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818A - 글러브 박스 래치를 위한 폴 커넥터 - Google Patents

글러브 박스 래치를 위한 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818A
KR20240019818A KR1020247000888A KR20247000888A KR20240019818A KR 20240019818 A KR20240019818 A KR 20240019818A KR 1020247000888 A KR1020247000888 A KR 1020247000888A KR 20247000888 A KR20247000888 A KR 20247000888A KR 20240019818 A KR20240019818 A KR 20240019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glove box
pawl
vehicl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에이. 미니치
Original Assignee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1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crank pins and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20Coupling means for sliding bars, ro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이 개시된다. 래치는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장착되는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의 회전을 위해 장착되는 회전자; 및 회전자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폴을 포함한다. 폴의 맞물림 부분은,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는 차량에서의 개구에 맞물린다. 폴의 커플링 부분은, 회전자의 멈춤쇠를 수용하고 그리고 오목부 방향으로 오목부로부터의 멈춤쇠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기 위한 오목부를 규정한다. 회전자의 리테이너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디텐트로부터의 커플링 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위치결정된다.

Description

글러브 박스 래치를 위한 폴 커넥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PAWL CONNECTOR FOR GLOVE BOX LATCH”인 2021년 6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3/209,69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는 모든 목적들을 위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인접한 구성요소들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래치(latch)들의 분야, 및 특히 자동차 글러브 박스 또는 액세서리 격실 도어들을 폐쇄된 포지션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 시스템(latch system)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 폐쇄 시스템들, 예컨대 글러브 박스(glove box)들 및 그 유사물은 통상적으로, 하우징(housing), 도어(door), 및 하우징을 커버하기 위해 폐쇄된 포지션에 도어를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트라이커(striker)들과 협동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기존의 도어 폐쇄 시스템들을 개선하거나 이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할 필요가 계속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차량 글러브 박스를 위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는 액추에이터, 액추에이터에 커플링되는 회전자, 및 회전자에 커플링되는 폴(pawl)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회전자는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회전을 위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폴은 대향 단부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폴의 대향 단부들의 일 단부는 차량의 개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차량에,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며, 그리고 폴의 대향 단부들 중 다른 단부는, 폴을 회전자에 커플링하기 위해 위치결정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한다. 폴의 커플링 부분은, 폴 축에 대해 각지고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오목부 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규정한다. 회전자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그리고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 내로 연장하는 멈춤쇠(detent)를 갖는다. 회전자는 또한, 멈춤쇠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너(retainer)를 포함한다.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는, 회전자의 멈춤쇠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오목부 방향으로 오목부로부터의 회전자의 멈춤쇠의 의도치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성형된다. 회전자의 리테이너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의 폴의 커플링 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회전자의 멈춤쇠로부터의 폴의 커플링 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폴이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폴을 회전자에 대해 배향하는 단계 ─ 폴의 대향 단부들의 일 단부는 차량의 개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차량에,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며, 그리고 폴의 대향 단부들 중 다른 단부는, 폴을 회전자에 커플링하기 위해 위치결정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함 ─ ; 폴의 커플링 부분을 폴 축에 대해 각지고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오목부 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로 배향하는 단계;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회전자의 리테이너를 연장시키는 단계;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에 회전자의 멈춤쇠를 수용하고 그리고 오목부 방향으로 오목부로부터 회전자의 멈춤쇠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는 단계;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의 폴의 커플링 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회전자의 멈춤쇠로부터의 폴의 커플링 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기 위해 회전자의 리테이너를 위치결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의해,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오목부 방향으로 회전자로부터의 폴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위의 그리고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이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차량 글러브 박스의 도어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는, 차량 글러브 박스를 위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묘사한다.
도 1b는 도 1a에서 도시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다른 사시도를 묘사한다.
도 2a는 폴 및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회전자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 도시되는 폴 및 회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평면도이며,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는 래치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 3b는 선(3B-3B)을 따라 취한, 도 3a의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래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회전자의 멈춤쇠를 수용하도록 성형되는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를 도시하는, 도 3b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3d는 래치된 상태의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3e는 도 3d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래치해제된 상태와 같은, 폴의 전체 이동 거리를 도시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선(4B-4B)을 따라 취한, 도 4a의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래치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b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4d는 래칭해제된 상태의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4e는 도 4d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5a는, 설치 준비가 된 폴의 포지션을 도시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설치된 것으로 그리고 래치된 상태로 폴을 도시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평면도이며,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는 래치해제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 5d는 폴의 전체 이동 거리를 도시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평면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및 도 6f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폴의 실시예의 도면들을 묘사한다.
도 6g는 도 6f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6h, 도 6i, 도 6j, 및 도 6k는 폴의 부가의 도면들을 묘사한다.
도 6l은 도 6k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도 7e, 및 도 7f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회전자의 실시예의 도면들을 묘사한다.
도 7g는 도 7f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7h, 도 7i, 도 7j, 및 도 7k는 회전자의 부가의 도면들을 묘사한다.
도 7l은 도 7k의 일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액추에이터의 실시예의 도면들을 묘사한다.
도 9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의 토션 스프링의 등축도이다.
도 10은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묘사한다.
