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943A -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943A
KR20240009943A KR1020237039392A KR20237039392A KR20240009943A KR 20240009943 A KR20240009943 A KR 20240009943A KR 1020237039392 A KR1020237039392 A KR 1020237039392A KR 20237039392 A KR20237039392 A KR 20237039392A KR 20240009943 A KR20240009943 A KR 2024000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wire
metal thin
thi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미 데라야
Original Assignee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the conductive material being removed chemically or electrolytically, e.g. by photo-etch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45Polyester,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과제] 금속 세선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한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도전 시트(1)는, 투명 기재(3)와, 투명 기재(3)의 제1면에 형성된 제1 도전 패턴(10)을 구비한다. 제1 도전 패턴(10)은, 제1 방향 d1로 연장되고 제2 방향 d2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고 제1 방향 d1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2 금속 세선(12)을 포함한다. 제1 방향 d1로 연장되는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는 제2 금속 세선(1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공통인 제1 굴곡선(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에 의해 제1 둔각부 θ가 형성된다. 제1 굴곡선(13)은, 제1 둔각부 θ끼리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상의 금속 세선을 포함하는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터치 센서의 전극 등에 사용되는 도전 시트로서, 투명 기재에 메시상의 금속 세선을 형성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메시의 패턴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마름모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을 깔아 채운 격자 형상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메시 형상의 금속 세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전 잉크를 패턴에 따라 인쇄하는 방법이나, 금속박을 에칭함으로써 패터닝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44163호
그러나, 금속 세선이 교차하는 각도가 예각일 경우, 인쇄 시에 예각 부분에서 도전 잉크가 번지거나, 혹은 에칭액이 예각 부분에 충분히 도달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인해, 금속 세선의 교점 부분의 면적이 커져 버려, 금속 세선이 시인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세선이 시인되는 것을 억제한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발명은,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금속 세선과, 그 제1 금속 세선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1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된 제1 도전 패턴을 구비하고, 제1 금속 세선과 제2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1 굴곡선을 포함하고, 제1 굴곡선은, 제1 금속 세선과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1 둔각부끼리를 접속하는, 도전 시트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제1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까지 연장되는 제1 금속 세선 및 제2 금속 세선을 각각 제1 금속 변 및 제2 금속 변이라 하면, 제1 굴곡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금속 변과 제2 금속 변은,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구성된, 도전 시트이다.
제3 발명은,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제1 금속 변 또는 제2 금속 변의 양단에 있는 제1 굴곡선은, 평행한, 도전 시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굴곡선이 대향하는 제1 둔각부끼리를 접속함으로써, 제1 금속 세선과 제2 금속 세선으로 형성되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세선이 교차하는 개소에서 정확하게 패터닝할 수 있어,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운 도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은, 제1 내지 제3 발명에 있어서, 투명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제1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 금속 세선과, 그 제3 금속 세선과 교차하고 또한 제2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2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된 제2 도전 패턴을 더 구비하고, 제3 금속 세선과 제4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2 굴곡선을 포함하고, 제2 굴곡선은, 제3 금속 세선과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2 둔각부끼리를 접속하는, 도전 시트이다.
제5 발명은, 제4 발명에 있어서, 제2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까지 연장되는 제3 금속 세선 및 제4 금속 세선을 각각 제3 금속 변 및 제4 금속 변이라 하면, 제2 굴곡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3 금속 변과 제4 금속 변은,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구성된, 도전 시트이다.
제6 발명은, 제4 또는 제5 발명에 있어서, 제3 금속 변 또는 제4 금속 변의 양단에 있는 제2 굴곡선은, 평행한, 도전 시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투명 기재의 양면에 있어서 금속 세선이 교차하는 개소에서 금속의 면적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여,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운 도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제7 발명은, 제4 내지 제6 발명에 있어서, 제2 굴곡선은, 제1 개구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도전 패턴과 제2 도전 패턴이 밀집하여 배치되는 일이 없으므로, 금속 세선의 소밀의 차에 의해 금속 세선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8 발명은, 제4 내지 제7 발명에 있어서, 제2 금속 세선은, 제1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의 사이에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단선부를 포함하고, 제3 금속 세선은, 제2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의 사이에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단선부를 포함하고, 제1 단선부와 제2 단선부는, 교차하지 않는, 도전 시트이다.
제9 발명은, 제8 발명에 있어서, 제2 금속 세선은, 제2 금속 변과 제1 단선부가 교호로 배치되고, 제3 금속 세선은, 제3 금속 변과 제2 단선부가 교호로 배치된, 도전 시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단선부 및 제2 단선부를 마련함으로써 금속 세선의 소밀의 치우침을 일으키지 않고 패턴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어, 금속 세선의 패턴 보임과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제4 발명에 있어서, 제1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이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각각 구성하고, 그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갖는 도전 시트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단자부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단자부를 접속하는 라우팅 배선을 구비한 터치 센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운 제1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을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사용하므로,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운 터치 센서를 얻을 수 있다.
