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3997A -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3997A
KR20240013997A KR1020220091348A KR20220091348A KR20240013997A KR 20240013997 A KR20240013997 A KR 20240013997A KR 1020220091348 A KR1020220091348 A KR 1020220091348A KR 20220091348 A KR20220091348 A KR 20220091348A KR 20240013997 A KR20240013997 A KR 20240013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n
amino
diol
adenosine recepto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신
이윤희
쿠마 트리파티 스실
김민재
김경민
임현영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9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3997A/ko
Priority to PCT/KR2023/010564 priority patent/WO2024019582A1/ko
Publication of KR20240013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에 모두 작용하는 이중 작용 리간드와, 상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인 LJ-4378 내지 이의 유도체들은 A2AAR에 대한 효현제(agonist)이자 A3AR에 대한 길항제(antagonist)로서 이중으로 작용하고,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UCP1 및 COXIV를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고지방식이 마우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igand modulating adenosine receptor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에 모두 작용하는 이중 작용 리간드와, 상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비만은 과도한 지방 축적으로 정의되며, 이는 제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의 주요 위험 요소이다. 지방 조직은 갈색 지방 조직(BAT)과 백색 지방 조직(WAT)으로 분류될 수 있다. BAT는 수많은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고 비떨림열발생(non-shivering thermogenesis)을 담당하지만 WAT는 지방 저장 및 동원에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BAT의 활성화 및 모집은 에너지 소비를 늘리는 전략이며 궁극적으로 잠재적인 비만 방지 목표로 개발될 수 있다.
갈색 지방세포 유도제로서, 아데노신 수용체 신호전달의 약리학적 자극은 대사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잠재적인 표적으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4가지 유형의 G 결합 수용체 A1, A2A, A2B 및 A3 으로 분류될 수 있다. A1 아데노신 수용체(A1AR) 및 A3 아데노신 수용체(A3AR)는 Gi/o 단백질에 결합되어 cAMP 생산 및 cAMP 의존성 단백질 키나제(PKA) 신호 전달을 억제한다. 대조적으로, A2A 아데노신 수용체(A2AAR) 및 A2B 아데노신 수용체(A2BAR)는 Gs/olf 단백질에 결합되어 아데닐산 사이클라제(adenylate cyclase, AC) 활성 및 cAMP 생산을 촉진한다.
아데노신 수용체 중 A2AAR은 WAT보다 BAT에서 풍부하게 발현되며, 항비만 효과는 여러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A2AAR 활성화는 AC 활동을 자극하여 PKA 의존성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A2AAR 신호전달은 BAT의 완전한 생리 기능에 필요하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A2AAR 효현제인 CGS21680에 의해 UCP1을 포함한 열발생 유전자의 발현이 in vitro 및 in vivo 모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A3AR은 Gi에 결합되어 A2AAR 자극에 대한 억제 효과를 시사한다. A3AR 발현은 백색 지방 조직에 풍부하지만 지방 세포 대사에서 A3AR의 조절 역할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다.
KR 10-2013-0028732 (2013-03-19)
Jeong, L. S.; Lee, H. W.; Jacobson, K. A.; Kim, H. O.; Shin, D. H.; Lee, J. A.; Gao, Z.-G.; Lu, C.; Duong, H. T.; Gunaga, P.; Lee, S. K.; Jin, D. Z.; Chun, M. W.; Moon, H. R.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2-chloro-N6-substituted-40-thioadenosine-50-uronamides as highly potent and selective agonists at the human A3 adenosine receptor. J. Med. Chem. 2006, 49, 273-281.
본 발명자들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모두 작용하는 이중 활성 리간드를 제공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LJ-4378 내지 이의 유도체가 A2AAR에 대한 효현제(agonist)이자 A3AR에 대한 길항제(antagonist)로서 작용하고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와, 상기 리간드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R1은 H, C1-C10 알킬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10 알킬기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1은 H, 메틸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4 알킬기 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1) 2-(6-아미노-2-(헥스-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2R,3R,4S)-2-(6-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3) (2R,3R,4S)-2-(6-((3-플루오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4) (2R,3R,4S)-2-(6-((3-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5)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6) (2R,3R,4S)-2-(6-((3-요오도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7) (2R,3R,4S)-2-(6-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8) (2R,3R,4S)-2-(2-(부트-1-인-1-일)-6-((3-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9) (2R,3R,4S)-2-(2-(부트-1-인-1-일)-6-((3-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10)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및
(11) (2R,3R,4S)-2-(2-(부트-1-인-1-일)-6-((3-요오도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대한 효현제(agonist)이자 A3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대한 길항제(antagonist)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은 비만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R1은 H, C1-C10 알킬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10 알킬기 이다.
본 발명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인 LJ-4378 내지 이의 유도체들은 A2AAR에 대한 효현제(agonist)이자 A3AR에 대한 길항제(antagonist)로서 이중으로 작용하고,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UCP1 및 COXIV를 각각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고지방식이 마우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a 는 LJ-4378(화합물 6)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a: Silylated 2-amino-6-chloropurine, TMSOTf, DCE, room temperature to 80 ℃, 3 h; b: CuI, isoamyl nitrite, I2, CH2I2, THF, 110 ℃, 45 min; c: NH3/MeOH, 80 ℃, 2 h; d: 1-Hexyne, CuI, TEA, DMF, bis(triphenylphosphine)palladium dichloride, room temperature, 3 h; e: 1 N HCl, THF, room temperature, 15 h).
도 1b 는 LJ-4378 유도체들(화합물 9a~9j)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a: 2-iodo-6-chloropurine, BSA, TMSOTf, CH3CN, rt to 80℃, 3h; b: propyne/butyne, CuI, Cs2CO3, Pd(PPh3)4, DMF, rt, 70 min; c: 1 N HCl, THF, rt, 15h; d: NH3/tBuOH, 100 ℃, 12h or R1NH2, Et3N, EtOH, rt, 24-48h).
도 1c 는 LJ-4378의 약물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2 는 LJ-4378 처리가 지방세포의 지방분해와 미토콘드리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a) 표시된 농도에서 24시간 동안 LJ-4378로 처리한 갈색 지방세포(BA)의 세포독성 평가(n = 5, 평균 ± SEM, **** p < 0.0001). (b) 4시간 동안 LJ-4378로 처리된 BA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HSL) 및 인산화된 HSL(p-HSL, 세린 660)의 면역블롯 분석(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01, **** p < 0.0001). (c) 24시간 동안 0.1μM LJ-4378로 처리된 BA의 조건 배지에서 유리 지방산(FFA) 수준(n = 5, 평균 ± SEM, **** p <0.0001). (d) 48시간 동안 표시된 농도에서 LJ-4378로 처리된 BA의 면역블롯 분석(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 p < 0.0001). (e) 표시된 농도에서 48시간 동안 LJ-4378로 처리한 후의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수준(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01, **** p < 0.0001).
도 3 은 LJ-4378의 지방분해 효과가 A2A 효현제(agonist) 또는 A3 길항제(antagonist)보다 더 강력한 것을 나타낸다. (a) 갈색 지방세포(BA)의 A1, A2A, A2B 및 A3 아데노신 수용체의 발현 수준에 대한 qPCR 분석(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b-c) 24시간 동안 LJ-4378(0.1μM), A2A 효현제(CGS21680, 0.1μM) 또는 A3 길항제(LJ-4433, 0.1μM)로 처리된 BA의 조건 배지에서 글리세롤 및 FFA 수준(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 p < 0.0001). (d) 24시간 동안 LJ-4378(0.1μM), A2A 효현제(CGS21680, 0.1μM) 또는 A3 길항제(LJ-4433, 0.1μM)로 처리된 BA의 면역블롯 분석. (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 p < 0.0001).
