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871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871A
KR20240009871A KR1020230085807A KR20230085807A KR20240009871A KR 20240009871 A KR20240009871 A KR 20240009871A KR 1020230085807 A KR1020230085807 A KR 1020230085807A KR 20230085807 A KR20230085807 A KR 20230085807A KR 20240009871 A KR20240009871 A KR 2024000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controller
hydraulic oil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2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 F15B21/0423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과제) 전기 제어형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 컨트롤러와 컨트롤 밸브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간이화하는 것.
(해결 수단) 굴삭 작업기의 선회 프레임 (7) 상에 있어서, 우기관실 (9a) 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작동유 탱크 (48) 가 배치되고, 작동유 탱크 (48) 의 전방에 컨트롤 밸브 (45),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에 또한 배터리 (49) 가 배치되고, 작동유 탱크 (48) 의 후방에 냉각 기구 (60) 가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45) 는 지지 부재 (52) 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컨트롤 밸브 (45) 를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51) 는, 지지 부재 (52) 의 측판부 (52c) 에 장착함으로써, 컨트롤 밸브 (45) 보다 전방이고 배터리 (49) 보다 상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를 전기 제어하는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굴삭 작업기 등의 건설 기계는, 엔진, 작업 장치, 주행 장치 등의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장치의 동작을 전기로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컨트롤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는, 조작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대응한 출력 신호를 컨트롤 밸브 등의 동력부에 보냄으로써, 각 장치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컨트롤러에는, 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프로세서 등의 전자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를, 열의 영향이 없고, 진동 및 충격 등으로부터의 보호를 꾀할 수 있는 장소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는, 컨트롤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서, 선회 프레임에 있어서 프론트 작업기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보강하는 횡판의 이면에, 컨트롤러를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8172호
컨트롤러 등의 건설 기계에 탑재된 전장품은, 전력의 공급선 및 신호의 통신선인 와이어 하니스에 의해 동력부가 되는 기계 부품과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유압 기기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서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조정하는 컨트롤 밸브로 전자식의 것을 채용하고, 컨트롤 밸브의 동작을 컨트롤러에 의해 전기 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압 기기의 동작을 전기로 제어하는 전기 제어형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는, 선회 프레임에 있어서의 각 기계 부품의 레이아웃과의 관계에서,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이 어려운 것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배치 구성으로 컨트롤러를 배치한 위치 주변은, 컨트롤 밸브를 배치할 수 없는 공간이다. 이 때문에, 컨트롤 밸브를 컨트롤러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하게 되어,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의 난이도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컨트롤 밸브에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는, 컨트롤 밸브를 향하여 압유를 토출하는 유압 펌프의 압력 신호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는,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각 기기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하나의 컨트롤러로부터 복수의 와이어 하니스를 라우팅해야 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는, 복수의 기기로부터 와이어 하니스를 라우팅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 제어형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 컨트롤러와 컨트롤 밸브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간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기체 측방의 수용실 내에,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배치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는, 상기 작동유 탱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전방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타방 측방에는, 운전석이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운전석측의 내벽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벽부를 향하여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면 (前面) 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와 중첩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의 후방에, 작동유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제어형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 컨트롤러와 컨트롤 밸브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굴삭 작업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굴삭 작업기의 유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회 프레임 상의 각 구성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우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회 프레임 상의 각 구성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회 프레임 상의 각 구성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을 향하여 압송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조정하는 컨트롤 밸브의 동작을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컨트롤러의 배치를 연구함으로써,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기기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용이화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로서, 선회 작업차인 굴삭 작업기 (셔블) 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굴삭 작업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불도저, 크레인 작업기, 콤팩트 트랙 로더, 스키드 스티어 로더,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 가능하다.
[굴삭 작업기의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굴삭 작업기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특별히 방향 시야를 정하지 않는 한, 굴삭 작업기 (1) 의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전측」, 「후측」, 「좌우측」, 「평면측」 또는 「상측」, 「저면측」 또는 「하측」이라고 부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 작업기 (1) 는, 소위 초소 (超小) 선회형 셔블로서, 자주 (自走) 가능한 주행 차체 (2) 와, 주행 차체 (2) 에 형성된 작업부로서의 굴삭 장치 (3) 및 배토 장치 (4) 를 구비한다.