제11 발명은, 투명 기재의 양면에 제1 흑화막층과 금속막층과 제2 흑화막층을 순차 형성하는 공정과, 투명 기재의 제1면에 제1 도전 패턴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전극과, 그 복수의 제1 전극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제1 단자부와, 제1 접속부와 제1 단자부를 접속하는 제1 라우팅 배선을, 그리고 투명 기재의 제2면에 제2 도전 패턴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전극과, 그 복수의 제2 전극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접속부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제2 단자부와, 제2 접속부와 제2 단자부를 접속하는 제2 라우팅 배선을, 동시에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제1 도전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금속 세선과, 그 제1 금속 세선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1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되고, 제2 도전 패턴은, 제1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 금속 세선과, 그 제3 금속 세선과 교차하고 또한 제2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2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되고, 제1 금속 세선과 제2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1 굴곡선을 포함하고, 제1 굴곡선은, 제1 금속 세선과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1 둔각부끼리를 접속하고, 제3 금속 세선과 제4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2 굴곡선을 포함하고, 제2 굴곡선은, 제3 금속 세선과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2 둔각부끼리를 접속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복수의 전극과 접속부와 단자부와 라우팅 배선을 동시에 형성하기 때문에, 공정수를 저감시키고, 제조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운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의 제1 금속 세선(11)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의 제1 도전 패턴(10)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00)의 제1 도전 패턴(110)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00)의 제2 도전 패턴(120)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0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A에 따른 도전 시트(100A)의 (a) 개략 평면도, (b) 제1 금속 변(114A)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B에 따른 도전 시트(100B)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C에 따른 도전 시트(100C)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50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500)의 도 12에 있어서의 영역 K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전 시트(1)는, 투명 기재(3)와, 투명 기재(3)의 제1면(3a)에 형성된 제1 도전 패턴(1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전 패턴(10)은, 제1면(3a) 측에서 평면으로 보아, 도 2와 같은 패턴 형상이다. 제1 도전 패턴(10)은, 제1 방향 d1로 연장되고, 제2 방향 d2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고, 제1 방향 d1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2 금속 세선(12)을 포함한다.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이 교차함으로써, 투명 기재(3)의 제1면(3a) 상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 R이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1 굴곡선(13)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금속 세선(11)은, 투명 기재(3)의 제1면(3a) 측으로부터 제1 흑화층(11a)과 금속층(11b)과 제2 흑화층(11c)이 적층되어 있다. 제1 흑화층(11a) 및 제2 흑화층(11c)은, 제1 금속 세선(11)의 반사율을 저감시켜, 번쩍임이나 패턴 보임을 억제하기 위한 층이다. 제2 금속 세선(12)도 마찬가지로, 제1 흑화층, 금속층, 제2 흑화층의 3층 구성이다.
투명 기재(3)의 재료는, 플렉시블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 EVA,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나 환상 올레핀·코폴리머(COC) 등의 폴리올레핀류, 비닐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PI), 아크릴 수지(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염화비닐, 폴리불화비닐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3)의 두께는, 5 내지 5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투명 기재(3)는 단층의 필름이어도 되고, 복수층을 적층한 필름이어도 된다. 투명 기재(3)는, 구성 중에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철, 니켈, 크롬, 알루미늄, 몰리브덴, 티탄 등, 또는 이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흑화층 및 제2 흑화층의 재료로서는, 구리, 니켈, 크롬, 알루미늄, 몰리브덴, 티탄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금속 세선(11) 및 제2 금속 세선(12)의 선폭은, 예를 들어 1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다. 제1 금속 세선(11) 및 제2 금속 세선(12)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20nm 내지 1.2㎛이다. 제1 흑화층 및 제2 흑화층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100nm이고, 금속층의 막 두께는, 예를 들어 100nm 내지 1㎛이다. 제1 금속 세선(11) 및 제2 금속 세선(12)의 개구율은 예를 들어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이하, 제1 도전 패턴(10)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전 시트(1)를 투명 기재(3)의 제1면(3a) 측에서 관찰한 경우의, 제1 도전 패턴(10)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추출하여 확대한 평면도이다. 제1 방향 d1로 연장되는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는 제2 금속 세선(1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1 굴곡선(13)을 포함한다.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1개의 제1 굴곡선(13)을 공유하고 있다.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에 의해 제1 둔각부 θ가 형성된다. 제1 굴곡선(13)은, 제1 둔각부 θ끼리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금속 세선(11) 중, 제1 굴곡선(13)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3)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1 금속 변(14)이다. 마찬가지로, 제2 금속 세선(12) 중, 제1 굴곡선(13)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3)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2 금속 변(15)이다. 제1 금속 변(14) 및 제2 금속 변(15)의 양단에는, 제1 굴곡선(13)이 접속되어 있다. 제1 금속 변(14)과 제2 금속 변(15)에 의해 제1 둔각부 θ가 형성된다. 제1 금속 변(14)과 제2 금속 변(15)이 교차하는 점을 교점 S라 하면, 제1 둔각부 θ는, 교점 S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금속 변(14)과 제2 금속 변(15)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이다. 2개의 제1 굴곡선(13), 2개의 제1 금속 변(14) 및 2개의 제2 금속 변(15)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제1 개구부 R이다. 제1 개구부 R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투명 기재(3)의 제1면(3a) 상에 깔아 채워진다. 1개의 제1 개구부 R 중에 2개의 제1 둔각부 θ가 존재하고, 그 2개의 제1 둔각부 θ를 지나도록 교점 S를 연결한 가상선을 중심선 L이라 한다.
제1 굴곡선(1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금속 변(14)과 제1 금속 변(15)의 길이는 동등하다. 즉, 제1 둔각부 θ를 형성하는 제1 금속 변(14)과 제2 금속 변(15)의 길이는 동등하다. 따라서, 투명 기재(3)의 제1면(3a) 상의 제1 금속 변(14)과 제2 금속 변(15)의 길이는 모두 동등하다. 제1 개구부 R을 형성하는 2개의 제1 금속 변(14) 및 2개의 제2 금속 변(15)은 동등한 길이이다.
제1 금속 변(14)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1 굴곡선(13)은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제2 금속 변(15)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1 굴곡선(13)은 평행하다. 1개의 제1 개구부 R을 형성하는 2개의 제1 굴곡선(13)은 평행하다. 제1 도전 패턴(10)의 각각의 제1 굴곡선(13)은 동등한 길이이다. 제1 금속 변(14) 및 제2 금속 변(15) 중 교점 S와는 반대 측의 종점을 연결한 선분은, 중심선 L과 직교한다. 제1 굴곡선(13)은, 대향하는 제1 둔각부 θ끼리를 접속함으로써 제1 개구부 R끼리를 접속하고, 제1 중심선 L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제1 굴곡선(13)은, 제1 중심선 L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제1 개구부 R은, 중심선 L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도형이다. 제1 금속 변(14) 및 제2 금속 변(15)과 제1 굴곡선(13)으로 형성하는 각도는, 각각 직각 또는 둔각이 된다.
