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174A -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 Google Patents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174A
KR20240012174A KR1020220089747A KR20220089747A KR20240012174A KR 20240012174 A KR20240012174 A KR 20240012174A KR 1020220089747 A KR1020220089747 A KR 1020220089747A KR 20220089747 A KR20220089747 A KR 20220089747A KR 20240012174 A KR20240012174 A KR 2024001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rp
tension
triple
qui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선
Original Assignee
정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선 filed Critical 정지선
Priority to KR102022008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174A/ko
Publication of KR2024001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17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SEMICONDUCTOR ETCHING EQUIPMENT CAPABLE OF SIMULTANEOUSLY ETCHING AN EDGE AND A BACK SURFACE OF A SUBSTRATE}
본 발명은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비직물은 두 겹의 원단 사이에 솜이나 양모를 내충재로 덧대고 이들을 고정시키도록 외부에서 줄무늬로 봉제하여 제조하는 방한용 원단이다.
누비직물은 여러 겹의 직물이 견고하게 접결되어 이루어지므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충재의 벌키성에 따른 보온 효과로 인해 높은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누비 기법별로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줄무늬의 심미적 효과와 더불어 시원한 질감 등으로 인해 침구류나 의복 등 다양한 용도의 제품 원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누비직물은 과거에는 여러 겹의 직물을 겹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한땀 한땀 홈질로 누벼 제조하였으나, 최근에는 공지된 등록특허 제 10 - 0944536 호의 줄누비기 또는 등록실용신안 제 20 - 0165229 호에 공지된 누비기와 같이 누비 봉제를 위한 전용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누비기는 우선 겉감이 되는 표면 및 이면 원단은 제직기를 이용해 각각 별도로 제직하여 두층의 직물을 만들고 이 두 직물 사이에 충전될 내충재 역시 별도 마련한 후, 표면직물과 내충재와 이면직물을 차례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누비기를 이용해 세 겹의 원단을 박음질하여 누비는 일련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누비직물을 제조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출원인이 선행하여 특허출원한 제 10 - 2016 - 0095275 호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과는 차별하여 표면원단과 쿠션층 및 이면원단으로 이루어진 3중 층을 동시에 제직 및 접결하여 제조되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방법 및 원단을 구성한바,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표면경사를 상하 교대로 표면위사와 교차하여 제직되는 표면원단과, 복수의 이면경사를 상하 교대로 이면위사와 교차하여 제직되는 이면원단과 표면원단과 이면원단의 사이에 중간위사를 위입하여 미제직 상태로 볼륨감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쿠션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원단과 쿠션층과 이면원단에는 표면원단의 상층 및 이면원단의 하층으로 접결경사를 위입하되 상기 표면위사 및 이면위사와 복수의 올 간격으로 교차하여 표면원단과 쿠션층과 이면원단을 접결시키는 접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결경사는 컴퓨터에 의해 교차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표면위사 및 이면위사와 교차되는 접결부의 형성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는 표면원단과, 쿠션층과, 이면원단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동시에 제직 및 접결하도록 이루어지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및 이면원단을 형성하는 각각 복수의 표면 및 이면경사를 정경하는 주경사빔(110)과; 상기 주경사빔의 일측에서 상기 표면원단 내지 이면원단을 접결하는 복수의 접결경사를 정경하는 보조경사빔(120)과; 상기 주경사빔(11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위입되는 복수의 표면 및 이면경사의 개구를 통해 표면 및 이면위사를 교차시키는 제1,2셔틀(141,142)과; 상기 제1,2셔틀(141,142)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경사빔(12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위입되는 복수의 접결경사의 개구를 통해 쿠션층을 형성하는 중간위사를 교차시키는 쿠션셔틀(15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경사빔(120)에는, 보조경사빔(12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기어(161)와 연동하여 보조경사빔(120)을 회전시키는 기어모터(162)와, 기어모터(162)에 장착하여 기어모터(16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163)와, 인버터(163)에 작동값을 설정하는 제어기(164)로 이루어져 