본 발명이 본원에서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되고 그리고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도시되는 상세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당히, 다양한 수정들은 청구항들의 동등물의 범주 및 범위 내에 그리고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상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를 위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도어(102)(이의 전방 패널만이 도시됨)를 가지는 도어 조립체를 래치해제하거나 래치하기 위해 의도된다. 도어(102)는, 예를 들어, 차량용 글러브 박스 도어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어(102)는 차량의 대쉬보드(dashboard)에 형성된 개구와 같은, 개구 위에 장착된다. 도어(102)는 개구에 힌지결합되고, 그리고,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폐쇄 포지션과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어(102)의 폐쇄 포지션에서, 도어(102)의 전방 면(미도시)은 대쉬보드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도어(102)의 후방 면(106)은 전방 면의 반대편에 있다. 도어(102)의 개방 포지션에서, 도어(102)는 대쉬보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스트라이커들(strikers)(미도시)은 대쉬보드의 개구의 주변에 제공된다. 도어(102)는 일체형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함께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102)는 일반적으로 형상이 직사각형이고, 그리고 전방 면 및 후방 면(106)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2개의 돌출부들(108 및 110)은 도어(102)의 후방 면(106)으로부터 후방 대면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돌출부들(108 및 110) 각각은 이를 통해 연장하는 애퍼처(112 및 114)를 각각 포함한다. 애퍼처들(112 및 114)의 각각의 내부 대면 측면은 내부에 위치결정되는 폴들(120 및 122)과 같은 폴의 횡방향 모션을 수용할 수 있는 탄성 탭들(미도시)을 가지는 클립(104)(도 2b)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도어(102)를 폐쇄 포지션에 해제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도어(102)에 장착된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도어(102)의 오목한 구역(미도시)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결정되어,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사용자 작동식 패들(116)(도 8a 내지 도 8g)과 같은 액추에이터의 전방 면(134)이 도어(102)의 전방 면에 대해 동일 평면 상에 있거나 그에 대해 약간 오목하다. 대안적으로, 패들(116)은 설계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약간 돌출할 수 있거나, 상당히 돌출할 수 있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하우징 상의 스레드형 패스너 및 클립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도어(102)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이 변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복수의 클립들, 복수의 패스너들, 스냅, 클램프, 용접부, 접착제, 바브(barb), 슬롯(slot), 프롱(prong), 또는 표면, 예를 들어, 또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를 도어(102)에 장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글러브 박스를 위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주요 구성요소들은 액추에이터(116), 회전자(118), 및 폴들(120 및 122)과 같은 폴이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폴들(120 및 122)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복수의 폴들(120 및 122)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폴들(120 및 122)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작동식 패들(116)(도 3d)과 같은 액추에이터는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해 움직임을 위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패들(116)은 선회 축을 중심으로 도어(102)의 전방 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자(118)는 패들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해 회전을 위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도 7h). 특히, 회전자(118)는 동심 축을 중심으로 도어(102)의 후방 면(10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폴들(120 및 122)은 회전자(118)에 커플링되도록 각각 구성된다. 폴들(120 및 122) 각각은 대향하는 단부들을 가지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다(도 7h). 특히, 도 5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폴(120)은 방향(120d)으로 회전자 축(도 7h)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하며, 그리고 폴(122)은 방향(122d)으로 회전자 축에 대해 경사진 폴 축을 따라 이동한다. 더욱이, 폴들(120 및 122)은 래치된 포지션과 래치해제된 포지션 사이에서 폴 축(도 5d)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폴들(120 및 122)의 대향 단부들의 일 단부는 차량에서 개개의 개구들(176a 및 176b)(또는 집합적으로 개구들(176)로 지칭됨)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부분, 예컨대 자유 단부들(120a 및 122a) 각각을 포함하며, 이 차량에,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된다. 폴들(120 및 122)의 대향 단부들의 다른 단부는 폴들(120 및 122)을 회전자(118)에 각각 커플링시키기 위해 위치결정되는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과 같은 커플링 부분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그리고 도면들에서 명시적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베이스 하우징 및 잠금 배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은 도어(102)의 전방 면에 장착가능하고, 그리고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작동 동안 제 위치에 고정된 채(즉,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잠금 배럴(제공된다면)은 베이스 하우징에 장착가능하고 그리고 패들(116)의 개구(136)와 정렬된다. 잠금 배럴은 차량 글러브 박스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잠금 배럴은 선택적인 구성요소이고, 그리고 생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면들에서 명시적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범퍼들 또는 연질 재료로 형성되는 탄성중합체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범퍼들은, 차량의 작동 및 진동 응답들에 관한 조건들 동안, 소음, 예컨대, BSR(버즈, 쉐이크(shake), 래틀(rattle))을 완화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베이스 하우징과 패들(116)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범퍼들은 패들(116)을 이동시킬 때 소리 발생을 제한하기 위해 베이스 하우징과 패들(116)의 후방-대면 면(164)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래치(100)는 패들(116)을 홈 포지션(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됨)으로 유지하기 위해 패들(116)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들,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50)(도 9)과 같은 제2 비틀림 스프링은, 회전자(118)를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래치된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포지션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회전자(118)에 연결될 수 있다(즉, 여기서 폴들(120 및 122)은 스트라이커들과 맞물림됨).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개별 구성요소들은 이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작동식 패들(116), 회전자(118), 및 적어도 하나의 폴(120, 122)을 포함한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자(118) 및 2개의 폴들(120 및 122)을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102)의 후방 면(106)으로부터 돌출한다. 