 상류 에어덕트(11)와 연통될 때, 가스 출구(32)로부터 배출된 기류는 먼저 상류 에어덕트(11)로 진입하고, 다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에 흡입될 수 있고,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기류는 보다 효과적으로 편심 볼텍스의 둘레 방향 또는 접선 방향을 따라, 편심 볼텍스의 가장자리를 충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심 볼텍스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기체 유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창조적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볼류트 텅 섹션(211) 지점에 형성되는 유동장이 이에 따라 변화하고, 가스 보충 경로(3)의 기류는 회전 속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편심 볼텍스를 안정적이고 적응적으로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기체 유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설명하여야 할 점은, 출원인은 연구 과정에서 또한, 만약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 상에 설치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를 향해 개방되어(도면에 해당 예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기체 보충 경로(3)가 직접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부와 연통되면, 가스 보충 경로(3)로부터 배출된 기류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으로부터 직접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과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 사이의 보다 작은 간격 지점으로 유입되고, 대체적으로 직접 편심 볼텍스의 지름 방향을 따라 편심 볼텍스를 충격하고, 이러한 경우, 편심 볼텍스에 대해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편심 볼텍스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기류 유동을 더욱 저애하도록 하여,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성이 더욱 약해지는 것을 초래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 감소를 초래하는 것을 창조적으로 발견하였다.
요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가스 보충 경로(3)를 설치함으로써, 가스 보충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속도 변화, 및 볼류트 텅 섹션(211)의 자체적 특성에 따라, 편심 볼텍스의 유동 특성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유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류 에어덕트(11) 내에 열교환기(6)가 설치될 수 있고, 열교환기(6)를 장착하기 위한 열교환기 장착 챔버(111)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시, 기류가 상류 에어덕트(11)를 흘러지나, 기류가 상류 에어덕트(11) 내에 진입하여 열교환기(6)와 열교환한 후,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유출되고, 다음 에어덕트 출구(232)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유발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열교환기(6)의 구체적인 유형은 제한되지 않고, 열교환 기능을 구비하기만 하면 되며, 예를 들어, 튜브핀 타입 열교환기,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 전기저항 열교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 상류 에어덕트(11) 내에 열교환기(6)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거나, 예를 들어 디플렉터 부재, 여과 부재, 정화 부재, 가습 부재와 같은 기타 기능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 에어덕트(11)가 열교환기(6)를 장착하기 위한 열교환기 장착 챔버(111)를 포함할 때, 가스 출구(32)는 볼류트 텅 섹션(211)과 열교환기 장착 챔버(111) 사이에 설치되며, 상류 에어덕트(11)의 열교환기 장착 챔버(111)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제2 영역(112))과 연통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점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로부터 유출된 기류는 에어덕트 출구(232)에 도달하기 전에 먼저 제1 영역(233)의 위치에 도달할 수 있고,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된 기류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진입하기 전에 먼저 제2 영역(112)에 도달할 수 있고, 제1 영역(233) 지점의 압력이 제2 영역(112) 지점의 압력보다 크며, 이에 따라 가스 입구(31) 지점의 기류는 기압의 작용 하에 가스 보충 경로(3)로 흡입되고, 가스 출구(32)를 통해 제2 영역(112)으로 배출되고, 다음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에 진입한다.
요컨대, 가스 출구(32)의 기압이 가스 입구(31)의 기압보다 작으므로,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로부터 유출된 일부분 기류는 가스 입구(31) 지점에 도달하였을 때, 기압의 작용 하에 가스 입구(31)에 의해 흡입될 수 있고, 다음 가스 출구(32)를 통해 상류 에어덕트(11)의 열교환기(6) 하류에 위치하는 위치로 배출되어, 추후에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에 유입될 때,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가까운 지점의 편심 볼텍스에 대해 제어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관련기술에 따른 일부 스플릿 벽걸이형 공조기는, 열교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체식 C형 핀(fin)의 열교환장치(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6))를 사용하며, V형 핀을 사용하는 열교환장치에 비해, 열교환 능력이 10% 이상 향상될 수 있지만, 에어덕트 유체 성능에 대해 말하면, C형 핀의 압력 손실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테스트한 결과, C형 핀의 출구 단면 최대 풍속이 3.5m/s이지만, V형 핀의 출구 단면 최대 풍속은 4m/s이다. C형 핀의 총 압력 강하는 17.7Pa이고, V형 핀의 총 압력 강하는 12.7Pa인 바, 이를 참조하면, C형 핀의 압력 강하가 더욱 크고, 압력 손실이 보다 크며, 이에 따라 바람 진입 저항이 증가하고, 바람 진입이 원활하지 않다. 또한, 제냉 상태에서, 핀 상에 물이 고여, 바람 진입 저항이 더욱 증가하고, 바람 진입이 더욱 원활하지 못하여, 동일한 회전 속도에서, 풍량이 급격이 감소하고, 국부의 풍속이 지나치게 낮게 된다.