접결경사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1장력제어수단(160)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원단과 쿠션층 및 이면원단을 동시에 제직하면서 접결경사를 위입하여 접결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종래의 누비기에 비해 공정을 효율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고 경제적 이득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는 주경사빔에 정경된 표면 및 이면경사를 위입하고 표면 및 이면위사를 교차해 각 원단을 제직하는 공정, 및 내충재인 쿠션층용 중간위사를 위입하는 과정을 일시에 진행하여 3중 누비직물을 제직하되, 이와 동시에 보조경사빔에 정경된 접결경사를 위입하여 상기 3중 층을 접결시킴에 따라 전 공정을 동시에 진행하여 누비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표면 및 이면위사를 교차시키는 셔틀 과정, 또는 바디침 과정에 의하여 접결경사가 일시적으로 장치 내로 당겨져 들어가는 현상이 반복 발생함으로 인해 접결경사의 장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한 채 누비직물을 제조하게 되는 문제점을 배제하여 접결경사의 장력을 적정 상태로 제어할 수 있도록 2단계에 걸친 장력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누비직물의 품질을 좌우하는 접결경사가 원단의 종류 및 줄무늬의 형상에 따라서 균등하게 적정 장력 및 간격으로 제어됨으로써 누빔 상태가 균일함은 물론 누비직물을 후가공 시에도 장력 조절 실패로 인해 야기되는 변형 및 수축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배제하여 고품질의 누비직물을 간편하게 제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장력제어수단(160)의 요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요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누비직물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누비직물의 후가공 처리 후 상태를 도시한 예시이미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장력제어수단(160)의 요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요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요부 사시도 및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누비직물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누비직물의 후가공 처리 후 상태를 도시한 예시이미지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는 누비직물(200)을 구성하는 표면원단(207)과 쿠션층(208) 및 이면원단(209)으로 이루어진 3중 층의 제직 및 접결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하되, 특히 3중 층을 접결하도록 보조경사빔(120)에 정경된 접결경사(203)의 위입 시 장력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탑재하여 균등한 간격 및 장력으로 줄무늬가 형성된 고품질의 누비직물(200)을 간편하게 제조하도록 하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는, 표면원단(207)과, 쿠션층(208)과, 이면원단(209)으로 이루어진 3중 층 구조를 동시에 제직 및 접결하도록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주경사빔(110)과, 보조경사빔(120)과, 가이드빔(130)과, 제1,2셔틀(141,142) 및 쿠션셔틀(15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주경사빔(110)은 표면원단(207)을 형성하는 복수의 표면경사(201)와, 이면원단(209)을 형성하는 복수의 이면경사(202)를 정경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3중 누비직물(2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원단(207)의 제직에 사용되는 표면경사(201)와 이면원단(209)의 제직에 사용되는 이면경사(202)가 상·하로 위입되므로 이들 경사를 주경사빔(110)에 정경하여 장치(100) 내로 위입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보조경사빔(120)은 상기 주경사빔(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주경사빔(110)의 후방에서 상기 표면원단 내지 이면원단(107~109)을 접결하는 복수의 접결경사(203)를 정경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결경사(203)는 표면원단(207)의 상측 및 이면원단(209)의 하측을 교번하면서 3중 층의 원단들을 접결시키며, 누비직물(200)의 줄무늬를 형성하므로 별도의 보조경사빔(120)에 정경하여 장치(100) 내로 위입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2셔틀(141,142)은 상기 주경사빔(11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위입되는 복수의 표면 및 이면경사(101,102)의 개구를 통해 표면 및 이면위사(104,105)를 교차시킨다.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상기 제1,2셔틀(141,142) 및 쿠션셔틀(150)의 개략적인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셔틀(141)은 주경사빔(110)에서 위입되는 복수의 표면경사(201) 사이에 종광(미부호)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교차하면서 표면위사(204)를 위입하여 표면원단(207)이 제직되도록 한다. 상기 제2셔틀(142)은 제1셔틀 및 후술하게 될 쿠션셔틀(150)의 하측에서 주경사빔(110)에서 위입되는 복수의 이면경사(202) 사이에 종광(미부호)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교차하면서 이면위사(205)를 위입하여 이면원단(209)이 제직되도록 한다.
상기 쿠션셔틀(150)은 상기 제1,2셔틀(141,142)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경사빔(12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위입되는 복수의 접결경사(203)의 개구를 통해 쿠션층(208)을 형성하는 중간위사(206)를 교차시킨다.