폴들(120 및 122) 각각은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는 차량에서 각각의 개구들(176a 및 176b)(또는 집합적으로 개구들(176)로 지칭됨)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예에서, 폴들(120 및 122) 각각은, 차량 개구 상의 스트라이커들에 해제가능하게 맞물림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폴들(120 및 122)이 스트라이커들과 맞물릴 때, 도어(102)는 폐쇄 상태 또는 포지션으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폴들(120 및 122)이 각각 래치된 포지션에 있을 때(도 5b), 폴들(120 및 122)은 스트라이커들과 맞물리며, 이에 의해 도어(102)를 폐쇄된 상태 또는 포지션으로 유지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폴들(120 및 122)이 각각 래치된 포지션에 있을 때, 폴들(120 및 122) 각각의 자유 단부들(120a 및 122a)과 같은 맞물림 부분과 이들의 각각의 스트라이커들 사이의 맞물림은, 도어(102)가 폐쇄 포지션으로부터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폴들(120 및 122)이 래치해제된 포지션에 있을 때(도 5c), 폴들(120 및 122)은 이들 각각의 스트라이커들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그리고 이들의 개개의 스트라이커들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폴들(120 및 122)은 스트라이커들로부터 충분히 맞물림해제되며 그리고 도어(102)는 폐쇄 상태 또는 포지션으로 유지되지 않거나, 도어(102)는 개방 상태 또는 포지션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맞물림 부분들(120a 및 122a)은 각각, 이들의 개개의 스트라이커들과 맞물리지 않아, 도어(102)는 폐쇄 상태 또는 포지션으로 유지되지 않거나, 도어(102)는 개방 상태 또는 포지션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l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각각의 폴(120 및 122)의 자유 단부들(120a 및 122a)의 반대편에는 각각의 폴(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120b 및 122b)이 있다.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 각각은 오목부, 예컨대 오목부(124a(도 6b) 및 124b(도 4a))와 같은 오목부를 각각 규정한다. 도 5a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폴(120)의 오목부(124a)는 폴 축에 대해 각지고(도 5d),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도 7h) 오목부 방향(120c)으로 개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122)의 오목부(124b)는 폴 축에 대해 각지고(도 5d),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도 7h) 오목부 방향(122c)으로 개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폴들(120 및 122) 각각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은 각각의 폴(120 및 122)을 회전자(118)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위치결정된다.
특히,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은,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하기에서 더 논의됨)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오목부 방향(도 5a)으로 오목부들(124a 및 124b)로부터 회전자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각각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저항하도록 의도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오목부들(124a 및 124b)을 규정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은,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 각각의 주변부 상에 규정되는 초승달 형상 오목부들(124a 및 124b)(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오목부(들)(124)로서 지칭됨)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오목부(124)는 비연속적인 주변부를 가지는 C-형상 클립에 의해 규정된다. 도 6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연속적인 주변부는 개구(128)를 규정하며, 이 개구를 통해, 멈춤쇠들(126a 및 126b)은 (커플링 부분(120b)을 갖는 멈춤쇠(126a) 및 커플링 부분(122b)을 갖는 멈춤쇠(126b)를 정합시키는 하나의 방법에 따라) C-형상 클립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스냅될 수 있다. 상이하게 말하면, 각각의 오목부(124a 및 124b)는 회전자(118)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에 해제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 멈춤쇠들(126a 및 126b)은 오목부들(124)로부터 탈착되지 않고 작동 동안 오목부들(124) 내에서 선회할 수 있다.
폴들(120 및 122)의 오목부(124)가 회전자(118)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디커플링 또는 분리에 저지하기 위해, 오목부(124)의 개개의 개구(128)의 크기는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크기 또는 직경보다 더 작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124)의 편향은, 설치 방향(174)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도 5b), 삽입력이 가해질 때 오목부(124) 내에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수용 또는 삽입을 허용한다. 오목부(124)의 개개의 개구(128)와 멈춤쇠들(126a 및 126b) 사이의 결과적인 간섭은, 오목부들(124a 및 124b) 각각으로부터의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지만, (예를 들어, 분해 또는 정비를 위해) 삽입력(174)과 반대의 분리력의 가함에 의한 의도된 분리를 허용한다.
도 6a 내지 도 6l이 초승달 형상 오목부(124a)를 가지는 것으로 커플링 부분(120b)을 예시하지만(그리고 커플링 부분(122b)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초승달 형상 오목부(124b)를 가질 수 있음),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이 적어도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크기 및 형상에 따른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본원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형상은 설계 또는 기능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형상은 래치(100)의 조립체에 관련된 설치 및 리테이닝 힘들들을 수용하거나 조정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형상은, 오목부들(124)의 초승달 형상의 곡선 또는 각도 부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예컨대,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l에 예시된 것으로부터 변경될 수 있다.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은 또한, 오목부들(124)의 초승달 형상의 일 측면이 리테이션(retention)을 나타내지 않는 반면에, 다른 측면이 이러한 리테이션을 제공하도록 형상 및 크기를 가지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오목부들(124)의 C 형상은, 오목부들(124)과 멈춤쇠(126a 및 126b)와 같은 래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접촉의 양 및 위치들을 변경시키거나 제어하기 위한 제한된 접촉 원호들(예를 들어, E 클립(Clip)과 유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된 또는 제어된 접촉 아크들은 래치(100)의 조립 및 설치 또는 작동 동안 감소된 접촉 효과 및/또는 응력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한된 구역들을 표시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 각각은 회전자(118)와의 접촉을 위해 위치결정되는 둥근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폴들(120 및 122)과 회전자(118)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의 영역을 감소시킨다. 심지어 추가적으로,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오목부(124)의 표면은,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오목부(124)와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의 영역을 감소시키도록 라운드된다(rounded).
