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942A -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942A
KR20240009942A KR1020237039298A KR20237039298A KR20240009942A KR 20240009942 A KR20240009942 A KR 20240009942A KR 1020237039298 A KR1020237039298 A KR 1020237039298A KR 20237039298 A KR20237039298 A KR 20237039298A KR 20240009942 A KR20240009942 A KR 2024000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uspension
elevator
support element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코노 로메오 로
알렉산드로 다피체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0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으로서, 드라이브 (3) 및 드라이브 (3) 를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5) 에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을 포함하며,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드라이브 (3) 를 지지 요소 (5) 상에 틸팅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 (9); 및 로터리 조인트 (9) 를 중심으로 드라이브 (3) 의 틸트를 설정하기 위한 조정 디바이스 (11)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알려진 엘리베이터 설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보통 캐리어 수단을 통해 균형추에 연결된다.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샤프트 위의 기계실에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샤프트 헤드 내의 드라이브 조립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진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헤드에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거나 설치가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및 특히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드라이브 시스템 또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비해 개선된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을 특정하는 것이고, 따라서 드라이브 시스템의 공간 요건이 감소되거나 드라이브 시스템의 조립이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 및 부가적인 독립 청구항에 따른 방법으로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예들 및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본 명세서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드라이브 시스템은, 드라이브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에 드라이브를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브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드라이브가 지지 요소에 체결될 수 있고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틸팅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 및 로터리 조인트를 중심으로 드라이브의 틸트를 설정하기 위한 조정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엘레비에터 설비는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의 어느 것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카, 및 캐리어 수단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균형추를 포함하고, 드라이브는 캐리어 수단을 구동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장착하는 단계, 지지 요소에 대해 드라이브를 안정화시키는 단계, 및 로터리 조인트를 중심으로 드라이브의 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는 모터, 특히 모터와 기어를 포함한다. 드라이브는 기어가 없을 수 있다. 드라이브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갖는다. 드라이브 샤프트는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라이브의 마찰 드라이브 풀리는 드라이브 샤프트에 체결될 수 있다. 마찰 드라이브 풀리는 드라이브와 엘리베이터 설비의 캐리어 수단 사이의 접촉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마찰 드라이브 풀리는 드라이브에 의해 제공된 힘을 캐리어 수단에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가 지지 요소에 체결될 때, 지지 요소와 드라이브의 모터 사이에 마찰 드라이브 풀리가 배열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시스템은, 설치된 상태에서, 샤프트에 형성된 마찰 드라이브 풀리를 갖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또는 샤프트 축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조인트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축 위에 배열되고, 조정 디바이스는 샤프트 축 아래에 배열된다.
드라이브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은 지지 요소를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의 캐리하는 구조 또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샤프트 벽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서스펜션의 로터리 조인트는 드라이브와 지지 요소 사이의 회전가능한 연결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은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여기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 은 특히 수직 배향 또는 수직 배향으로부터 최대 15°, 예를 들어 최대 10° 또는 최대 5° 만큼 벗어난 배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서, 회전 축은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가이드 레일의 종축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은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수직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의 종축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은 가이드 레일과 정렬된다.
조정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조인트의 아래에 배열된다. 로터리 조인트는 특히 드라이브로부터 지지 요소로 인장 하중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조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압축 하중을 드라이브로부터 지지 요소로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실시예에서, 로터리 조인트는 드라이브의 마찰 드라이브 풀리 위에 배열되고, 조정 디바이스는 마찰 드라이브 풀리 아래에 배열된다. 특히, 마찰 드라이브 풀리는 로터리 조인트와 조정 디바이스 사이에 배열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조정 디바이스는 마찰 드라이브 풀리 주위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조정 디바이스는 지지 요소 방향으로 마찰 드라이브 풀리 주위에 케이지 (cage) 형태로 연장될 수 있고, 조정 디바이스는 캐리어 수단이 통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찰 드라이브 풀리는 최대 150 mm, 특히 최대 100 mm, 또는 최대 70 mm 의 마찰 드라이브 풀리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서스펜션의 로터리 조인트는 지지 요소에 체결되도록 설계된 고정 파트, 및 드라이브에 체결되는 제 1 서스펜션 파트를 포함한다. 고정 파트와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에 강성으로 연결되고,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드라이브에 강성으로 연결된다. 강성 연결부들은 결합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스크류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 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형 에지를 갖도록 설계되고, 아크형 에지는 설치된 상태에서 마찰 드라이브 풀리 바로 위로 진행한다.
