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354A -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354A
KR20240017354A KR1020237041269A KR20237041269A KR20240017354A KR 20240017354 A KR20240017354 A KR 20240017354A KR 1020237041269 A KR1020237041269 A KR 1020237041269A KR 20237041269 A KR20237041269 A KR 20237041269A KR 20240017354 A KR20240017354 A KR 20240017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resin
polyphenylene ether
mass
resin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다카노
Original Assignee
글로벌 폴리아세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폴리아세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벌 폴리아세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3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인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를 함유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20질량부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와, 1∼25질량부의 무기 충전재 (d)를 함유한다.

Description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내열성, 난연성, 전기 특성, 치수 안정성 등의 제(諸) 특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저비중, 내가수분해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수지이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는, 스티렌계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그 성형 가공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등을 함유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종래, 전기 부품, 전자 기기용 부품, 차량용 부품 등의 각종 용도의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에는,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세트 전지 등을 구비한 전지 유닛을 보호하는 보호 박스체용의 재료로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에는, 전지 유닛의 보호 박스체로서 필요한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 외에, 높은 내트래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높은 내트래킹성을 가지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와, 특정한 구조를 가지는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및 당해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의 변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9-137742호 공보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서는, 높은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는, 유리 섬유 등의 충전재를 첨가함으로써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예시되는 종래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에서는, 유리 섬유 등의 충전재를 첨가한 경우, 기계적 강도는 강화되지만, 내트래킹성이 대폭 저하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에서는, 전지 유닛의 보호 박스체 등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내트래킹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내트래킹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성분, 또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성분에 대하여, 무기 충전재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를 특정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내트래킹성의 양립이 가능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를 함유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20질량부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와, 1∼25질량부의 무기 충전재 (d)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대한 질량비는,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JIS K721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온도 230℃ 및 하중 2.16kg의 측정 조건에 있어서, 3∼4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5∼35질량부의 난연제 (e)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 (e)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0질량부의 난연 조제 (f)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연 조제 (f)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금속 수산화물, 질소 함유 화합물, 무기산 금속 화합물, 층상 복수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연 조제 (f)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 (d)는, 유리 섬유, 마이카, 탈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55∼100질량%이고, 상기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0∼4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이 90∼100질량%, 상기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이 0∼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1∼20질량부의 인계 안정제 (g)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계 안정제 (g)는,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및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0질량부의 흑색 안료 (h)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IEC60112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CTI값은 400V 이상이고, ISO52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는 6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성형품은, 상기의 발명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성형품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전지 유닛 박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내트래킹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라는 표기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을 경우,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이하, PPE계 수지 조성물 (Z)라고 함)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함유하거나, 또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를 함유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20질량부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와, 1∼25질량부의 무기 충전재 (d)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이하,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구성하는 각 성분, PPE계 수지 조성물 (Z)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구성하는 일 성분인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는, 적어도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함유하는 수지이다.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로서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만을 함유하는 것,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를 함유하는 것(즉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이하, 변성 PPE계 수지라고 함)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추가로 스티렌계 수지 (b)를 함유한다. 당해 변성 PPE계 수지는, 필요에 따라, 이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및 스티렌계 수지 (b) 이외에 다른 수지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추가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및 스티렌계 수지 (b) 이외의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주성분이란, 대상으로 하는 성분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다. 즉,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50질량%를 상회한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이용되는 수지 성분이고,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가 주성분으로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는, 하기의 일반식 (1)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주쇄에 가지는 중합체이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는,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공중합체여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일반식 (1)에 있어서, 2개의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제1급 알킬기, 제2급 알킬기, 아릴기, 아미노알킬기, 할로알킬기, 탄화수소옥시기, 또는 할로탄화수소옥시기를 나타낸다. 단, 이러한 2개의 Ra가 함께 수소 원자가 되는 경우는 없다. 2개의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제1급 알킬기, 제2급 알킬기, 아릴기, 할로알킬기, 탄화수소옥시기, 또는 할로탄화수소옥시기를 나타낸다.