도 4 는 in vitro LJ-4378 처리가 갈색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함량과 활성을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a) 24시간 동안 0.1 μM LJ-4378로 처리된 BA의 면역블롯 분석(n = 5, 평균 ± SEM, *** p < 0.001, **** p < 0.0001). (b) 비히클(CTL) 및 0.1μM LJ-4378(n = 5, 크기 막대 = 20μm)으로 처리된 BA의 MitoTracker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 (c) 24시간 동안 0.1 μM LJ-4378로 처리된 BA의 OCR 측정(n = 3, 평균 ± SEM, * p < 0.05, ** p < 0.01). (d) 24시간 동안 LJ-4378(0.1μM), A2A 효현제(CGS21680, 0.1μM) 또는 A3 길항제(LJ-4433, 0.1μM)로 처리된 BA의 면역블롯 분석(n = 5, 평균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 p < 0.0001).
도 5 는 in vivo LJ-4378 처리가 지방 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활성과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a) BAT, iWAT 및 gWAT의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TTC) 염색(n = 5, 평균 ± SEM, ** p < 0.01, *** p < 0.001, **** p < 0.0001). (b) EE(에너지 소비), VO2(산소 소비 비율), VCO2(이산화탄소 생성 비율), RER(호흡 교환 비율), 활동 횟수, 음식 소비(FEED)의 간접 열량계 분석(n = 5, 평균 ± SEM, ** p < 0.01).
도 6 은 CIDEA 리포터 마우스 연구에 따른 LJ-4378의 갈변 효과를 나타낸다. 마우스는 비히클(CTL), LJ-4378(LJ, 1mg·kg-1/일), A2A 효현제(CGS21680, 1mg·kg-1/일) 또는 A3 길항제(LJ-4433, 1mg·kg-1/일)로 10일 동안 처리되었다. (a-b) 등 및 측면 위치의 대표적인 생물발광(n = 3, 평균 ± SEM, ** p < 0.01, **** p < 0.0001). (c) BAT 및 iWAT의 대표적인 생체 외 형광 이미지 및 형광 강도의 정량화(n = 3, 평균 ± SEM, ** p < 0.01, **** p < 0.0001). (d) 갈색 지방 조직(BAT)의 UCP1 및 CIDEA mRNA 발현 수준의 qPCR 분석(n = 3, 평균 ± SEM, * p < 0.05, ** p < 0.01, *** p < 0.001).
도 7 은 in vivo LJ-4378 처리가 고지방식이 유발 비만으로부터 마우스를 보호하는 것을 나타낸다. 정상 식단(NCD)과 고지방식이(HFD)를 먹인 마우스에 LJ-4378(LJ, 1mg·kg-1/day) 또는 비히클 대조군(CTL)을 10일 동안 처리했다. (a) 체중 변화(n = 6). (b) 지방 비율 및 마른 비율의 신체 구성(n = 6, 평균 ± SEM, ** p < 0.01). (c) BAT, iWAT, gWAT의 g 체중당 조직 중량(mg)(n = 6, 평균 ± SEM, * p < 0.05, ** p < 0.01). (d,e) BAT, iWAT 및 gWAT의 파라핀 섹션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염색(크기 막대 = 10 μm). (f) 포도당 내성 테스트 및 곡선 아래 면적(AUC)(n = 5, 평균 ± SEM, * p < 0.05).
도 8 은 LJ-4378의 항비만 효과가 지방 조직에서 PKA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정상 식단(NCD)과 고지방식이(HFD)를 먹인 마우스에 LJ-4378(LJ, 1mg·kg-1/day)을 10일 동안 처리했다. (a) BAT의 면역블롯 분석(n = 6, 평균 ± SEM, ** p < 0.01, **** p < 0.0001). (b) iWAT에서 면역블롯 분석. 튜불린은 로딩 대조군이었다. (n=6, 평균 ± SEM, * p < 0.05, *** p < 0.001, **** p < 0.0001).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세포 외 아데노신은 4가지 유형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통해 여러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사건을 조절하는 강력한 내인성 신호 분자이다. 아데노신 수용체 발현이 변경된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사용한 연구는 아데노신이 에너지 대사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더욱 뒷받침했다. 따라서 아데노신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것은 대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번역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A2AAR 효현제 및 A3AR 길항제 활성이 있는 이중 작용 리간드가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Gαs-결합 A2A 아데노신 수용체의 자극은 아데닐산 사이클라제 및 후속적으로 cAMP-PKA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는 반면, Gαi-결합 A3AR의 활성화는 아데닐산 사이클라제를 억제하여 A2AAR 신호 전달의 효과에 반대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A2AAR 효현제 및 A3AR 길항제 활성을 갖는 이중 리간드가 지방세포에서 PKA 의존성 지방분해 및 열발생을 상승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본 발명은 LJ-4378 처리가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함량과 활성을 증가시켰고 LJ-4378의 효과가 A2AAR 효현제 또는 A3AR 길항제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In vivo LJ-4378 처리는 CIDEA 리포터 마우스의 생물발광 신호의 비침습적 영상화에 의해 결정된 에너지 소비 및 갈색 지방세포 마커 CIDEA 발현을 증가시켰다. In vivo LJ-4378 처리는 체중과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고 HFD를 먹인 마우스의 내당능을 개선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qPCR 분석은 A2AAR 및 A3AR이 지방세포에서 발현되는 아데노신 수용체의 주요 하위 유형임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지방세포에서 A2BAR의 발현 수준은 다른 아데노신 수용체보다 낮았다. 이전 연구에서는 A2BAR이 주로 근육과 BAT에서 발현되고 A2BAR의 활성화가 노화 방지 및 비만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흥미롭게도 A2BAR은 A2A 매개 지방분해에서 관대한 역할을 하여 두 수용체의 이종이량체를 형성한다. 대조적으로, Gαi에 결합된 A1 수용체는 아데닐산 사이클라제 활성을 억제하고 인간의 백색 지방세포에서 높게 발현된다. 따라서 A1AR은 순환하는 FFA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감소시켜 지방 조직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촉진할 수 있는 지방분해 억제제로 특성화되었다. 더욱이, A1AR 신호전달은 A1AR 녹아웃 마우스 연구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방 생성을 촉진하고 염증을 조절한다.