제1 금속 변(14) 및 제2 금속 변(15)의 길이는, 도전 시트(1)의 용도나 필요한 저항값, 투명 기재(3)의 크기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00 내지 1300㎛로 할 수 있다. 굴곡선(13)의 길이는, 8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선(13)의 길이가 8㎛ 이상이면, 금속 세선의 패터닝 시에 에칭액이 도달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인해, 제거되어야 할 금속이 남아서 교점 부분의 면적이 커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0㎛ 이하이면,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블랙 매트릭스와의 간섭 등에 의한, 무아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굴곡선(13)의 길이는, 8 내지 14㎛이다. 둔각부 θ는 90° 이상 18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전 시트(1)는, 도전성 잉크를 투명 기재(3) 상에 패턴 인쇄하는 방법이나, 투명 기재(3) 상에 스퍼터링법이나 금속박 전사에 의해 흑화층을 포함하는 금속막을 형성하고, 노광·에칭에 의해 패터닝을 행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노광·에칭에 의해 패터닝을 행하는 경우에는, 투명 기재(3)의 양면에 흑화층을 포함하는 금속막을 형성하고, 양면 동시에 패터닝을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에서는, 제1 굴곡선(13)이 대향하는 제1 둔각부 θ끼리를 접속한다. 그 때문에,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이 굴곡선을 형성하지 않고 교차하여 예각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금속 변(14) 및 제2 금속 변(15)과 제1 굴곡선(13)으로 보다 큰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세선의 패터닝 시에 에칭액이 널리 퍼지지 않고, 교점 부분의 금속이 패턴대로 에칭되지 않고 나머지 교점 부분의 금속 면적이 커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의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금속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운 도전 시트(1)를 얻을 수 있다.
제1 개구부 R을 형성하는 제1 금속 변(14)끼리 및 제2 금속 변(15)끼리의 길이는 동등하고, 제1 금속 변(14)과 제2 금속 변(15)의 길이도 동등하므로, 투명 기재(3)의 제1면(3a) 상에 있어서 금속 세선이 균등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금속 세선이 드문드문하게 형성되는 개소와 밀집하여 형성되는 개소의 차에 의한 금속 세선의 패턴 보임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금속 변의 길이가 동등한 것 외에도, 제1 금속 변(14) 또는 제2 금속 변(15)의 양단에 접속된 제1 굴곡선(13)은 평행하고 또한 길이가 동등하다. 이와 같이 하면, 모든 제1 개구부 R은 같은 형상이 되기 때문에, 제1 도전 패턴(10)의 설계 부하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길이가 동등한 제1 굴곡선(13)이, 제1 개구부 R의 제1 중심선 L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1 금속 변(14) 및 제2 금속 변(15)과 굴곡선(13)으로 형성되는 각도가 모두 직각 또는 둔각이 된다. 제1 금속 세선(11)과 제2 금속 세선(12)이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금속 세선이 예각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교점 부분의 금속 면적이 커지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도전 시트(100)는, 투명 기재(130)와, 투명 기재(130)의 제1면(130a)에 형성된 제1 도전 패턴(110)과, 투명 기재(130)의 제2면(130b)에 형성된 제2 도전 패턴(12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도전 패턴(110) 및 제2 도전 패턴(120)은, 제1면(130a) 측에서 평면으로 보아, 도 8과 같은 패턴 형상이다. 도 8에서는, 제1면(130a) 측의 제1 도전 패턴(110)을 실선으로, 제2면(130b)측의 제2 도전 패턴(120)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도전 패턴(110) 및 제2 도전 패턴(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투명 기재(130)의 제1면(130a) 측에서 관찰한 경우의, 제1 도전 패턴(110)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추출하여 확대한 평면도이다. 제1 방향 d1로 연장되는 제1 금속 세선(11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는 제2 금속 세선(11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공통인 제1 굴곡선(1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세선(111)과 제2 금속 세선(11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1개의 제1 굴곡선(113)을 공유하고 있다. 제1 금속 세선(111)과 제2 금속 세선(112)에 의해 제1 둔각부 θ1이 형성된다. 제1 굴곡선(113)은, 제1 둔각부 θ1끼리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세선(111) 중, 제1 굴곡선(113)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13)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1 금속 변(114)이다. 제2 금속 세선(112) 중, 제1 굴곡선(113)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13)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2 금속 변(115)이다. 제1 금속 변(114) 및 제2 금속 변(115)의 양단에는, 제1 굴곡선(113)이 접속되어 있다. 제1 금속 변(114)과 제2 금속 변(115)에 의해 제1 둔각부 θ1이 형성된다. 제1 금속 변(114)과 제2 금속 변(115)이 교차하는 점을 교점 S1이라 하면, 제1 둔각부 θ1은, 교점 S1을 중심으로 하여 제1 금속 변(114)과 제2 금속 변(115)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이다. 2개의 제1 굴곡선(113), 2개의 제1 금속 변(114) 및 2개의 제2 금속 변(115)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제1 개구부 R1이다. 제1 개구부 R1은,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투명 기재(130)의 제1면(130a) 상에 깔아 채워진다. 1개의 제1 개구부 R1 중에 2개의 제1 둔각부 θ1이 존재하고, 그 2개의 제1 둔각부 θ1을 지나도록 제1 교점 S1을 연결한 가상선이 제1 중심선 L1이다.
제1 굴곡선(11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금속 변(114)와 제2 금속 변(115)의 길이는 동등하다. 제1 개구부 R1을 형성하는 2개의 제1 금속 변(114) 및 2개의 제2 금속 변(115)는 모두 동등한 길이이다. 제1 금속 변(114)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1 굴곡선(113)은 평행하고, 제2 금속 변(115)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1 굴곡선(113)은 평행하다. 1개의 제1 개구부 R1을 형성하는 2개의 제1 굴곡선(113)은 평행하다. 제1 금속 변(114) 및 제2 금속 변(115) 중 교점 S1과는 반대 측의 종점을 연결한 선분은, 제1 중심선 L1과 직교한다. 제1 굴곡선(113)은, 제1 중심선 L1끼리를 접속하고 있고, 제1 중심선 L1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제1 개구부 R1은, 제1 중심선 L1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도형이다. 제1 금속 변(114) 및 제2 금속 변(115)과 제1 굴곡선(113)으로 형성하는 각도는, 각각 직각 또는 둔각이 된다.