굴삭 작업기 (1) 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부 (5, 5) 와, 좌우의 주행부 (5, 5) 를 지지하는 기대로서의 트럭 프레임 (6) 과, 트럭 프레임 (6) 상에 형성된 선회 프레임 (7) 을 갖는다.
주행부 (5) 는, 트럭 프레임 (6) 을 구성하는 소정의 프레임 부분에 지지된 복수의 스프로킷 등의 회전체에 크롤러를 둘러 감은 구성을 갖는다. 주행부 (5) 는, 후단부에 회전체로서의 구동 스프로킷 (5a) 을 갖는다. 트럭 프레임 (6) 은, 좌우의 주행부 (5, 5)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프레임부 (6a) 와, 센터 프레임부 (6a) 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 프레임부 (6b) 를 갖는다.
좌우의 주행부 (5, 5) 는, 좌우 한 쌍의 주행용 유압 모터 (44, 44) 에 의해 구동된다. 주행용 유압 모터 (44) 는,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구동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이다. 주행용 유압 모터 (44) 는, 각 주행부 (5) 에 있어서, 트럭 프레임 (6) 의 사이드 프레임부 (6b) 등의 소정 부위에 장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구동 스프로킷 (5a) 을 회전 구동시킨다. 좌우의 주행용 유압 모터 (44, 44) 가 각각 주행부 (5) 를 구동시킴으로써, 굴삭 작업기 (1) 의 전후 직진 주행이나 좌우 선회 주행이 실시된다.
트럭 프레임 (6) 의 전방측에는, 배토 장치 (4) 가 장착되어 있다. 배토 장치 (4) 는, 좌우의 주행부 (5, 5)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4a) 과, 지지 프레임 (4a) 의 선단측에 형성된 배토판으로서의 블레이드 (4b) 를 갖는다. 배토 장치 (4) 는, 지지 프레임 (4a) 과 트럭 프레임 (6) 사이에 형성된 블레이드 실린더 (도시 생략) 에 의해 승강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 (7) 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 형상으로 구성되고, 트럭 프레임 (6) 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축선 둘레로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트럭 프레임 (6) 의 상측에는, 선회 베어링 (6c) 및 선회용 유압 모터 (도시하지 않음) 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회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선회용 유압 모터는, 작동유의 공급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선회 베어링 (6c) 을 통해서 선회 프레임 (7) 을 선회시킨다.
선회 프레임 (7) 상에는, 운전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운전부 (11) 는, 주행 차체 (2), 굴삭 장치 (3) 및 배토 장치 (4) 를 운전·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선회 프레임 (7) 상에 형성된 캐빈 (10) 내에 형성되어 있다. 캐빈 (10) 은, 그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과, 유리 등의 투명 부재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창부 (窓部) 를 갖고, 전체적으로 대략 상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 (10) 의 좌측에 도어가 형성되어, 운전부 (11) 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승강구로 되어 있다.
운전부 (11) 에 있어서는, 플로어부의 후측에 시트 마운트인 운전석 지지대 (14) 가 형성되어 있고, 운전석 지지대 (14) 상에 운전석 (15)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운전부 (11) 에는, 예를 들어, 플로어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좌우 1 쌍의 주행 레버, 및 플로어부 상에 배치 형성된 작업용의 조작 페달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 (11) 에 있어서, 운전석 (15) 의 주위에는, 작업부 (굴삭 장치 (3) 또는 배토 장치 (4)) 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 조작 레버나, 스위치 등의 각종 조작부를 갖는 조작 패널부 등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부를 구성하는 작업 조작 레버는, 전기 조이스틱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오퍼레이터의 조작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선회 프레임 (7) 상에 있어서, 엔진 등을 보닛으로 덮은 기관실 (9) 이 형성되어 있다. 기관실 (9) 은, 선회 프레임 (7) 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기관실 (9a) 과 후부 (後部) 에 위치하는 후기관실 (9b) 을 포함한다.
선회 프레임 (7) 의 후방 하부에는, 카운터 웨이트 (7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 (7) 은, 외장 커버로서, 우보닛 (16) 과, 후보닛 (17) 을 포함한다.
