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208A -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208A
KR20240009208A KR1020220086389A KR20220086389A KR20240009208A KR 20240009208 A KR20240009208 A KR 20240009208A KR 1020220086389 A KR1020220086389 A KR 1020220086389A KR 20220086389 A KR20220086389 A KR 20220086389A KR 20240009208 A KR20240009208 A KR 20240009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cover
palm side
reel
releas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1020220086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208A/ko
Publication of KR2024000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릴본체의 일측에는 기어 사이드커버가 결합되고 타측 개구부에는 팜 사이드커버가 장착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상기 기어 사이드커버의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외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와, 상기 팜 사이드커버에 상기 릴리즈부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부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 및 상기 팜 사이드커버는 상기 릴리즈부를 푸쉬하고, 상기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함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에 의하면, 베이트 캐스트 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가 형성되고, 팜 사이드커버에 릴리즈부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릴리즈부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어, 릴리즈부를 푸쉬함과 동시에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하여, 팜 사이드커버가 사용자의 실수 또는 임의로 팜 사이드커버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PALM SIDE COVER REMOVAL DEVICE FOR BAIT CAST REEL}
개시된 내용은 베이트 캐스트 릴에 릴리즈부가 형성됨에 따라, 팜 사이드커버는 릴리즈부를 푸쉬하고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시에 탈착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릴은 찌낚시, 원투낚시 또는 루어낚시에 골고루 사용되는 스피닝 릴과, 주로 루어낚시에 사용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로 분류된다.
후자의 베이트 캐스트 릴에 의하면, 일단에 회전손잡이가 구비된 릴본체의 내부에 스풀이 설치되어 회전손잡이를 돌리면 풀렸던 낚싯줄이 스풀에 감겨지고, 본체의 타단에는 스풀을 지지하는 릴 커버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베이트 캐스트 릴은 주로 낚싯줄 선단에 루어를 묶어서 물 속으로 캐스팅한 후에 상기 회전손잡이를 서서히 회동시켜 낚시를 하게 된다.
이때, 낚싯줄이 스풀에 감기면서 루어는 낚싯줄이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물고기는 이를 살아있는 미끼로 착각하여 물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베이트 캐스트 릴은 낚싯줄을 던진 후에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스풀에 감겨지는 낚싯줄이 자주 엉키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캐스팅 초기에는 인조미끼의 자중으로 가해진 투척력에 의하여 회전하기 시작한 스풀이 인조미끼의 낙하지점, 즉 포물선을 그리면서 운동되는 정점이후 시점부터는 스풀로부터 라인 방출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중량을 가진 스풀은 관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고속 회전하여 과다하게 라인을 풀어냄에 따라 순간적으로 라인이 스풀 내부에서 뒤엉키는 백래쉬현상이 발생되어 엉킨 낚싯줄을 풀기 위해 릴 커버를 분리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조어가 진행되는 경우, 백래쉬 방지를 위해 원심 브레이크장치를 조정하거나, 낚시 릴의 유지보수 등을 위해 스풀을 분리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조어 중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를 개방 후 분리한 다음 재결합하여 조어를 재개할 수 있다.
이때, 팜 사이드커버의 개폐를 위한 다양한 결합 구조가 채용되는 바, 팜 사이드커버 개폐수단의 본질은 팜 사이드커버의 완전 분리 후, 팜 사이드커버를 재결합하여 안전하게 고정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베이트 케스트 릴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2842호(2006.12.01. 공고)에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릴 본체와, 스풀의 회전을 지지하고 낚싯줄이 엉켰을 때 스풀을 상기 릴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릴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릴 커버와, 릴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스풀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스풀 커버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스풀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고정핀과, 릴 커버의 내측에서 고정핀의 이동을 절대적으로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릴 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릴 커버를 잡고 비틀었을 때 소정의 탄성한계 범위 내에서 고정핀의 이동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고 그 탄성한계의 범위 밖에서 고정핀의 이동을 허락함으로써 릴 커버를 착탈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되어, 릴 본체에 릴 커버를 탈부착함에 있어서 별도로 잠금장치를 작동하지 않더라도 릴 커버를 소정의 힘으로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릴 커버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베이트 케스팅 릴커버의 착탈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4212호(2007.02.20. 공고)에는 릴 본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릴 본체에 착탈되는 릴 커버에는 상기 고정홀에 대응되는 유동방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릴 커버 내측에 결합되고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릴 커버의 반대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스풀 커버의 중앙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며, 일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착탈수단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숫나사산이 암나사산과 나사체결되며, 손잡이를 계속하여 돌리면 상기 릴 커버가 상기 릴 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유동방지부가 고정홀에 삽입되어 릴 커버가 릴 본체에 유격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탈 부착되는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3115호(2018.01.29. 