아크형 에지는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 수단을 통해 마찰 드라이브 풀리로부터 현수되는 드라이브 및 캐빈의 중량으로 인해) 에지 상에 작용하는 힘이 에지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되는 이점을 갖는다. 덜 유리한 직사각형 설계와 비교하여, 따라서 서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에지들의 교차부에서 힘 집중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아크형 에지를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바로 위에 배열함으로써, 일종의 아크형 과전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하나의 반경방향 단부로부터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다른 단부를 향해 아크형 방식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아크형 에지와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트랙션 표면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초기에는 하나의 반경방향 단부로부터 다른 반경방향 단부로 증가한다. 따라서, 아크형 에지는 트랙션 표면 바로 위의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반경방향 단부에서 시작하는 측방향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 수단의 측방향 이동은 에지에 의해 방지된다. 이는 캐리어 수단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마찰 드라이브 풀리 상의 부가적인 에지 없이 점프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파트 및 지지 요소는, 고정 파트가 상기 지지 요소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상태의 단부 포지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로서,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사전설치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으로서 이미 공급될 수 있고, 이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를 위해 제공된 개구 내의 필드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상태의 단부 포지션에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의 비교적 복잡한 설치는 필드에서의 설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히 비교적 설치가 복잡한 로터리 조인트가 필드에서 설치되는 것이 필수적이지 않다. 따라서,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배향의 미세 조정의 기능은 필드에서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 서스펜션) 의 용이한 설치와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를 갖고, 고정 파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를 갖는다. 로터리 조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요소는 예를 들어 핀, 볼트 또는 스크류일 수 있다. 특히, 연결 요소는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을 따라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축은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중심 바로 위에 정확히 배열되고, 따라서 마찰 드라이브 풀리의 자동 정렬은 드라이브의 중량이 무시될 때 발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터리 조인트는 힌지로서 설계된다.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제 1 개구들을 갖는다. 고정 파트는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제 2 개구들을 가지고 있다.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고정 파트의 적어도 2개의 제 2 개구들 사이로 연장되고, 제 1 서스펜션 파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는 고정 파트의 2개의 제 2 개구들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터리 조인트는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크 또는 토크 성분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로터리 조인트는 토크 또는 토크 성분을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의 방향으로 또는 가이드 레일의 종축의 방향으로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고정 파트 및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적어도 2개의 접촉 표면들을 통해 회전 축을 따라 접촉할 수 있으며, 접촉 표면들은 회전 축 주위로, 특히 회전 축을 중심으로 그리고 회전 축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특히, 고정 파트 및 제 1 서스펜션 파트는 토크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 조인트는 캐리어 수단의 구동 또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의 이동으로부터 기인하는 토크 또는 토크 성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서스펜션의 조정 디바이스는 지지 요소에 체결되도록 설계된 고정 파트, 및 드라이브에 체결되고 고정 파트에 연결되는 제 2 서스펜션 파트를 포함한다. 고정 파트 및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설정가능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다. 조정 디바이스는 특히 선형 조정 디바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조정 디바이스는 조정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고, 조정 디바이스는 고정 파트와 제 2 서스펜션 파트를 서로에 대해 변위시키고, 특히 조정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들을 서로에 대해 선형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에 강성으로 연결되고, 고정 파트는 지지 요소에 강성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로터리 조인트를 중심으로 드라이브의 틸트는 제 2 서스펜션 파트를 고정 파트에 대해 변위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는 조정 디바이스의 조정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고,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조정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파트에 대해 변위된다. 특히,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변위에 의해 지지 요소에 대해,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에 대해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드라이브를 틸팅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변위에 의해 20° 의 최대 틸트, 예를 들어 최대 10° 또는 최대 5° 의 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정 파트는 로터리 조인트와 조정 디바이스의 일부이다.