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452A -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452A
KR20240008452A KR1020220085228A KR20220085228A KR20240008452A KR 20240008452 A KR20240008452 A KR 20240008452A KR 1020220085228 A KR1020220085228 A KR 1020220085228A KR 20220085228 A KR20220085228 A KR 20220085228A KR 20240008452 A KR20240008452 A KR 2024000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inflammatory
extract
obesity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김영배
김병수
신미경
김세영
윤두일
정민호
최승현
김다영
황성규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 국립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껴바이오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2008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452A/ko
Publication of KR2024000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72Soy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rd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처가 유발되지 않은 검은콩에 비해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사료 첨가제 또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containing wound-inducing bean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령화 사회의 중간단계에 있어, 그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능 소재 연구 및 제품 개발에 대해서는 미흡하여,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등의 일부 제품이 관련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기능성 신소재에 대한 개발 및 안전한 천연물 유래 소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로 알려졌을 만큼 전통적으로 우리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청국장 등으로 섭취하는 전통적인 건강식이며 자연 친화적인 식품이다. 그러나 소비되는 콩의 대부분은 외국에서 전량 수입하는 실정으로 국산 콩 소비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콩 생산 농가 및 관련 시장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국산 콩의 소비 증진을 위한 고부가화 연구가 필요하다.
고부가화한 콩 유래 제품은 수입한 콩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국내산 콩을 이용하여 여러 기능성 건강소재를 개발하고 암, 성인병 등을 예방함으로써 막대한 국민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분야를 활성화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콩의 기능성 연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820096호에 콩 발아 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98261호에 콩 발아 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632698호에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 능력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상처 유발 콩 추출물, 구체적으로 상처 유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상처 유발 검은콩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가 상처가 유발되지 않은 검은콩 추출물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처가 유발되지 않은 검은콩에 비해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은
1) 건조 상태의 검은콩을 물에 3~12시간 동안 수침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2) 상기 단계 1) 이후에, 바늘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상처를 내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20~30℃에서 0~1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건조 오븐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건조 상태의 검은콩을 물에 5~7시간 동안 수침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2) 상기 단계 1) 이후에, 바늘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상처를 내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23~27℃에서 11~1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건조 오븐에서 15~17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1) 건조 상태의 검은콩을 물에 6시간 동안 수침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2) 상기 단계 1) 이후에, 바늘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상처를 내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25℃에서 1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건조 오븐(45±5℃)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한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주사제,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Phaseolus v ulgar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상처가 유발된 콩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검은콩(Phaseolus v ulgaris)에 1:5(w/v)의 비율로 물(24±2℃)을 첨가한 다음 25℃에서 6시간 동안 수침하였다. 이후, 바늘로 찔러 침지된 콩에 무작위 상처를 낸 다음, 0, 12, 18시간 동안 인큐베이터(25℃)에서 보존하였다. 이후, 상처를 낸 콩을 공기 건조 오븐(45±5℃)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실험실용 그라인더(KN295 Knifectec TM)로 분쇄하여 분말 또는 가루로 만든 후, 100 메시 체로 체과하였다.
체과된 분쇄물 1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의 70%(v/v) 에탄올을 첨가한 후, 실온(25±5℃)에서 180rpm으로 교반하며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4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서 팥(Vigna angularis)을 사용하여 검은콩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처를 내고 추출하여 상처가 유발된 팥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능 분석
① 총 폴리페놀 함량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의 콩 추출물 시료 1mg이 포함된 100㎕의 폴린-시오칼투 페놀 시약에 0.55M Na2CO3 용액 100㎕를 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고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물질인 탄닌산(tannin acid)으로 작성한 표준곡선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② ABTs 라디칼 소거활성
2.45mM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P5592, Sigma, USA)에 용해한 7mM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acid] diammoniumsalt; A9941, Sigma, USA)를 실온 및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키고, ABTs 용액의 농도는 사용 직전에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0.7~0.9가 되도록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준비한 시료 50㎕에 ABTs 용액 100㎕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ABTS의 항산화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계산하였다.
③ DPPH 라디칼 소거활성
DPPH 용액의 농도는 사용 직전에 517nm에서 흡광도 값이 0.5~0.7이 되도록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준비한 시료 100㎕에 0.2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 Cemical Co., USA) 용액 50㎕를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DPPH 항산화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검은콩은 상처 유도 후 총 폴리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인 팥은 상처 유도 후 총 폴리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시료 총 폴리페놀 함량
(mg/g extract)
라디칼 소거활성
(%, at 1000ppm)
ABTS DPPH
검은콩
(실험예)
건조 콩 28.71±2.12 42.49±0.87 17.89±1.12
상처 유도
직후(0h)
34.21±1.71 48.08±1.05 23.97±0.93
상처 유도
12시간 후
40.79±2.60 52.12±1.12 29.82±2.71
상처 유도
18시간 후
31.40±0.90 48.89±3.09 25.09±1.92