Ra 및 Rb로서는, 수소 원자, 제1급 알킬기, 제2급 알킬기, 또는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제1급 알킬기의 적합한 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아밀기, 이소아밀기, 2-메틸부틸기, 2,3-디메틸부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또는 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제2급 알킬기의 적합한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또는 1-에틸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Ra는, 탄소수가 1∼4의 제1급 알킬기, 탄소수가 1∼4의 제2급 알킬기, 또는 페닐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b는, 수소 원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단독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2,6-디알킬페닐렌에테르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2,6-디알킬페닐렌에테르의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2,6-디알킬페놀/2,3,6-트리알킬페놀 공중합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중합시킨 그래프트 공중합체, 2,6-디메틸페놀/2,3,6-트리메틸페놀 공중합체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중합시킨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2,6-디알킬페놀/2,3,6-트리알킬페놀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2,6-디메틸페놀/2,3,6-트리메틸페놀 공중합체, 2,6-디메틸페놀/2,3,6-트리에틸페놀 공중합체, 2,6-디에틸페놀/2,3,6-트리메틸페놀 공중합체, 2,6-디프로필페놀/2,3,6-트리메틸페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로서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2,6-디메틸페놀/2,3,6-트리메틸페놀 랜덤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344065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말단기 수와 구리 함유율이 규정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분자량은, 클로로포름을 용매로 하여 온도 30℃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로부터 환산하여 얻어지는 점도 평균 분자량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점도가 0.2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dl/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상기 고유 점도가 0.2dl/g 이상인 경우의 것으로 함으로써,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고유 점도는 0.8d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dl/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상기 고유 점도가 0.8dl/g 이하인 경우의 것으로 함으로써,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유동성이 향상하고, 이 결과,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성형 가공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고유 점도가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를 병용함으로써, 상기 고유 점도가 0.2∼0.8dl/g의 범위 내인 경우의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는, 2,6-디메틸페놀 등의 모노머를 아민구리 촉매의 존재 하, 산화 중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반응 조건을 선택함으로써, 고유 점도를 원하는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해 고유 점도의 제어는, 중합 온도, 중합 시간, 촉매량 등의 조건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로서는, 1종류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스티렌계 수지 (b)]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렌계 수지 (b)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티렌계 수지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이용되는 수지 성분이고,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일 성분으로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된다. 이 경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는, 변성 PPE계 수지이다.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b)로서는, 스티렌계 단량체의 중합체, 스티렌계 단량체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및 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수지 (b)로서, 폴리스티렌(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고무·스티렌 공중합체(A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스티렌 공중합체(AES 수지), 스티렌·IPN형 고무 공중합체 등의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 (b)는,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등과 같이 입체 규칙성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스티렌계 수지 (b)로서는, 폴리스티렌,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수지 (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면, 50,000 이상이고, 10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 (b)의 Mw의 상한은, 예를 들면, 500,000 이하이고, 4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 (b)의 Mw는, 예를 들면,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 (b)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계 수지 (b)는, 유화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또는 괴상(塊狀) 중합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 (b)로서는, 1종류의 스티렌계 수지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스티렌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스티렌계 수지 (b)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중에, 이 주성분인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보다 적은 함유 비율로 포함된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열성 향상(양호한 하중 변형 온도)의 관점에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55질량% 이상이고,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4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 및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65질량% 이상이고,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3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PPE계 수지 조성물 (Z)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의 박육화(薄肉化) 및 높은 난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당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80질량% 이상이고, 당해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당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이 85질량% 이상이고, 당해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이 1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당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이 90질량% 이상이고, 당해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이 10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100질량% 이하여도 되고,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열성은, 예를 들면, JIS K7191-2 또는 ISO75-2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하중 변형 온도에 의해 나타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하중 변형 온도는,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에 의해, 소정값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하중 변형 온도는, 1.80MPa의 하중이 가해진 측정 조건 하에서,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수지 성분]
다음에,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에 함유되는 수지 성분 중,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및 스티렌계 수지 (b) 이외인 다른 수지 성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 및 내트래킹성 등의 특성의 향상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및 스티렌계 수지 (b) 이외에 다른 수지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른 수지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 액정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코폴리머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는, 상기 다른 수지 성분으로서,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해도 되며, 이들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2종류 이상 조합한 것을 함유해도 된다. 또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상기 다른 수지 성분의 함유 비율은,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5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구성하는 일 성분인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는, 프로필렌을 단독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결정성 수지이고,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의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된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JIS K7112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약 0.9g/㎤ 정도이다.
여기서, 프로필렌이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의 결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방향족 카르본산의 금속염 또는 탈크 등의 핵제를 배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핵제를 배합한 경우, 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내트래킹성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는, 핵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이라고 적절히 칭함)는, JIS K721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온도 230℃ 및 하중 2.16kg의 측정 조건에 있어서, 0.5∼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2.0∼5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40g/10분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3.0∼30g/10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상기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MFR이 0.5g/10분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를 함유하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가공성(성형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상기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MFR이 3.0g/10분 미만인 경우, 당해 MFR이 3.0g/10분 이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의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의 향상 효과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당해 MFR은, 3.0g/10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상기 측정 조건에 있어서의 MFR이 100g/10분을 넘는 경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를 함유하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당해 MFR은, 40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로서, 1종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를 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질량부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6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9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17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은, 절연물의 트래킹이 일어나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표인 비교 트래킹 지수(이하, CTI값이라고 함)에 의해 나타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CTI값은, IEC60112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에 의해, 소정값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CTI값은, 400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V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25V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550V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이 2질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의한 내트래킹성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즉,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CTI값은, 목표로 하는 값으로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이 20질량부를 넘는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한다. 게다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가 연소되기 쉬운 수지인 점에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도 손상된다.
[무기 충전재 (d)]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무기 충전재 (d)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기 충전재 (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구성하는 일 성분이고,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된다.