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격리 요소, 특히 기계적 격리 요소 또는 버퍼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격리 요소는 드라이브 파트로부터 지지 요소로의 진동 또는 구조 기반 잡음의 전달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제 1 격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조인트에 부착되고,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바람직하게는 제 2 격리 요소를 갖고, 제 2 격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디바이스에 부착된다. 격리 요소(들) 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댐핑 요소이다. 드라이브는 격리 요소에 의해 진동 또는 구조 기반 소음의 전파에 대해 지지 요소로부터 커플링해제될 수 있다. 특히, 격리 요소는 드라이브와 지지 요소 사이의 진동 또는 구조 기반 소음을 탬핑하도록 설계된다. 격리 요소는 제 1 서스펜션 파트과 고정 파트 사이 또는 제 2 서스펜션 파트과 고정 파트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 서스펜션 파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 및 고정 파트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를 통과하도록 배열된 연결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격리 요소에 의해 둘러싸인다. 특히, 연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의 영역,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의 영역에서 격리 요소에 의해 둘러싸인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격리 요소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격리 요소는, 구조 기반 소음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빌딩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서스펜션, 특히 제 1 서스펜션 파트 또는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드라이브 서스펜션을 드라이브의 서스펜션측 단부에 체결하도록 설계된 어댑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드라이브에 강성으로 연결, 예를 들어 스크류결합된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통과하는 샤프트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제조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어댑터 플레이트는 제 1 서스펜션 파트의 일부로서 또는 제 2 서스펜션 파트의 일부로서 제조된다. 특히, 어댑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제 1 서스펜션 파트와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하나의 피스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설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어느 것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엘리베이터 설비는 캐리어 수단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는 균형추를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 사이에 배열된다. 드라이브는 캐리어 수단을 구동하도록 설계된다. 캐리어 수단이 구동되는 결과로서,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가 수직으로, 예를 들어 대향 수직 방향들로 이동될 수 있다. "상향", "하향", "수평" 또는 "수직” 에 대한 방향 언급은 여기서는 특히 중력의 방향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상부 단부 영역에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설비의 상부 단부 영역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설비의 수직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수직 영역은 엘리베이터 설비 높이의 상부 30%, 특히 상부 20% 또는 상부 10% 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는 낮은 샤프트 헤드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는 기계실 없이 설계될 수 있다.
캐리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벨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벨트는 외장 강 케이블과 같은 외장 코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단면에서, 벨트는 벨트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에 대한 드라이브의 틸트의 설정은 벨트의 기울어짐 또는 벨트의 고르지 않은 로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틸트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수명 동안 재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강 케이블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드라이브 시스템을 향하는 드라이브측 측면 벽을 갖고,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은 드라이브측 측면 벽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 은 특히 평행 정렬을 의미하거나 또는 평행 정렬로부터 최대 20°, 예를 들어 최대 10° 또는 최대 5°만큼 벗어난 정렬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드라이브의 마찰 드라이브 풀리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평면도에서 균형추와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드라이브 시스템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대향 측면들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고, 특히 추가 균형추에 연결된 추가 캐리어 수단을 구동한다. 적어도 2개의 드라이브 시스템의 사용은 더 작거나 더 가벼운 드라이브가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드라이브 시스템의 공간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설비의 평면도에서, 드라이브는 엘리베이터 카와 샤프트 벽 또는 균형추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설치를 위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을 형성하기 위한 드라이브 및 드라이브 서스펜션을 사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드라이브 서스펜션의 제 1 서스펜션 파트를 드라이브에 체결하고 고정 파트를 제 1 서스펜션 파트에 체결함으로써 행해진다. 그것은 따라서 제 1 서스펜션 파트를 고정 파트에 연결하여 드라이브 서스펜션의 로터리 조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는, 제 1 서스펜션 파트와 함께, 제 1 서스펜션 파트와 고정 파트의 개구가 형성될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을 따라 배열되는 방식으로 고정 파트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그후 연결 수단, 예를 들어 핀, 볼트 또는 스크류가 개구를 통해 안내되거나 배열되어 로터리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공장에서 제조하는 동안 이미 실행된다. 고정 파트에 연결되는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또한 바람직하게 이미 공장에 설치되어, 틸트가 조정될 수 있는 필드에 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이 제공된다.