공고)에는 사이드 커버를 분리 후 재결합할 때, 사이드 커버를 고정시키는 락 레버가 작동하여 잠금 안전 모드가 실행됨으로써, 사이드 커버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락 레버의 걸림돌기가 프레임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락 레버를 자동으로 회전 복귀시키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베이트 케스팅 릴커버의 착탈장치는 분리된 사이드 커버를 재결합한 후, 사용자가 직접 사이드 커버를 완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를 ON 상태로 전환하는 별도의 동작을 취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낚시 릴의 사이드 커버는, 재결합 시, 잠금장치를 ON 상태로 전환시키기 전에도, 사이드 커버가 프레임에 부분 결합되어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바, 사용자가 실수로 사이드 커버를 완전 고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조어를 재개하여, 조어 중 사이드 커버가 분리, 이탈되어 이를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는 사이드 커버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별도의 락 레버를 회전 작동시켜 사이드 커버의 분리 및 조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락 레버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키지 않더라고, 사이드 커버가 프레임에 고정 완료된 형태로 보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각을 유발하기 쉬워, 사이드 커버의 분실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2842호(2006.12.01.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3115호(2018.01.29. 공고)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3115호(2018.01.29. 공고)
베이트 캐스트 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가 형성되어, 팜 사이드커버는 릴리즈부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푸쉬함과 동시에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하여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릴본체의 일측에는 기어 사이드커버가 결합되고 타측 개구부에는 팜 사이드커버가 장착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상기 기어 사이드커버의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외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와, 상기 팜 사이드커버에 상기 릴리즈부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부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 및 상기 팜 사이드커버는 상기 릴리즈부를 푸쉬하고, 상기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함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릴리즈부는, 상기 기어 사이드커버의 일측에 함입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삽입홈과, 상기 제 1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삽입홈의 내부에 연접되게 형성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제 1 삽입홈에 관통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삽입홈의 내부에 연접되게 헤드부가 형성되는 릴리즈본체 및 상기 릴리즈본체의 타단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릴리즈본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릴리즈본체의 외주연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고정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팜 사이드커버의 내부 일측에는 함입형성되는 제 2 삽입홈과, 상기 제 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 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릴리즈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릴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삽입홈에 연접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돌출핀과, 상기 돌출핀의 일단에 삽입되고 일면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고 상기 팜 사이드커버와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핀의 타단에는 내부로 함입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에 의하면, 베이트 캐스트 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가 형성되고, 팜 사이드커버에 릴리즈부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릴리즈부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어, 릴리즈부를 푸쉬함과 동시에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하여, 팜 사이드커버가 사용자의 실수 또는 임의로 팜 사이드커버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는 릴본체(10)의 일측에는 기어 사이드커버(20)가 결합되고 타측 개구부에는 팜 사이드커버(30)가 장착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1)에 있어서, 기어 사이드커버(20)의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외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100)와, 팜 사이드커버(30)에 릴리즈부(100)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고 릴리즈부(100)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200) 및 팜 사이드커버(30)는 릴리즈부(100)를 푸쉬하고, 팜 사이드커버(30)를 회동함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릴본체(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 릴(1)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스풀이 축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풀의 착탈을 위하여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기어 사이드커버(20)는 이미 종래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팜 사이드커버(30)는 릴본체(10)와의 결합 시에 스풀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스풀의 회전을 지지하고, 릴본체(10)에서의 분리시 릴본체(1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릴리즈부(10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어 사이드커버(20)의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외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외력을 가할 경우에 기어 사이드커버(20)의 타측으로 더 삽입되고, 릴리즈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한 릴리즈부(100)는 기어 사이드커버(20)의 일측에 함입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홀(111)이 구비되는 제 1 삽입홈(110)과, 제 1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제 1 삽입홈(110)의 내부에 연접되게 형성되는 제 1 스프링(120)과, 제 1 삽입홈(110)에 관통되고 일단은 제 1삽입홈의 내부에 연접되게 헤드부(131)가 형성되는 릴리즈본체(130) 및 릴리즈본체(130)의 타단에 삽입고정되고 릴리즈본체(13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삽입홈(110)은 기어 사이드커버(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제 1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릴리즈본체(130)가 