이와 같은 무기 충전재 (d)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유리 플레이크, 유리 비즈, 밀드 파이버, 알루미나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산화티탄, 질화붕소, 티탄산칼 위스커, 실리카, 마이카, 탈크, 월라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첨가량에 대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 효과가 높은 점에서, 무기 충전재 (d)는, 유리 섬유, 마이카, 탈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섬유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충전재 (d)의 형상 등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무기 충전재 (d)로서는, 1종류의 무기 충전재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무기 충전재를 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무기 충전재 (d)로서 적합하게 이용되는 유리 섬유는, 평균 직경이 20㎛ 이하인 것이다. 또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물성 밸런스(내열 강성(剛性), 충격 강도)를 한층 더 높인다는 관점, 및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성형 휨을 한층 더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 당해 유리 섬유는, 평균 직경이 1∼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 (d)로서의 유리 섬유는, 그 길이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섬유 타입(로빙) 또는 단섬유 타입(절단 스트랜드)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유리 섬유의 집속 개수는, 100∼5000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련 후의 PPE계 수지 조성물 (Z) 중에 포함되는 유리 섬유의 평균 길이가 0.1㎜ 이상이면, 무기 충전재 (d)는, 이른바 밀드 파이버 또는 유리 파우더라고 칭해지는 스트랜드의 분쇄품이어도 되고, 연속 단섬유계의 슬라이버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무기 충전재 (d)로서의 유리 섬유는, 그 원료 유리의 조성이 무알칼리인 것이어도 된다. 당해 유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E유리, C유리, S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무기 충전재 (d)로서는, E유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충전재 (d)로서는, 수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커플링제 등의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가 실시된 무기 충전제 (d)를 이용한 경우, 내구성, 내습열성, 내가수분해성, 내히트쇼크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표면 처리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미노실란계, 에폭시실란계, 알릴실란계, 비닐실란계나 티타네이트계 등의 여러 가지의 커플링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아미노실란계, 에폭시실란계, 비닐실란계의 표면 처리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실란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무기 충전재 (d)로서는, 상기 표면 처리제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지방산 아미드 화합물, 실리콘 오일 등의 윤활제, 제4급 암모늄염 등의 대전 방지제,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피막 형성능을 가지는 수지, 피막 형성능을 가지는 수지와 열 안정제, 난연제 등의 혼합물로 표면 처리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 (d)를 2종 이상 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당해 배합한 무기 충전재 (d)의 100질량% 중, 유리 섬유의 함유 비율은, 2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유리 섬유를 무기 충전재 (d)의 일 성분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이고, 3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질량부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5질량부 이하이고, 23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무기 충전재 (d)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치수 정밀도의 향상 및 다른 재료(금속재 등)와의 열팽창 계수 차이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 (d)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대한 질량비((d)/(c))의 하한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7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당해 질량비((d)/(c))의 상한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2질량부 이하인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은, 2∼18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4∼16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15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2질량부를 넘는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은, 7∼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8∼19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18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는, 예를 들면, 인장 강도에 의해 나타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인장 강도는, ISO52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며,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함유에 의해, 소정값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인장 강도는, 59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1질량부 미만인 경우, 무기 충전재 (d)에 의한 기계적 강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즉,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인장 강도는, 목표로 하는 값으로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25질량부를 넘는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이 현저하게 악화한다. 이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내트래킹성으로서, 예를 들면 400V 이상의 CTI값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난연제 (e)]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적용되는 난연제 (e)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에 더하여, 추가로, 난연제 (e)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난연제 (e)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난연성을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부여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난연제 (e)의 함유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보다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는 것이 된다.
난연제 (e)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의 상성(相性)이 좋은 인계 난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 난연제 중에서도, 난연제 (e)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난연제 (e)로서는, 1종류의 난연제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난연제를 병용해도 된다.
특히, 난연제 (e)로서 인계 난연제를 이용하는 경우, 당해 인계 난연제는, 예를 들면, 하기의 일반식 (2)로 나타나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일반식 (2)에 있어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릴기를 나타낸다. 당해 아릴기는,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치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X는, 2가의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당해 2가의 방향족기는, 그 밖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n은,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R1, R2, R3, R4의 각각에 의해 나타나는 아릴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X에 의해 나타나는 2가의 방향족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또는 비스페놀로부터 유도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R1, R2, R3, R4 및 X의 각각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정수 n이 0인 경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는, 인산에스테르이다. 정수 n이 1∼5 중 어느 것인 경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는, 축합 인산에스테르이다. 당해 축합 인산에스테르는,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A비스포스페이트, 히드로퀴논비스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비스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치환체, 축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판의 축합 인산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다이하치화학공업사제의 「CR733S」(레조르시놀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CR741」(비스페놀A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PX-200」(레조르시놀비스(디크실레닐포스페이트)), ADEKA사제의 「FP500」(레조르시놀비스(디크실레닐포스페이트)) 등이며,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난연제 (e)를 함유하는 경우, 이 난연제 (e)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질량부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난연제 (e)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3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7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5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난연제 (e)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내트래킹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를 함유한 경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연소 용이성에 기인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난연제 (e)는, 상기의 함유량으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기인하는 난연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은, 예를 들면, UL94 규격에 준거한 연소성 시험(이하, UL94V 시험이라고 함)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연소 레벨(V-0, V-1, V-2 등의 그레이드)에 의해 나타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은, 상기 난연제 (e)의 함유에 의해, UL94V 시험에 기초한 연소 레벨 중 어느 것(예를 들면 V-1 이상)을 만족할 정도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난연제 (e)의 함유량이 5질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제 (e)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되어도 당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난연제 (e)의 함유량이 35질량부를 넘는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2질량부 이상인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상기 난연제 (e)의 함유량은, 15∼35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8∼3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9∼27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난연 조제 (f)]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적용되는 난연 조제 (f)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 등에 더하여, 추가로, 난연 조제 (f)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난연 조제 (f)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의 부여 및 내트래킹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배합되는 성분이다.