방법은 바람직하게 추가로 단부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지지 요소 내로 사전설치된 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을 삽입하고, 후속하여 상기 지지 요소 (5) 에 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을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파트에 대해 제 2 서스펜션 파트를 변위시킴으로써 지지 요소에 대해 드라이브를 정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변위는 조정 디바이스의 조정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틸트가 설정된다. 바람직한 방법에서, 드라이브는 지지 요소로서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공간 절약 방식으로, 드라이브가 지지 요소,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에 설치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비해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브 시스템은 가이드 레일 상에 또는 그 위에 상부구조 없이 설치되거나 기계실 없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은 낮은 샤프트 헤드를 갖고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르면, 드라이브 시스템에는 특히 작거나 가벼운 드라이브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또한 지지 요소에 대한 드라이브의 틸트가 설정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벨트가 캐리어 수단으로서 사용될 때에 기울어짐이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틸트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수명에 걸쳐 재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도면과 함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drive/drive suspension unit) 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이 설치된 드라이브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은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을 통해 장착되는 드라이브 (3) 를 포함한다. 도 2 는 도 1 로부터의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단면도는 가이드 레일 (도시 생략, 도 3 참조) 의 종축에 평행한 드라이브 (3) 의 드라이브 샤프트 (15) 의 샤프트 축 (61) 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에서, 드라이브 (3) 의 샤프트 축 (61) 은 로터리 조인트 (9) 의 회전 축 (31) 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특히, 드라이브 시스템 (1) 은 샤프트 축 (61) 이 엘리베이터 카의 드라이브측 측면 벽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계된다.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지지 요소 (5) 상에 드라이브 (3) 를 틸팅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로터리 조인트 (9) 를 포함한다. 로터리 조인트 (9) 는 지지 요소 (5)(도시되지 않음, 도 3 참조) 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 파트 (21) 를 포함한다. 고정 파트 (21) 는 마찰 드라이브 풀리 (13) 바로 위에서 연장되는 아크형 에지 (22) 를 갖는다. 로터리 조인트 (9) 는 또한 드라이브 (3) 에 체결되는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를 포함한다.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는 드라이브 (3) 에 강성으로 연결, 특히 스크류결합된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는 로터리 조인트 (9) 의 회전 축 (31) 을 따라 개구를 갖는다. 도 1 및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파트 (21) 는 로터리 조인트 (9) 의 회전 축 (31) 을 따라 2개의 개구들을 갖는다. 도 2 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파트 (23) 는 고정 파트 (21) 의 2개의 개구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고정 파트와 제 1 서스펜션 파트의 힌지형 인터로킹은, 예를 들어, 로터리 조인트 (9) 의 회전 축 (31) 에 수직한 토크에 대해, 특히 가이드 레일의 종축의 방향의 토크에 대해 로터리 조인트 (9) 의 휨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결 수단 (29) 이 개구를 통해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수단 (29) 은 볼트, 특히 나사산형 볼트로 설계된다.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조정 디바이스 (11) 를 포함한다. 조정 디바이스 (11) 는 고정 파트 (21) 와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을 포함한다.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는 고정 파트 (21) 에 대해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 의 실시예에서,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는 조정 디바이스 (11) 의 조정 스크류 (43) 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 파트 (21) 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고정 파트 (21) 에 대해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를 변위시킴으로써, 지지 요소 (5) 에 대한 로터리 조인트 (9) 의 회전 축 (31) 을 중심으로 드라이브 (3) 의 틸트가 설정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지지 요소 (5) 에 대한 드라이브 샤프트 (15) 및 드라이브 샤프트 (15) 상에 배열된 마찰 드라이브 풀리 (13) 의 틸트가 또한 설정될 수 있다. 