추가적으로, 도 4c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은 테이퍼진 두께를 포함하여,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과 폴(118)의 리테이너(132)(하기에서 논의됨)의 접촉 표면(160) 사이의 거리는, 폴(120)의 래치된 포지션(도 5b)에서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과 리테이너(132)의 접촉 표면(160) 사이의 거리에 비해 폴(120)의 래치해제된 포지션(도 5c)에서 더 크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폴(120)의 테이퍼진 두께는 도 3c 및 도 4c의 도면을 비교할 때 보일 수 있으며, 이는,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 및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의 접촉 표면(160)의 거리를 나타내며, 이 거리는, 래치(100)가 래치해제된 그리고 최대 폴 이동 상태에 있을 때(도 4c), 폴(120)의 다른 배향으로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의 접촉 표면(160) 및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의 거리와 비교되는 바와 같이 래치(100)가 래치된 상태에 있을 때(도 3c), 폴(120)의 배향에서 보다 작다. 커플링 부분(120b)의 테이퍼진 두께는 커플링 부분(120b)의 일부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상승된 표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폴(120)의 테이퍼진 두께는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의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경사부(178)에 의해 표시된다.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부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g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부(178)는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의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부분(180a)으로부터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의 상대적으로 보다 얇은 부분(180b)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의 정도(도 6g)는 설계 및 기능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갭을 허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120)의 테이퍼진 두께는, 경사부(178)에 의해 규정된 것과 같은, 이동을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테이퍼의 정도(도 6g)는 래치(100)의 작동 동안 제어된 항력을 생성하고 그리고 모션의 감속을 유도함으로써 오목부들(124)과 개개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사이의 밀접 접촉 영역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폴(122)의 테이퍼진 두께가 폴(12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 크기, 설계, 및 기능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는 것이 본원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래치된 상태, 래치해제된 상태와, 래치해제된 최대 폴 이동 상태 사이의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움직임은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될 것이다.
특히, 폴들(120 및 122)의 테이퍼진 두께는 차량, 예컨대, 움직이는 차량에 관한 특정 조건들에서 래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모션에 의해 유발되거나 지시되는 바와 같이 소음 생성을 경감시키도록, 또는 높은 빈도의 차량 글러브 박스에 의해 유발되는 임의의 소음 생성, 예컨대,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를 래치해제하고 그리고 래치함을 통해 차량 글러브 박스를 개방하는 것 그리고 폐쇄하는 것 사이에서 반복된 움직임을 완화시키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폴들(120 및 122)의 테이퍼진 두께는, 래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진동하는 유도된 접촉 소음의 생성을 제한하기 위해 최소치를 향해 이동되거나 최소로 유지되는 구역을 생성하는 능력을 허용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은 또한,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들 또는 섹션들에 걸친 밀착 접촉의 배열을 허용하여, 이에 의해 이러한 구역에서 모든 상대적인 움직임을 제거한다(그리고 이 구역은 모션을 따라 임의의 지점 또는 지점들에 또는 요망된다면 전체 모션에 걸쳐 위치결정될 수 있음).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구역들 또는 섹션들에 걸친 이러한 밀접 접촉은 래치된 또는 래치해제된 포지션들 또는 상태들 사이의 폴들(120 및 122)의 모션을 감쇄하고 잠재적으로 반작용 및 움직임을 느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l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자(118)는 대체로 원형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멈춤쇠들(126a 및 126b)을 포함하며, 각각의 멈춤쇠(126a 및 126b)는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각각 연결된다.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은 회전자 축(도 7h)의 방향으로 그리고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들(124) 내로 연장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회전자(118)의 각각의 멈춤쇠(126a 및 126b)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터드이다(도 7h). 특히, 멈춤쇠들(126a 및 126b) 각각은 원통형 포스트일 수 있다.
회전자(118)는, 회전자 축의 방향(도 7h)으로 각각 그리고 커플링 부분들, 예컨대, 폴들(120 및 122)과 같은 복수의 폴들 중 개개의 하나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124) 내로 연장하는 복수의 멈춤쇠들, 예컨대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회전자(118)는 또한, 복수의 리테이너들, 예컨대 리테이너들(132a 및 132b)을 가질 수 있으며, 리테이너들 각각은 복수의 멈춤쇠들(126a 및 126) 중 개개의 멈춤쇠로부터 이격된다. 복수의 리테이너들(132a 및 132b) 각각은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도 7h).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회전자(118)의 멈춤쇠(126a)는 폴(120)의 오목부(124a) 내에 장착된다. 회전자(118)의 멈춤쇠(126b)는 폴(122)의 오목부(124b) 내에 장착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멈춤쇠들(126a 및 126b)은 개개의 오목부 방향들(120c 및 122c)을 따라 이들의 개개의 오목부들(124) 내로 삽입될 수 있다(도 5a). 이들의 개개의 오목부들(124)에서의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정합된 배향은, 멈춤쇠들(126a 및 126b)이 오목부 방향으로 이들의 오목부들(124)로부터 부주위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5a).