우보닛 (16) 은, 우전측면 커버부 (16a) 와, 우후측면 커버부 (16b) 와, 상면 커버부 (16c) 를 갖고, 선회 프레임 (7) 의 우측의 우기관실 (9a) 을 덮고 있다. 우후측면 커버부 (16b) 에는, 기관실 (9) 의 내외를 통기시키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우전측면 커버부 (16a), 우후측면 커버부 (16b) 및 상면 커버부 (16c) 는,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면 커버부 (16c) 의 좌측이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우전측면 커버부 (16a), 우후측면 커버부 (16b) 및 상면 커버부 (16c) 는, 상하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우보닛 (16) 은, 우전측면 커버부 (16a), 우후측면 커버부 (16b) 및 상면 커버부 (16c) 를 개별적으로 개폐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우기관실 (9a) 의 좌측에는 격벽 (18) 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 (18) 과 캐빈 (10) 의 사이가, 굴삭 장치 (3) 의 후술하는 붐 (21) 의 이동 영역으로 되어 있다.
후보닛 (17) 은, 카운터 웨이트 (7a) 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카운터 웨이트 (7a) 와 함께 선회 프레임 (7) 의 후방의 후기관실 (9b) 을 덮고 있다. 후보닛 (17) 은, 좌우의 일단이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굴삭 장치 (3) 는, 굴삭 작업기 (1) 의 전방측에 형성된 프론트 작업 장치이다. 선회 프레임 (7) 의 전방측이면서, 우기관실 (9a) 과 캐빈 (10) 의 사이에는, 굴삭 장치 (3) 의 기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붐 지지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붐 지지부 (19) 는, 우기관실 (9a) 측의 격벽 (18) 과 캐빈 (10) 측의 벽부 (13) 사이에 가설되어 후술하는 붐 (21) 의 기부를 피봇 지지하는 추지축 (樞支軸) (19a) 과, 후술하는 붐 실린더 (26) 의 실린더측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실린더 브래킷 (19b) 을 포함한다. 실린더 브래킷 (19b) 은, 선회 프레임 (7) 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에, 추지축 (19a) 과 평행한 지지축 (19c) 을 가설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우기관실 (9a) 측의 격벽 (18) 과 캐빈 (10) 측의 벽부 (13) 는,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선회 프레임 (7) 의 보강 부재이기도 하다.
굴삭 장치 (3) 는, 굴삭 장치 (3) 의 기부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붐 (21) 과, 붐 (21) 의 선단측에 연결된 아암 (22) 과, 아암 (22) 의 선단부에 장착된 버킷 (23) 을 갖는다. 또한, 붐 (21) 은, 제 1 붐 (21a), 제 2 붐 (21b), 제 3 붐 (21c) 으로 구성된다.
제 1 붐 (21a) 은, 측면에서 볼 때 선단측이 둔각으로 전방측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고, 기단이 선회 프레임 (7) 에 형성된 붐 지지부 (19) 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붐 (21a) 의 기단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추지축 (19a) 에 피봇 지지됨으로써, 붐 (21) 이 선회 프레임 (7) 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붐 (21b) 은, 기단이 제 1 붐 (21a) 의 선단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붐 (21c) 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제 2 붐 (21b) 의 선단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붐 (21a) 과 제 3 붐 (21c) 은, 제 2 붐 (21b) 에 평행하게 형성된 오프셋 링크 (24)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붐 (21a), 제 2 붐 (21b), 제 3 붐 (21c) 및 오프셋 링크 (24) 는,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를 구성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굴삭 장치 (3) 는, 제 1 붐 (21a) 을 회동 동작시키는 붐 실린더 (26) 와, 제 2 붐 (21b) 및 오프셋 링크 (24) 를 회동 동작시키는 오프셋 실린더 (27) 와, 아암 (22) 을 회동 동작시키는 아암 실린더 (28) 와, 버킷 (23) 을 회동 동작시키는 작업구 실린더 (29) 를 갖는다. 이들 실린더는, 모두 유압 실린더이다. 굴삭 장치 (3) 에 있어서는, 작업 내용에 따라 버킷 (23) 대신에 그래플 또는 브레이커 등의 다른 장치가 장착된다.
붐 실린더 (26) 는, 제 1 붐 (21a) 의 전방측에 제 1 붐 (21a)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붐 실린더 (26) 의 기단 (실린더측 단부) 은, 실린더 브래킷 (19b) 의 지지축 (19c)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참조). 붐 실린더 (26) 의 신축에 수반하여, 제 1 붐 (21a) 이 추지축 (19a) 둘레로 요동한다.