스플릿 벽걸이형 공조기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를 사용할 때,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의 동작 시,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의 볼류트 텅에 가까운 지점에 편심 볼텍스가 형성되고(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X 지점),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압력 저항성이 떨어지고, 또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에어덕트 입구 바깥 부근의 볼류트 텅에 가까운 일단에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유동 특성으로 인해, 여기에 하나의 저압 볼텍스를 형성하기 쉽고(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Y 지점),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가스 진입 효율을 낮춘다. 또한, 스플릿 벽걸이형 공조기의 일부 기타 수요로 인해, 일반적으로 저압 볼텍스 지점에 예를 들어 물받이 트레이와 같은 구조 엔드벽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가스 진입 효율이 더욱 악화되어, 크로스 플로우 기류의 흐름 불안정을 초래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가스 진입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가스 보충 경로(3)를 설치함으로써, 가스 보충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속도, 및 볼류트 텅 섹션(211)의 자체적 특성에 따라, 편심 볼텍스와 저압 볼텍스의 유동 특성을 적응적으로 조절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기체 유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하류 에어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하류 에어덕트부에 의해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가 구성되고,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하류에 연통되고,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는 열교환장치(상술한 열교환기(6)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를 장착하기 위한 하류 장착 챔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시, 기류가 상류 에어덕트(11)를 흘러지난 후,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를 흘러지나고, 다음 다시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로 진입하는 것을 유발하고, 기류는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 내로 진입하여 열교환 장치와 열교환을 수행한 후,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상류 에어덕트(11) 내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거나, 예를 들어 디플렉터 부재, 여과 부재, 정화 부재, 가습 부재, 열교환기(6)와 같은 기능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기타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하류 에어덕트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는 겹칠 수 있고(예를 들어 직접 하나의 패널을 뚤어 가스 보충 경로(3)로 할 수 있으며, 해당 관통홀은 가스 입구(31)일 뿐만 아니라 가스 출구(32))이기도 함), 물론,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는 겹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는 가스 보충 채널(33), 또는 밀폐 캐비티(34), 또는 가스 전도성 하드 튜브 또는 가스 전도성 호스 등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는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본문에서 언급하는 “임펠러 장착 챔버(231)와 멀리 떨어진 일측”이란 모두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와 멀리 떨어진 일측을 의미하며, 특징 1이 특징 2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특징 1과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 사이의 지름 방향 거리가 특징 2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 사이의 지름 방향 거리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는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란, 즉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 부근에 위치하며, 가스 출구(32)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 사이의 지름 방향 거리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과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 사이의 지름 방향 거리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가스 보충 경로(3)의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를 향하는 일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에 비해 임펠러 장착 챔버(231)와 멀리 떨어져 설치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스 출구(32)로부터 유출된 기류가 직접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으로부터 유출되어 직접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스 출구(32)로부터 유출된 기류가 먼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밖의 상류 에어덕트(11)로 진입한 후, 다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로 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가스 진입 효율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더욱 유리하다. 물론,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에서, 가스 출구(32)를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과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그다지 명확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가스 출구(32)의 수량 및 형성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스 출구(32)는 제1 출구, 제2 출구 및 제3 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출구는 제1 에어덕트벽(21) 상에 형성되고, 제2 출구는 상류 에어덕트부(1) 상에 형성되고, 제3 출구는 제1 에어덕트벽(21)과 상류 에어덕트부(1) 사이의 간극 지점에 형성된다. 