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683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683A
KR20240007683A KR1020237043283A KR20237043283A KR20240007683A KR 20240007683 A KR20240007683 A KR 20240007683A KR 1020237043283 A KR1020237043283 A KR 1020237043283A KR 20237043283 A KR20237043283 A KR 20237043283A KR 20240007683 A KR20240007683 A KR 2024000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level
disposed
detection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시 호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4000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68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은 차량 본체(2)와, 탱크(31)와, 수위 센서(32)를 구비한다. 탱크(31)는 차량 본체(2)에 배치되고, 액체를 수용한다. 수위 센서(32)는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분(51)을 가지고, 탱크(31)에 지지되고 있다. 탱크(31)는 협폭부(35)를 가진다. 협폭부(35)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검출 부분(51)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에는, 물이나 작동유를 저장하는 복수의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건설 기계에는, 캡(cab)에 설치된 공조기(空調機)의 제습 기능에 의해 회수된 수분을 저류(貯留)하는 드레인 물탱크와, 드레인 물탱크에 배치된 수위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건설 기계에는, 엔진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저장하는 익스팬션 탱크도 설치되어 있다. 익스팬션 탱크는, 소정의 수량 및 공기량을 탱크 내에 확보할 필요가 있고, 수위 센서에 의해 탱크 내의 소정량 이상의 수량이 확보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20-7051호 공보
그러나, 소정량 이상의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탱크의 폭의 넓이도 필요하게 되지만, 폭이 넓은 경우, 차체가 경사졌을 때의 수위 변화가 커진다. 그러므로, 소정량 이상의 수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체가 경사졌을 때 수위 센서가 액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액량이 부족하다고 오검출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개시는, 액체 부족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태양(態樣)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차량 본체와, 탱크와, 센서를 구비한다. 탱크는 차량 본체에 배치되고, 액체를 수용한다. 센서는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분을 가지고, 탱크에 지지되고 있다. 탱크는 협폭부(狹幅部)를 가진다. 협폭부는, 검출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태양에 의하면, 액체 부족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익스팬션 탱크의 외관도이다.
[도 3] 도 2의 AA' 사이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3을 전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 (a)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해트(hat) 부재의 측면도, (b) 도 5의 (a)의 화살표 B를 따라 해트 부재를 본 평면도, (c) 도 5의 (a)의 화살표 C를 따라 해트 부재를 본 평면도이다.
[도 6] 도 4의 DD' 사이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압 셔블이 경사진 상태에서의 탱크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 (a)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해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탱크의 평단면도, (b) 도 9의 (a)의 EE' 사이의 단면도, (c) 도 9의 (a)의 FF' 사이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구성>
(유압 셔블(1)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유압 셔블(1)(건설 기계의 일례)은 차량 본체(2)와, 탱크 유닛(3)과, 제어부(4)(후술하는 도 8 참조)를 구비한다.
차량 본체(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체(11)와, 선회체(12)와, 작업기(13)를 가지고 있다. 주행체(11)는 한 쌍의 주행 장치(11a, 1lb)를 가진다. 각 주행 장치(11a, 1lb)는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11c, 11d)를 가지고 있다.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주행 모터가 회전하여 크롤러 벨트(11c, 11d)가 구동됨으로써 유압 셔블(1)이 주행한다.
선회체(12)는 주행체(11) 위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12)는, 도시하지 않은 선회 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체(11)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12)의 전부(前部) 좌측 위치에는, 오퍼레이터가 운전 시에 착석하는 운전석으로서의 캡(14)이 배치되어 있다. 캡(14)의 내부에는, 운전석, 작업기(13)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 모니터(71)(도 8 참조) 등이 배치되어 있다.
선회체(12)는 후방측에, 탱크 유닛(3) 및 도시하지 않은 엔진 및 유압 펌프 등을 수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서가 없는 경우, 전후 좌우는 캡(14) 내의 운전석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운전석이 정면에 정대(正對)하는 방향을 전방향(화살표 Xf 참조)으로 하고, 전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후방향(화살표 Xb 참조)으로 한다. 운전석이 정면에 정대했을 때의 측방 방향의 우측, 좌측을 각각 우방향(화살표 Yr 참조), 좌방향(화살표 Yl 참조)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높이 방향」,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차량 본체(2)가 경사지지 않고 수평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작업기(1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붐(21), 암(22), 굴삭 버킷(23)을 가지고, 선회체(12)의 전부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13)는 캡(14)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붐(21)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12)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붐(21)의 선단부는 암(22)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22)의 선단부는, 굴삭 버킷(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굴삭 버킷(23)은, 그 개구가 선회체(12)의 방향(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암(22)에 장착되어 있다. 굴삭 버킷(23)이, 이와 같은 방향으로 장착된 유압 셔블(1)은 백호(backhoe)로 불리고 있다.