오프셋 실린더 (27) 는, 제 2 붐 (21b) 의 좌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오프셋 실린더 (27) 의 로드측 단부는, 제 3 붐 (21c) 의 좌측면부에 브래킷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오프셋 실린더 (27) 의 실린더측 단부는, 제 2 붐 (21b) 의 기단측의 좌측면부에 돌출 형성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오프셋 실린더 (27) 가 신축함으로써, 제 2 붐 (21b) 및 오프셋 링크 (24) 가 좌우로 요동한다.
아암 실린더 (28) 는, 실린더측이 제 3 붐 (21c)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로드측 단부가 아암 (22) 의 기단측에 형성된 브래킷부 (37)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 (22) 은, 아암 실린더 (28) 의 신축에 의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아암 (22) 과 제 3 붐 (21c) 의 연결축 둘레로 요동한다.
작업구 실린더 (29) 는, 아암 (2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실린더측이 아암 (22) 의 기단측에 형성된 브래킷부 (37)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로드측 단부가 버킷 (23) 측의 브래킷부 (38) 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버킷 (23) 은, 작업구 실린더 (29) 의 신축에 의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버킷 (23) 과 아암 (22) 의 연결축 둘레로 요동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굴삭 작업기 (1) 에 있어서는, 운전석 (15) 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주행 레버나 작업 조작 레버 등이 적절히 조작됨으로써, 원하는 동작·작업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주행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굴삭 작업기 (1) 의 전후 직진 주행이나 좌우 선회 주행이 실시된다. 또, 작업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굴삭 장치 (3) 에 의한 굴삭 작업, 혹은 배토 장치 (4) 에 의한 배토 작업 및/또는 정지 (整地) 작업이 실시된다.
[유압 시스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굴삭 작업기 (1) 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동작 제어를 전기 제어에 의해 실시하는 건설 기계이다. 도 2 에, 굴삭 작업기 (1) 의 전기 제어형 유압 시스템의 일부분을 블록도에 의해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액추에이터 (43) 는, 블레이드 실린더, 붐 실린더 (26), 오프셋 실린더 (27), 아암 실린더 (28), 작업구 실린더 (29), 주행용 유압 모터 (44) 및 선회용 유압 모터 등의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엔진 (46) 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으로서 구성되고, 구동축의 축 방향을 대략 좌우 방향으로 한 횡향으로 선회 프레임 (7) 의 후부에 위치하는 후기관실 (9b) 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 (46) 은, 유압 펌프 (41) (메인 펌프) 및 파일럿 펌프 (42) 의 구동원이고, 유압 펌프 (41) 및 파일럿 펌프 (42) 가 엔진 (46) 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압 펌프 (41) 는, 작동유 탱크 (48) 내의 작동유를, 후술하는 컨트롤 밸브 (45) 의 방향 전환 밸브 (45a) 를 통하여 액추에이터 (43) 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유압 펌프 (41) 와 방향 전환 밸브 (45a) 사이는, 공급용 배관 (61)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공급용 배관 (61) 에는, 유압 펌프 (41) 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토출압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63) 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 센서 (63) 의 검출 신호는, 컨트롤러 (51) 에 통신선을 통하여 입력된다.
파일럿 펌프 (42) 는, 컨트롤 밸브 (45) 의 전자 비례 밸브 (45b) 를 통하여 방향 전환 밸브 (45a) 에 파일럿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파일럿 펌프 (42) 와 전자 비례 밸브 (45b) 의 사이는, 파일럿압 공급용 배관 (62)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45) 는, 유압 시스템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 밸브 (45) 는, 블레이드 실린더, 붐 실린더 (26), 오프셋 실린더 (27), 아암 실린더 (28), 작업구 실린더 (29), 좌우의 주행용 유압 모터 (44) 및 선회용 유압 모터 중 하나 또는 복수의 것에 대해 유압 펌프 (41) 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 때문에, 실제의 유압 시스템에서는, 컨트롤 밸브 (45) 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43) 의 각각에 대응하는 방향 전환 밸브 (45a) 와 전자 비례 밸브 (45b) 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 (45a) 는, 파일럿 조작식의 방향 제어 밸브이고, 예를 들면, 4 포트 3 위치의 유압 파일럿식 방향 제어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향 전환 밸브 (45a) 에는, 튜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압 배관을 접속하는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각 포트에는, 유압 펌프 (41) 의 토출 라인인 공급용 배관 (61), 유압의 액추에이터 (43) 에 대한 공급 라인 또는 액추에이터 (43) 로부터의 배출 라인인 급배용 배관 (65), 작동유 탱크 (48) 로의 복귀 라인인 복귀용 배관 (66) 이 접속된다.