즉, 가스 출구(32)는 제1 에어덕트벽(21) 상, 상류 에어덕트부(1) 상, 제1 에어덕트벽(21)과 상류 에어덕트부(1)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기종에 대해 상응한 가스 출구(32) 설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적용 범위를 늘리고, 가공을 단순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스 출구(32)는 적어도 하나이고, 가스 출구(32)가 복수일 때, 복수의 가스 출구(32)는 임펠러 장착 챔버(231)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가스 출구(32)는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서브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스 입구(31)는 적어도 하나이고, 가스 입구(31)가 복수일 때, 복수의 가스 입구(31)는 바람 배출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가스 입구(31)는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서브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출구(32)가 복수일 때, 예를 들어, 가스 출구(32)는 제1 출구, 제2 출구 및 제3 출구 중 적어도 2종을 포함하며, 각종 가스 출구(32)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가스 출구(32)는 제1 출구, 제2 출구 및 제3 출구 중 1종을 포함하며, 해당 가스 출구(32)의 수량은 적어도 두 개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구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제1 출구가 복수일 때, 복수의 제1 출구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제1 출구는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제1 서브 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출구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제2 출구가 복수일 때, 복수의 제2 출구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어느 하나의 제2 출구는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제2 서브 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3 출구는 어느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제3 서브 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볼류트 텅 섹션(211)은 볼류트 텅 연장면(2d)을 더 포함하고, 볼류트 텅 연장면(2d)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볼류트 텅 팁(2b)과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임펠러 장착 챔버(231)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도 1과 도 2를 참조), 제1 출구는 볼류트 텅 연장면(2d) 상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직접 볼류트 텅 섹션(211) 상에 제1 출구를 가공하면 되며, 가공이 편리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제1 출구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에 비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와 멀리 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심 볼텍스에 대한 구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가스 진입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볼류트 텅 섹션(211)은 볼류트 텅 연장면(2d)을 더 포함하고, 볼류트 텅 연장면(2d)은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볼류트 텅 팁(2b)과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임펠러 장착 챔버(231)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도 1과 도 2를 참조), 볼류트 텅 연장면(2d)의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상류 에어덕트부(1) 사이에 제3 출구가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3 출구의 형성이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며, 원가를 절감하며, 제3 출구는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에 비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와 멀리 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심 볼텍스에 대한 구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가스 진입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볼류트 텅 팁(2b)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상류 에어덕트부(1) 사이에 제3 출구가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3 출구의 형성이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하며, 원가를 절감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중심선은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즉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중심축선은 수평 또는 대체적으로 수평되게 설치되고, 상류 에어덕트부(1)는 물받이홈(121)을 구성하는 물받이 섹션(12)을 포함하고, 물받이 섹션(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열교환기 장착 챔버(111)와 임펠러 장착 챔버(231) 사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제2 영역(112))의 아래에 위치하고, 가스 출구(32)는 물받이 섹션(12)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가까운 일측(예를 들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물받이 섹션(12)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물받이홈(121) 내의 물이 가스 보충에 의해 쉽게 블로우되지 않고, 바람이 물을 블로우하는 문제를 줄인다. 또한, 가스 출구(32)를 물받이 섹션(12)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함으로써, 가스 출구(32)로부터 배출된 기류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 내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가까운 지점의 편심 볼텍스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확보하고,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압력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출구(32)는 볼류트 텅 섹션(211) 상, 물받이 섹션(12) 상, 볼류트 텅 섹션(211) 및 물받이 섹션(12) 사이의 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섹션(211) 상에 형성(예를 들어 상술한 볼류트 텅 연장면(2d) 상에 설치)될 때, 상술한 제1 출구의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일 수 있고, 가스 출구(32)가 물받이 섹션(12) 상에 형성될 때, 상술한 제2 출구의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일 수 있고, 