도 7은 도전 시트(100)를 투명 기재(130)의 제1면(130a) 측에서 관찰한 경우의, 제2 도전 패턴(120)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추출하여 확대한 평면도이다. 제2 도전 패턴(120)은, 제1 방향 d1로 연장되고, 제2 방향 d2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3 금속 세선(12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고, 제1 방향 d1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제4 금속 세선(122)을 포함한다. 제3 금속 세선(121)과 제4 금속 세선(122)이 교차함으로써, 투명 기재(130)의 제2면(130b) 상에는, 복수의 제2 개구부 R2가 제1 방향 d1 및 제2 방향 d2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제1 방향 d1로 연장되는 제3 금속 세선(121)과 제2 방향 d2로 연장되는 제4 금속 세선(12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공통인 제2 굴곡선(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금속 세선(121)과 제4 금속 세선(122)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있어서, 1개의 제2 굴곡선(123)을 공유하고 있다. 제3 금속 세선(121)과 제4 금속 세선(122)에 의해 제2 둔각부 θ2가 형성된다. 제2 굴곡선(123)은, 제2 둔각부 θ2끼리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금속 세선(121) 중, 제2 굴곡선(123)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123)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3 금속 변(124)이다. 제4 금속 세선(122) 중, 제2 굴곡선(123)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123)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4 금속 변(125)이다. 제3 금속 변(124) 및 제4 금속 변(125)의 양단에는, 제2 굴곡선(123)이 접속되어 있다. 제3 금속 변(124)과 제4 금속 변(125)에 의해 제2 둔각부 θ2가 형성된다. 제3 금속 변(124)과 제4 금속 변(125)이 교차하는 점을 교점 S2라 하면, 제2 둔각부 θ2는, 교점 S2를 중심으로 하여 제3 금속 변(124)과 제4 금속 변(125)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이다. 2개의 제2 굴곡선(123), 2개의 제3 금속 변(124) 및 2개의 제4 금속 변(125)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이 제2 개구부 R2이다. 제2 개구부 R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투명 기재(130)의 제2면(130b) 상에 깔아 채워진다. 1개의 제2 개구부 R2 중에 2개의 제2 둔각부 θ2가 존재하고, 그 2개의 제2 둔각부 θ2를 지나도록 교점 S2를 연결한 가상선이 제2 중심선 L2이다.
제1 굴곡선(12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3 금속 변(124)과 제4 금속 변(125)의 길이는 동등하다. 제2 개구부 R2를 형성하는 2개의 제3 금속 변(124) 및 2개의 제4 금속 변(125)은 모두 동등한 길이이다. 제3 금속 변(124)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2 굴곡선(123)은 평행하고, 제4 금속 변(125)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2 굴곡선(123)은 평행하다. 1개의 제2 개구부 R2를 형성하는 2개의 제2 굴곡선(123)은 평행하다. 제3 금속 변(124) 및 제4 금속 변(125) 중 교점 S2와는 반대 측의 종점을 연결한 선분은, 제2 중심선 L2와 직교한다. 제2 굴곡선(123)은, 제2 중심선 L2끼리를 접속하고 있고, 제2 중심선 L2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제2 개구부 R2는, 제2 중심선 L2를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도형이다. 제3 금속 변(124) 및 제4 금속 변(125)과 제2 굴곡선(123)으로 형성하는 각도는, 각각 직각 또는 둔각이 된다.
제1 금속 변(114) 및 제2 금속 변(115)과 제3 금속 변(124) 및 제4 금속 변(125)의 길이는 동등하다. 제1 굴곡선(113)과 제2 굴곡선(123)의 길이도 동등하다. 제1 둔각부 θ1과 제2 둔각부 θ2의 크기도 동등하다. 따라서, 제1 개구부 R1과 제2 개구부 R2의 개구 면적은 동등하다. 금속 변 및 굴곡선의 길이, 둔각부의 각도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 도전 패턴(110)과 제2 도전 패턴(120)이 겹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도전 패턴(120)을 구성하는 제3 금속 세선(121)은, 제1 금속 세선(111)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방향 d2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4 금속 세선(122)은, 제2 금속 세선(112)과 겹치지 않도록, 제1 방향 d1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다. 제1 금속 세선(111)과 제3 금속 세선(121)은 모두 제1 방향 d1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금속 세선(112)과 제4 금속 세선(122)은 모두 제2 방향 d2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도전 패턴(110) 및 제2 도전 패턴(120)은, 제2 도전 패턴(120)의 제2 굴곡선(123)이, 제1 도전 패턴(110)의 제1 개구부 R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개구부 R1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2 굴곡선(123)은, 그 제1 개구부 R1의 제1 중심선 L1의 중심에, 제1 중심선 L1과 겹치도록 배치된다.
제1 개구부 R1과 제2 개구부 R2의 개구 면적은 동등하므로, 제1 굴곡선(1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가 된다. 제1 도전 패턴(110)의 제1 굴곡선(113)은, 제2 도전 패턴(120)의 제2 개구부 R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2 개구부 R2의 중심에 위치하는 제1 굴곡선(113)은, 그 제2 개구부 R2의 제2 중심선 L2의 중심에, 제2 중심선 L2와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상으로부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 시트(100)에서는, 제2 굴곡선(123)이 대향하는 제2 둔각부 θ2끼리를 접속한다. 그 때문에, 제3 금속 세선(121)과 제4 금속 세선(122)이 굴곡선을 형성하지 않고 교차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3 금속 변(124) 및 제4 금속 변(125)과 제2 굴곡선(123)으로 보다 큰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세선의 패터닝 시에 에칭액이 널리 퍼지지 않고 교점 부분의 금속이 패턴대로 에칭되지 않고 나머지 교점 부분의 금속 면적이 커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기재(130)의 제1면(130a)뿐만 아니라 제2면(130b)에 있어서도, 금속 세선의 교점 부분이 시인되기 어려운 도전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금속 변(114) 및 제2 금속 변(115)과 제3 금속 변(124) 및 제4 금속 변(125)의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제1 굴곡선(113)과 제2 굴곡선(123)의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개구부 R1과 제2 개구부 R2의 개구 면적은 동등하다. 따라서, 투명 기재(130)의 양면에서 동일한 도전 패턴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 패턴의 설계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제2 굴곡선(123)이 제1 개구부 R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바꾸어 말하면 제1 굴곡선(113)이 제2 개구부 R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1 도전 패턴(110)과 제2 도전 패턴(120)을 배치하므로, 투명 기재(130)의 제1면(130a) 측에서 보면 금속 세선이 균등하게 배치된다. 그 때문에, 금속 세선의 소밀의 차에 의한 금속 세선의 패턴 보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변이 직선이었지만, 금속 변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변형예 A 내지 C를 설명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투명 기재의 제1면 측에 있는 제1 도전 패턴을 실선으로, 제2면 측에 있는 제2 도전 패턴을 파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제2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변형예 A>
도 9를 참조하여, 변형예 A에 관한 도전 시트(100A)를 설명한다.