지방분해에 대한 효과 외에도 A2AAR 활성화는 식이유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항염증 효과를 발휘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경구 투여가 가능하여 환자의 선호도가 높으며, 작용기전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세포의 아데노신 수용체를 경유해 지방의 분해를 촉진 및 소모시키는 것이므로 정신계 부작용 문제가 나타날 확률이 적다. 새로운 기전을 지닌 비만 치료제로써 기존 치료법에 불응하는 환자들에게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GLP-1 유도체와 중추신경계자극제 비만 치료제의 경우 식욕 감퇴의 효과로 비만을 치료하는데,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은 갈색지방세포를 직접 타겟하여 지방을 감소시키는 기전으로 환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병용투여를 통해 효과의 증대 및 부작용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R1은 H, C1-C10 알킬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10 알킬기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R1은 H, 메틸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4 알킬기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도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1) 2-(6-아미노-2-(헥스-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2R,3R,4S)-2-(6-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3) (2R,3R,4S)-2-(6-((3-플루오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4) (2R,3R,4S)-2-(6-((3-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5)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6) (2R,3R,4S)-2-(6-((3-요오도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7) (2R,3R,4S)-2-(6-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8) (2R,3R,4S)-2-(2-(부트-1-인-1-일)-6-((3-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9) (2R,3R,4S)-2-(2-(부트-1-인-1-일)-6-((3-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10)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및
(11) (2R,3R,4S)-2-(2-(부트-1-인-1-일)-6-((3-요오도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대한 효현제(agonist)이자 A3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대한 길항제(antagonist)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은 비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이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인해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이 억제되거나 그 발병이 지연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개선' 또는 '치료' 란,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인해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향료, 유화제, 가용화제, 분산제, 향미제, 항산화제, 포장제, 안료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복강내, 직장, 정맥, 피하, 또는 경피 투여제; 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R1은 H, C1-C10 알킬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10 알킬기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건강음료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함께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 세포 배양
갈색 지방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지방세포 전구세포는 마우스의 갈색지방 조직에서 분리되었다. 세포는 10% 소태아혈청(FBS, Gibco, 16000044)과 1% Penicillin Streptomycin(Welgene, LS202-02)을 함유하는 Dulbecco의 변형된 Eagle's 배지(Welgene, LM001-07)에서 37℃및 5% CO2의 습한 공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약 100%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도달했을 때, 세포는 2.5mM 이소부틸 메틸크산틴(IBMX, Cayman, I5879), 0.125mM 인도메타신(Cayman, 70270), 1μM 덱사메타손(Cayman), 1 μg/mL 인슐린(Sigma, I9278) 및 1nM 트리요오드티로닌(T3, Cayman, 6028) 이 보충된 분화 배지에 지방 분화를 위해 3일 동안 노출되었다. 그런 다음 세포를 3일 동안 1μg/mL 인슐린 및 1nM T3(트리요오드티로닌)가 포함된 성장 배지에서 유지했다.
<1-2> 동물
6주령 C57BL/6 수컷 마우스와 CIDEA 리포터 마우스는 생체 내 실험을 위해 서울대학교 동물관리위원회(SNU-201107-1, SNU-201221-3)의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되었다. 마우스를 12h-light/12h-dark cycle 조건에서 수용하고 22±1℃ 에서 정상 식이(NCD, Purina Lab, 38057, 단백질: 24.52% 칼로리, 탄수화물: 63.07% 칼로리, 지방: 12.41% 칼로리)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0.2% DMSO (PBS 희석)에 용해된 LJ-4378(1 mg·kg-1day-1)을 10일 동안 복강 내 처리했다.
식이 유발 비만 모델의 경우, 마우스에게 고지방식(HFD)(Research Diets, D12492, 단백질: 20% kcal, 탄수화물: 20% kcal, 지방: 60% kcal)을 8주 동안 먹였다. 그런 다음 마우스에 LJ-4378(1 mg·kg-1)을 1일 1회 10일 동안 주사했다.
LJ-4378 내지 이의 유도체 합성 및 프로파일
<2-1> LJ-4378 합성
D-만노오스는 [비특허문헌 1]에 따라 글리코실 공여체(glycosyl donor, 화합물 1)로 전환되었다. 상기 글리코실 공여체(화합물 1)는 루이스 산으로서 TMSOTf의 존재 하에 2-아미노-6-클로로푸린(2-amino-6-chloropurine)과 축합되어 단일 입체이성질체로서 β-아노머 (화합물 2, 30%)을 제공하였다(도 1a). 아노머 할당은 H-8과 3'-H 사이의 핵 오버하우저 효과(nuclear Overhauser effect)를 보여주는 1H NMR 실험에서 쉽게 달성되었다. CuI의 존재 하에 2-아미노-6-클로로 유도체(화합물 2)를 이소아밀 아질산염, 요오드 및 메틸렌 요오드화물로 처리하여 2-요오도-6-클로로 유도체(화합물 3)를 얻었고, 이는 메탄올성 암모니아 처리로 인해 2-요오도-6-아미노 유도체(화합물 4)로 전환되었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서 화합물 4와 1-헥신(1-hexyne)의 소노가시라 커플링 반응(Sonogashira coupling reaction)으로 2-헥시닐 유도체(화합물 5)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1N HCl로 화합물 5의 이소프로필리덴을 제거하여 최종 2-헥시닐-4'-티오아데노신 유도체 LJ-4378(2-(6-amino-2-(hex-1-yn-1-yl)-9H-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6)을 합성하였다.
<2-2> LJ-4378의 유도체 합성
D-만노오스는 [비특허문헌 1]에 따라 글리코실 공여체(glycosyl donor, 화합물 1)로 전환되었다. 글리코실 공여체(화합물 1)은 루이스 산으로서 TMSOTf의 존재 하에 silylated 2-iodo-6-chloropurine 과 Vorbruggen 축합되어 미량의 α-아노머와 함께 β-아노머(화합물 3, 60%)을 제공하였다(도 1b). 화합물 3의 아노머 배열은 1H NMR NOE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화합물 3의 H-8과 3'-H 사이에 강한 NOE 효과가 관찰되어 β배열을 확인하는 반면, 상응하는 α-아노머는 그러한 NOE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어서, 화합물 3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및 탄산세슘의 존재하에 프로핀 및 부틴을 사용하여 소노가시라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각각 C2-프로피닐 유도체(화합물 7a) 및 C2-부티닐 유도체(화합물 7b)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7a 및 화합물 7b를 1N HCl로 처리하여 2-프로피닐-6-클로로 유도체(화합물 8a) 및 2-부티닐-6-클로로 유도체(화합물 8b)를 각각 생성하였다. 2-프로피닐-6-클로로 유도체(화합물 8a)를 tert-부탄올 및 3-할로벤질아민 중 암모니아로 처리하여 2-프로피닐-4'-티오아데노신 유도체(화합물 9a) 및 2-프로피닐-N6-3-할로벤질-4'-티오아데노신 유도체(화합물 9b-e)를 각각 수득하였다. 유사하게, 2-부티닐-6-클로로 중간체(화합물 8b)는 2-부티닐-4'-티오아데노신 유도체(화합물 9f) 및 2-부티닐-N6-3-할로벤질-4'-티오아데노신 유도체(화합물 9g-j)로 전환되었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하기 [제법 1] 내지 [제법 12] 와 같다.
[제법 1]
(2R,3R,4S)-2-(6-클로로-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R,3R,4S)-2-(6-Chloro-2-(prop-1-yn-1-yl)-9H-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8a).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5mL) 중 화합물 3(943mg, 2.14mmol)의 교반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248mg, 0.21mmol), 요오드화구리(49mg, 0.25mmol) 및 탄산 세슘(700 mg, 2.14 mmol)을 첨가하였다. 교반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프로핀 가스로 버블링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조 생성물 화합물 7a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적용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상기 조 생성물 화합물 7a의 교반된 얼음냉각 용액에 1 N HCl (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NaOH 용액으로 중화하고 감압하에 조심스럽게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염화메틸렌/메탄올 = 24:1)로 정제하여 화합물 8a(0.301g, 화합물 3으로부터 45%)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mp 101-103℃; UV (MeOH) λmax 284 nm; 1H NMR (500 MHZ, CD3OD): δ 8.85 (s, 1H), 6.08 (d, J = 6.6 Hz, 1H), 4.71-4.69 (m, 1H), 4.46 (q, J = 3.6 Hz, 1H), 3.55 (dd, J = 4.4, 11.0 Hz, 1H), 2.96 (dd, J = 3.4, 11.0 Hz, 1H), 2.11 (s, 3H);
Figure pat00005
= -45.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2H12ClN4O2S (M+H)+ 311.0369, Found: 311.0374. Anal. Calcd for C12H12ClN4O2S: C, 46.38; H, 3.57; N, 18.03. Found: C, 46.78; H, 3.24; N, 18.04.