가스 출구(32)가 볼류트 텅 섹션(211)과 물받이 섹션(12) 사이의 간극 지점에 형성(예를 들어 상술한 볼류트 텅 연장면(2d)의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물받이 섹션(12) 사이에 설치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상술한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2a)의 볼류트 텅 팁(2b)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물받이 섹션(12) 사이에 설치되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음)될 때, 상술한 제3 출구의 하나의 선택적인 실시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공 및 제조가 편리하며, 가스 출구(32)가 물받이 섹션(12)의 볼류트 텅 섹션(211)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도록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물받이홈(121) 내의 물이 가스 보충에 의해 쉽게 블로우되어 나오지 않도록 확보하고, 바람이 물을 블로우하는 문제를 줄인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보충 경로(3)는 가스 출구(32)와 가스 입구(31)를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 보충 채널(33)을 포함하고, 가스 보충 채널(33)은 가스 입구(31)로부터 가스 출구(32)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가스 출구(32), 가스 입구(31), 가스 보충 채널(33)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통된다. 즉, 하나의 가스 보충 채널(33)은 오로지 하나의 가스 입구(31) 및 하나의 가스 출구(32)와 연통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가스 출구(32), 하나의 가스 입구(31), 하나의 가스 보충 채널(33)이 하나의 가스 보충 세트를 구성하도록 하고, 하나의 가스 보충 세트 중 가스 출구(32)와 가스 입구(31)는 가스 보충 채널(33)을 통해 연통되고, 가스 보충 경로(3)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보충 세트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가스 보충 유통 효율을 향상시키고, 가스 보충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이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반지름보다 작고,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가스 보충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이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 중 어느 하나의 폭의 2배보다 작으며,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의 0.5배보다 크다. 이를 통해, 보다 작은 사이즈의 가스 보충 채널(33)을 개설함에 의해, 신속한 가스 보충 흐름 안내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가스 보충 효율을 향상시키고, 풍량 손실을 줄이며, 바람 배출량을 확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스 입구(31)의 폭(d1)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중심선에 수직되는 횡단면 상에서의 가스 입구(31)의 개구 사이즈를 의미하고; 가스 출구(32)의 폭(d2)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중심선에 수직되는 횡단면 상에서의 가스 출구(32)의 개구 사이즈를 의미하고,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 사이즈(d)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중심선에 수직되는 횡단면 상에서의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은 3mm ~ 7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3mm, 4mm, 5mm, 6mm, 7mm 등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스 보충 효과와 전체 바람 배출량을 더욱 잘 고려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은 동일한 폭일 수 있고, 폭이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가스 보충 채널(33)은 가스 입구(31)로부터 가스 출구(32)로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가스 보충 채널(33)은 가스 입구(31)로부터 가스 출구(32)로의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가스 보충 채널(33)의 폭이 동일한 폭일 때, 풍량과 노이즈를 모두 잘 고려할 수 있고, 가공이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스플릿 벽걸이형 공조기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를 사용할 때, 제냉 및 제열 효과를 모두 고려하고, 제냉 모드에서, 바람이 최대한 위로 블로우하도록 하고, 제열 모드에서, 바람이 최대한 아래로 블로우하도록 하고, 동시에 공조기 바람 출구의 바람이 공조기 바람 입구로 환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덕트의 에어덕트 출구를 설계할 때, 의도적으로 압력 디퓨징 섹션의 상부 라인을 아래로 낮추어, 압력 디퓨징 섹션 내에 국부적으로 저속 영역이 형성되고, 저속 영역은 에어덕트 내부 정압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하고, 에어덕트 출구 밖에 있는 기체가 에어덕트 출구 내로 환류하여 맥동 서지음을 초래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가스 보충 채널(3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스 보충 채널(33)은 가스 입구(31)로부터 가스 출구(32)까지,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직선과 직선의 결합, 또는 직선과 곡선의 결합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의 횡단면 상에서, 가스 보충 채널(33)의 연장 중심선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직선(이때, 가스 보충 채널(33)은 직선형 채널이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곡선(이때, 가스 보충 채널(33)은 호형 채널이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거나, 또는 물결형 채널이고,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 등), 또는 직선과 직선의 결합(예를 들어, 가스 보충 채널(33)은 꺽인선 형태의 채널이거나 톱니형 채널 등이다), 또는 직선과 곡선의 결합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직선을 따라 연장된 가스 보충 채널(33)은 편심 볼텍스에 대한 제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스 보충 충격 속도가 강하고, 동일한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회전 속도에서, 풍량이 증가되지만; 예를 들어 곡선(예컨대 호선, 물결선), 톱니선 등과 같은 비직선을 따라 연장된 가스 보충 채널(33)은 가스 보충 충격 속도를 늦출 수 있고, 풍량과 노이즈 변화가 크지 않지만, 기류의 흐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보충 경로(3)는 가스 보충 채널(33)만 포함하고, 후술하는 밀폐 캐비티(34)는 포함하지 