본 발명의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누비직물(200)에서 상기 쿠션층(208)을 형성하는 중간위사(206)는 별도의 경사를 이용해 제직하지 않은 상태로 표면원단(207) 및 이면원단(209)의 사이에 쿠션셔틀(150)을 통해 위입시킴에 따라 고수축사에 의한 볼륨감을 효과적으로 부여하여 보온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원단(207)과, 쿠션층(208)과, 이면원단(209)으로 이루어진 3중 층이 제직되면서 동시에 접결경사(203)에 의한 접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므로, 특히 주경사빔(110)에 정경된 표면 및 이면경사(101,102)의 위입 속도와 보조경사빔(120)에 정경된 접결경사(203)의 위입 속도는 상호 정확한 계측에 의해 제어되어야 한다.
즉, 상기 주경사빔(11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장치(100) 내로 위입되는 복수의 표면경사(201) 및 이면경사(202)는 종광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제1,2셔틀(141,142)이 반복 교차하면서 표면원단(207) 및 이면원단(209)이 제직된다. 이 과정에서 표면경사(201) 및 이면경사(202)는 제1,2셔틀(141,142)에 의해, 또는 빗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바디(미부호)에 의해 표면 및 이면위사(104,105)를 밀어주는 바디침 과정에 의해 일시적으로 장치(100) 내로 당겨져 들어가는 현상이 반복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경사빔(120)에 정경된 접결경사(203) 역시 표면 내지 이면원단(107~109)의 제직과 동시에 접결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표면 및 이면경사(101,102)와 함께 장치(100) 내로 일시적으로 장치(100) 내로 당겨지게 되어 장력을 적정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3중 층을 접결시키는 과정, 또는 누비직물(200)의 후가공 과정에서 접결경사(203)가 절사되거나 늘어지는 현상, 누비직물(200)의 변형 및 수축 현상 등의 발생이 야기되어 불량 제품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결경사(203)는 정경하는 보조경사빔(120)에는 [0042] 보조경사빔(12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기어(161)와 연동하여 보조경사빔(120)을 회전시키는 기어모터(162)와, 기어모터(162)에 장착하여 기어모터(16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163)와, 인버터(163)에 작동값을 설정하는 제어기(164)로 이루어져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1장력제어수단(160)을 설치한다.
상기 구동기어(161)와 기어모터(162)에는 상호 치합하는 기어치를 형성하되, 보조경사빔(120)의 회전 동작이 기어치의 간격에 따라 간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 속도에서 연속적인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기어치의 형상을 곡선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버터(163)는 상기 기어모터(16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기(164)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또는 이면원단(107,109), 쿠션층(208)의 두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바디침 과정에서 발생하는 접결경사(203)의 당겨짐 정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그에 따른 보조경사빔(120)의 회전 속도가 상응하도록 제어기(164)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보조경사빔(120)의 상측에는 원통형의 장력빔(171)을 구비하여 보조경사빔(120)에서 가이드빔(130)으로 위입되는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2장력제어수단(170)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은 크게 회동바(178)와 고정판(182)으로 이루어져 보조경사빔(120)과 가이드빔(130) 상간에 위치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회동바(178)는 장력빔(171)의 양단이 결합하는 결합부(172)와 결합부(172)의 하측에서 축공(173)을 형성하는 제1바(174)와, 상기 제1바(174)의 축공(173)과 동축선상에 축공(175)을 형성하고 제1바(174)와 평행하게 하향 구비되는 제2바(176)가 고정축(177)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182)은 상기 축공(173,175)에 결합된 고정축(177)을 고정하는 축고정부(179)와, 상기 제2바(176)에 일단을 결합하는 스프링(180)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부(181)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182)에 고정된 고정축(177)을 기점으로 상기 결합부(172)와 제2바(176)의 하단이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왕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접결경사(203)가 제1,2셔틀(141,142)의 동작 및 바디침 과정에서 장치(100) 내측으로 당겨짐이 반복 때마다 장력빔(171)이 가이빔과 보조경사빔(120) 상간에서 탄성적으로 동작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다른 실시 예를 구성한다.