[제법 2]
(2R,3R,4S)-2-(2-(부트-1-인-1-일)-6-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2-(But-1-yn-1-yl)-6-chloro-9 H -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8b).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25mL) 중 화합물 3(1.63g, 3.71mmol)의 교반된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429mg, 0.37mmol), 요오드화구리(85mg, 0.44mmol) 및 탄산 세슘(1.21g, 3.71mmol) 을 첨가하였다. 교반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부틴 가스로 버블링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상기 조 생성물 화합물 7b의 교반된 얼음냉각 용액에 1 N HCl (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NaOH 용액으로 중화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 24:1)로 정제하여 화합물 8b(530 mg, 화합물 3으로부터 4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p 105-107 ℃; UV (MeOH) λmax 284 nm; 1H NMR (500 MHz, CD3OD): δ 8.86 (s, 1H), 6.08 (d, J = 6.5 Hz, 1H), 4.69 (m, 1H), 3.54 (dd, J = 4.4, 11.0 Hz, 1H), 3.30 (bs, 1H), 2.96 (dd, J = 3.5, 11.0 Hz, 1H), 2.50 (q, J = 7.5 Hz, 2H), 1.27 (t, J = 7.5 Hz, 3H); 13C NMR (125 MHz, CD3OD): δ 154.2, 151.7, 148.7, 147.8, 132.6, 93.4, 81.6, 80.5, 75.1, 65.3, 36.1, 14.3, 14.2;
Figure pat00006
= -38.2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3H14ClN4O2S (M+H)+ 325.0526, Found: 325.0528. Anal. Calcd for C13H14ClN4O2S: C, 48.08; H, 4.03; N, 17.25. Found: C, 48.09; H, 4.23; N, 17.01.
[제법 3]
(2R,3R,4S)-2-(6-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6-Amino-2-(prop-1-yn-1-yl)-9 H -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9a)
NH3/tBuOH(5mL) 중 화합물 8a(50mg, 0.16mmol)의 용액을 스틸 가압기(steel bomb) 에서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 24:1)로 정제하여 9a(45 mg, 8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p 247-249 ℃; UV (MeOH) λmax 271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46 (s, 1H), 7.35 (bs, 2H), 5.84 (d, J = 7.2 Hz, 1H), 5.54 (d, J = 6.2 Hz, 1H), 5.35 (d, J = 4.1 Hz, 1H), 4.60 (dt, J = 3.2, 6.8 Hz, 1H), 4.34-4.32 (m, 1H), 3.40 (dd, J = 4.1, 10.8 Hz, 1H), 2.78 (dd, J = 2.8, 10.8 Hz, 1H), 2.01 (s,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5.4, 149.9, 145.3, 140.5, 118.3, 82.0, 80.2, 78.4, 72.1, 61.3, 34.3, 3.40;
Figure pat00007
= -38.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2H14N5O2S (M+H)+ 292.0868, Found: 292.0867. Anal. Calcd for C12H13N5O2S: C, 49.47; H, 4.50; N, 24.04. Found: C, 49.29; H, 4.21; N, 23.98.
* 화합물 9b-e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절차
에탄올(5 mL) 중 디올 화합물 8a(50 mg, 0.16 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3 당량) 및 3-할로벤질아민(1.5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8시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 35:1)로 정제하여 화합물 9b-e를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제법 4]
(2R,3R,4S)-2-(6-((3-플루오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6-((3-Fluorobenzyl)amino)-2-(prop-1-yn-1-yl)-9 H -purin-9-yl)tetrahydro thiophene-3,4-diol; 화합물 9b).
수율: 81%; 백색 고체; mp 237-239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2-8.45 (m, 2H), 7.34 (q, J = 7.7 Hz, 1H), 7.15-7.03 (m, 3H), 5.86 (d, J = 7.2 Hz, 1H), 5.55 (d, J = 6.2 Hz, 1H), 5.36 (d, J = 4.0 Hz, 1H), 4.68-4.61 (m, 3H), 4.34 (bs, 1H), 3.39 (dd, J = 3.9, 10.7 Hz, 1H), 2.80 (dd, J = 2.6, 10.8 Hz, 1H), 2.01 (s,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63.1, 161.1, 153.9, 149.3, 145.5, 142.9, 140.6, 130.2, 122.9, 118.7, 113.5 (CF), 81.9, 80.7, 78.4, 72.1, 61.3, 42.3, 34.3, 3.4;
Figure pat00008
= -32.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9H19FN5O2S (M+H)+ 400.1244, Found: 400.1249. Anal. Calcd for C19H18FN5O2S: C, 57.13; H, 4.54; N, 17.53. Found: C, 57.24; H, 4.94; N, 17.13.
[제법 5]
(2R,3R,4S)-2-(6-((3-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6-((3-Chlorobenzyl)amino)-2-(prop-1-yn-1-yl)-9 H -purin-9-yl)tetrahydro thiophene-3,4-diol; 화합물 9c).
수율: 78%; 백색 고체; mp 224-226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 δ 8.51 (s, 1H), 8.47 (bs, 1H), 7.37-7.28 (m, 4H), 5.86 (d, J = 7.2 Hz, 1H), 5.54 (d, J = 6.2 Hz, 1H), 5.34 (d, J = 4.0 Hz, 1H), 4.67 (bs, 2H), 4.61 (s, 1H), 4.34 (s, 1H), 3.40 (dd, J = 3.9, 10.7 Hz, 1H), 2.80 (dd, J = 2.6, 10.8 Hz, 1H), 2.02 (s,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3.9, 149.3, 145.5, 142.4, 140.6, 132.8, 130.1, 126.8, 126.5, 125.6, 118.7, 81.9, 80.7, 78.4, 72.1, 61.3, 42.2, 34.3, 3.47;
Figure pat00009
= -42.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9H19ClN5O2S (M+H)+ 416.0948, Found: 416.0952. Anal. Calcd for C19H18ClN5O2S: C, 54.87; H, 4.36; N, 16.84. Found: C, 54.76; H, 4.46; N, 16.45.
[제법 6]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6-((3-Bromobenzyl)amino)-2-(prop-1-yn-1-yl)-9 H -purin-9-yl)tetrahydro thiophene-3,4-diol; 화합물 9d).
수율: 79%; 백색 고체; mp 240-242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1 (s, 1H), 8.47 (bs, 1H), 7.52 (s, 1H), 7.42 (d, J = 7.6 Hz, 1H) 7.32-7.25 (m, 2H), 5.86 (d, J = 7.2 Hz, 1H), 5.53 (d, J = 6.2 Hz, 1H), 5.35 (d, J = 4.0 Hz, 1H), 4.67 (bs, 2H), 4.61 (bs, 1H), 4.34 (s, 1H), 3.40 (dd, J = 3.9, 10.7 Hz, 1H), 2.80 (dd, J = 2.6, 10.8 Hz, 1H), 2.02 (s,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3.9, 149.3, 145.5, 142.7, 140.6, 130.4, 129.7, 129.5, 126.1, 121.5, 118.7, 81.9, 80.7, 78.4, 72.1, 61.3, 42.1, 34.3, 3.45;
Figure pat00010
= 1.4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9H19BrN5O2S (M+H)+ 462.0424, Found: 462.0446. Anal. Calcd for C19H18BrN5O2S: C, 49.57; H, 3.94; N, 15.21. Found: C, 49.17; H, 4.12; N, 15.43.
[제법 7]
(2R,3R,4S)-2-(6-((3-요오도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6-((3-Iodobenzyl)amino)-2-(prop-1-yn-1-yl)-9 H -purin-9-yl)tetrahydro thiophene-3,4-diol; 화합물 9e).