않고, 이때, 가스 출구(32), 가스 입구(31), 가스 보충 채널(33)의 수량은 동일하며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통될 수 있고, 즉, 가스 출구(32), 가스 입구(31), 가스 보충 채널(33)의 수량이 동일하며, 모두 N개일 수 있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각 가스 출구(32)는 각각 하나의 대응되는 가스 보충 채널(33)을 통해 하나의 대응되는 가스 입구(31)와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가스 출구(32)는 어느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서브 출구를 포함하므로, 하나의 가스 보충 세트 중 가스 보충 채널(33)은 동시에 복수의 서브 출구와 연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편, 어느 하나의 가스 입구(31)는 단지 하나의 개구일 수 있고,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서브 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가스 보충 세트 중 가스 보충 채널(33)은 동시에 복수의 서브 입구와 연통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가스 보충 채널(33)은 하나의 채널, 또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의 서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 상에서의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연장 방향은 제한되지 않고, 해당 가스 보충 채널(33)과 연통이 필요한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의 종단면 상에서(여기서,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의 종단면이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중심축선을 지나는 평면을 사용하여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2)를 절단하여 얻어진 종단면을 의미함), 연통되는 가스 출구(32), 가스 입구(31)와 가스 보충 채널(33)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 상에서의 위치가 대응된다. 즉, 가스 보충 채널(33)이 종단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가스 출구(32)가 종단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가스 입구(31)가 종단면을 향해 정투영되고, 이 세 개의 정투영은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의 축방향 상에서의 범위가 동일하고, 이를 통해, 가스 입구(31)로 진입한 기류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오프셋될 필요가 없이, 가스 출구(32)로부터 송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스 보충 채널(33)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하고, 가공 난이도를 낮추고, 가스 보충 효율을 향상시킨다.
물론,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타 실시예에서, 가스 출구(32), 가스 입구(31)와 가스 보충 채널(33)은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 상에서의 위치는 대응되지 않을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가스 출구(32)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 일단에 대응되고, 가스 입구(31)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 타단에 대응되는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스 입구(31)로 진입한 기류는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축방향을 따라 오프셋하여야 가스 출구(32)로부터 송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보충 경로(3)는 가스 출구(32)와 가스 입구(31)를 연통시키기 위한 밀폐 캐비티(34)를 포함할 수 있고, 밀폐 캐비티(34)는 동시에 복수의 가스 출구(32)와 연통되고, 및/또는 동시에 복수의 가스 입구(31)와 연통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설계 요구를 충족하고, 유연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하나의 밀폐 캐비티(34)는 하나의 가스 입구(31)와 연통되고, 동시에 복수의 가스 출구(32)와 연통되며, 이때, 기류는 하나의 가스 입구(31)로부터 밀폐 캐비티(34)로 진입한 후, 복수의 가스 출구(32)로부터 여러 갈래로 나뉘어 배출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하나의 밀폐 캐비티(34)는 복수의 가스 입구(31)와 연통되고, 동시에 하나의 가스 출구(32)와 연통되며, 이때, 기류는 복수의 가스 입구(31)로부터 밀폐 캐비티(34)로 진입한 후, 하나의 가스 출구(32)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하나의 밀폐 캐비티(34)는 복수의 가스 입구(31)와 연통되고, 동시에 복수의 가스 출구(32)와 연통되며, 이때, 기류는 복수의 가스 입구(31)로부터 밀폐 캐비티(34)로 진입한 후, 복수의 가스 출구(32)로부터 여러 갈래로 나뉘어 배출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가스 보충 경로(3)는 가스 보충 채널(33)과 밀폐 캐비티(34) 중 하나만 포함할 수 있고, 동시에 가스 보충 채널(33)과 밀폐 캐비티(34)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유연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가스 보충 경로(3)는 밀폐 캐비티(34)만 포함하고, 가스 보충 채널(33)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때, 모든 가스 출구(32)와 모든 가스 입구(31)는 모두 동일한 밀폐 캐비티(34)와 연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계를 단순화하고, 가공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밀폐 캐비티(34)는 가스 보충 채널(33)에 비해, 연장 방향성을 갖지 않을 수 있고, 밀폐 캐비티(34)는 가스 보충 채널(33)에 비해, 폭이 약간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밀폐 캐비티(34)의 적어도 일부분의 폭은 가스 입구(31)와 가스 출구(32)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의 2배보다 큰 것 등을 들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연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 만약 밀폐 캐비티(34)의 용적이 보다 크면, 밀폐 용기(34) 내에 보온재(9)를 추가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온, 응로 방지 등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 어셈블리는 에어 디플렉터(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에어 디플렉터(4)는 가스 출구(32) 지점에 설치되며, 가스 출구(32)의 임펠러 장착 챔버(231)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한다. 