즉, 상기 회동바(178)는 장력빔(171)의 양단이 결합하는 결합부(172)와 결합부(172)의 상측에서 축공(173)을 형성하는 제1바(174)와, 상기 제1바(174)의 축공(173)과 동축선상에 축공(175)을 형성하고 제1바(174)와 일정 각도 절곡되게 하향 구비되는 제2바(176)가 고정축(177)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182)은 상기 축공(173,175)에 결합된 고정축(177)을 고정하는 축고정부(179)와, 상기 제2바(176)에 일단을 결합하는 스프링(180)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부(181)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77)을 기점으로 상기 결합부(172)와 제2바(176)의 하단이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왕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접결경사(203)가 제1,2셔틀(141,142)의 동작 및 바디침 과정에서 장치(100) 내측으로 당겨짐이 반복될 때마다 장력빔(171)이 가이빔과 보조경사빔(120) 상간에서 탄성적으로 동작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180)은, 제1바(174)의 결합부(172)에 결합된 장력빔(171)이 고정축(177)을 기점으로 가이드빔(130) 또는 보조경사빔(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바(176)에 탄성 복원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3중 누비직물(200)을 제조하기 위하여 표면원단(207)을 구성하는 복수의 표면경사(201)와, 이면원단(209)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면경사(202)는 주경사빔(110)에 정경하여 장치(100) 내로 위입한다.
상기 주경사빔(110)의 상측에는 가이드빔(130)이 구비되어 상기 표면 및 이면경사(101,102)의 장치(100) 내 위입을 가이드한다.
상기 표면경사(201) 및 이면경사(202)는 장치(100) 내에 구비된 종광에 의해 각각의 개구를 형성하고, 제1셔틀(141)의 교차에 의해 표면위사(204)가 위입되어 표면원단(207)이 제직되며 제2셔틀(142)의 교차에 의해 이면위사(205)가 위입되어 이면원단(209)이 제직되며 표면원단(207) 및 이면원단(209)의 사이로 쿠션셔틀(150)의 교차에 의해 중간위사(206)가 위입되어 쿠션층(208)이 형성된다.
상기 표면원단(207) 및 이면원단(209)이 제직됨과 동시에 상기 접결경사(203)가 표면원단(207)의 상측 및 이면원단(209)의 하측을 교번하여 표면원단 내지 이면원단(107~109) 3중 층을 접결하면서 줄무늬를 형성하도록 접결경사(203)는 주경사빔(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보조경사빔(120)에 정경하여 장치(100) 내로 위입된다.
한편, 상기 표면경사(201) 및 이면경사(202)는 제1,2셔틀(141,142)에 의해, 또는 빗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바디(미부호)에 의해 표면 및 이면위사(104,105)를 밀어주는 바디침 과정에 의해 일시적으로 장치(100) 내로 당겨져 들어가는 현상이 반복되며, 따라서 상기 접결경사(203) 역시 일시적으로 장력을 소실하고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경사빔(120)에는 제1장력제어수단(160)을 구비하고 제조하고자 하는 누비직물(200)의 두께나 줄무늬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제어기(164)를 통해 설정한 작동값에 따라 인버터(163)가 기어모터(16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구동기어(161)에 의해 구동하는 보조경사빔(120)의 회전 속도 제어를 통해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보조경사빔(120)의 상측, 즉 상기 가이드빔(130)과 보조경사빔(120)의 사이에는 보조경사빔(120)에서 가이드빔(130)으로 위입되는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2장력제어수단(170)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경사빔(120)에서 해사되는 접결경사(203)가 장력빔(171)에 의해 재차 장력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스프링(180)이 장력빔(171)을 가이드빔(13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셔틀(141,142) 또는 바디침 과정에 의해 일시적인 당김 현상이 발생 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빔(171)이 가이드빔(130)을 향해 하향하면서 자연스럽게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접결경사(203)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배제하여 장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다른 예로서 도 6 내지 도 7의 구성에서는 제1바(174)와 제2바(176)를 일정 각도 절곡되고 구비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장력제어수단(170)의 스프링(180)이 장력빔(171)을 보조경사빔(12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작용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셔틀(141,142) 또는 바디침 과정에 의해 일시적인 당김 현상이 발생 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빔(171)이 보조경사빔(120)을 향해 하향하면서 자연스럽게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접결경사(203)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배제하여 절사를 방지하고 장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및 이면원단(107,109)의 두께, 쿠션층(208)의 두께 등의 조건에 따라 줄무늬를 형성하는 상기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상기 제1장력제어수단(160)에 의해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1,2셔틀(141,142)의 왕복 동작 및 바디침 과정에서 표면 및 이면경사(101,102)와 함께 접결경사(203)가 장치(100) 내측으로 일시적인 당겨짐이 반복될 때마다 제2장력제어수단(170)이 가이빔과 보조경사빔(120) 상간에서 탄성적으로 