도전 시트(100A)는,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 제1면에 형성된 제1 도전 패턴(110A)과, 투명 기재 제2면에 형성된 제2 도전 패턴(120A)을 구비한다. 제1 도전 패턴(110A) 및 제2 도전 패턴(120A)은, 제1면 측에서 평면으로 보아, 도 9의 (a)과 같은 패턴 형상이다.
변형예 A에서는, 금속 변이, 산과 골이 교호로 형성되도록 원호를 연속시킨 파선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도전 패턴(110A)에 있어서, 1개의 금속 변은 4개의 원호를 산과 골이 교호가 되도록 연속시킨 형상이다. 원호의 산과 골이 1개씩 세트로 된 것을 1주기라 하면, 제1 금속 변(114A) 및 제2 금속 변(115A)의 파선의 길이는 2주기로 나타낼 수 있다. 제3 금속 변(124A) 및 제4 금속 변(125A)도 마찬가지이다.
변형예 A에 따른 도전 시트(100A)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금속 세선의 교점 부분의 시인을 방지할 수 있는 것 외에도, 태양광 등의 점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금속 세선에 의해 회절됨으로써 일어나는 광망을 억제함으로써,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여, 금속 변에 있어서 1개의 원호의 시점부터 종점까지 직선(현 길이)을 긋고, 그 직선으로부터 원호의 정상까지를 활 높이 h라 하면, 원호의 반경 r과의 관계는 0.07<h/r≤0.4인 것이 바람직하다. h/r이 0.4 이하이면 금속 세선의 저항값이 너무 높아지지 않아 양호한 응답 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0.07보다 크면, 광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B>
도 10을 참조하여, 변형예 B에 관한 도전 시트(100B)를 설명한다.
도전 시트(100B)는,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 제1면에 형성된 제1 도전 패턴(110B)과, 투명 기재 제2면에 형성된 제2 도전 패턴(120B)을 구비한다. 제1 도전 패턴(110B) 및 제2 도전 패턴(120B)은, 제1면 측에서 평면으로 보아, 도 10과 같은 패턴 형상이다.
제1 도전 패턴(110B)은, 복수의 제1 금속 세선(111B)과 복수의 제2 금속 세선(112B)을 포함한다. 제1 금속 세선(111B)과 제2 금속 세선(112B)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공통인 제1 굴곡선(11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세선(111B) 중, 제1 굴곡선(113B)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13B)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이 제1 금속 변(114B)이다. 한편, 제2 금속 세선(112B)은, 제1 굴곡선(113B)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13B)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인 제2 금속 변(115B)과, 제1 굴곡선(113B)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113B) 사이에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단선부(116B)를 포함한다. 제2 금속 세선(112B)에 있어서, 제2 금속 변(115B)과 제1 단선부(116B)는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전 패턴(120B)은, 복수의 제3 금속 세선(121B)과 복수의 제4 금속 세선(122B)을 포함한다. 제3 금속 세선(121B)과 제4 금속 세선(122B)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공통인 제2 굴곡선(123B)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금속 세선(121B)은, 제2 굴곡선(123B)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123B)까지 연장되는 금속 세선인 제3 금속 변(124B)과, 제2 굴곡선(123B)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123B) 사이에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단선부(126B)를 포함한다. 제3 금속 변(124B)과 제2 단선부(126B)는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제4 금속 세선(122B)은, 제2 굴곡선(123B)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123B)까지 연장되는 제4 금속 변(125B)을 포함한다. 제1 단선부(116B)와 제2 단선부(126B)는 교차하지 않는다.
변형예 B에 따른 도전 시트(100B)에서는, 제1 단선부(116B)와 제2 단선부(126B)를 형성함으로써, 금속 세선의 소밀의 치우침을 일으키지 않고 패턴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세선의 교점 부분의 시인 방지 외에도, 금속 세선의 소밀의 차에 의한 패턴 보임을 방지함과 함께, 터치 센서의 전극 등에 사용할 때, 표시 장치의 블랙 매트릭스와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무아레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C>
도 11을 참조하여, 변형예 C에 관한 도전 시트(100C)를 설명한다.
도전 시트(100C)는,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 제1면에 형성된 제1 도전 패턴(110C)과, 투명 기재 제2면에 형성된 제2 도전 패턴(120C)을 구비한다. 제1 도전 패턴(110C) 및 제2 도전 패턴(120C)은, 제1면 측에서 평면으로 보아, 도 11과 같은 패턴 형상이다.