이를 통해, 에어 디플렉터(4)를 통해 가스 출구(32)로부터 유출되는 기류 방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편심 볼텍스 성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가스 보충 낭비를 줄이고,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에어 디플렉터(4)의 구조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호면 에어 디플렉터 또는 평면 에어 디플렉터 등일 수 있고, 에어 디플렉터(4)가 호면 에어 디플렉터일 때, 흐름 안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 디플렉터(4)가 평면 에어 디플렉터일 때, 가공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설명하여야 할 점은, 에어 디플렉터(4)는 고정 형태일 수 있고, 움직임 가능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 디플렉터(4)가 고정 형태일 때, 사전에 장착 각도를 설계하여(예를 들어 일정한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음), 이로 하여금 가스 출구(32)로부터 유출되는 기류 방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편심 볼텍스 성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가스 보충 낭비를 줄이고, 풍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가능 형태일 때, 선택적으로, 에어 디플렉터(4)는 탄성 스윙 가능하여, 가스 출구(32)에 가까워지는 것과 가스 출구(32)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 사이에서 스윙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즉 탄성부를 통해 에어 디플렉터(4)가 탄성적으로 스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회전 속도에서 편심 볼텍스에 대한 제어를 적응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즉 자동적으로 탄성 스윙하여 적응형으로 편심 볼텍스를 제어하고, 원가를 낮추며 조절 가능 효과가 우수하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가능 형태일 때, 또는 선택적으로, 에어 디플렉터(4)는 구동 스윙 가능하여, 가스 출구(32)에 가까워지는 것과 가스 출구(32)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 사이에서 스윙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즉 구동 기구를 설치하여 에어 디플렉터(4)의 스윙에 대해 구동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를 통해, 서로 다른 회전 속도에서 편심 볼텍스 성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가스 보충 낭비를 줄이고,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출구(32)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스윙할 때, 노이즈를 줄일 수 있고, 가스 출구(3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스윙할 때, 압력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입구(31)는 바람 배출 섹션(212)의 볼류트 텅 팁(2b)에 가까운 단부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가스 입구(31)와 볼류트 텅 팁(2b) 사이의 거리가 바람 배출 섹션(212)의 길이의 4분의 1보다 작고,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기류는 볼류트 텅 팁(2b) 지점에서의 유속이 보다 낮고, 압력이 보다 크고, 이에 따라 볼류트 텅 팁(2b)에 가까운 지점에 가스 입구(31)를 설치하여, 기류가 압력의 작용 하에 더욱 잘 가스 입구(31)에 흡입되도록 하고, 풍량 손실을 줄인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바람 배출 섹션(212)은 곡선을 따라 연장된 볼류트 텅 바람 가이드면(2c)과 직선을 따라 연장된 압력 디퓨징면(2e)을 포함하고, 가스 입구(31)는 볼류트 텅 바람 가이드면(2c)과 압력 디퓨징면(2e)이 서로 접하는 위치 부근, 또는 볼류트 텅 팁(2b)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기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가스 입구(31)에 흡입되도록 확보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절 설비(100)는 본 개시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 어셈블리,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를 포함할 수 있고,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5)는 임펠러 장착 챔버(231)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공기 조절 설비(100)의 통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점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100)의 구체적인 유형은 제한되지 않고, 공조기,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일 수 있다. 한편, 공조기의 유형은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덕트형 공조기, 스플릿식 에어컨 실내기(예컨대, 스탠드형 에어컨, 벽걸이형 에어컨), 일체식 공조기(예컨대 윈도우식 공조기, 휴대식 공조기, 모바일 공조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조절 설비(100)가 덕트형 공조기일 때,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하류에 열교환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공기 조절 설비(100)가 스플릿식 에어컨 실내기일 때,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23)의 상류에 열교환기(6)를 설치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절 설비(100)의 유형이 결정된 후, 공기 조절 설비(100)의 가타 구성 및 조작은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락한다. 예를 들어, 공기 조절 설비(100)가 벽걸이형 에어컨일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리턴 그릴(7), 여과망(8)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덕트 출구(232) 지점에 설치되는 바람 가이드 기구(110) 등을 더 포함하여, 송풍 방향, 송풍 효과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위”, "아래”, "내”, "외”, "시계바늘 방향”, "시계바늘 반대 방향”, "축방향”, "지름 방향”, "둘레 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본 개시의 설명의 편의 및 설명의 간략을 위한 것일 뿐, 지시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갖는 것, 특정 방위로 구성 및 조작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개시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한편, 용어 "제1", "제2" 등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하는 기술특징의 수량을 은닉적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되어 있는 특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해당 특징을 포함함을 명시적으로 또는 은닉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복수"의 의미는 별도의 명확한 한정이 없는 한, 둘 또는 둘 이상이다.