수율: 77%; 백색 고체; mp 253-255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0 (s, 1H), 8.45 (bs, 1H), 7.71 (s, 1H), 7.58 (d, J = 7.2 Hz, 1H), 7.33 (d, J = 7.6 Hz, 1H), 7.11 (t, J = 7.7 Hz, 1H), 5.86 (d, J = 7.1 Hz, 1H), 5.54 (d, J = 6.1 Hz, 1H), 5.34 (d, J = 3.8 Hz, 1H), 4.63 (bs, 3H), 4.34 (s, 1H), 3.41 (dd, J = 3.8, 10.6 Hz, 1H), 2.80 (dd, J = 2.6, 10.8 Hz, 1H), 2.02 (s,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3.9, 149.3, 145.5, 142.5, 140.6, 135.7, 135.4, 130.4, 126.5, 118.7, 94.7, 81.9, 80.7, 78.4, 72.1, 61.3, 40.0, 34.3, 3.4;
Figure pat00011
= 107.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9H19IN5O2S (M+H)+ 508.0304, Found: 508.0312. Anal. Calcd for C19H18IN5O2S: C, 44.98; H, 3.58; N, 13.80. Found: C, 45.13; H, 3.18; N, 14.12.
[제법 8]
(2R,3R,4S)-2-(6-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R,3R,4S)-2-(6-Amino-2-(but-1-yn-1-yl)-9H-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9f)
화합물 8b(50 mg, 0.15 mmol)를 화합물 9a의 제조에 사용된 동일한 절차에 따라 백색 고체로서 화합물 9f(40 mg, 84%)로 전환시켰다: mp 202-204 ℃; UV (MeOH) λmax 272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47 (s, 1H), 7.36 (s, 1H), 5.86 (d, J = 7.2 Hz, 1H), 5.55 (d, J = 5.2 Hz, 1H), 5.37 (bs, 1H), 4.59-4.60 (m, 1H), 4.34 (bs, 1H), 3.41-3.35 (m, 2H; merged with water peak), 2.79 (dd, J = 2.4, 10.0 Hz, 1H), 2.40 ( q, J = 7.5 Hz, 2H), 1.15 (t, J = 7.5 Hz,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5.6, 149.9, 145.7, 140.4, 118.2, 86.7, 80.6, 78.5, 72.1, 61.1, 34.3, 13.3, 11.9;
Figure pat00012
= 90.00 (c 0.12,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13H16N5O2S (M+H)+ 306.1025, Found: 306.1011. Anal. Calcd for C13H15N5O2S: C, 51.13; H, 4.95; N, 22.94. Found: C, 51.42; H, 4.55; N, 23.10.
* 화합물 9g-j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절차.
에탄올(5mL) 중 디올 화합물 8b(50mg, 0.15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3당량) 및 3-할로벤질아민(1.5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8시간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 20:1)로 정제하여 화합물 9g-j를 백색 고체로 얻었다.
[제법 9]
(2R,3R,4S)-2-(2-(부트-1-인-1-일)-6-((3-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R,3R,4S)-2-(2-(But-1-yn-1-yl)-6-((3-fluorobenzyl)amino)-9H-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9g)
수율: 80%; 백색 고체; mp 230-231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2 (s, 1H), 8.46 (bs, 1H), 7.35 (q, J = 7.7 Hz, 1H), 7.16-7.11 (m, 2H), 7.06-7.02 (m, 1H), 5.88 (d, J = 7.3 Hz, 1H), 5.55 (d, J = 6.2 Hz, 1H), 5.36 (d, J = 3.8 Hz, 1H), 4.69 (bs, 2H), 4.60 (bs, 1H), 4.34 (s, 1H), 3.41 (dd, J = 3.9, 10.7 Hz, 1H), 2.80 (dd, J = 2.6, 10.8 Hz, 1H), 2.40 (q, J = 7.5 Hz, 2H), 1.15 (t, J = 7.5 Hz,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63.1, 161.2, 153.9, 149.4, 145.6, 142.9, 140.5, 130.1, 123.0, 118.6, 113.5 (CF), 86.9, 80.9, 78.5, 72.1, 61.1, 42.3, 34.3, 13.2, 11.9;
Figure pat00013
= -15.1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20H21FN5O2S (M+H)+ 414.1400, Found: 414.1396. Anal. Calcd for C20H20FN5O2S: C, 58.10; H, 4.88; N, 16.94. Found: C, 57.99; H, 5.12; N, 16.44.
[제법 10]
(2R,3R,4S)-2-(2-(부트-1-인-1-일)-6-((3-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2-(But-1-yn-1-yl)-6-((3-chlorobenzyl)amino)-9 H -purin-9-yl)tetrahydrothio -phene-3,4-diol; 화합물 9h).
수율: 78%; 백색 고체; mp 236-238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2 (s, 1H), 8.47 (bs, 1H), 7.38-7.27 (m, 4H), 5.88 (d, J = 7.2 Hz, 1H), 5.56 (d, J = 6.1 Hz, 1H), 5.37 (d, J = 3.5 Hz, 1H), 4.68 (bs, 2H), 4.60 (s, 1H), 4.34 (bs, 1H), 3.41 (dd, J = 3.8, 10.6 Hz, 1H), 2.80 (dd, J = 2.4, 10.6 Hz, 1H), 2.40 (q, J = 7.5 Hz, 2H), 1.15 (t, J = 7.5 Hz,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3.9, 149.4, 145.6, 142.4, 140.5, 132.8, 130.1, 126.9, 126.6, 125.7, 118.6, 86.9, 80.8, 78.5, 72.1, 61.1, 42.2, 34.3, 13.2, 11.9;
Figure pat00014
= -28.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20H21ClN5O2S (M+H)+ 430.1104, Found: 430.1111. Anal. Calcd for C20H20ClN5O2S: C, 55.88; H, 4.69; N, 16.29. Found: C, 55.54 H, 4.25; N, 16.29.
[제법 11]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6-((3-Bromobenzyl)amino)-2-(but-1-yn-1-yl)-9 H -purin-9-yl)tetrahydrothio -phene-3,4-diol; 화합물 9i).
수율: 77%; 백색 고체; mp 222-224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2 (s, 1H), 8.48 (bs, 1H), 7.53 (s, 1H), 7.42 (d, J = 7.6 Hz, 1H), 7.33-7.25 (m, 2H), 5.87 (d, J = 5.2 Hz, 1H), 5.54 (d, J = 5.2 Hz, 1H), 5.36 (bs, 1H), 4.67 (bs, 1H), 4.60 (bs, 2H), 4.34 (bs, 1H), 3.40 (dd, J = 3.9, 10.7 Hz, 1H), 2.80 (dd, J = 2.5, 10.7 Hz, 1H), 2.41 (q, J = 7.4 Hz, 2H), 1.16 (t, J = 7.5 Hz,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3.9, 149.4, 145.6, 142.7, 140.5, 130.4, 129.8, 129.5, 126.1, 121.5, 118.6, 87.0, 80.8, 78.5, 72.1, 61.1, 42.2, 34.3, 13.2, 11.9;
Figure pat00015
= -9.9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20H21BrN5O2S (M+H)+ 476.0580, Found: 476.0594. Anal. Calcd for C20H20BrN5O2S: C, 50.64; H, 4.25; N, 14.76. Found: C, 50.76; H, 4.32; N, 14.98.