조작 장치 (47) 의 조작량에 따른 전류가 컨트롤러 (51) 로부터 전자 비례 밸브 (45b) 에 출력되고, 전자 비례 밸브 (45b) 는, 방향 전환 밸브 (45a) 의 입력 포트에 입력 전류에 비례한 파일럿압을 출력함으로써 방향 전환 밸브의 스풀을 슬라이딩시킨다.
조작 장치 (47) 는, 운전부 (11) 에 형성된 주행 레버, 작업용의 조작 페달 및 작업 조작 레버 등의 각종 조작 장치 중, 각각의 액추에이터 (43) 에 대응하는 조작 장치를 가리킨다.
컨트롤 밸브 (45) 의 동작은, 컨트롤러 (51) 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 (51) 는, ECU (Electronic Control Unit) 라고도 호칭되고, 연산 장치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와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컨트롤러 (51) 는, 하나의 액추에이터 (43) 에 대응하는 하나의 조작 장치 (47) 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른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당해 신호에 근거하는 지령 신호를 전자 비례 밸브 (45b) 에 출력한다. 이로써 전자 비례 밸브 (45b) 로부터 방향 전환 밸브 (45a) 에게 부여되는 파일럿압이 조정되고, 방향 전환 밸브 (45a) 에 의한 작동유의 흐름 방향과 유량이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유압 시스템에서는, 컨트롤 밸브 (45) 를 통한 액추에이터 (43) 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제어에 의해, 굴삭 장치 (3) 의 동작이나 선회 프레임 (7) 의 선회 동작 등이 실시된다.
[선회 프레임 상의 각 구성의 레이아웃]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선회 프레임 (7) 상의 각 구성의 레이아웃 중, 특히 우기관실 (9a) 에 배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 에 있어서는, 캐빈 (10) 및 외장 커버 (우보닛 (16) 및 후보닛 (17)) 를 철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기관실 (9a) 은, 기체의 일방측 (우측방) 에 있어서 작동유 탱크 (48), 컨트롤 밸브 (45), 배터리 (49) 및 냉각 기구 (60) 를 수용하는 수용실이다. 또한, 기체의 타방측방 (좌측방) 에는, 운전석 (15) 이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48) 는, 탱크 내에 작동유를 저류함으로써 중량이 다른 구성보다 무거워지는 점에서, 선회 프레임 (7) 상의 중량면에서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우기관실 (9a) 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중앙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기구 (60) 는, 엔진 (46) 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라디에이터와, 작동유를 냉각하기 위한 오일 쿨러와, 냉각 팬을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엔진 (46) 을 선회 프레임 (7) 의 후부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 기구 (60) 는 작동유 탱크 (48) 의 후방의 엔진 (46)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45) 는, 작동유 탱크 (48) 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45) 는, 지지 부재 (52) 에 세로 배치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 (52) 는, 저판부 (52a) 와, 저판부 (52a) 에 세워서 형성된 배판부 (52b) 및 측판부 (52c) 에 의해 구성된다. 배판부 (52b) 및 측판부 (52c) 는, 판금을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 자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배판부 (52b) 및 측판부 (52c) 에 의해, 컨트롤 밸브 (45) 의 등측과 우측을 둘러싸고 있다.