본 개시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은 넓은 의미로 이해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될수도 있고;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고, 두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본 개시에서의 상술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별도의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위" 또는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거나, 제1 특징과 제2 특징이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그 위", "상부" 및"상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 또는 비스듬하게 상부에 있는 것이거나,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 "그 아래", "하부" 및 "하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비스듬하게 하부에 있는 것이거나,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합하여 설명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꼭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나타낼 필요는 없다. 또한, 설명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그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 외,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서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에 대해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원리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치환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동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100: 공기 조절 설비 1: 상류 에어덕트부
11: 상류 에어덕트 111: 열교환기 장착 챔버
112: 제2 영역 12: 물받이 섹션
121: 물받이홈 2: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
21: 제1 에어덕트벽 211: 볼류트 텅 섹션
2a: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 2b: 볼류트 텅 팁
2c: 볼류트 텅 바람 가이드면 2d: 볼류트 텅 연장면
212: 바람 배출 섹션 2e: 압력 디퓨징면
22: 제2 에어덕트벽 23: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
231: 임펠러 장착 챔버 232: 에어덕트 출구
233: 제1 영역 3: 가스 보충 경로
31: 가스 입구 32: 가스 출구
33: 가스 보충 채널 34: 밀폐 캐비티
4: 에어 디플렉터 5: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
6: 열교환기 7: 에어 리턴 그릴
8: 여과망 9: 보온재
110:바람 가이드 기구

Claims (19)

  1. 에어덕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류 에어덕트부 및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에 의해 상류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의 횡단면 상에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는 이격되게 설치된 제1 에어덕트벽과 제2 에어덕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덕트벽과 상기 제2 에어덕트벽 사이에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는 상기 상류 에어덕트의 하류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에어덕트벽은 볼류트 텅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의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과 상기 제2 에어덕트벽 사이에 형성된 임펠러 장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덕트벽의 상기 볼류트 텅 섹션에 위치하는 볼류트 텅 팁과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에어덕트 출구 사이의 부분은 바람 배출 섹션이고;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 상에 가스 보충 경로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 보충 경로의 가스 입구는 상기 바람 배출 섹션에 위치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가스 보충 경로의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 밖을 향해 개방되며 상기 상류 에어덕트와 연통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출구는 제1 출구, 제2 출구 및 제3 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제1 에어덕트벽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출구는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출구는 상기 제1 에어덕트벽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의 간극 지점에 형성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트 텅 섹션은 볼류트 텅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은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볼류트 텅 팁과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 상에 설치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볼류트 텅 팁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에 상기 제3 출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은 볼류트 텅 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은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의 상기 볼류트 텅 팁과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볼류트 텅 연장면의 상기 볼류트 텅 바람맞이면과 멀리 떨어진 일단과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 사이에 상기 제3 출구가 형성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에어덕트는 열교환기 장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과 상기 열교환기 장착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상류 에어덕트의 상기 열교환기 장착 챔버의 하류에 위치하는 영역과 연통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중심선은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상류 에어덕트부는 물받이홈을 형성하는 물받이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섹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열교환기 장착 챔버와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 사이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물받이 섹션의 상기 볼류트 텅 섹션에 가까운 일측에 위치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볼류트 텅 섹션 상, 상기 물받이 섹션 상, 및 상기 볼류트 텅 섹션과 상기 물받이 섹션 사이의 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 형성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류 에어덕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류 에어덕트부는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하류에 연통되고, 상기 하류 열교환 에어덕트는 열교환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하류 장착 챔버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출구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가스 출구가 복수일 때, 복수의 상기 가스 출구는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에서 멀리 떨어지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 출구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개구이거나, 또는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서브 출구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보충 경로는 상기 가스 출구와 상기 가스 입구를 연통시키기 위한 가스 보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상기 가스 입구로부터 상기 가스 출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가스 출구, 상기 가스 입구,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통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의 폭은 3mm ~ 7mm인, 에어덕트 어셈블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상기 가스 입구로부터 상기 가스 출구까지 연장되되, 직선, 곡선, 직선과 직선의 결합, 또는 직선과 곡선의 결합을 따라 연장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부의 종단면 상에서, 연통되는 상기 가스 출구, 상기 가스 입구 및 상기 가스 보충 채널은, 상기 크로스 플로우 에어덕트의 축방향 상에서의 위치가 대응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보충 경로는 상기 가스 출구와 상기 가스 입구를 연통시키기 위한 밀폐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캐비티는
    동시에 복수의 상기 가스 출구와 연통되는 것, 및
    동시에 복수의 상기 가스 입구와 연통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전체 상기 가스 출구와 전체 상기 가스 입구는 모두 상기 밀폐 캐비티와 연통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디플렉터는 상기 가스 출구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 출구의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와 멀리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디플렉터는,
    탄성적으로 스윙 가능하거나 구동 스윙 가능하여, 상기 가스 출구에 가까워지는 것과 상기 가스 출구에서 멀어지는 방향 사이에서 스윙 가능한 것, 및
    호면 에어 디플렉터 또는 평면 에어 디플렉터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어셈블리.