이와 같은 난연 조제 (f)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예를 들면,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 인산수소칼슘 등의 인산(수소)염 등),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지르코늄, 알루미나수화물(베마이트) 등), 무기산 금속 화합물(예를 들면, (함수)붕산아연, (함수)붕산칼슘, (함수)붕산알루미늄 등의 (함수)붕산 금속염, (함수)주석산아연 등의 (함수)주석산 금속염 등), 질소 함유 화합물(예를 들면,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멜라민; 구아나민; 멜람, 멜렘 등의 멜라민 축합물 등),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의 염, 상기 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의 유기산 또는 무기산염(구체적으로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등의 시아누르산염, 폴리인산멜라민 등의 인산염) 등), 층상 복수산화물(하이드로탈사이트 등), 황산 금속염(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등), 금속 황화물(황화아연, 황화몰리브덴, 황화텅스텐 등) 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난연 조제 (f)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금속 수산화물, 질소 함유 화합물, 무기산 금속 화합물, 층상 복수산화물이다. 즉, 난연 조제 (f)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금속 수산화물, 질소 함유 화합물, 무기산 금속 화합물, 층상 복수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 조제 (f)로서 보다 바람직한 것은, 알칼리 토류 금속염(예를 들면 탄산칼슘)이다. 이들 난연 조제 (f)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연 조제 (f)는,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난연 조제 (f)에 실시되는 표면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지방산, 수지산, 규산, 인산, 실란 커플링제, 알킬아릴술폰산 또는 그 염 등에 의한 표면 처리 등이다. 이 지방산으로서는, 탄소수 6∼3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2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산성과 제조 시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지방산에 의해 표면 처리된 난연 조제 (f)가 바람직하다. 난연 조제 (f)로서, 지방산으로 표면 처리된 탄산칼슘을 이용한 경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에 난연 조제 (f)가 보다 균일 분산되고, 이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 및 난연성이 한층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난연 조제 (f)를 함유하는 경우, 이 난연 조제 (f)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난연 조제 (f)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난연 조제 (f)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이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난연성을 부여함과 함께, 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난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난연제 (e)를 함유한 경우, 난연제 (e)가 단락의 원인이 되는 탄화층(차르)의 형성을 촉진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난연 조제 (f)는, 상기의 함유량으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됨으로써, 난연제 (e)에 기인하는 내트래킹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을 개선할(CTI값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난연 조제 (f)를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난연 조제 (f)의 탈수 또는 분해에 의한 흡열 희석 작용에 의해, 탄화 성분의 발생 억제 및, 휘산을 촉진시킴으로써 내트래킹성의 향상도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난연 조제 (f)는, 난연제 (e)에 의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의 부여를 지원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난연제 (e)와 협동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을 향상시킨다.
난연 조제 (f)의 함유량이 0.5질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 조제 (f)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되어도 당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을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고, 나아가, 당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도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난연 조제 (f)(예를 들면 알칼리 토류 금속염)의 함유량이 50질량부를 넘는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강성이나 내충격성 등의 기계 특성 및 내열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2질량부 이하인 경우, 상기 난연 조제 (f)의 함유량은, 0.5∼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4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25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함유량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12질량부를 넘는 경우, 상기 난연 조제 (f)의 함유량은, 3∼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4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30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 내의 함유량의 난연 조제 (f)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난연 조제 (f)의 첨가에 의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 및 난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열성의 저하, 기계 특성의 저하, 유동성의 저하라는 요망되지 않은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PPE계 수지 조성물 (Z) 중에 포함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와 무기 충전제 (d)의 합계의 함유량은,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100질량%에 대하여, 9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7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99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합계의 함유량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내트래킹성과 기계적 강도가 양호한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얻을 수 있다.
또한,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난연제 (e) 및 난연 조제 (f)를 더 함유하는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 중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와 무기 충전제 (d)와 난연제 (e)와 난연 조제 (f)의 합계의 함유량은,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100질량%에 대하여, 9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7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8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99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합계의 함유량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하는 것에 의해, 내트래킹성과 기계적 강도가 양호한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얻을 수 있다.
[인계 안정제 (g)]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적용되는 인계 안정제 (g)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 등에 더하여, 추가로, 인계 안정제 (g)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인계 안정제 (g)는,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제조 및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용융 혼련 시나 사용 시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하여,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함유되는 성분이다.
인계 안정제 (g)로서는, 예를 들면,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인계 안정제 (g)로서,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인계 안정제 (g)는,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및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파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1,1,3-트리스(2-메틸-4-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5-t-부틸-페닐)부탄, 트리스(믹스드 모노 및 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닐-디알킬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가 바람직하다.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5-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3,4-트리메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3-디메틸-5-에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6-디-t-부틸-5-에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3,4-트리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테트라키스(2,4,6-트리-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인계 안정제 (g)를 함유하는 경우, 이 인계 안정제 (g)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질량부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인계 안정제 (f)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인계 안정제 (g)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제조 및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용융 혼련 시나 사용 시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인계 안정제 (g)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 중의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90∼100질량%이고,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0∼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흑색 안료 (h)]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적용되는 흑색 안료 (h)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 등에 더하여, 추가로, 조색을 목적으로 하여, 흑색 안료 (h)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흑색 안료 (h)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카본 나노 튜브, 또는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 마스터배치 등을 들 수 있다.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흑색 안료 (h)를 함유하는 경우, 흑색 안료 (h)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흑색 안료 (h)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조색이 가능하면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흑색 안료 (h)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트래킹성을 손상하지 않고 조색할 수 있다.