회전자(118)는 래치된 포지션과 래치해제된 포지션 사이에서 회전자 축(도 7h)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하다. 래치된 포지션(도 5b)에서, 회전자(118)의 멈춤쇠(126a)는 회전자(118)의 멈춤쇠(126b)에 대해 좌측 방향을 향해 배향된다. 폴들(120 및 122)이 폴 축(도 5d)을 따라 이들의 개개의 방향들(120d 및 122d)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자(118)는 래치해제된 포지션을 향해 이동한다. 래치해제된 포지션(도 5c)에서, 회전자(118)의 멈춤쇠(126b)는 회전자(118)의 멈춤쇠(126b)에 대해 우측 방향을 향해 배향된다.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자(118)의 멈춤쇠(126a)는 회전자(118)의 멈춤쇠(126b)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멈춤쇠(126a)는, 폴들(120 및 122)의 적어도 설계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멈춤쇠(126b)로부터 크기 및 형상에서 변할 수 있다. 폴들(120 및 122)과 회전자(118) 사이의 연결은 (고정되거나 해제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연결일 수 있고, 도시된 연결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폴들(120 및 122)과 회전자(118) 사이의 설치 방향 또는 연결은 설치 방향(174)(도 5b)으로부터 변할 수 있다. 이것은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의해 각각 규정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들(128) 또는 오목부들(124)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회전자(118)는, 멈춤쇠(126a 및 126b)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개의 리테이너(132a 및 132b)(일괄적으로 리테이너(들)(132)로 지칭됨)를 추가로 규정한다(도 7h). 특히,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는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된다. 특별히,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a)는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b)는 폴(122)의 커플링 부분(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도 7g 및 도 7l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도 7h)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각각으로부터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저지하도록(도 7h) 위치결정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는, 리테이너들(132a 및 132b)에 의해 각각 규정된 플랜지 또는 립(162)을 통해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결정된다. 립(162)은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도 7h), 이에 의해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도 7h). 립(162)은, 멈춤쇠들(126a 및 126b) 각각으로부터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리테이너(132)는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도록 위치결정되는 접촉 표면(160)을 포함한다. 예에서, 리테이너들(132a 및 132b) 각각의 접촉 표면(160)은, 회전자(118)가 회전자(118)의 래치된 포지션과 회전자(118)의 래치해제된 포지션 사이에서 회전자 축(도 7h)을 중심으로 이동될 때,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 및 폴(122)의 커플링 부분(122b)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접촉 표면(160)은,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도 7h) 그리고,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각각으로부터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구성되는 크기, 형상, 또는 일반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접촉 표면(160)은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일부분에 근접하고, 이의 일부분에 접촉하거나, 이의 일부분에 근접하게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들을 규정할 수 있다.
다양한 종래 기술의 래치 설계들은 (즉,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에서의 멈춤쇠 및 오목부들의 배열의 것과는 반대에 있는) 회전자에 의해 규정되는 오목부들에 커플링되는 하나 이상의 폴들 상에 멈춤쇠들 또는 포스트들을 포함한다. 멈춤쇠들(126a 및 126b)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자(118) 상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및 폴들(120 및 122) 상의 오목부들(124)을 위치결정시키는 것은, 특정 조건들에서의 설치된 부품들 또는 차량들을 위한 글러브 박스 래치들에 관련된 설치된 부품들을 포함하는 설치된 부품들의 적합하지 않은 부속장치들의 상대적인 모션에 의해 유발되는 BSR(buzz, shake, rattle) 효과들을 경감시키는 능력을 제공한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을 위해 BSR 효과들을 경감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이 요망가능하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용이한 조립을 제공하며, 이는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래치(100)의 멈춤쇠들 및 오목부들의 배열은 래치 조립체를 과다하게 구속할 수 있는 조건들을 회피하는 이점을 제공하는데, 왜냐하면 배열은 폴 축이 회전자 축에 대해 제한된 정도로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예시적인 액추에이터, 예컨대 패들(116)을 도시한다. 패들(116)은 벽 형태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전방 면(134)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잠금 배럴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136)는 면(134)에 규정될 수 있다. 슬롯들(140)로부터 가장 먼 전방 면(134)의 단부(138)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구성된다. 대향하는 측벽들(142 및 144)은 전방 면(134)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다. 측벽(142)은 2개의 슬롯들(140) 중 하나, 및 슬롯(140)에 인접한 위치에서 벽(142)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둥근 레그(146)를 포함한다. 둥근 레그(146)는 회전자(118)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2개의 포스트들(148) 중 하나는 측벽(142)의 저부 에지로부터 측벽(140)을 향해 안쪽으로 연장한다. 측벽(144)은 2개의 슬롯들(140)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한다. 2개의 포스트들(148) 중 다른 하나는 측벽(144)의 저부 에지로부터 측벽(142)을 향해 안쪽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포스트(148)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조립된 형태에서 하우징 내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예시적인 토션 스프링(150)을 묘사한다. 제2 비틀림 스프링(150)은, 회전자(118)를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래치된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포지션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회전자(118)에 연결된다(즉, 여기서 폴들(120 및 122)은 스트라이커들과 맞물림됨).