스풀의 회전운동시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 1 삽입홈(110)에 구비되는 관통홀(111)은 도 3a,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삽입홈(1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릴리즈본체(1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통홀(111)의 직경은 릴리즈본체(130)의 타단이 연접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스프링(120)은 제 1 삽입홈(110)의 내부에 연접되게 형성되어, 제 1 삽입홈(1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11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삽입홈(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릴리즈본체(130)를 일정한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릴리즈본체(130)의 일단에는 헤드부(131)가 형성되어 제 1 삽입홈(110)에 안착되고, 릴리즈본체(130)의 타단은 관공홀로 관통되어 팜 사이드커버(30)에 형성되는 고정결합부(200)와 연접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1)는 제 1 삽입홈(110)의 내부에 연접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 1 스프링(120)이 제 1 삽입홈(1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헤드부(131)의 상단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신체와의 접촉시에 자극을 최소화하고 부상 또는 통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한편, 리테이너(140)는 도 3a,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리즈본체(130)가 제 1 삽입홈(110)에 삽입된 후에 릴리즈본체(130)의 타단에 삽입되어, 관통홀(111)에 연접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릴리즈본체(130)의 외주연에는 고정홈(133)이 형성되어 리테이너(14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133)은 관통홀(111)에 연접되는 리테이너(140)가 위치되는 릴리즈본체(130)에 외주연을 따라 함입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릴리즈본체(130)의 외주연에 고정홈(133)이 형성되어 리테이너(140)가 배치됨에 따라, 헤드부(131)에 외력이 가해져 제 1 스프링(120)이 수축되어 릴리즈본체(130)가 관통홀(111)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헤드부(13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었을 경우에, 제 1 스프링(1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릴리즈본체(1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고정결합부(200)는 팜 사이드커버(30)에 릴리즈부(100)의 타단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됨에 따라, 릴리즈부(100)를 푸쉬하여 팜 사이드커버(30)와 릴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고정결합부(200)는 팜 사이드커버(30)의 내부 일측에는 함입형성되는 제 2 삽입홈(210)과, 제 2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제 2 스프링(220)과, 일단은 릴리즈부(1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릴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2 삽입홈(210)에 연접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돌출핀(230)과, 돌출핀(230)의 일단에 삽입되고 일면에 결합홀(241)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240) 및 결합홀(241)에 삽입되고 팜 사이드커버(30)와 결합되는 스크류(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삽입홈(210)은 도 3a,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리즈부(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스프링(220)은 제 2 삽입홈(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출핀(230)에 복원력을 가지게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릴리즈부(100)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제 2 스프링(220)은 제 2 삽입홈(210)의 내부로 더 삽입되고, 릴리즈부(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돌출핀(230)의 일단은 도 3a,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릴리즈본체(13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릴본체(1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출핀(230)의 타단은 돌출핀(230)의 일단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240)에 돌출핀(230)이 삽입되었을 경우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돌출핀(230)의 타단에는 내부로 함입형성되어 제 2 스프링(220)이 안착되는 안착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프링(220)은 안착홈(231)의 직경에 연접되게 형성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제 2 스프링(220)이 제 2 삽입홈(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플레이트(240)에는 돌출핀(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과 이격적으로 결합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240)에 형성되는 결합홀(241)에는 스크류(250)가 삽입되고, 스크류(250)와 팜 사이드커버(30)와 결합됨에 따라, 돌출핀(230)이 제 2 삽입홈(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릴본체(10)에 팜 사이드커버(30)를 회동결합시에, 돌출핀(230)이 릴본체(1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되고 릴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릴리즈부(100)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홈에 삽입된 돌출핀(230)이 해제됨에 따라, 팜 사이드커버(30)를 회동시켜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릴본체(10)의 타측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1)이 이격형성되고, 팜 사이드커버(30)에는 걸림턱(11)에 대응되도록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팜 사이드커버(30)를 회동시에 걸림돌기(31)가 걸림턱(11)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1)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개의 걸림턱(11)이 내주면을 따라 이격적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팜 사이드커버(3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1)는 걸림턱(11)에 대응되게 형성됨에 따라, 릴본체(10)의 타측에 팜 사이드커버(30)를 삽입시키고, 팜 사이드커버(30)를 상부로 회동시에 걸림돌기(31)가 걸림턱(11)에 안착되어 릴본체(10)와 팜 사이드커버(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에 의하면, 베이트 캐스트 릴(1)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100)가 형성되고, 팜 사이드커버(30)에 릴리즈부(100)와 대응되도록 위치되고 릴리즈부(100)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200)가 형성되어, 릴리즈부(100)를 푸쉬함과 동시에 팜 사이드커버(30)를 회동하여, 팜 사이드커버(30)가 사용자의 실수 또는 임의로 팜 