(비교예)
건조 팥 35.88±3.09 75.48±1.83 74.64±0.80
상처 유도
직후(0h)
34.11±2.64 59.57±0.71 45.27±0.41
상처 유도
12시간 후
24.87±0.82 54.35±0.10 36.05±1.86
상처 유도
18시간 후
23.39±0.40 46.12±3.85 34.00±0.76
실시예 2. 항염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콩 추출물 시료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osmann(1983)의 방법을 이용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하였고, 200㎍/㎖의 농도에서도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NO(nitric oxide) 생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6 cells/㎖가 되도록 접종하고, 37℃ 온도와 5%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웰에 제조예 1의 시료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그 후 1㎍/㎖의 LPS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의 상징액을 얻고, 상징액과 그리스(griess) 시약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4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생성률은 LPS 처리군 대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검은콩은 상처 유도 후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건조 검은콩 추출물에 비해 현저하였고, 특히 상처 유도 직후 검은콩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인 팥은 상처 유도 후 LPS에 의해 증가된 NO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시료 NO product level (% of LPS)
Control 21.0±0.9
LPS 1㎍/㎖ 100.0±3.3
양성대조군(NAC 10mM) 59.2±0.8
시료 농도(㎍/㎖) 50 100 200
검은콩
(실험예)
건조 콩 73.3±3.0 52.8±3.1 26.2±1.2
상처 유도
직후(0h)
28.0±2.1 19.8±2.7 14.5±2.5
상처 유도
12시간 후
28.5±2.1 23.5±2.3 17.7±2.5
상처 유도
18시간 후
33.8±2.1 25.6±2.7 18.1±0.3

(비교예)
건조 팥 66.4±1.9 42.9±2.5 24.9±2.5
상처 유도
직후(0h)
50.2±1.6 45.1±2.0 25.8±3.3
상처 유도
12시간 후
59.4±0.9 47.3±0.7 32.5±1.8
상처 유도
18시간 후
60.2±1.6 48.0±3.7 40.4±0.7
실시예 3. 항비만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콩 추출물 시료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osmann(1983)의 방법을 이용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하였고, 200㎍/㎖의 시료 처리에도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에 대하여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을 10%(v/v)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 BCS)을 포함한 DMEM 배지에 넣고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5×104개의 세포 수로 분주한 후, 웰이 지방전구세포로 100% 채워지는 시점이 된 이후에,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지방전구세포는 MDI[0.5mM IBMX(3-isobutyl-1-methylxanthine), 1μM 덱사메타손 및 5㎍/㎖ 인슐린]를 포함하는 10%(v/v)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시간 후, 5㎍/㎖ 인슐린이 함유된 10%(v/v) FBS DMEM으로 교체하며 제조예 1의 시료를 50, 100 또는 200㎍/㎖ 농도로 함께 처리하였고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총 4일 동안 5㎍/㎖ 인슐린이 함유된 10% FBS DMEM 배양액 및 제조예 1의 시료로 교체하였다.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분화 완료 후, 지방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일 레드 O 염색을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유도한 지방세포의 분화 정도를 오일 레드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염색된 염색 시료를 추출하여 지방세포 염색 정도를 500nm 흡광도에서 세포의 분화된 지방의 양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조 검은콩 추출물 대비 상처 유도 직후 및 12시간 후 검은콩 추출물의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상처 유도 18시간 후에는 건조 검은콩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의 지방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교예인 팥 추출물은 건조된 상태의 팥 추출물에서 나타나던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상처 유도 후 팥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료 Fat accumulate (% of MDI)
Control 29.0±1.0
MDI 100.0±2.6
양성대조군(HCA 200㎍/㎖) 62.5±1.6
시료 농도(㎍/㎖) 50 100 200
검은콩
(실험예)
건조 콩 63.1±2.1 51.0±3.2 37.9±4.3
상처 유도
직후(0h)
37.5±1.6 31.5±1.6 20.5±2.4
상처 유도
12시간 후
31.6±1.1 24.5±0.5 21.3±0.4
상처 유도
18시간 후
67.7±2.0 54.6±2.6 49.6±3.8

(비교예)
건조 팥 60.6±3.9 43.6±4.0 35.4±3.4
상처 유도
직후(0h)
106.8±3.0 108.1±1.7 110.3±2.0
상처 유도
12시간 후
103.4±0.0 107.4±2.4 111.9±2.9
상처 유도
18시간 후
105.0±0.0 109.0±2.4 108.7±0.0

Claims (6)

  1.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은
    1) 건조 상태의 검은콩을 물에 3~12시간 동안 수침하여 콩을 불리는 단계;
    2) 상기 단계 1) 이후에, 바늘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상처를 내는 단계;
    3) 상기 단계 2) 이후에, 20~30℃에서 0~1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 이후에, 건조 오븐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약학 조성물.
  5.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6. 상처가 유발된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
KR1020220085228A 2022-07-11 2022-07-11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240008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28A KR20240008452A (ko) 2022-07-11 2022-07-11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228A KR20240008452A (ko) 2022-07-11 2022-07-11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452A true KR20240008452A (ko) 2024-01-19

Family

ID=8971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28A KR20240008452A (ko) 2022-07-11 2022-07-11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4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143B1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436532B1 (ko) 고압효소분해법으로 제조된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00436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036758A (ko) 수면유도 및 불면증 치료용 효소처리 초고압 혼합추출물
KR102288902B1 (ko) 갈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4025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20240008452A (ko) 상처 유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0921971B1 (ko) 블루밍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80021578A (ko) 갈릭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40008451A (ko) 수침한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83712A (ko) 복분자, 대두 및 산초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01114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KR10100700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99750B1 (ko) 효소처리를 통해 얻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63630B1 (ko) 효소처리를 통해 얻은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