마찰 드라이브 풀리 (13) 의 틸트의 설정은, 예를 들어 벨트를 캐리어 수단으로서 사용할 때에 벨트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와 고정 파트 (21) 사이 및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와 고정 파트 (21) 사이에 배열되는 격리 요소들 (48) 을 포함한다. 특히, 제 1 격리 요소 (47) 는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의 개구의 영역 및 고정 파트 (21) 의 영역에서 연결 수단 (29) 주위에 배열된다. 격리 요소들 (47, 48) 은 특히 드라이브 (3) 로부터 지지 요소 (5) 로의 진동 또는 구조 기반 소음의 전파를 감소, 특히 댐핑하도록 설계된다 (도 3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라이브 (3) 는 기어리스 전기 모터 (gearless electric motor) 로서 설계된다.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전기 모터에 체결되는 어댑터 플레이트 (33) 를 포함한다.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및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는 어댑터 플레이트 (33) 를 통해 드라이브 (3) 에 체결된다.
도 3 은 드라이브 시스템 (1) 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의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며,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은 지지 요소 (5) 내로 삽입되어 그에 고정된다. 도 3 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설계되고, 가이드레일 (5) 의 단부 영역에는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의 고정 파트 (21) 가 삽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고정 파트 (21) 는 지지 요소 (5) 에 강성 연결된다.
도 4 및 도 5 는 엘리베이터 설비 (51) 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비 (51) 는 드라이브 (3) 및 지지 요소 (5) 에 드라이브 (3) 를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 (1) 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 (53) 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은 도 4 및 도 5 에서 지지 요소 (5) 로서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카 (53) 는 캐리어 수단 (57) 을 통해 균형추 (55) 에 연결된다. 캐리어 수단 (57), 예를 들어 벨트는 드라이브 (3) 의 마찰 드라이브 풀리 (13) 에 걸쳐 안내된다. 드라이브 (3) 는 캐리어 수단 (57) 을 구동하도록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 (53) 와 균형추 (55) 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도 4 및 도 5 에서, 드라이브 (7) 는 엘리베이터 설비 (51) 의 상부 단부 영역에 배열된다. 도 5 에서 엘리베이터 설비 (51) 의 평면도로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3) 의 샤프트 축 (61) 은 엘리베이터 카 (53) 의 드라이브측 측면 벽 (63) 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다.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의 로터리 조인트의 회전 축 (31) 은 샤프트 축 (61) 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수직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수직 방향에 대한 또는 가이드 레일의 종축에 대한 샤프트 축 (61) 의 틸트는 예를 들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 4 및 도 5 의 엘리베이터 설비 (51) 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드라이브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따른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 (71) 을 갖는다.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 (71) 은 추가 드라이브 (73) 및 추가 드라이브 (73) 를 도 4 및 도 5 에서 추가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된 추가 지지 요소 (79) 에 체결하기 위한 추가 드라이브 서스펜션 (75) 을 포함한다. 추가 드라이브 (73) 는 추가 균형추 (77) 및 엘리베이터 카 (53) 에 연결된 추가 캐리어 수단 (81) 을 구동하도록 설계된다.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의 사용은 더 작거나 더 가벼운 드라이브들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특히, 샤프트 헤드 또는 샤프트 피트에서의 드라이브의 공간 요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더 작거나 더 가벼운 드라이브들을 더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100) 을 도시한다. 110 에서, 방법 (100) 은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을 형성하기 위한 드라이브 (3) 및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을 사전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서스펜션 파트와 제 2 서스펜션 파트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통해 드라이브에 체결된다. 그후 드라이브는 볼트가 고정 파트의 제 1 서스펜션 파트 개구들을 통해 안내되어 힌지형 로터리 조인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위치설정된다. 볼트는 고정된다. 상기 단계는 공장에서 수행되어 완전히 사전설치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이 필드에서 유용하다.