변형예 C에서는, 금속 변이 변형예 A와 마찬가지의 파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도전 패턴(110C)에 있어서, 1개의 금속 변은 4개의 원호를 산과 골이 교호가 되도록 연속시킨 형상이다. 원호의 산과 골이 1개씩 세트로 된 것을 1주기라 하면, 제1 금속 변(114C) 및 제2 금속 변(115C)의 파선의 길이는 2주기로 나타낼 수 있다. 제2 도전 패턴(120C)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변형예 B와 마찬가지로 단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금속 세선(112C)은, 제2 금속 변(115C)과 제1 단선부(116C)를 포함하고, 제2 금속 변(115C)과 제1 단선부(116C)는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금속 세선(121C)은, 제3 금속 변(124C)과 제2 단선부(126C)를 포함하고, 제3 금속 변(124C)과 제2 단선부(126C)는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C에 따른 도전 시트(100C)에서는, 금속 변을 파선으로 함으로써 광망을 억제함과 함께, 단선부를 형성함으로써 금속 세선의 소밀의 치우침을 일으키지 않고 패턴에 변화를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세선 교점의 시인 방지 외에도, 금속 세선의 패턴 보임과 무아레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광망에 의한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는 도전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터치 센서(500)는, 투명 기재(600)와, 투명 기재(600)의 제1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700)과, 복수의 제1 전극(70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접속부(710)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제1 단자부(720)와, 제1 접속부(710)와 제1 단자부(720)를 접속하는 제1 라우팅 배선(730)을 구비한다. 또한, 터치 센서(500)는, 투명 기재(600)의 제2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전극(800)과, 복수의 제2 전극(80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접속부(810)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제2 단자부(820)와, 제2 접속부(810)와 제2 단자부(820)를 접속하는 제2 라우팅 배선(830)을 구비한다. 도 12에 있어서, 투명 기재(600)의 제1면에 형성된 전극 등을 실선으로, 제2면에 형성된 전극 등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투명 기재(600)의 제1면은, 조작 영역 V1과 주변 영역 V2로 구획되어 있다. 조작 영역 V1은, 터치 센서(500) 중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영역이며, 주변 영역 V2는, 조립 후에 커버 기재의 프레임상의 가식층 등으로 덮이는 영역이다. 투명 기재(600)의 제1면의 조작 영역 V1에는 복수의 제1 전극(700)과 제1 더미부(740)가, 주변 영역 V2에는 제1 접속부(710)와 제1 단자부(720)와 제1 라우팅 배선(7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전극(700)은, 조작 영역 V1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전극(700)은, 띠 형상이며, 투명 기재(600)의 제1면에, y축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4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전극(700)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1 도전 패턴(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제1 전극(700)은, 터치 센서의 전극을 구성한다.
복수의 제1 전극(700)의 크기는, 조작 영역 V1의 크기나 해상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도전 패턴(110)을 구성하는 제1 개구부 R1의 피치(제1 개구부 R1을 구성하는 제1 굴곡선(113)끼리를 연결하고 L1과 직교하는 선분의 길이)를 A, 제1 전극(700)의 폭을 W, 제1 더미부(740)의 폭을 X라 하면, W/A가 2 이상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금속 세선의 어딘가 1개소가 단선되어 버린 경우에도 전극의 도통을 유지하여, 터치 센서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전극(700)의 각각의 폭 W를 동일하게 하여, W/A를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X/A를 0 이상의 정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1개의 전극 내에 포함되는 금속 세선의 면적이 일정해지기 때문에, 전극마다 저항값이 변동되지 않고 양호하게 동작하는 터치 센서를 얻을 수 있다.
제1 더미부(740)는, 조작 영역 V1 중 복수의 제1 전극(70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700)과 제1 더미부(740)는,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더미부(740)는, 복수의 제1 전극(700)과 마찬가지로,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1 도전 패턴(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도 12에 있어서의 영역 K를 확대하면, 제1 전극(700)과 제1 더미부(740)는, 제1 경계부(7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단선되어 있다. 제1 경계부(750)는, 제1 전극(700)을 구성하는 금속 세선이 일부 단선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제1 전극(700)과 제1 더미부(740)는 제1 경계부(750)에 의해 이격된다. 제1 전극(700)과 제1 더미부(740)의 경계선 상에 있는 금속 세선 모두를 단선시킴으로써 제1 경계부(750)가 형성된다. 제1 경계부(750)는 y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경계부(750)의 폭은,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경계부(750)의 단선 폭을 이 범위로 해 두면, 금속 세선의 유무에 의한 제1 전극과 제1 더미부의 경계선 보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경계부(750)의 단선을 형성할 때는, 단선되어 있는 금속 세선의 단부가 직각이 되도록 단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세선을 y축으로 평행하게 단선시키면, 단선시킨 금속 세선의 단부가 예각이 되어, 제조 시의 에칭 정밀도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제1 경계부(750)를 구성하는 단선은, 제1 금속 변 및 제2 금속 변의 중점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부(710)는, 제1 전극(700)과 제1 라우팅 배선(730)을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접속부(710)에 의해, 제1 전극(700)을 구성하는 제1 도전 패턴(110)을 통합하여 제1 라우팅 배선(7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접속부(710)는, 직사각 형상이며, 띠 형상인 제1 전극(70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속부(710)는, 제1 전극(700)을 구성하는 제1 도전 패턴(110)의 일부와 겹치도록, 주변 영역 V2에 형성된다. 제1 전극(700)은 조작 영역 V1의 경계선까지 연장되어 있고, 제1 접속부(710)의 직사각형의 한 변은, 조작 영역 V1과 주변 영역 V2의 경계선과 겹쳐 있다. 제1 접속부(710)의 폭은, 제1 전극(700)의 폭과 동등하다. 제1 접속부(710)는, 제1 금속 세선(111)이나 제2 금속 세선(112)과 마찬가지로, 투명 기재(600) 측으로부터 제1 흑화층, 금속층, 제2 흑화층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부(720)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 등의 외부 배선과 터치 센서(500)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투명 기재(600) 상의 외연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라우팅 배선(730)은, 제1 전극(700)과 제1 단자부(720)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도중에 절곡되어 투명 기재(600) 외연의 중앙 부근에 모이도록 하여 제1 단자부(720)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단자부(720) 및 제1 라우팅 배선(730)은, 제1 금속 세선(11)이나 제2 금속 세선(12)과 마찬가지로, 투명 기재(600) 측으로부터 제1 흑화층, 금속층, 제2 흑화층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투명 기재(600)의 제2면의 조작 영역 V1에는 복수의 제2 전극(800)과 제2 더미부(840)가, 주변 영역 V2에는 제2 접속부(810)와 제2 단자부(820)와 제2 라우팅 배선(8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전극(800)은, 투명 기재(600)의 제2면에, x축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5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부(810)는, 띠 형상인 복수의 제2 전극(80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전극(800)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2 도전 패턴(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제2 전극(800)은, 터치 센서의 전극을 구성한다.