비틀림 스프링(150)은 2개의 자유 단부들(154 및 156)을 가지는 코일식 본체(152)를 포함한다. 자유 단부들(154 및 156)은 코일식 본체(152)의 중심 축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배향되는 별도의 축들을 따라 반대 방향들로 연장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조립된 형태는 회전자(118)의 전방 측면 상에 형성되는 환형 오목부에 장착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150)의 코일식 본체(152)를 포함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e,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래치된 상태, 래치해제된 상태, 및 래치해제된 상태 그리고 최대 폴 이동 상태로부터의 래치(100)의 움직임이 개시된다.
래치(100)의 래치된 상태(도 3a 내지 도 3e 및 도 5b)에서,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도어(102)는 폐쇄 포지션에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150)은, 회전자(118)를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래치된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포지션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회전자(118)에 연결될 수 있다(즉, 여기서 폴들(120 및 122)은 스트라이커들과 맞물림됨). 토션 스프링(150)은, 오목부들(124)을 가지는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과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회전자(118)가 반시계 방향, 예컨대 도 5c의 방향(168)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도 3a 내지 도 3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멈춤쇠들(126a 및 126b)은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개개의 오목부들(124)에 의해 수용된다. 오목부들(124)의 형상은, 오목부 방향으로 개개의 오목부들(124)로부터 적어도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저지함으로써,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이 적어도 멈춤쇠(126a 및 126b)를 각각 고정시키는 것을 허용한다(도 5a).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리테이너(132)는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도 7h)으로의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도 7h)으로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로부터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각각 저지하도록 위치결정된다.
이제 도 5c 및 도 8a 내지 도 8g를 참조하면, 래치(100)는 패들(116)과 같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통해 래치해제된 상태로 이동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사용자는 패들(116)에 커플링되는 캔틸레버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편향 수단의 편향 작동에 대해 패들(116)을 회전시킨다. 회전자(118)와 캔틸레버 스프링 사이의 접촉은, 회전자(118)가 래치된 포지션에 유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패들(116)을 홈 포지션으로 유지하기 위해 패들(116)에 연결되는, 비틀림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편향 수단의 편향 작동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패들(116)을 회전시킨다. 패들(116)의 홈 포지션에서, 패들(116)의 후방-대면 표면(164)은 도어(102)의 전방 면을 대면한다(그리고 전방 면과 평행함).
사용자가 스프링의 편향 작동에 대항하여 패들(116)을 회전시킬 때, 슬롯들(140)은 하우징(미도시)의 개개의 리브들 위에서 미끄러져, 패들(116)의 둥근 레그(146)는 회전자(118)의 베어링 표면(미도시)을 지탱하며, 이에 의해 도 5c의 화살표(168)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자(11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한다. 회전자(118)는,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이 리테이너(132)로부터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기 때문에, 반시계 방향으로 스프링(150)의 편향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상이하게 말하면, 리테이너(132)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포지션에 있지 않는다(도 7h). 그러나, 리테이너(132)는, 리테이너(132)가 회전자 축의 방향(도 7h)으로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로부터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각각 저지하는 것을 허용하는 포지션에 유지된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래치(100)의 래치해제된 최대 폴 진행 상태의 세부사항들이 예시된다. 이러한 상태는, 폴들(120 및 122)이 이들의 개개의 최대 거리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5c의 래치해제된 상태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특히, 폴들(120 및 122)은 최소 거리를 지나 변위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리테이너(132)는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포지션에 있지 않는다(도 7h). 폴들(120 및 122)의 테이퍼진 두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모션에 관련된 추가의 응력을 추가하지 않고, 이러한 최대 폴 이동을 허용한다. 래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한 이러한 응력의 감소 또는 수용은, 래치(100)가 높은 빈도 및 반복된 사용, 예컨대,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래칭해제하고 그리고 래칭하는 것을 통해 차량 글러브 박스의 개방 및 폐쇄를 견디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폴들(120 및 122)은 래치(100)의 보다 효율적인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최소 거리를 넘어서 변위되도록 구성된다(조립의 예시적인 방법이 하기에서 추가로 논의됨). 도어(102)의 내부 또는 라이너는 제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폴들(120 및 122)은 내부가 설치되기에 충분하게 차량 안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즉, 폴들(120 및 122)은 도어 내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폴들(120 및 122)은 최소 거리를 지나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그 후, 패들(116)을 통한 래치(100)의 사용자 작동은 폴들(120 및 122)을 이동시키지 않을 것이어서, 폴들(120 및 122)이 유지되거나, 도어(102)에 의해 방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를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가 개시된다. 래치(100)의 구성요소들은 전술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래치(100)는 복수의 폴들을, 예컨대 폴들(120 및 1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들(116)과 같은 액추에이터 및 회전자(118)와 같은 회전자가 커플링되는 도어(102)와 같은 도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회전자(118)는 복수의 멈춤쇠들, 예컨대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각각은, 복수의 폴들(120 및 122) 중 개개의 폴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회전자 축의 방향(도 7h)으로 그리고 개개의 오목부들(124) 내로 연장할 수 있다. 회전자(118)는 또한, 복수의 리테이너들(132a 및 13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들 각각은 복수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개개의 멈춤쇠로부터 이격된다. 복수의 리테이너들(132a 및 132b)은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도 7h).