[백색 안료 (i)]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적용되는 백색 안료 (i)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 등에 더하여, 추가로, 조색을 목적으로 하여, 백색 안료 (i)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백색 안료 (i)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황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백색 안료 (i)를 함유하는 경우, 백색 안료 (i)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7.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백색 안료 (i)의 함유량의 하한값은,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조색이 가능하면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의 함유량의 백색 안료 (i)가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를 손상하지 않고 조색할 수 있다.
[첨가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적용되는 첨가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 등의 성분 이외에,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이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래킹 방지제, 인계 안정제 (g) 이외의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후성 개량제, 발포제, 활제(滑劑), 가소제, 유동성 개량제, 분산제, 도전제, 대전 방지제, 흑색 안료 (h) 또는 백색 안료 (i) 이외의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중, 인계 안정제 (g) 이외의 열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페놀계 화합물, 유황계 화합물,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당해 열 안정제로서,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힌더드페놀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6-디-t-부틸-4-메틸페놀,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르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n-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6-디-t-부틸-4-메틸페놀,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이 바람직하다.
유황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디도데실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테트라데실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옥타데실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테트라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트리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 티오비스(N-페닐-β-나프틸아민),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파이드, 니켈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니켈이소프로필크산테이트,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티오에테르 구조를 가지는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는, 산화된 물질로부터 산소를 받아서 환원하기 때문에, 상기 열 안정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황계 화합물의 분자량의 하한은, 통상, 2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이다. 상기 유황계 화합물의 분자량의 상한은, 통상, 3000 이하이다.
산화아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평균 입자경이 0.02∼1㎛인 것이 바람직하고, 평균 입자경이 0.08∼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가 상기 열 안정제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열 안정제의 함유량은,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7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2∼0.5질량부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열 안정제의 함유량의 하한이 0.001질량부 이상인 것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열 안정성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안정제의 함유량의 상한이 1질량부 이하인 것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성형할 때의 금형의 오염 발생이나,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기와 같은 첨가제 중, 1종류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배합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함유한 각 첨가제의 기능을 각각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내후성 개량제 및 트래킹 방지제를 배합한 경우,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내후성이나 내트래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제조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당해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무기 충전재 (d) 등,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각종 성분을 혼련기에 의해 용융 혼련하고, 그 후, 냉각 고화(固化)하는 용융 혼련 방법이나, 적당한 용매에 상기 각종 성분을 첨가하여, 용해되는 성분끼리 또는 용해되는 성분과 불용해 성분을 현탁 상태로 섞는 용액 혼합법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이용되는 혼련기로서는, 예를 들면, 단축 혼련 압출기, 다축 혼련 압출기, 반바리 믹서, 롤, 브라벤더플라스토그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공업적 비용의 관점에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용융 혼련법이 바람직하다. 당해 용융 혼련법에 있어서, 혼련 온도 및 혼련 시간은, 요망되는 PPE계 수지 조성물 (Z)나 혼련기의 종류 등의 조건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련 온도는, 200∼3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20∼3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혼련 시간은, 2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온도가 350℃를 상회하는 경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에 포함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또는 스티렌계 수지 (b)의 열 열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결과,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성형품에 있어서, 물성의 저하 또는 외관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성형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은,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 (Z)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고,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펠릿타이즈하여 얻어지는 펠릿을 각종의 성형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성형품은, 상기 펠릿을 경유하지 않고, 혼련기로 용융 혼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를 직접, 성형함으로써 제조해도 된다.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성형 방법은,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사출 성형, 사출 압축 성형, 중공 성형, 압출 성형, 시트 성형, 열 성형, 회전 성형, 적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의 각종 성형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포함되는 각종 성분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특히, 당해 성형품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및 스티렌계 수지 (b) 등에 의한 우수한 내열성, 가공성을 보지(保持)하면서, 무기 충전재 (d) 등에 의한 높은 기계적 강도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등에 의한 높은 내트래킹성을 양립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당해 성형품은, 상기의 특성에 더하여, 난연제 (e) 등에 의한 높은 난연성이나, 저비중, 높은 치수 정밀도, 내가수분해성, 치수 안정성 및 기계 특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품은, 자동차 관련 부품, 전자 기기 관련 부품 및 전지 관련 부품 등의 각종 용도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이 적용되는 자동차 관련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용의 외장 부품, 외판 부품, 내장 부품, 언더 후드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용의 외장 부품 또는 외판 부품으로서, 범퍼, 펜더, 도어 패널, 몰, 엠블럼, 엔진 후드, 휠 커버, 루프, 스포일러, 엔진 커버 등의 부품을 들 수 있다. 