투명 기재(600)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단자부(720) 및 제2 단자부(820)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검출을 실현하는 제어부와 접속되어 있다.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도체가 근접 또는 이격되었을 때, 제1 전극(700) 및 제2 전극(800)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제어부에서 검지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5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스퍼터링법이나 금속박 전사에 의해, 투명 기재(600)의 양면에 제1 흑화막층·금속막층·제2 흑화막층을 이 순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2 흑화막층 위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패턴 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현상함으로써 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한다. 그 후, 패터닝된 레지스트층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제1 흑화막층·금속막층·제2 흑화막층의 에칭을 행함으로써, 투명 기재(600)의 양면에, 도전 패턴으로 구성된 전극, 더미부, 접속부, 단자부, 라우팅 배선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상으로부터,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500)에서는, 제1 전극(700) 및 제2 전극(800)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세선의 교점 부분이 시인되기 어려워, 외관이 양호한 터치 센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 영역 V1에서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더미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의 유무에 기인하여 전극 패턴이 조작자에게 관찰되어 버리는 뼈 보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더미부는 전극과 동일하게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도전 패턴 및 제2 도전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미부와 전극의 양쪽에 있어서 금속 세선의 교점 부분의 패턴 보임을 억제된다. 따라서, 터치 센서(500)의 조작 영역 V1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터치 센서(500)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극, 더미부, 접속부, 단자부, 라우팅 배선을 투명 기재(600)의 양면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금속 변과 제2 금속 변의 길이가 동등하게 구성되어 있었지만, 제1 금속 변과 제2 금속 변의 길이는 달라도 된다. 제1 금속 변과 제2 금속 변의 길이가 다름으로써, 개구부의 크기가 달라도 된다. 금속 세선의 소밀의 차에 의한 패턴 보임 방지를 위해, 제1 금속 변과 제2 금속 변의 길이는, 한쪽 변이 다른 쪽 변의 1배 내지 2배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금속 변과 제4 금속 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굴곡선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제1 금속 변끼리의 길이가 달라도 된다. 그 경우에도, 한쪽 변이 다른 쪽 변의 1 내지 2배가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제2 금속 변 내지 제4 금속 변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굴곡선과 제2 굴곡선의 길이는 모두 동등하게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들의 길이는 달라도 된다. 제1 굴곡선끼리, 또는 제2 굴곡선끼리의 길이가 달라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변의 양단에 접속된 굴곡선은 평행했지만, 이들 굴곡선은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제1 실시 형태를 예로 들면, 제1 굴곡선(13)은 L1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굴곡선(13)은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그때, 에칭액의 미도달 등에 의한 금속 세선 교점에서의 금속 면적 증대를 회피하기 위해, 제1 굴곡선(13)과 제1 금속 변(14) 또는 제2 금속 변(15)이 형성하는 각도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도전 패턴과 제2 도전 패턴이 겹칠 때 굴곡선이 개구부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제1 도전 패턴과 제2 도전 패턴이 겹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도전 패턴과 제2 도전 패턴을 겹침으로써 제1 도전 패턴을 구성하는 금속 변과 제2 도전 패턴을 구성하는 금속 변이 교차한다. 이때, 금속 변과 굴곡선이 너무 가깝거나, 혹은 굴곡선끼리가 너무 가까운 배치를 방지하기 위해, 교차하는 금속 변끼리는, 한쪽 금속 변이 다른 쪽 금속 변에 의해 1:1 내지 2:1로 분할되도록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세선은 제1 흑화층, 금속층, 제2 흑화층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었지만, 금속 세선의 적층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층만으로 하는 구성이나, 투명 기재 측으로부터 금속층, 흑화층의 순으로 적층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투명 기재 상에 형성된 금속층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흑화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금속층의 주위를 모두 흑화층으로 덮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금속 변과 제1 단선부가 교호로 형성되고, 제3 금속 변과 제2 단선부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단선부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 세선의 소밀의 치우침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단선부와 제2 단선부가 교차하지 않도록 단선부를 형성하면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변은 직선 또는 파선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지그재그선이나 굴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은 띠 형상이었지만, 전극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의 다른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마름모형 형상이 정점끼리를 연결하도록 이어진 형상이나 빗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개수, 라우팅 배선의 위치, 단자부의 위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더미부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도전 패턴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더미부의 금속 세선 패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미부는, 금속 세선 교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는 금속 세선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센서(500)의 투명 기재(600)의 양면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터치 센서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쪽 면에 전극이 형성된 투명 기재 2매를, 투명 기재의 다른 쪽 면이 대향하도록 접합해도 되고, 전극 형성면끼리가 대향하도록 접합층을 개재하여 접합해도 된다. 또, 한쪽 투명 기재의 전극 형성면에 다른 쪽 투명 기재의 전극 비형성면을 겹치도록 하여 접합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의 한쪽 단부에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전극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부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전극(800)의 좌측 단부에 제2 접속부(8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추가로 제2 전극(800)의 우측 단부에 제2 접속부(810)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단자부(720)의 우측에도 제2 단자부(820)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2 라우팅 배선(830)이 제2 단자부(820)와 접속된다. 단자부의 위치나 라우팅 배선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전극, 더미부, 접속부, 단자부, 라우팅 배선을 동시에 형성했지만, 터치 센서(500)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 영역 V1에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금속 세선을 형성한 후에, 레이저로 금속 세선을 단선시킴으로써 경계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전극과 더미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전극 및 더미부를 조작 영역 V1에 형성한 후에, 접속부, 단자부, 라우팅 배선을 주변 영역 V2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투명 기재(600)의 양면에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아니라, 편면씩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 시트가 터치 센서의 전극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전 시트의 용도는 터치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테나, 히터 등에도 본 발명에 관한 도전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1, 100: 도전 시트
3, 130, 600: 투명 기재
10, 110: 제1 도전 패턴
11, 111: 제1 금속 세선
12, 112: 제2 금속 세선
13, 113: 제1 굴곡선
14, 114: 제1 금속 변
15, 115: 제2 금속 변
20, 120: 제2 도전 패턴
21, 121: 제3 금속 세선
22, 122: 제4 금속 세선
23, 123: 제2 굴곡선
24, 124: 제3 금속 변
25, 125: 제4 금속 변
500: 터치 센서
700: 제1 전극
800: 제2 전극
710: 제1 접속부
810: 제2 접속부
720: 제1 단자부
820: 제2 단자부
730: 제1 라우팅 배선
830: 제2 라우팅 배선
740: 제1 더미부
840: 제2 더미부