사전설치 후에,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은 120에서 지지 요소 내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의 단부 포지션에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은 예를 들어 스크류결합에 의해 지지 요소에 체결된다.
130 에서, 로터리 조인트를 중심으로 드라이브의 틸트가 조정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설정된다. 드라이브 또는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의 틸트는 샤프트 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진행하거나 벨트의 기울어짐이 방지 또는 감소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Claims (12)

  1.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으로서,
    드라이브 (3); 및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5) 에 상기 드라이브 (3) 를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 상기 드라이브 (3) 를 상기 지지 요소 (5) 에 체결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지 요소 (5) 상에 상기 드라이브 (3) 를 틸팅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설계된 로터리 조인트 (9); 및
    - 상기 로터리 조인트 (9) 를 중심으로 상기 드라이브 (3) 의 틸트를 설정하기 위한 조정 디바이스 (11) 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조인트 (9) 는:
    상기 지지 요소 (5) 에 체결하도록 설계된 고정 파트 (21); 및
    상기 드라이브 (3) 에 체결되는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트 (21) 와 상기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는 회전 축 (31) 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정 디바이스 (11) 는:
    상기 드라이브 (3) 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 파트 (21) 에 연결되는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파트 (21) 및 상기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는 설정가능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고,
    상기 고정 파트 (21) 는 적어도 2개의 파트들로 설계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시트 금속 파트 (25)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시트 금속 파트 (27) 를 가지며, 상기 제 1 시트 금속 파트 (25) 는 상기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 요소 (5) 에 체결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시트 금속 파트 (27) 는 상기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에 체결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 1 시트 금속 파트 (25) 및 상기 제 2 시트 금속 파트 (27) 는 바람직하게는 리벳들 (28) 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시트 금속 파트 (27) 는 바람직하게는 U-프로파일로서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시스템 (1) 은, 설치된 상태에서, 샤프트에 형성된 마찰 드라이브 풀리 (13) 를 갖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또는 샤프트 축 (61) 을 포함하도록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조인트 (9) 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상기 샤프트 축 (61) 위에 배열되고; 상기 조정 디바이스 (11) 는 상기 샤프트 축 (61) 아래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지지 요소 (5) 를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트 (21) 는 적어도 하나의 아크형 에지 (22) 를 갖도록 설계되고, 상기 아크형 에지 (22) 는 바람직하게는 설치된 상태에서 마찰 드라이브 풀리 (13) 바로 위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파트 (21) 및 상기 지지 요소 (5) 는, 상기 고정 파트 (21) 가 상기 지지 요소 (5)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상태의 단부 포지션에서 상기 지지 요소 (5) 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파트 (23) 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를 갖고, 상기 고정 파트 (21) 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를 갖고, 상기 로터리 조인트 (9)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개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연결 요소 (29)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조인트 (9) 를 중심으로 상기 드라이브 (3) 의 틸트는 상기 고정 파트 (21) 에 대해 상기 제 2 서스펜션 파트 (41) 를 변위시킴으로써 설정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격리 요소 (47)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리 요소 (47) 는 상기 드라이브 (3) 로부터 상기 지지 요소 (5) 로의 진동 또는 구조 기반 소음의 전달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격리 요소 (47)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터리 조인트 (9) 에 부착되고, 상기 드라이브 서스펜션은 바람직하게는 제 2 격리 요소 (48) 를 갖고, 상기 제 2 격리 요소 (48)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정 디바이스 (11) 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1).