  19. 공기 조절 설비로서,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덕트 어셈블리;
    상기 임펠러 장착 챔버에 설치되는 크로스 플로우 임펠러;
    를 포함하는, 공기 조절 설비.
KR1020247001690A 2022-01-30 2023-01-04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 KR20240021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114732.8A CN114440316B (zh) 2022-01-30 2022-01-30 风道组件和具有其的空气调节设备
CN202210114732.8 2022-01-30
PCT/CN2023/070527 WO2023142932A1 (zh) 2022-01-30 2023-01-04 风道组件和具有其的空气调节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305A true KR20240021305A (ko) 2024-02-16

Family

ID=8137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690A KR20240021305A (ko) 2022-01-30 2023-01-04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21305A (ko)
CN (1) CN114440316B (ko)
WO (1) WO2023142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0316B (zh) * 2022-01-30 2024-02-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道组件和具有其的空气调节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68855U (zh) * 2012-07-14 2013-04-10 李力游 一种嵌入式空调器室内机
CN205279243U (zh) * 2015-10-12 2016-06-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6727006B2 (ja) * 2016-04-04 2020-07-22 株式会社マキタ 送風作業機
CN206175317U (zh) * 2016-11-10 2017-05-17 华中科技大学 一种贯流风机
CN208153402U (zh) * 2018-05-07 2018-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蜗舌、贯流风机、空调器
CN108457905B (zh) * 2018-05-07 2023-1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蜗舌、贯流风机、空调器
CN108457906B (zh) * 2018-05-31 2023-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蜗舌、贯流风机、空调器
CN108916116B (zh) * 2018-06-26 2024-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蜗舌及蜗舌控制方法、贯流风机、空调器
CN108759041B (zh) * 2018-08-07 2023-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蜗壳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542150A (zh) * 2019-09-19 2019-12-06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用于空调器的蜗舌及空调器
CN114440316B (zh) * 2022-01-30 2024-02-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道组件和具有其的空气调节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2932A1 (zh) 2023-08-03
CN114440316A (zh) 2022-05-06
CN114440316B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134B2 (ja) 室内機
JP4678327B2 (ja) 空気調和機
CN113864880A (zh) 壁挂式新风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240021305A (ko) 에어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절 설비
WO2022247543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114110758B (zh) 一种新风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1871678B (zh) 窗式空调
CN111023545A (zh) 底盘壳体、窗式空调器
KR100826028B1 (ko) 공기 조화기
CN216744630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112539466B (zh) 导风机构和空调室内机
CN114484611A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1103387A1 (zh) 出风装置和空气调节设备
KR20140014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23743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1795490A (zh) 导风结构、风道组件和风管式内机
CN216744631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CN110762636A (zh) 室内机和空调器
CN216346477U (zh) 薄型烟机
CN108386905B (zh) 空调
CN1755274B (zh) 一体式空调器的百叶窗式格栅窗
CN212644926U (zh) 导风结构、风道组件和风管式内机
CN211290302U (zh) 室内机和空调器
CN218120144U (zh) 导风板和壁挂式空调室内机
CN113454405B (zh) 空调装置的室内机及空调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