다른 곳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래치들은 패들 작동식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전자(118)에 대한 연결의 설계는, 패들(116)과 같은 패들 형태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들은 임의의 커플링된 시스템(예컨대, 회전자, 스프링, 하우징 (베이스) 및 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작동은 폴들(120 및 122)과 같은 폴의 보다 많은 직접적인 움직임을 통과한다. 이는, 예를 들어, 폴들(120 및 122)을 푸시하고, 폴들(120 및 122)을 당기거나, 회전자(118)가 아닌 폴들(120 및 122) 상에서 작동하는 일부 다른 기구를 푸시하고 당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방법(200)은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방법(200)은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와 같은 래치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용이한 조립을 위해 바람직하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법(200)의 단계(202)는, 폴들(120 및 122)이 회전자 축(도 7h)에 대해 각지는 폴 축(도 5d)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회전자(118)에 대해 폴들(120 및 122)을 배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폴들(120 및 122)의 대향 단부들의 일 단부는, 차량의 각각의 개구들(176a 및 176b)(또는 총괄적으로 개구들(176)로 지칭됨)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자유 단부들(120a 및 122a)과 같은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이 차량에,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며, 그리고 폴들(120 및 122)의 대향 단부들의 다른 단부는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과 같은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며, 커플링 부분 각각은, 회전자(118)에 폴들(120 및 122) 각각을 커플링하기 위해 위치결정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120)은 도어(102) 상의 돌출부(108)의 애퍼처(112)를 통해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폴(122)은 돌출부(110)의 애퍼처(114)를 통해 위치결정된다.
단계(204)에서,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은, 폴 축(도 5d)에 대해 각지고 그리고 회전자 축(도 7h)에 대해 각지는 오목부 방향(도 5a)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오목부들(124a 및 124b)과 같은 오목부와 배향된다.
단계(206)에서, 회전자(118)의 리테이너들(132a 및 132b)과 같은 리테이너는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7h).
단계(208)에서,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및 126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같은 멈춤쇠들은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에 의해 규정된 오목부들(124) 내에 수용된다. 단차부(208)는 오목부 방향으로 오목부들(124)로부터의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또는 126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도 5a). 예에서, 회전자(118)의 멈춤쇠(126a 및 126b)들은 오목부들(124a 및 124b) 내로 각각 위치결정된다. 오목부들(124a 및 124b)은 폴(120)의 커플링 부분(120b) 및 폴(122)의 커플링 부분(122b)에 의해 각각 규정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멈춤쇠들(126a 및 126b)은 오목부 방향으로 이들의 개개의 오목부들(124) 내로 위치결정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도 5a). 이들의 개개의 오목부들(124)에서의 멈춤쇠들(126a 및 126b)의 정합된 배향은, 멈춤쇠들(126a 및 126b)이 오목부 방향으로 이들의 오목부들(124)로부터 부주위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5a).
단계(210)에서, 회전자(118)의 리테이너(132)는 회전자 축(도 7h)의 방향으로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그리고 회전자 축(도 7h)의 방향으로 회전자(118)의 멈춤쇠들(126a 또는 126b)로부터 폴들(120 및 122)의 커플링 부분들(120b 및 122b)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에 저지하도록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회전자 축(도 7h)의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자 축(도 7h)에 대해 각각 각지는, 개개의 오목부 방향들(120c 및 122c)로 회전자(118)로부터의 폴들(120 및 122)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본 방법(200)은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패들(116)과 같은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회전자(118)는 패들(116)에 추가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으며, 그리고 회전자(118)는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해 회전을 위해 장착될 수 있다(도 7h).
본 방법(200)은, 래치 조립체를 폐쇄된 또는 래치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스트라이커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폴들(120 및 122)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폴을 위치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200)은, 폴들(120 및 1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들이 회전자 축(도 7h)에 대해 각지는 폴 축들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러한 폴들(120 및 1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들과 같은 복수의 폴들을 회전자(118)에 대해 배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폴들(120 및 1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들은 폴 방향들(120d 및 122d)(도 5d) 각각에 평행한 폴 축들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100)를 조립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200)의 위의 설명이 임의의 단계 또는 단계들의 순서에 제한되지 않고, 그리고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설명되는 것으로부터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수의 변경들, 변형들 및 대체들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자에게 발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래치들은 임의의 격실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차량 글러브 박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기 때문에, 모든 이러한 변경들을 커버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20)

  1. 차량 글러브 박스(vehicle glove box)를 위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vehicle glove box latch)로서,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는,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actuator);
    상기 액추에이터에 커플링되고(coupled) 그리고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회전을 위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대향 단부들을 가지는 폴(pawl)을 포함하며, 상기 폴은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폴의 대향 단부들의 일 단부는 차량의 개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폴의 대향 단부들 중 다른 단부는, 상기 폴을 상기 회전자에 커플링하기 위해 위치결정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은, 상기 폴 축에 대해 각지고 그리고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오목부 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규정하며; 그리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된 오목부 내로 연장하는 멈춤쇠(detent)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는 상기 멈춤쇠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회전자 축에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테이너(retainer)를 가지며;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의 의도치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성형되며; 그리고
    상기 회전자의 리테이너는,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의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리고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로부터의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위치결정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는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터드(stud)인,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스터드는 원통형 포스트(cylindrical post)인,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리테이너는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립(lip)을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에 근접하게 또는 접촉하게 위치결정되는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래치된 포지션(latched position)과 래치해제된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은 테이퍼진 두께를 가져,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과 상기 리테이너의 접촉 표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폴의 상기 래치된 포지션에서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과 상기 리테이너의 접촉 표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상기 폴의 래치해제된 포지션에서 더 큰,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래치된 포지션과 상기 래치해제된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한,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의 리테이너의 접촉 표면은, 상기 회전자가 상기 래치된 포지션과 상기 래치해제된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이동될 때,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에 대해 이동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은 상기 회전자와의 접촉을 위해 위치결정되는 둥근 표면을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폴과 상기 회전자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의 영역을 감소시키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의 오목부의 표면은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의 오목부와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의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라운드되는(rounded),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12.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폴들을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복수의 폴들 중 개개의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오목부 내로 각각 연장하는 복수의 멈춤쇠들을 가지며, 상기 회전자는 또한, 상기 복수의 멈춤쇠들 중 개개의 멈춤쇠로부터 각각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리테이너들을 가지는,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
  14. 제1 항의 차량 글러브 박스 래치를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사용자 가동식 패들(user actuated paddle), 및 상기 패들 및 상기 회전자가 커플링되는 도어(door)를 더 포함하는,
    차량 글러브 박스.