붐(21), 암(22) 및 굴삭 버킷(23)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유압 실린더(24∼26)(붐 실린더(24), 암 실린더(25) 및 버킷 실린더(26))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유압 실린더(24∼26)가 구동됨으로써 작업기(13)가 구동된다. 이로써, 굴삭 등의 작업이 행해진다.
(탱크 유닛(3))
도 2는, 탱크 유닛(3)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사이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을 전방향 Xf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탱크 유닛(3)은 엔진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저장한다. 탱크 유닛(3)은 탱크(31)와, 수위 센서(32)(센서의 일례)와, 수위 게이지(33)와, 해트 부재(34)(부재의 일례)를 가진다.
(탱크(31))
탱크(31)는, 엔진 및 라디에이터의 냉각수를 저장하는 기능, 및 어큐뮬레이터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탱크(31)에는, 소정량 이상의 공기가 들어 있고, 또한 소정량 이상의 냉각수가 저장된다. 탱크(31)는 금속 재료로 형성할 수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탱크(31)는 특별히 형상이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탱크(31)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과, 제3 측면(43)과, 제4 측면(44)과, 바닥면(45)과, 천장면(46)과, 유입구(47)와, 배출구(48)와, 보급수구(補給水口)(49)를 가진다.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화살표 Yr, Yl 참조)에 대향하여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은 대략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며,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면(41)은 제2 측면(42)의 좌방향 Yl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측면(4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41)의 전방향 Xf측의 단(端)과, 제2 측면(42)의 전방향 Xf측의 단을 연결한다. 제4 측면(44)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41)의 후방향 Xb측의 단과, 제2 측면(42)의 후방향 Xb측의 단을 연결한다. 제3 측면(43)과 제4 측면(44)은 대략 동일한 크기와 형상이며,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측면(43)과 제4 측면(4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3 측면(43)과 제4 측면(44)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3 측면(43)과 제4 측면(44)은 전후 방향(화살표 Xf, Xb 참조)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측면(41) 및 제2 측면(42)의 전후 방향을 따른 폭은, 제3 측면(43)과 제4 측면(44)의 좌우 방향을 따른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45)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41)의 하단(下端)과, 제2 측면(42)의 하단과, 제3 측면(43)의 하단과, 제4 측면(44)의 하단을 연결한다. 바닥면(45)은 직사각형상이다. 바닥면(45)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천장면(46)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41)의 상단(上端)과, 제2 측면(42)의 상단과, 제3 측면(43)의 상단과, 제4 측면(44)의 상단을 연결한다. 천장면(46)은 직사각형상이다. 천장면(46)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유입구(47)는 라디에이터 및 엔진의 냉각수가 탱크(31)에 유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47)는 제2 측면(42)에 배치되어 있다. 유입구(47)는 제2 측면(42)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우방향 Yr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배출구(48)는 탱크(31)로부터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및 엔진을 향하여 배출된다. 배출구(48)는 바닥면(45)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48)는 바닥면(45)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보급수구(49)로부터, 탱크(31) 내의 물이 부족했을 때 물이 보급된다. 보급수구(49)는 천장면(46)에 배치되어 있다. 보급수구(49)는 천장면(46)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돌출한 선단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32))
수위 센서(32)는 탱크(31) 내의 액체의 높이 위치를 검출한다. 수위 센서(32)는 제1 측면(41)에 고정되어 있다. 수위 센서(32)는, 대기 중과 수중의 비유전율의 차를 검지하여, 제어부(4)에 신호를 송신한다.
수위 센서(3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 부분(51)과, 지지부(52)를 가지고 있다. 검출 부분(51)은 탱크(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위를 검출한다. 검출 부분(51)은 봉형이다. 지지부(52)는 검출 부분(51)을 지지한다. 지지부(52)는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52)로부터 제1 측면(4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제2 측면(42)을 향하여 검출 부분(51)이 돌출하고 있다. 검출 부분(51)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검출 부분(51)은 필요한 수위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되고, 높이 방향에서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31)의 높이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52)는 검출 부분(51)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4)에 송신한다. 검출 부분(51)이 물로부터 노출되면 비유전율이 변화하여 검출 신호가 제어부(4)에 송신된다.