배판부 (52b) 는, 컨트롤 밸브 (45) 의 배면측을 지지함과 함께, 선회 프레임 (7) 상에 있어서의 컨트롤 밸브 (45) 의 배치 영역과 작동유 탱크 (48) 의 배치 영역을 구획하는 칸막이판이기도 하다. 또한, 측판부 (52c) 는, 우기관실 (9a) 내에 있어서 우보닛 (16) 의 우전측면 커버부 (16a) 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내벽부이고, 컨트롤 밸브 (45) 이외의 구성을 지지하는 부재로서도 이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45)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 (48) 의 우전측면 커버부 (16a) 를 향하는 측면 (48a) 과 반대측의 측면 (48b) 으로부터 격벽 (18) 을 향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즉, 컨트롤 밸브 (45) 는, 작동유 탱크 (48) 의 좌우의 폭 방향에 대해서, 그 전체가 선회 프레임 (7) 의 대략 원형의 외형 내에 들어가고, 또한 각 방향 전환 밸브 (45a) 에 대한 유압 배관 (공급용 배관 (61), 급배용 배관 (65), 복귀용 배관 (66) 등) 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보다 선회 프레임 (7) 의 내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의 치수를 서로 대략 동일한 치수로 한 컨트롤 밸브 (45) 및 작동유 탱크 (48) 는,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하여, 좌우 방향에 관해서 작동유 탱크 (48) 에 대하여 컨트롤 밸브 (45) 를 좌우 내측 (좌측) 에 위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에는, 배터리 (49) 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49) 는, 지지 부재 (52) 의 저판부 (52a) 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이면서, 배터리 (49) 의 상방이 되는 지지 부재 (52) 의 우측의 측판부 (52c) 에는, 컨트롤러 (51) 가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러 (51) 와 컨트롤 밸브 (45) 는, 전력의 공급선 및 신호의 통신선인 와이어 하니스 (도시하지 않음)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 (51) 는, 컨트롤 밸브 (45) 의 전자 비례 밸브 (45b) 에 와이어 하니스를 통하여 제어 신호 (소정 크기의 전류) 를 공급하는 것으로, 두께가 얇은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의 용이화의 관점에서, 컨트롤러 (51) 를 컨트롤 밸브 (45) 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 (51) 는, 평면에서 볼 때 및 정면에서 볼 때, 배터리의 중심에 대하여 운전석 (15) 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 (51) 는, 컨트롤 밸브 (45) 의 좌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컨트롤 밸브 (45) 의 좌측의 위치이고, 배터리 (49) 의 중심보다 좌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 (51) 를 배터리 (49) 의 중심으로부터 운전석 (15) 측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 경로를 종래와 비교하여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트롤 밸브 (45), 배터리 (49) 및 컨트롤러 (51) 의 배치에 의해,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이면서 배터리 (49) 의 상방에, 각 방향 전환 밸브 (45a) 에 대한 유압 배관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컨트롤러 (51) 는, 좌우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여 지지 부재 (52) 의 측판부 (52c) 에 장착되어 있는 점에서, 컨트롤 밸브 (45) 에 접속한 복수의 유압 배관과 서로 물리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배터리 (49) 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장애가 되는 일도 없다.
또한, 컨트롤러 (51) 는, 제어 신호의 생성시에 있어서 유압 펌프 (41) 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압력값을 압력 센서 (63) 로부터 취득하는 등, 다른 기기류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서 통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51) 까지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에 있어서는, 외장 커버로부터 떨어진 기체의 내측의 선회 프레임 (7) 의 프레임 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를 따라서 라우팅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와이어 하니스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51) 는, 전자 기기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받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기관실 (9a) 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 (7) 의 우외측면을 구성하는 우전측면 커버부 (16a) 에 대향하는 격벽 (18) 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 (52) 의 측판부 (52c) 에, 컨트롤러 (51) 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보닛 (16) 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선회 프레임 (7) 의 보다 내측에 있는 격벽 (18) 측의 컨트롤러 (51) 에까지 충격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 (52) 가 저판부 (52a) 에 대하여 배판부 (52b) 와 측판부 (52c) 가 세워져 형성된 것이지만, 지지 부재 (52) 를 저판부 (52a) 와 배판부 (52b) 로 이루어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 자 형상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생략한 측판부 (52c) 대신에, 격벽 (18) 에 컨트롤러 (51) 를 장착해도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 에 있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격벽 (18) 은, 선회 프레임 (7) 의 보강 부재를 겸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우보닛 (16) 의 상면 커버부 (16c) 의 일측단의 높이에 이르는 범위를 덮는 판 부재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굴삭 작업기 (1) 에 의하면, 컨트롤러 (51) 와, 컨트롤러 (51)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기기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굴삭 작업기 (1) 에 조작 장치 (47) 로부터 입력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 밸브 (45) 의 작동유의 흐름 방향과 유량을 제어하는 유압 시스템을 탑재하고, 컨트롤러 (51) 가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컨트롤러 (51) 와 컨트롤 밸브 (45) 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에 컨트롤러 (51) 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49) 를 배치하고, 컨트롤러 (51) 를 그 배터리 (49) 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49) 의 상방의 빈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컨트롤러 (51) 와 컨트롤 밸브 (45)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트롤 밸브 (45) 및 배터리 (49) 는, 원동기 (엔진 (46)) 를 설치하는 기관실 (9) 의 차체 프레임 (선회 프레임 (7)) 의 좌우 일방측의 측면이 외장 커버로 덮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우보닛 (16) 으로 덮인 우기관실 (9a) 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 (51) 는, 차체 프레임 (선회 프레임 (7)) 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외장 커버 (우보닛 (16) 의 우전측면 커버부 (16a)) 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배터리 (49) 의 중심에 대하여 오프셋 배치되어 있다. 즉, 배터리 (49) 의 중심으로부터 우전측면 커버부 (16a) 에 대향하는 격벽 (18)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컨트롤러 (51) 는 우전측면 커버부 (16a) 로부터 이격된 우기관실 (9a) 의 보다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는 점에서, 선회 프레임 (7) 의 우보닛 (16) 에 장애물이 충돌한 경우의 옆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컨트롤러 (51) 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49) 의 중심으로부터 격벽 (18) 측에 오프셋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49) 의 상방에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배터리 (49) 의 메인터넌스도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트롤러 (51) 가, 차체 프레임 (선회 프레임 (7)) 상에 있어서 외장 커버의 측면 (우전측면 커버부 (16a)) 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내벽부 (지지 부재 (52) 의 측판부 (52c)) 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우보닛 (16) 측으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컨트롤러 (51) 를 보호할 수 있다. 내벽부로부터 선회 프레임 (7) 의 보강 부재 (예를 들면, 격벽 (18)) 를 따라 와이어 하니스를 라우팅할 수 있는 점에서,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와이어 하니스의 보호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높이 위치에 컨트롤러 (51) 를 배치할 수 있는 점에서, 컨트롤러 (51) 와 컨트롤 밸브 (45) 사이의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을 간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트롤 밸브 (45) 가, 평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 (48) 의 운전석 (15) 측의 측면으로부터 내벽부 (지지 부재 (52) 의 측판부 (52c) 및 격벽 (18)) 를 향하여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컨트롤 밸브 (45) 에 대한 유압 배관 (공급용 배관 (61), 급배용 배관 (65) 및 복귀용 배관 (66) 등) 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유압 배관과 우보닛 (16) 의 우전측면 커버부 (16a) 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유압 배관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트롤러 (51)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 (48) 와 중첩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 (51) 를 배치함으로써, 우기관실 (9a) 의 전방에 배치한 컨트롤러 (51) 로부터, 선회 프레임 (7) 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기관실 (9b) 까지, 전후 방향에서 직선으로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와이어 하니스에 대한 굽힘 부하를 저감시키면서, 최단 루트에 의한 와이어 하니스의 라우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동유 탱크 (48) 의 후방에, 작동유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 (60) 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선회 프레임 (7) 의 후방에 배치한 엔진 (46) 을 냉각하는 냉각수의 냉각 경로와 작동유 탱크 (48) 에 저류하는 작동유의 냉각 경로의 배관의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이외라도,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본 개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49) 를 컨트롤 밸브 (45) 의 전방에 배치했지만, 예를 들면, 작동유 탱크 (48) 의 후방의 냉각 기구 (60) 의 하부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우후측면 커버부 (16b) 의 통기구를 막지 않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펌프 (41) 를 엔진 (46) 에 기계적으로 접속하였지만, 유압 펌프 (41) 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엔진 (46) 과는 별도로 형성하여, 유압 펌프 (41) 를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회 프레임 (7) 에 배터리 (49) 와는 별도로 대용량 충전지를 탑재하고, 디젤 엔진인 엔진 (46) 대신에, 외부 전원 및 충전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 모터를 원동기로서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프레임 (7) 상의 레이아웃으로서, 좌측에 캐빈 (10), 우측 및 후방에 기관실 (9) 을 형성하고 있지만, 좌우의 구성을 반전시켜도 된다. 또한, 컨트롤 밸브 (45) 를 배치할 때의 자세는, 스페이스에 따라서 세로 배치, 가로 배치 등의 자세가 적절하게 선택된다.
[양태]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1)
기체 측방의 수용실 내에,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와,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배치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는, 상기 작동유 탱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전방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건설 기계.
(3)
상기 기체의 타방 측방에는, 운전석이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2) 에 기재된 건설 기계.