[제법 12]
(2R,3R,4S)-2-(2-(부트-1-인-1-일)-6-((3-요오도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R ,3 R ,4 S )-2-(2-(But-1-yn-1-yl)-6-((3-iodobenzyl)amino)-9 H -purin-9-yl)tetrahydrothio-phene-3,4-diol; 화합물 9j).
수율: 77%; 백색 고체; mp 239-241 ℃; UV (MeOH) λmax 275 nm; 1H NMR (500 MHz, DMSO-d 6): δ 8.52 (s, 1H), 8.45 (bs, 1H), 7.72 (s, 1H), 7.58 (d, J = 7.6 Hz, 1H), 7.33 (d, J = 7.3 Hz, 1H), 7.11 (t, J = 7.7 Hz, 1H), 5.88 (d, J = 7.3 Hz, 1H), 5.55 (d, J = 6.1 Hz, 1H), 5.36 (d, J = 3.9 Hz, 1H), 4.63-4.60 (m, 3H), 4.30 (bs, 1H), 3.41 (dd, J = 3.9, 10.7 Hz, 1H), 2.81 (dd, J = 2.7, 10.8 Hz, 1H), 2.41 (q, J = 7.4 Hz, 2H), 1.16 (t, J = 7.5 Hz, 3H); 13C NMR (125 MHz, DMSO-d 6): δ 153.8, 149.3, 145.6, 142.5, 140.5, 135.8, 135.3, 130.4, 126.5, 118.6, 94.6, 86.9, 80.8, 78.5, 72.1, 61.1, 42.1, 34.3, 13.2, 11.9;
Figure pat00016
= -13.60 (c 0.10, MeOH); HRMS (FAB+): m/z calculated for C20H21IN5O2S (M+H)+ 522.0461, Found: 522.0468. Anal. Calcd for C20H20IN5O2S: C, 46.07; H, 3.87; N, 13.43. Found: C, 46.23; H, 3.47; N, 13.95.
<2-1> LJ-4378 내지 이의 유도체 프로파일
LJ-4378은 A2AAR과 A3AR에 우수한 결합능을 가진 물질로, 매우 높은 subtype 선택성을 나타냈다. 또한 가장 중요한 A2AAR의 cAMP 활성능 평가 결과, full agonist인 CGS21680과 비슷한 EC50 및 efficacy를 나타냈다. A3AR의 경우에는 A3AR full agonist인 Cl-IB-MECA로 실험한 결과, 높은 농도의 LJ-4378가 cAMP 생산을 완벽히 저해할 수 있는 full antagonist로 작용하였으며 KB값은 nM 수준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도 1c). 즉, A2AAR과 A3AR에 각각 agonist와 antagonist로 강력하게 작용하는 LJ-4378은 효과적으로 cAMP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LJ-4378 내지 이의 유도체들의 A2AAR과 A3AR에 대한 결합 친화도는 하기 [표 1]과 같다. 모든 결합 친화도 실험은 적절한 hAR 결합을 인코딩하는 cDNA로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부착 HEK293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A2A 및 A3AR에 대한 방사성 리간드로 1nM [3H]17, 10nM [3H]18 또는 0.2nM [3H]16을 사용하여 각각 수행되었다. 값은 비특이적 결합제인 NECA(5'-N-ethylcarboxamidoadenosine, 10μM)에 대해 정규화되었다.
화합물 R 1 R 2 K i (hA 2 AR),
nM
K i (hA 3 AR),
nM
9a H Me 117 64.7
9b 3-F-Bn Me 772 30.5
9c 3-Cl-Bn Me 221 1.5
9d 3-Br-Bn Me 469 11.1
9e 3-I-Bn Me 121 20.1
9f H Et 23.9 67.3
9g 3-F-Bn Et 914 9.5
9h 3-Cl-Bn Et 239 3.8
9i 3-Br-Bn Et 113 0.293
9j 3-I-Bn Et 58.0 8.6
6(LJ-4378) H nBu 7.19 11.8
지방분해 및 미토콘드리아 함량에 대한 LJ-4378의 용량 의존적 영향
<3-1> 세포독성
LJ-4378은 A2AAR 효현제 및 A3AR 길항제 활성이 있는 이중 작용 리간드이다. EZ-CYTOX(DoGEN, EZ-3000)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세포 생존율을 평가했다.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Thermo MULTISKAN GO, 8816-2015)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되었다.
LJ-4378의 세포독성 분석은 100μM 미만의 농도가 갈색 지방세포의 세포 생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a)).
<3-2> LJ-4378의 지방분해 효과
A2AAR은 지방세포에서 cAMP 수준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키나아제 A 신호전달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LJ-4378의 지방분해 효과를 용량-반응 관계로 조사하였다.
항체 Host Company Catalog # Dilution
UCP1 Rabbit Alpha diagnostic UCP11-A 1:1000
COXIV Rabbit Cell signaling 4850 1:1000
HSL Rabbit Cell signaling 4107 1:1000
Phospho-HSL Rabbit Cell signaling 45804 1:1000
CREB Rabbit Cell signaling 9197 1:1000
P-CREB Rabbit Cell signaling 9198 1:1000
Tubulin Rabbit Cell signaling 2148 1:1000
MCAD Mouse Santa Cruz sc-365030 1:1000
Total oxphos Mouse Cell signaling 110413 1:1000
웨스턴 블롯의 경우 웨스턴 블롯에 사용된 1차 항체는 상기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항토끼 겨자무과산화효소 항체(1:3000, Thermo Fisher, 31460) 및 항마우스 겨자무과산화효소 항체(1:3000, Jackson, 115-035-174)를 2차 항체로 사용하였다. 모든 항체를 차단 완충액(TBST 중 5% 탈지유 또는 5% 소 혈청 알부민)에 희석했다. Fusion Solo 화학발광 이미징 시스템(Vilber Lourmat)을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 이미지를 획득하고 EvolutionCapt 소프트웨어(버전 17.03)로 분석했다. NIH ImageJ 소프트웨어를 정량화에 사용했다.
배지 내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FFA) 수준은 제조업체의 제품 프로토콜에 따라 NEFA 시약(WAKO, 436-91693)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면역블롯 분석은 LJ-4378이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세린 660에서 P-HSL(phosphorylated 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 수준을 상향 조절함을 보여주었다(도 2 (c): (10-11 M) 1.55±0.11 배; (10-9 M) 3.03±0.21배, (10-7) 6.64±0.34배, (10-5) 6.87±0.69배 증가). 일관되게, 유리 지방산(FFA) 수준도 LJ-4378에 의해 증가했다(도 2 (d): 1.92±0.03배 증가).
더욱이,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은 LJ-4378의 투여량에 따라 증가했다(도 2 (e): ATP5A(ATP synthase alpha-subunit): (10-11 M) 2.20±0.08 배, (10-9 M) 3.51±0.05 배, (10-7) 3.94±0.06, (10-5) 3.72±0.04배 증가, UQCRC2(ubiquinol-cytochrome c reductase core protein 2): (10-11M) 2.15±0.03배, (10-9M) 3.96±0. (10-7) 4.21±0.13배, (10-5) 4.02±0.08배 증가, SDHB(succinate dehydrogenase complex iron sulfur subunit B): (10-11M) 1.87±0.28 배, (10-9M) 3.47±0.18 배, (10-7) 3.41±0.47 배, (10-5) 3.71±0.25 배 증가, MCAD: (10-11 M) 1.53±0.03 배, (10-9 M) 1.79±0.03 배 (10-7) 1.79±0.09배, (10-5) 2.13±0.03 배 증가). 이러한 용량-반응 평가에 기초하여 후속 실험에 0.1μM의 농도를 사용했다.