Claims (11)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한쪽 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금속 세선과, 그 제1 금속 세선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1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된 제1 도전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금속 세선과 상기 제2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1 굴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선은, 상기 제1 금속 세선과 상기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1 둔각부끼리를 접속하는, 도전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1 금속 세선 및 제2 금속 세선을 각각 제1 금속 변 및 제2 금속 변이라 하면, 상기 제1 굴곡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제1 금속 변과 상기 제2 금속 변은,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구성된, 도전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변 또는 상기 제2 금속 변의 양단에 있는 상기 제1 굴곡선은, 평행한, 도전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다른 쪽 면에, 상기 제1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 금속 세선과, 그 제3 금속 세선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2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2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된 제2 도전 패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금속 세선과 상기 제4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2 굴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굴곡선은, 상기 제3 금속 세선과 상기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2 둔각부끼리를 접속하는, 도전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3 금속 세선 및 제4 금속 세선을 각각 제3 금속 변 및 제4 금속 변이라 하면, 상기 제2 굴곡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기 제3 금속 변과 상기 제4 금속 변은, 길이가 동등해지도록 구성된, 도전 시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금속 변 또는 상기 제4 금속 변의 양단에 있는 상기 제2 굴곡선은, 평행한, 도전 시트.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선은, 상기 제1 개구부의 중심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세선은, 상기 제1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1 굴곡선의 사이에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단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금속 세선은, 상기 제2 굴곡선으로부터 다음 제2 굴곡선의 사이에 금속 세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단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선부와 상기 제2 단선부는, 교차하지 않는, 도전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세선은, 상기 제2 금속 변과 상기 제1 단선부가 교호로 배치되고,
    상기 제3 금속 세선은, 상기 제3 금속 변과 상기 제2 단선부가 교호로 배치된, 도전 시트.
  10. 상기 제1 도전 패턴 및 상기 제2 도전 패턴이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을 각각 구성하고, 그 복수의 제1 전극 및 복수의 제2 전극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갖는 제4항에 기재된 도전 시트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속하는 라우팅 배선을, 구비한 터치 센서.
  11. 투명 기재의 양면에 제1 흑화막층과 금속막층과 제2 흑화막층을 순차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투명 기재의 제1면에 제1 도전 패턴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전극과, 그 복수의 제1 전극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접속부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단자부를 접속하는 제1 라우팅 배선을, 그리고 상기 투명 기재의 제2면에 제2 도전 패턴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2 전극과, 그 복수의 제2 전극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 접속부와, 외부 배선과 접속되는 제2 단자부와,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접속하는 제2 라우팅 배선을, 동시에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도전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금속 세선과, 그 제1 금속 세선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1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전 패턴은, 상기 제1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3 금속 세선과, 그 제3 금속 세선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2 금속 세선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복수의 제2 개구부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메시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 세선과 상기 제2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1 굴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굴곡선은, 상기 제1 금속 세선과 상기 제2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1 둔각부끼리를 접속하고,
    상기 제3 금속 세선과 상기 제4 금속 세선은, 각각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된 공통의 제2 굴곡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굴곡선은, 상기 제3 금속 세선과 상기 제4 금속 세선에 의해 형성된, 대향하는 제2 둔각부끼리를 접속하는,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237039392A 2021-05-20 2022-04-25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202400099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5678A JP7266955B2 (ja) 2021-05-20 2021-05-20 導電シート、タッチセンサ及び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
JPJP-P-2021-085678 2021-05-20
PCT/JP2022/018770 WO2022244602A1 (ja) 2021-05-20 2022-04-25 導電シート、タッチセンサ及び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943A true KR20240009943A (ko) 2024-01-23

Family

ID=8414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392A KR20240009943A (ko) 2021-05-20 2022-04-25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19502A1 (ko)
JP (1) JP7266955B2 (ko)
KR (1) KR20240009943A (ko)
CN (1) CN117280309A (ko)
WO (1) WO20222446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4163A (ja) 2005-06-10 2006-12-21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7285B2 (en) 2011-04-18 2014-08-05 Atmel Corporation Panel
JP2015109067A (ja) 2013-10-22 2015-06-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2002882B1 (ko) 2015-06-14 2019-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6601137B2 (ja) 2015-10-16 2019-11-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積層体基板、積層体基板の製造方法、導電性基板、及び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2017211774A (ja) 2016-05-24 2017-11-30 凸版印刷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6979365B2 (ja) 2017-10-16 2021-12-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4163A (ja) 2005-06-10 2006-12-21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78705A (ja) 2022-12-02
EP4319502A1 (en) 2024-02-07
WO2022244602A1 (ja) 2022-11-24
JP7266955B2 (ja) 2023-05-01
CN117280309A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714B1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용 전극시트
JP5293843B2 (ja) 透明導電性素子、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透明導電性素子作製用原盤
US20160274703A1 (en) Conductive sheet, capacitiv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728818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I564766B (zh) 網狀電極、感測元件以及電極層
KR20120018059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10123232A (ko)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80472B1 (ko) 광 투과성 도전 재료
KR20110100034A (ko)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1494041B2 (en)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317623A1 (en) Capacitive touchscreens
KR20240009943A (ko) 도전 시트,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20140078881A (ko) 결정질 ito와 비정질 ito를 사용하는 터치패널
US20180173344A1 (en) Touch panel
WO2022071063A1 (ja) 導電シート、タッチセンサ及びタッチセンサの製造方法
CN212675533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US11868157B2 (en) Conductive sheet,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ensor
JP5867446B2 (ja) 透明導電性素子、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透明導電性素子作製用原盤
CN212675537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CN212675536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KR101496246B1 (ko) 투명 전도성 감광필름을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CN213958040U (zh) 触控装置
CN212675535U (zh) 触摸面板用电极部件、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CN210573729U (zh) 双触控传感器结构
CN210402317U (zh) 具有改进结构的电容式触控传感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