사이드커버(30)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릴리즈본체(130)의 외주연에 고정홈(133)이 형성되어 리테이너(140)가 배치됨에 따라, 헤드부(131)에 외력이 가해져 제 1 스프링(120)이 수축되어 릴리즈본체(130)가 관통홀(111)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헤드부(13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었을 경우에, 제 1 스프링(1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릴리즈본체(1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결합부(200)는, 팜 사이드커버(30)의 내부 일측에 함입형성되는 제 2 삽입홈(210)과, 제 2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제 2 스프링(220)과, 일단은 릴리즈본체(1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릴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 2 삽입홈(210)에 연접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돌출핀(230)과, 돌출핀(230)의 일단에 삽입되고 일면에 결합홀(241)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240) 및 결합홀(241)에 삽입되고 팜 사이드커버(30)와 결합되는 스크류(250)를 포함하여 돌출핀(230)이 릴본체(1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되고 릴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릴리즈부(100)에 외력을 가할 경우에, 홈에 삽입된 돌출핀(230)이 해제됨에 따라, 팜 사이드커버(30)를 회동시켜 결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이트 캐스트 릴
10 : 릴본체
11 : 걸림턱
20 : 기어 사이드커버
30 : 팜 사이드커버
31 : 걸림돌기
100 : 릴리즈부
110 : 제 1 삽입홈
111 : 관통홀
120 : 제 1 스프링
130 : 릴리즈본체
131 : 헤드부
133 : 고정홈
140 : 리테이너
200: 고정결합부
210 : 제 2 삽입홈
220 : 제 2 스프링
230 : 돌출핀
231 : 안착홈
240 : 고정플레이트
241 : 결합홀
250 : 스크류

Claims (5)

  1. 릴본체의 일측에는 기어 사이드커버가 결합되고 타측 개구부에는 팜 사이드커버가 장착되는 베이트 캐스트 릴에 있어서,
    상기 기어 사이드커버의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외력에 대해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릴리즈부;
    상기 팜 사이드커버에 상기 릴리즈부와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부의 위치에 따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고정결합부; 및
    상기 팜 사이드커버는 상기 릴리즈부를 푸쉬하고, 상기 팜 사이드커버를 회동함에 따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부는,
    상기 기어 사이드커버의 일측에 함입형성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구비되는 제 1 삽입홈;
    상기 제 1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삽입홈의 내부에 연접되게 형성되는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삽입홈에 관통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삽입홈의 내부에 연접되게 헤드부가 형성되는 릴리즈본체; 및
    상기 릴리즈본체의 타단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릴리즈본체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본체의 외주연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상기 팜 사이드커버의 내부 일측에 함입형성되는 제 2 삽입홈;
    상기 제 2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 스프링;
    일단은 상기 릴리즈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릴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삽입홈에 연접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돌출핀;
    상기 돌출핀의 일단에 삽입되고 일면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고 상기 팜 사이드커버와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핀의 타단에는 내부로 함입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KR1020220086389A 2022-07-13 2022-07-13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KR20240009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389A KR20240009208A (ko) 2022-07-13 2022-07-13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389A KR20240009208A (ko) 2022-07-13 2022-07-13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208A true KR20240009208A (ko) 2024-01-22

Family

ID=8971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389A KR20240009208A (ko) 2022-07-13 2022-07-13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2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42B1 (ko) 2005-09-01 2006-12-0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
KR101823115B1 (ko) 2017-01-13 2018-01-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42B1 (ko) 2005-09-01 2006-12-0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
KR101823115B1 (ko) 2017-01-13 2018-01-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21142T2 (de) Kopf mit befestigtem schneidfaden für trimmer mit flexiblem schneidfaden
JP3151762B2 (ja) 魚釣用リール
KR101217155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0471571B1 (ko) 양베어링릴의릴본체
JP6407578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EP0654216A1 (en) Fishing reel
JP2016002062A5 (ko)
US6857590B2 (en) Fishing reel spool
KR102442023B1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및 양 베어링 릴
KR20240009208A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팜 사이드커버 탈착장치
KR100745176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US6959886B1 (en) Bait casting reel
KR102633701B1 (ko) 양 베어링 릴
KR20090011532U (ko) 외부에서 조정이 가능한 베이트 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DE60213751T2 (de) Auslöser für Querbügel einer Angelrolle
KR200497934Y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힌지타입 팜 사이드커버 개폐보조장치
US5372322A (en) Hand pole fishing reels
JP4476515B2 (ja) 釣糸係止具
KR20190053767A (ko) 양 베어링 릴
US20190014764A1 (en) Inside cover lock mechanism
WO2006085711A1 (en) A hole bobber for fishing
KR102626809B1 (ko) 자동 챔질 기능을 갖는 낚시용 수중 찌
US11785931B2 (en) Hanger for use in fishing and fishing rod including same
JPH099831A (ja) 釣り糸リー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