(4)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운전석측의 내벽부에 지지되어 있는, (3) 에 기재된 건설 기계.
(5)
상기 컨트롤 밸브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벽부를 향하여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4) 에 기재된 건설 기계.
(6)
상기 컨트롤러는,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와 중첩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건설 기계.
(7)
상기 작동유 탱크의 후방에, 작동유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건설 기계.
1 : 굴삭 작업기 (건설 기계)
2 : 주행 차체
3 : 굴삭 장치
5 : 주행부
7 : 선회 프레임 (차체 프레임)
9 : 기관실
9a : 우기관실 (수용실)
10 : 캐빈
11 : 운전부
14 : 운전석 지지대
15 : 운전석
16 : 우보닛 (외장 커버)
18 : 격벽 (내벽부)
21 : 붐
22 : 아암
23 : 버킷
26 : 붐 실린더 (유압 액추에이터)
27 : 오프셋 실린더 (유압 액츄에이터)
28 : 아암 실린더 (유압 액추에이터)
29 : 작업구 실린더 (유압 액추에이터)
41 : 유압 펌프
42 : 파일럿 펌프
43 : 유압 액추에이터
44 : 주행용 유압 모터 (유압 액츄에이터)
45 : 컨트롤 밸브
46 : 엔진 (원동기)
47 : 조작 장치
48 : 작동유 탱크
49 : 배터리
51 : 컨트롤러
52 : 지지 부재
52b : 배판부 (칸막이판)
52c : 측판부 (내벽부)
60 : 냉각 기구
61 : 공급용 배관
66 : 복귀용 배관

Claims (7)

  1. 기체 측방의 수용실 내에,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작동유 탱크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동작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대한 작동유의 흐름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배치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는, 상기 작동유 탱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의 전방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타방 측방에는, 운전석이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용실 내의 상기 운전석측의 내벽부에 지지되어 있는, 건설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기 운전석측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내벽부를 향하여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전면에서 볼 때, 상기 작동유 탱크와 중첩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의 후방에, 작동유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
KR1020230085807A 2022-07-14 2023-07-03 건설 기계 KR20240009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13358A JP2024011409A (ja) 2022-07-14 2022-07-14 建設機械
JPJP-P-2022-113358 2022-07-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871A true KR20240009871A (ko) 2024-01-23

Family

ID=8700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807A KR20240009871A (ko) 2022-07-14 2023-07-03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18747A1 (ko)
EP (1) EP4306725A1 (ko)
JP (1) JP2024011409A (ko)
KR (1) KR20240009871A (ko)
CN (1) CN1174037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8172A (ja) 2007-09-10 2009-04-02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コントローラ配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418B2 (en) * 2011-11-11 2015-04-2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WO2019017188A1 (ja) * 2017-07-18 2019-01-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3815949B1 (en) * 2018-06-29 2023-12-06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8172A (ja) 2007-09-10 2009-04-02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コントローラ配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6725A1 (en) 2024-01-17
CN117403731A (zh) 2024-01-16
US20240018747A1 (en) 2024-01-18
JP2024011409A (ja)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0915B1 (en) Electrical construction machine
US9016418B2 (en) Construction machine
KR20130100995A (ko) 전동 작업 차량
JP4230199B2 (ja) 運転室のフロア構造
JP2012017553A (ja) 建設機械
JP7213045B2 (ja) 作業車両及び車両充電システム
JPH09144062A (ja) 建設機械
KR102426643B1 (ko) 작업기계
KR20240009871A (ko) 건설 기계
KR20240009870A (ko) 건설 기계
JP5410691B2 (ja) 車両のコンソール装置
JP5771749B2 (ja) 建設機械
JPH09144061A (ja) 建設機械
KR102088805B1 (ko) 작업 기계
JP6712671B2 (ja) 分解型作業機械
JP6961635B2 (ja) 建設機械
JP2024095467A (ja) 建設機械
JP2024095468A (ja) 建設機械
JP2012167482A (ja) 建設機械のコントロールバルブとシャトルブロックの配設構造
KR20230150725A (ko) 전동식 작업 기계
KR20240035320A (ko) 작업 기계
JP2024065874A (ja) 作業機械
JP5001325B2 (ja) 建設機械
JP4863143B2 (ja) 作業車両
JP2005171722A (ja) 旋回作業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