자동차용의 내장 부품으로서, 인스트루멘트 패널, 콘솔 박스 트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 관련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컴퓨터용 부품, 컴퓨터 주변 기기용 부품, OA 기기용 부품, 텔레비전용 부품, 비디오데크용 부품, 각종 디스크 플레이어용 부품, 이러한 전자 기기용의 캐비닛이나 섀시, 냉장고용 부품, 공조 기기용 부품, 액정 프로젝터용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이 적용되는 전지 관련 부품으로서, 예를 들면, 전지 유닛 박스체, 이차 전지용의 전해조,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용의 연료 케이스, 연료 전지용의 배수관 등의 부품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은, 상술한 자동차 관련, 전자 기기 관련 및 전지 관련 이외의 분야(그 밖의 분야)의 부품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당해 그 밖의 분야의 부품으로서, 수냉용 탱크, 보일러용의 외장 케이스,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 주변 부품·부재 및 섀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성형품은, 수배관, 이음매 등의 성형체, 시트 또는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리튬 이온 전지용 세퍼레이터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포함하거나, 또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를 포함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를 함유하고, 이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를 2∼20질량부, 무기 충전재 (d)를 1∼25질량부 함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및 스티렌계 수지 (b)에 의한 우수한 내열성, 가공성(성형성) 및 기계 특성이 얻어짐과 함께, 무기 충전재 (d)에 의해 기계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나아가, 이 무기 충전재 (d)에 기인하여 저하하는 내트래킹성을,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의해 개선할 수 있다. 이 결과,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우수한 내열성을 보지하면서,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내트래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난연제 (e)를 5∼35질량부 함유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기인하여 저하하는 난연성을, 난연제 (e)에 의해 개선할 수 있다. 이 결과,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의한 내트래킹성의 개선 효과를 향수하면서, 우수한 난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추가로 난연 조제 (f)를 0.5∼50질량부 함유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무기 충전재 (d) 또는 난연제 (e)에 기인하여 저하하는 내트래킹성을,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및 난연 조제 (f)에 의해 개선할 수 있음과 함께, 난연 조제 (f)에 의해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PPE계 수지 조성물 (Z)는, 높은 내트래킹성을 보지하면서, 보다 우수한 난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성형 가공에 의해, 당해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효과를 향수하는 성형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품은, 소재인 PPE계 수지 조성물 (Z)의 구성 성분을 선택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 특성(내열성, 내트래킹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3, 비교예 1∼9)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성분]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 있어서의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PPE계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은, 표 1-1∼1-3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실시예 1∼43의 각각에서는, 표 1-1, 1-2에 나타내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 스티렌계 수지 (b),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무기 충전재 (d), 난연제 (e), 난연 조제 (f), 인계 안정제 (g), 그 밖의 안정제 (k), 흑색 안료 (h), 백색 안료 (i)가 필요에 따라 이용된다. 또한, 그 밖의 안정제 (k)는,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 (Z)에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의 일례이다.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표 1-1, 1-2에 나타내는 각 성분과, 표 1-3에 나타내는 폴리올레핀 (x)가 필요에 따라 이용된다. 폴리올레핀 (x)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이외의 폴리올레핀이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 대신에 이용된다.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로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성분 (a-1) 또는 성분 (a-2)가 이용된다. 스티렌계 수지 (b)로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성분 (b-1), 성분 (b-2) 또는 성분 (b-3)이 이용된다.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로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성분 (c-1), 성분 (c-2), 성분 (c-3), 성분 (c-4), 성분 (c-5) 또는 성분 (c-6)이 이용된다. 무기 충전재 (d)로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성분 (d-1), 성분 (d-2), 성분 (d-3) 또는 성분 (d-4)가 이용된다. 난연제 (e)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e-1) 또는 성분 (e-2)가 이용된다. 난연 조제 (f)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f-1), 성분 (f-2), 성분 (f-3), 성분 (f-4), 성분 (f-5) 또는 성분 (f-6)이 이용된다. 인계 안정제 (g)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g-1)이 이용된다. 그 밖의 안정제 (k)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k-1), 즉, 인계 안정제 (g) 이외의 열 안정제가 이용된다. 흑색 안료 (h)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h-1)이 이용된다. 백색 안료 (i)로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i-1) 또는 성분 (i-2)가 이용된다. 폴리올레핀 (x)로서는, 표 1-3에 나타내는 성분 (x-1), 성분 (x-2), 성분 (x-3), 성분 (x-4), 성분 (x-5) 또는 성분 (x-6)이 이용된다.
표 1-1, 1-3에 기재되는 MFR은, JIS K721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이다. 당해 MFR의 측정 조건 중, 온도는, 표 1-1, 1-3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또한, 하중은, 표 1-1, 1-3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2.16kg이다.
[표 1-1]
Figure pct00003
[표 1-2]
Figure pct00004
[표 1-3]
Figure pct00005
[PPE계 수지 조성물의 펠릿의 제조 방법]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기 표 1-1∼1-3에 나타낸 각 성분을, 후술의 표 2-1∼2-7에 나타낸 비율(질량부)로 혼합하고, 2축 압출기(시바우라기계사제:TEM18SS)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를 280℃로 하고, 스크루 회전수를 350rpm으로 하여, 상기 각 성분의 혼합물을 용융 혼련하였다. 이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그 후, 이 PPE계 수지 조성물의 스트랜드를 압출하고, 압출한 스트랜드를 커트(펠릿타이즈)함으로써, 이 PPE계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PPE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의 제조 방법]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80℃에서 2시간, 건조시킨 후, 사출 성형기(시바우라기계사제:EC75SX)에 공급하고, 이 사출 성형기에 의해, ISO15103에 준거한 성형 방법에 따라서, ISO3167 타입 A 시험편(이하, ISO 시험편이라고 함)을 사출 성형하였다. 이 사출 성형 시의 조건으로서, 실린더 온도는 280℃로 하고, 금형 온도는 70℃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건조 후의 펠릿을 사출 성형기(닛세이수지공업사제:NEX80-9E)에 공급하고, 이 사출 성형기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세로×가로×두께=60㎜×60㎜×3㎜의 성형품을 제작하였다. 이 사출 성형 시의 실린더 온도 및 금형 온도는, 상술한 ISO 시험편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내트래킹성의 평가]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에 관하여, 내트래킹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세로×가로×두께=60㎜×60㎜×3㎜의 성형품을 이용하여, IEC60112(사용 전해액:용액 A, 적하수:50방울)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당해 성형품의 트래킹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 전압, 즉 CTI값(단위:V)을 측정하였다.