  10. 엘리베이터 설비 (51) 로서,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라이브 시스템 (1),
    엘리베이터 카 (53); 및,
    캐리어 수단 (57) 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 (53) 에 연결되는 균형추 (55) 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3) 는 상기 캐리어 수단 (57) 을 구동하도록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51).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3) 는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 (51) 의 상부 단부 영역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드라이브 시스템 (71) 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수단 (57) 은 바람직하게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53)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브 시스템 (1) 을 향하는 드라이브측 측면 벽 (63) 을 가지며; 상기 드라이브의 샤프트 축 (61) 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브측 측면 벽 (63) 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51).
  12. 엘리베이터 설비 (51), 특히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 (51) 의 지지 요소 (5) 상에 드라이브 (3) 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드라이브/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3) 및 상기 드라이브 서스펜션 (7) 을 사전설치하는 단계;
    단부 포지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지지 요소 (5) 내로 사전설치된 상기 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을 삽입하고, 후속하여 상기 지지 요소 (5) 에 상기 드라이브 서스펜션 유닛 (2) 을 체결하는 단계; 및
    로터리 조인트 (9) 를 중심으로 상기 드라이브 (3) 의 틸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라이브를 설치하는 방법.



KR1020237039298A 2021-05-19 2022-05-19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KR202400099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74726.6 2021-05-19
EP21174726 2021-05-19
PCT/EP2022/063496 WO2022243398A1 (de) 2021-05-19 2022-05-19 Antriebssystem für eine aufzugsanlage, aufzugsanlage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antriebs an einem stützelement einer aufzug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942A true KR20240009942A (ko) 2024-01-23

Family

ID=7601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298A KR20240009942A (ko) 2021-05-19 2022-05-19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1192A1 (ko)
KR (1) KR20240009942A (ko)
CN (1) CN117320992A (ko)
WO (1) WO20222433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3495A1 (de) * 1995-09-15 1997-03-19 Inventio Ag Maschinenrahmen
DE59711862D1 (de) * 1996-11-11 2004-09-23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US10589962B2 (en) * 2014-08-25 2020-03-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hoisting machine mounting device
JP7217814B2 (ja) * 2019-10-11 2023-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巻上機調整装置及び巻上機据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3398A1 (de) 2022-11-24
EP4341192A1 (de) 2024-03-27
CN117320992A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3266B2 (en) Traction type elevator
US7757818B2 (en) Drive motor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mounting a drive motor
AU2005200039B2 (en) Drive for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of converting a drive in a lift installation
EP2576408B1 (en) Elevator with roller-pinion drive
EP3231757B1 (en) Guide rail support
EP2844600B1 (en) Method of installing a machine in an elevator system
WO2006093485A1 (en) Elevator car having an angled underslung roping arrangement
KR101225035B1 (ko) 엘리베이터 기계 지지체에 지지된 제어 전자기기를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CA2819147C (en) Suspension and traction media interface for elevators
US6672013B1 (en) Method of installing elevator rails
KR101487117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20240009942A (ko) 엘리베이터 설비를 위한 드라이브 시스템, 엘리베이터 설비, 및 엘리베이터 설비의 지지 요소 상에 드라이브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11884510B2 (en)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a drive on a support element of an elevator installation
JP2024519859A (ja) エレベータ設備のための駆動システム、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エレベータ設備の支持要素上に駆動部を設置するための方法
CN108377647B (zh) 电梯装置的对重和电梯装置
CN110546098A (zh) 电梯装置
EP1992582A1 (en) Suspension device for elevator
EP1544150A1 (en) Elevator equipment
RU2588411C2 (ru) Подвесное и тягов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фтов
KR20010041322A (ko) 드라이브 인 평형추를 갖는 벨트 클라이밍 엘리베이터
WO2019121219A1 (en) Systems for coupling a suspension and/or traction medium to a load carrying structure,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s for moving a load
CN114074883A (zh) 具备安装夹具的曳引机单元以及其安装方法
CN112850415A (zh) 电磁制动器的位置调整夹具
CN113811505A (zh) 调整式轨道托架以及具备该调整式轨道托架的电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