동작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제어하여 3중 누비직물(200) 제직 및 접결 공정이 동시에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는 표면원단(207)과 쿠션층(208) 및 이면원단(209)을 제직하면서 동시에 접결경사(203)를 위입하여 3중 층을 접결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설비 구축을 간소화하고 공정을 효율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표면 및 이면위사(204,205)를 표면 및 이면경사(201,202)와 교차시키는 셔틀 과정, 또는 바디침 과정에 의하여 접결경사(203)가 일시적으로 장치(100) 내로 당겨져 들어가는 현상의 반복 발생으로 인해 접결경사(203)의 장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한 채 누비직물(200)을 제조하게 되는 문제점을 배제하여 접결경사(203)의 장력을 적정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누비직물(200)의 누빔 상태가 균일함은 물론 누비직물(200)을 후가공 시에도 각종 변형 및 수축과 같은 문제점을 배제하여 고품질의 누비직물(200)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표면원단과, 쿠션층과, 이면원단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동시에 제직 및 접결하도록 이루어지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및 이면원단을 형성하는 각각 복수의 표면 및 이면경사를 정경하는 주경사빔(110)과;
    상기 주경사빔의 일측에서 상기 표면원단 내지 이면원단을 접결하는 복수의 접결경사를 정경하는 보조경사빔(120)과;
    상기 주경사빔(11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위입되는 복수의 표면 및 이면경사의 개구를 통해 표면 및 이면위사를 교차시키는 제1,2셔틀(141,142)과;
    상기 제1,2셔틀(141,142)의 사이에서, 상기 보조경사빔(120)에서 가이드빔(130)을 거쳐 위입되는 복수의 접결경사의 개구를 통해 쿠션층을 형성하는 중간위사를 교차시키는 쿠션셔틀(15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경사빔(120)에는,
    보조경사빔(120)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기어(161)와 연동하여 보조경사빔(120)을 회전시키는 기어모터(162)와,
    기어모터(162)에 장착하여 기어모터(16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163)와, 인버터(163)에 작동값을 설정하는 제어기(164)로 이루어져 접결경사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1장력제어수단(160)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
KR1020220089747A 2022-07-20 2022-07-20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KR20240012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47A KR20240012174A (ko) 2022-07-20 2022-07-20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747A KR20240012174A (ko) 2022-07-20 2022-07-20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174A true KR20240012174A (ko) 2024-01-29

Family

ID=8971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747A KR20240012174A (ko) 2022-07-20 2022-07-20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4091B2 (ja) 三次元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9926651B2 (en) Method and means for weaving, 3D fabric items thereof and their use
US6315007B1 (en) High speed three-dimensional weaving method and machine
JPH04108137A (ja) 結合部材用三次元織物
US5540260A (en) Multi-axial yarn structure and weaving method
JP2000355849A (ja) 立体構造材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基布
CA2455835C (en) Tetraxial fabric and machine for its manufacture
JPH0791725B2 (ja) 異形断面の三次元織物
KR20240012174A (ko)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와 이에 의해 생상되는 침대 매트리스 커버용 누비직물
JPS5951814B2 (ja) 織り込みスライドフアスナ−とその製造装置
CN108588973B (zh) 3d间隔织物织造装置及方法
KR102102049B1 (ko) 광폭용 연폭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6152187A (en) Heald frame weaving machine for forming strengthened tubular-woven products
JP3870289B2 (ja)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用有端状ベース部材及び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
KR20180012454A (ko) 3중 누비직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원단
JP5822227B2 (ja) 無縫製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RU246621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контурно-профильной ткани
JP7216415B2 (ja) 布団側地の製造方法及び布団の製造方法
JP2873117B2 (ja) 筒状多層織物とその製造方法
KR102189178B1 (ko) 입체 직물, 입체 직물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180096260A (ko) 다중 빔을 이용한 3중 누비직물 제조장치
CN104674421A (zh) 一种超高密超细双层管子防绒布及其制造方法
JPH04100943A (ja) 厚地織物の製織方法及び織機
JP2672832B2 (ja) 四軸織機
JP2014136842A (ja) 三次元織物の製造方法、三次元織物構造及び織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