[기계적 강도의 평가]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에 관하여, 기계적 강도의 평가를 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ISO 시험편을 이용하여, ISO527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온도 23℃ 및 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인장 강도(단위:MPa) 및 인장 파괴 변형(단위:%)을 측정하였다.
[내열성의 평가]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에 관하여, 내열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ISO 시험편의 평행부를 기계 가공하여, 세로×가로×두께=80㎜×10㎜×4㎜의 직사각형 형상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ISO75-2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하중 1.80MPa의 조건 하에서 하중 변형 온도(단위:℃)를 측정하였다.
[난연성의 평가]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서는, 상술한 PPE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에 관하여, 난연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PPE계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80℃에서 2시간, 건조시킨 후, 사출 성형기(시바우라기계사제:EC75SX)에 공급하고, 이 사출 성형기에 의해, PPE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세로×가로×두께=125㎜×13㎜×1.5㎜의 연소성 시험용 시험편을 성형하였다. 이 사출 성형 시의 조건으로서, 실린더 온도는 280℃로 하고, 금형 온도는 70℃로 하였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얻어진 연소성 시험용 시험편에 관하여, UL94 규격에 준거한 수직 연소성 시험(UL94V 시험:1.5mmt)을 행하였다.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 있어서의 난연성의 평가에서는, 이 수직 연소성 시험에 기초한 그레이드를 판정하고, 당해 그레이드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불량(NG)이라고 판정하였다. 또한, 당해 그레이드는, 양호한 것부터 차례로 V-0, V-1, V-2로 분류된다.
[평가 결과]
실시예 1∼43 및 비교예 1∼9의 각각에 있어서의 PPE계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유 비율(질량부) 및 상기 각 평가의 결과를, 표 2-1∼2-7에 나타낸다. 또한, 표 2-1∼2-7 중의 「DTUL」은, 상술한 하중 변형 온도를 의미한다.
실시예 1∼43에서는, 표 2-1∼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트래킹성, 기계적 강도, 난연성 및 내열성의 각 평가 결과가 얻어졌다. 상세하게는, 실시예 1∼43의 각각에 있어서의 내트래킹성의 평가 결과로서, 표 2-1∼2-6에 나타내는 CTI값이 얻어졌다. 실시예 1∼4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CTI값은 400V 이상이었다. 특히, 실시예 1∼8, 11∼43에서는, CTI값이 550V 이상이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2∼4, 7, 8, 11∼18, 21, 23∼27, 29∼43에서는, CTI값이 575V 이상이었다. 또한, 실시예 1∼43의 각각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의 평가 결과로서, 표 2-1∼2-6에 나타내는 인장 강도 및 인장 파괴 변형의 각 값이 얻어졌다. 특히, 인장 강도는, 실시예 1∼4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59MPa 이상이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1∼42에서는 60MPa 이상이었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4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CTI값≥400V라는 높은 내트래킹성과, 인장 강도≥59MPa라는 높은 기계적 강도를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난연성의 평가 결과에서는, 실시예 1∼43 중, PPE계 수지 조성물에 난연 조제 (f)(성분 (f-1)∼(f-6) 중 어느 것)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 6과, PPE계 수지 조성물에 난연제 (e)(성분 (e-1), (e-2) 중 어느 것)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실시예 28에 있어서만 「NG」였지만, 이 이외의 실시예 1∼5, 7∼27, 29∼43 모두에 있어서, UL94V 시험에 기초한 그레이드 「V-1」을 만족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8, 29, 30, 40∼42에 있어서는 그레이드 「V-0」을 만족하고 있었다. 또한, 실시예 1∼43의 각각에 있어서의 내열성의 평가 결과로서, 표 2-1∼2-6에 나타내는 DTUL이 얻어졌다. 실시예 1∼43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DTUL은 100℃ 이상으로서, 우수한 내열성을 보지할 수 있었다.
한편, 표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PPE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성분 (c-2))가 함유되어 있지만, 무기 충전재 (d)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수지 조성물이다. 이와 같은 비교예 1에서는, 내트래킹성을 나타내는 CTI값은 400V 이상이었지만,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인장 강도는 59MPa 미만이었다. 또한, 비교예 8의 PPE계 수지 조성물은, 20질량부를 넘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성분 (c-2))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이다. 이와 같은 비교예 8에서는, 내트래킹성을 나타내는 CTI값은 400V 이상이었지만,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인장 강도는 59MPa 미만이었다. 또한, 비교예 9의 PPE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함유량은 20질량부 이하이지만, 25질량부를 넘는 무기 충전재 (d)(성분 (d-1))가 함유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이다. 이와 같은 비교예 9에서는,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인장 강도는 59MPa 이상이었지만, 내트래킹성을 나타내는 CTI값은 400V 미만이었다.