LJ-4378와 A 2A AR 효현제 또는 A 3 AR 길항제의 비교
<4-1> 아데노신 수용체 발현 수준 확인
qPCR 분석을 수행하여 불멸화된 갈색 지방전구세포에서 분화된 갈색 지방세포의 아데노신 수용체 발현 수준을 조사했다. qPCR 분석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3]에 나열되어 있다.
유전자 정방향(5'→3') 역방향(5'→3')
Ucp1 TGG CCT CTC AGT GGA TGT G
(서열번호 1)
CGT GGT CTC CCA GCA TAG AAG
(서열번호 2)
Cidea TGC TCT TCT GTA TCG CCC AGT
(서열번호 3)
GCC GTG TTA AGG AAT CTG CTG
(서열번호 4)
Ppia GTG GTC TTT GGG AAG GTG AA
(서열번호 5)
TTA CAG GAC ATT GCG AGC AG
(서열번호 6)
Adora1 TGGCTCAGTTCGTGCATCAT
(서열번호 7)
ATCCTTACCCATCGACTGCC
(서열번호 8)
Adora2a CAGAGAAGGGAAGCAATCGCA
(서열번호 9)
ACCATGACTTCTACAGGGGGT
(서열번호 10)
Adora2b GCGTCCCGCTCAGGTATAAA
(서열번호 11)
CAATGCCAAAGGCAAGGACC
(서열번호 12)
Adora3 AGT AAG AAC GGT GGC CCT CT
(서열번호 13)
ATC CCT GCC TTC CCA TTA ACC
(서열번호 14)
A2AAR은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고(도 3a: 343.7±68.04), A3AR(도 3a: 0.19±0.03)은 조사된 아데노신 수용체 중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4-2> LJ-4378, A 2A AR 효현제 또는 A 3 AR 길항제의 지방분해 효과 비교
LJ-4378의 지방분해 효과를 각각 A2AAR 효현제 및 A3AR 길항제인 CGS21680(Cayman, 124431-80-7) 및 LJ-4433과 비교했다.
배지 내 글리세롤 및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FFA) 수준은 제조업체의 제품 프로토콜에 따라 글리세롤 시약(Sigma Aldrich, F6428) 및 NEFA 시약(WAKO, 436-91693)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글리세롤 및 FFA 분석 모두에서 LJ-4378 처리는 CGS21680(도 3b: 1.51±0.08 배, 도 3c: 1.29±0.09 배) 및 LJ-4433(도 3b: 1.22±0.07 배; 도 3c: 0.92±0.09 배)에 비해 각각 1.61±0.07 및 1.59±0.1의 가장 큰 배수 변화를 나타냈다(도 3b, c). 면역블롯 분석은 인산화된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P-CREB)(LJ-4378에 의해 2.32±0.05배 증가; CGS21680에 의해 2.00±0.11배 증가; LJ-4433에 의해 1.40±0.11배 증가) 및 P-HSL(LJ-4378에 의해 2.10±0.12배 증가, CGS21680에 의해 1.54±0.05배 증가, LJ-4433에 의해 1.22±0.07배 증가)을 포함한 PKA 다운스트림 단백질의 상향 조절된 수준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LJ-4378의 부가 효과를 추가로 확인했다(도 3d).
LJ-4378의 갈색 지방세포에 대한 영향
갈색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함량 및 대사 활성 능력에 대한 LJ-4378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산소 소비율(OCR)은 XFp 분석기로 측정했다. 세포를 37℃에서 4mM L-glutamine(Sigma, G8540)과 25mM D-glucose(Sigma, G7021)가 첨가된 XF DMEM 기본 배지(Agilent, 103575-100, pH 7.4)에서 배양하였다. XFp 세포 미토 스트레스 테스트 키트(Agilent, 103010-100)는 최적의 최종 농도 2.5μM 올리고마이신, 0.5μM FCCP 및 0.5μM 로테논/안티마이신 A 및 기저, 최대, 양성자 누출로 순차적으로 준비 및 계산되었다. 그런 다음 OCR을 단백질 농도로 정규화했다.
세포를 MitoTracker™ Red CMXRos(1:3000, Invitrogen, M7512)에 37℃에서 15분 동안 노출시켜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한 다음,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 Sigma, 158127)로 고정했다. 이미지는 LSM800 공초점 현미경(Zeiss, Germany)을 얻고 Zen 소프트웨어(버전 3.0)로 분석했다.
갈색 지방 세포 마커 UCP1과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COXIV의 발현 수준은 LJ-4378 처리에 의해 각각 2.93±0.23배 및 2.18±0.15배 유의하게 증가했다(도 4a). MitoTracker 염색은 또한 LJ-4378이 갈색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2.12±0.06배 증가시켰음을 보여주었다(도 4b). 또한, 본 발명자들은 미토콘드리아 함량에 대한 LJ-4378의 이러한 효과를 A2AAR 효현제(CGS21680) 및 A3AR 길항제(LJ-4433)와 비교했다. CGS21680과 LJ-4433은 모두 UCP1, COXIV 및 MCAD를 증가시켰다(도 4d). 그러나 LJ-4378에서 더 큰 효과가 관찰되었으며(도 4d: UCP1에서 2.67±0.38배 증가, COXIV에서 2.53±0.08배 증가, MCAD에서 4.91±0.02배 증가), 이는 추가 효과를 시사하였다.
기능 분석을 위해 산소 소비율을 조사한 결과 LJ-4378에 의해 기초(30.5%), 최대(49.1%) 및 ATP 생산(29.3%)과 관련된 OCR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c).
LJ-4378의 지방 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활성 및 in vivo 에너지 소비에 대한 영향
미토콘드리아 산화적 인산화와 관련된 생체 외 전자 전달 활성은 0.1% 트리페닐 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TTC, Sigma, T8877)의 환원을 모니터링하여 평가되었다.
간접 열량계(Indirect calorimetry)는 PhenoMaster(TSE Systems)를 사용하여 소비(EE), VO2, VCO2, 활동 및 음식 섭취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체성분은 핵자기공명 스캐닝 EchoMRI-700(Echo Medical Systems)으로 측정되었다.
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TTC)를 사용한 제자리 염색에서 산화환원 지표는 LJ-4378이 모든 지방 조직 저장소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상향 조절함을 보여주었다(도 5a: BAT에서 2.86±0.24배 증가; iWAT에서 2.07±0.17배 증가; gWAT에서 1.72±0.16배 증가).
간접 열량 측정 분석은 LJ-4378 처리가 산소 소비를 17.8% 증가시켜 활동과 음식 섭취가 영향을 받지 않는 동안 에너지 소비를 17.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b).
In vivo 지방 조직 갈변에 대한 LJ-4378 의 영향
지방 조직 갈변에 대한 LJ-4378의 상승 효과를 형광 및 발광 신호를 통해 갈색 지방 세포의 마커인 CIDEA의 발현을 반영하는 CIDEA 리포터 마우스에서 조사하였다.
In vivo 생물발광은 광학 이미징 장치(Ami-X, Spectral Instruments Imaging)를 사용하여 감지하였다. In vivo 생물발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마우스에 D-luciferin(150 mgkg-1, Goldbio) 을 복강 내 주사하였다. Aura Software(Spectral Instruments Imaging, 버전 2.2.1.1)를 사용하여 정량화했다. 또한, D-luciferin(150 mgkg-1, Goldbio, i.p.)을 처리한 CIDEA 리포터 마우스로부터 생체 외 영상화 조직을 수집하였다. 영상화 동안, 분리된 조직은 PBS(300㎍/ml)에 D-luciferin 을 함유하는 12웰 플레이트에서 유지되었다.