  16.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폴이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폴을 회전자에 대해 배향하는 단계 ─ 상기 폴의 대향 단부들의 일 단부는 차량의 개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가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폴의 대향 단부들 중 다른 단부는, 상기 폴을 상기 회전자에 커플링하기 위해 위치결정되는 커플링 부분을 포함함 ─ ;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을 상기 폴 축에 대해 각지고 그리고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오목부 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로 배향하는 단계;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횡단인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의 리테이너를 연장시키는 단계;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상기 오목부에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를 수용하고 그리고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는 단계;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의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그리고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의 멈춤쇠로부터의 상기 폴의 커플링 부분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도록 상기 회전자의 리테이너를 위치결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 의해, 상기 회전자 축의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상기 오목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로부터의 상기 폴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움직임을 위한 사용자 작동식 패들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패들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자 축을 중심으로 상기 차량 글러브 박스에 대한 회전을 위해 상기 회전자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스트라이커(striker)와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폴을 위치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들이 상기 회전자 축에 대해 각지는 폴 축들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폴들을 상기 회전자에 대해 배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래치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247000888A 2021-06-11 2022-06-10 글러브 박스 래치를 위한 폴 커넥터 KR20240019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09690P 2021-06-11 2021-06-11
US63/209,690 2021-06-11
PCT/US2022/032953 WO2022261402A1 (en) 2021-06-11 2022-06-10 Pawl connector for glove box la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818A true KR20240019818A (ko) 2024-02-14

Family

ID=8236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888A KR20240019818A (ko) 2021-06-11 2022-06-10 글러브 박스 래치를 위한 폴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2329A1 (ko)
KR (1) KR20240019818A (ko)
CN (1) CN117836500A (ko)
BR (1) BR112023025510A2 (ko)
WO (1) WO20222614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51B1 (ko) * 2002-03-22 2005-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EP2090468B1 (en) * 2008-02-12 2010-08-25 Fiat Group Automobiles S.p.A. Glove box assembly for a dashboard of a motor vehicle
JP5227416B2 (ja) * 2008-10-01 2013-07-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JP6364124B2 (ja) * 2015-04-07 2018-07-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6588642B2 (ja) * 2016-07-08 2019-10-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の製造方法
CN109236070A (zh) * 2017-07-11 2019-01-18 东莞市祥昱实业有限公司 一种手套箱锁具
CN114856330A (zh) * 2018-04-03 2022-08-05 索斯科公司 车辆手套箱及车辆手套箱闩锁
CN110578432A (zh) * 2018-06-08 2019-12-1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手套箱锁、手套箱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36500A (zh) 2024-04-05
EP4352329A1 (en) 2024-04-17
BR112023025510A2 (pt) 2024-02-27
WO2022261402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765B2 (en) Appliance door hinge
US11814881B2 (en) Vehicle glove box latch
KR20080038346A (ko) 차량용 손잡이
WO2009123802A1 (en)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US20200386021A1 (en) Multi-point latching system
KR20240019818A (ko) 글러브 박스 래치를 위한 폴 커넥터
US20220341224A1 (en) Vehicle glove box latch
EP1149966B1 (en) Anti-rattle structure for door handle
JP2024520800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ラッチ用の爪コネクタ
US6786518B2 (en) Load floor latch
JPH08175272A (ja) 収納ボックスにおける蓋体のロック装置
JPS5834934Y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ロッキングノブの防振ガイド
CN214189510U (zh) 用于车辆的储物箱格总成
KR200206950Y1 (ko) 자동차의 후드용 래치
JP4316857B2 (ja) ラッチ機構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JP2007063904A (ja) ロック機構
KR20150050064A (ko) 차량용 시트의 잠금장치
KR101641917B1 (ko) 차량 시트용 무유격 셀프 로킹형 래치
JP2001207695A (ja)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CN220904753U (zh) 锁止弹片、滑轨组件、座椅和车辆
JP7313548B2 (ja) 車両用電動式ドアラッチ
JP416712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解除装置
JP4951778B2 (ja) 施錠機構
JP2591404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3955668B2 (ja) コネクタロック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