또한, 표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7의 PPE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가 아니라 폴리올레핀 (x)(성분 (x-1)∼(x-6))가 함유된 수지 조성물이다. 이와 같은 비교예 2∼7에서는, 「CTI값이 400V 미만」 및 「인장 강도가 59MPa 미만」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여, CTI값≥400V라는 높은 내트래킹성과, 인장 강도≥59MPa라는 높은 기계적 강도가 양립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난연성의 평가 결과에 관하여, 비교예 1∼4, 6, 7은 UL94V 시험에 기초한 그레이드 「V-1」을 만족하고 있었지만, 비교예 5, 8, 9는 「NG」였다. 내열성의 평가 결과에 관하여, 비교예 2∼9에서는 DTUL이 100℃ 이상이었지만, 비교예 1에서는 DTUL이 100℃ 미만이었다.
[표 2-1]
Figure pct00006
[표 2-2]
Figure pct00007
[표 2-3]
Figure pct00008
[표 2-4]
Figure pct00009
[표 2-5]
Figure pct00010
[표 2-6]
Figure pct00011
[표 2-7]
Figure pct00012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각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밖에,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당업자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PPE계 수지 조성물은, 높은 기계적 강도와 높은 내트래킹성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전지 유닛 박스체 등의 각종의 성형품에 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를 함유하거나, 또는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와 스티렌계 수지 (b)를 함유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2∼20질량부의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와, 1∼25질량부의 무기 충전재 (d)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 (d)의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에 대한 질량비는,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c)의 JIS K721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온도 230℃ 및 하중 2.16kg의 측정 조건에 있어서, 3∼4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5∼35질량부의 난연제 (e)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 (e)는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0질량부의 난연 조제 (f)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조제 (f)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 금속 수산화물, 질소 함유 화합물, 무기산 금속 화합물, 층상 복수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조제 (f)는 탄산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 (d)는, 유리 섬유, 마이카, 탈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은 55∼100질량%이고, 상기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은 0∼4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 중,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a)의 함유 비율이 90∼100질량%, 상기 스티렌계 수지 (b)의 함유 비율이 0∼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1∼20질량부의 인계 안정제 (g)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안정제 (g)는,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및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 함유 수지 (A)의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0질량부의 흑색 안료 (h)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EC60112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CTI값은 400V 이상이고,
    ISO52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인장 강도는 6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전지 유닛 박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237041269A 2021-06-01 2022-04-27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240017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2559 2021-06-01
JP2021092559 2021-06-01
PCT/JP2022/019179 WO2022255015A1 (ja) 2021-06-01 2022-04-27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354A true KR20240017354A (ko) 2024-02-07

Family

ID=8432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269A KR20240017354A (ko) 2021-06-01 2022-04-27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9898A1 (ko)
JP (1) JPWO2022255015A1 (ko)
KR (1) KR20240017354A (ko)
CN (1) CN117642466A (ko)
WO (1) WO2022255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546A1 (ja) * 2022-09-01 2024-03-07 グローバルポリアセタール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7742A (ja) 2018-02-07 2019-08-22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3A (ja) * 1993-06-15 1995-01-06 Mitsubishi Chem Corp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組成物の製造法
JP3414540B2 (ja) * 1995-01-11 2003-06-09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H0982294A (ja) * 1995-09-14 1997-03-28 Asahi Chem Ind Co Ltd 電池ケース
JP2005344065A (ja) 2004-06-04 2005-12-1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US9558867B2 (en) * 2009-04-29 2017-01-31 Polyon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elastomers
JP5840482B2 (ja) * 2011-12-26 2016-01-0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絶縁樹脂成形体
CN102942738B (zh) * 2012-12-04 2015-08-05 上海日之升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高cti值、高gwit值环保阻燃玻纤增强pp/ppo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5078275A (ja) * 2013-10-15 2015-04-23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成形体
JP7209553B2 (ja) * 2019-01-28 2023-01-20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37742A (ja) 2018-02-07 2019-08-22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015A1 (ja) 2022-12-08
CN117642466A (zh) 2024-03-01
JPWO2022255015A1 (ko) 2022-12-08
EP4349898A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0482B2 (ja) 絶縁樹脂成形体
KR20130102561A (ko)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JP5550393B2 (ja) 樹脂組成物
CN111164155B (zh) 树脂组合物及成型品
JP5088647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法
JP2010138216A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からなる成形品、ケーブル用被覆材及びケーブル
KR20240017354A (ko)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N112322020B (zh) 一种聚苯醚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线槽及其制备方法
JPH10139998A (ja) 密閉型蓄電池ケーシング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243795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を含む成形体
JP2020117669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610006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90057169A (ko) 폴리(페닐렌 에테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JP7142636B2 (ja) 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電線
JP2024080099A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WO2024048546A1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15078275A (ja) 成形体
JP6586327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5312928B2 (ja) 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からなる成形品、ケーブル用被覆材及びケーブル
WO2023013495A1 (ja) 樹脂組成物
US20220251375A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JP2023075003A (ja) 樹脂組成物
JP2023024329A (ja) 樹脂組成物
CN117980410A (zh) 树脂组合物
JPH0982294A (ja) 電池ケー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