LJ-4378은 BAT와 iWAT의 생물발광 강도를 크게 증가시켰다(도 6a, b). 특히 CGS21680 및 LJ-4433에 비해 iWAT가 크게 증가하여 특히 백색 지방 조직에서 갈변에 LJ-4378의 부가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vivo 생물 발광 결과에 따라 LJ-4378 처리는 BAT 및 iWAT의 생체 외 발광 신호에서 가장 유의한 증가를 가져왔다(도 6c).
갈색 지방세포 마커의 mRNA 수준도 조사한 결과, LJ-4378이 Ucp1(LJ-4378에 의해 2.13±0.21배 증가, CGS21680에 의해 1.72±0.17배 증가, LJ-4433에 의해 1.74±0.08배 증가) 및 Cidea(LJ-4378에 의해 1.72±0.06배 증가, CGS21680에 의해 1.29±0.12배 증가, LJ-4433에 의해 1.12±0.04배 증가, LJ-4433에 의해 증가) 을 포함한 갈변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가장 큰 증가를 가져왔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LJ-4378의 항비만 효과
LJ-4378의 지방 분해 및 갈변 효과가 항비만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HFD를 먹인 생쥐를 식이유발 비만 모델로 활용하였다. 처리 중 체중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처리 후 마우스의 지방 및 체성분을 측정하였다.
조직학적 분석은, 지방조직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에 포매하였다. 파라핀 섹션은 헤마톡실린/에오신(H&E)으로 염색되었다.
포도당 내성 시험(GTT)을 위해, 20% D-Glucose(1 gkg-1, Sigma Aldrich, G7021)를 마우스에 복강 내 주사하였다. 혈당 측정기는 혈당 측정기(Gluco Dr. Top, allmedicus, AGM-4100)를 사용하여 혈당 농도를 측정하였다.
LJ-4378 처리된 HFD 먹인 마우스는 체중이 8.24% 감소하고 지방량이 24.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7a, b). 또한, iWAT 및 gWAT의 무게는 HFD 공급 마우스에서 LJ-4378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했다(도 7c: iWAT에서 30.1% 감소, gWAT에서 18.6% 감소). iWAT 및 gWAT에서 감소된 지방세포 크기는 H&E 염색에 의해 추가로 지지되었다(도 7d, e). 또한, LJ-4378은 HFD를 먹인 마우스에서 내당능(glucose tolerance)을 개선했다(도 7f).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및 PKA 다운스트림 마커의 발현 수준을 조사하여 이러한 항비만 및 항당뇨병 효과가 증가된 미토콘드리아 함량 및 PKA 신호전달의 활성화에 의해 유도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LJ-4378은 COXIV(BAT: 5.91±0.23배, iWAT: 1.24±0.04배), UCP1(BAT: 1.33±0.06배, iWAT: 3.34±0.36배), P-CREB(BAT: 1.54±0.03 배; iWAT: 3.86±0.12배), 및 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의 BAT 및 iWAT에서 P-HSL(BAT: 2.31±0.18 배, iWAT: 1.72±0.04 배)를 상향조절했다(도 8).
[데이터 및 통계 분석]
통계분석은 Prism 7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USA)를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시되었다. 통계적 유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두 그룹 사이에 unpaired t-검정이 사용되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R1은 H, C1-C10 알킬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10 알킬기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H, 메틸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4 알킬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1) 2-(6-아미노-2-(헥스-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2) (2R,3R,4S)-2-(6-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3) (2R,3R,4S)-2-(6-((3-플루오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4) (2R,3R,4S)-2-(6-((3-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5)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6) (2R,3R,4S)-2-(6-((3-요오도벤질)아미노)-2-(프로프-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7) (2R,3R,4S)-2-(6-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8) (2R,3R,4S)-2-(2-(부트-1-인-1-일)-6-((3-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9) (2R,3R,4S)-2-(2-(부트-1-인-1-일)-6-((3-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3,4-디올;
    (10) (2R,3R,4S)-2-(6-((3-브로모벤질)아미노)-2-(부트-1-인-1-일)-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및
    (11) (2R,3R,4S)-2-(2-(부트-1-인-1-일)-6-((3-요오도벤질)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올;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A2A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대한 효현제(agonist)이자 A3 아데노신 수용체(AR)에 대한 길항제(antagoni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2A 아데노신 수용체(AR) 및/또는 A3 아데노신 수용체(AR) 관련 질환은 비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R1은 H, C1-C10 알킬기 또는 아릴-C1-C10 알킬기 이고,
    R2는 C1-C10 알킬기 이다.
KR1020220091348A 2022-07-22 2022-07-22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3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348A KR20240013997A (ko) 2022-07-22 2022-07-22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3/010564 WO2024019582A1 (ko) 2022-07-22 2023-07-21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348A KR20240013997A (ko) 2022-07-22 2022-07-22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997A true KR20240013997A (ko) 2024-01-31

Family

ID=8961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348A KR20240013997A (ko) 2022-07-22 2022-07-22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3997A (ko)
WO (1) WO202401958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732A (ko) 2010-03-31 2013-03-19 팔로바이오파마, 에스.엘. 4―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및 아데노신 a2a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로서의 이들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763B1 (ko) * 2011-03-10 2013-06-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2a 아데노신 수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20909B1 (ko) * 2017-07-07 2018-01-23 퓨쳐메디신 주식회사 아데노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만성신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732A (ko) 2010-03-31 2013-03-19 팔로바이오파마, 에스.엘. 4―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 및 아데노신 a2a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로서의 이들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ong, L. S.; Lee, H. W.; Jacobson, K. A.; Kim, H. O.; Shin, D. H.; Lee, J. A.; Gao, Z.-G.; Lu, C.; Duong, H. T.; Gunaga, P.; Lee, S. K.; Jin, D. Z.; Chun, M. W.; Moon, H. R.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2-chloro-N6-substituted-40-thioadenosine-50-uronamides as highly potent and selective agonists at the human A3 adenosine receptor. J. Med. Chem. 2006, 49, 273-2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582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989B1 (ko) S1pr4를 타겟으로 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60855B2 (ja) 活性成分としてインジルビン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WO2012140504A1 (en) Therapeutic compounds
CN112870187A (zh) 贝壳杉烷类化合物在制备人体组织中磷酸二酯酶活性的调节剂的药物应用
US2020038400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inflammatory disease, containing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JP2022534863A (ja) 骨格筋の疾患を治療/予防するための還元型ニコチンアミドリボシド
KR101377037B1 (ko) 항암용 조성물
CN117323323A (zh) 奇楠成分对ampk的激活作用
US20240108597A1 (en) Galloylated procyanidins for increasing intracellular nitric oxide production
US10272055B2 (en) Therapeutic compounds and methods
WO2015092720A1 (en) Metabolites of sonidegib (lde225)
KR20240013997A (ko)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리간드 내지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2808B1 (ko) 플라즈마 처리된 플로리진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47802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7779B1 (ko) 피라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검출하기 위한 스크리닝 방법
KR101729078B1 (ko) 엔아미드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114300A (ko) RhoA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100760999B1 (ko) Ppar감마를 활성화하는 찔레버섯 추출물 및 이로부터분리된 클로로페린 화합물
JP5962399B2 (ja) 代謝促進剤組成物
KR20100040488A (ko) 인디루빈의 유도체인 5’-나이트로-인디루비녹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19753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fibrosis, containing triazole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KR100599249B1 (ko) 연교로부터 분리한 산화질소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
KR20230143965A (ko)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2339A (ko) 교모세포종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N118059102A (en) Medicine for delaying sen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