수위 센서(3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화살표 Xf, Xb 참조)에 있어서 제1 측면(4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차량 본체(2)가 경사진 경우라도, 수위 센서(32)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탱크(3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위 센서(32)의 상방에서의 수위가 거의 변하지 않아, 잔량 부족의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전후 방향에서의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는 30도로 설정되어 있다.
(수위 게이지(33))
수위 게이지(33)는 탱크(31)의 외부로부터 탱크(31)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수위 게이지(33)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중공(中空)이며, 내부에 탱크(31)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구성의 수위 게이지를 사용해도 된다. 차량 본체(2)가 수평한 상태에 있어서 수위 게이지(33)의 수면의 높이는 탱크(31)의 수면의 높이와 같다. 이로써, 작업자는 수위 게이지(33)의 수면의 높이를 확인함으로써, 탱크(31) 내의 물의 높이를 알 수 있다.
수위 게이지(3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측면(4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어느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해트 부재(34))
도 5의 (a)는 해트 부재(34)의 측면도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낸 화살표 B를 따라 해트 부재(34)를 본 평면도이다. 도 5의 (c)은, 도 5의 (a)에 나타낸 화살표 C를 따라 해트 부재(34)를 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화살표 B는 후술하는 제1 부분(6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며, 화살표 C는 후술하는 제3 부분(63)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도 6은, 도 4의 DD' 사이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유입구(47), 배출구(48) 및 보급수구(49)는 생략되어 있다.
해트 부재(34)는 탱크(31)의 소정 부분의 폭을 좁히기 위한 부재이다. 해트 부재(3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탱크(31)의 폭을 좁힌 협폭부(35)를 형성한다. 협폭부(35)는 탱크(31)의 좌우 방향(화살표 Yr, Yl 참조)에서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협폭부(35)에 전술한 검출 부분(51)이 배치되어 있다. 협폭부(35)에서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검출 부분(51)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후술하는 상단 L1로부터 하단 L2의 사이)의 폭이 좁아지고 있다.
해트 부재(34)는 금속 재료로 형성할 수 있지만, 금속 재료에 한정되지 않아도 되고,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탱크(31)에 장착하는 것을 고려하면, 해트 부재(34)의 재료는 탱크(31)와 동일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탱크(31) 및 해트 부재(34)의 양쪽이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접 등에 의해 해트 부재(34)를 탱크(31)에 접합할 수 있다.
해트 부재(3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면(42)에 접합되어 장착되어 있다. 해트 부재(3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화살표 Xf, Xb 참조)의 전방향 Xf측의 단(34a)이 제3 측면(43)에 접합되고, 후방향 Xb측의 단(34b)이 제4 측면(44)에 접합되어 있다. 해트 부재(34)는 전후 방향(Yr, Yl)에 있어서, 제2 측면(42)의 단으로부터 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트 부재(34)는 제1 부분(61)과, 제2 부분(62)과, 제3 부분(63)을 가진다. 제1 부분(61), 제2 부분(62),및 제3 부분(63)은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해트 부재(34)는 1매의 직사각형상의 판자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부분(61)과 제3 부분(63)과 제2 부분(62) 사이를 용접 등에 의해 접속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분(61)은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61)은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제1 부분(61)의 우방향 Yr측의 단은 제2 측면(42)에 접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분(61)의 전방향 Yf측의 단은 제3 측면(43)에 접합되어 있고, 제1 부분(61)의 후방향 Yb측의 단은 제4 측면(44)에 접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분(62)은 제1 부분(6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부분(62)은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부분(62)은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제2 부분(62)의 우방향 Yr측의 단은 제2 측면(42)에 접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분(62)의 전방향 Yf측의 단은 제3 측면(43)에 접합되어 있고, 제2 부분(62)의 후방향 Yb측의 단은 제4 측면(44)에 접합되어 있다.
제3 부분(63)은 도 4 및 도 5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분(61)의 제1 측면(41) 측의 단과, 제2 부분(62)의 제1 측면(41) 측의 단을 접속한다. 제3 부분(63)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부분(63)의 전방향 Yf측의 단은 제3 측면(43)에 접합되어 있고, 제3 부분(63)의 후방향 Yb측의 단은 제4 측면(44)에 접합되어 있다.
제3 부분(6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위 센서(3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3 부분(63)과, 제3 부분(63)과 대향하는 제1 측면(41)의 부분(41a) 사이에 검출 부분(51)이 배치되어 있다. 제3 부분(63)과, 제3 부분(63)과 대향하는 제1 측면(41)의 부분(41a) 사이에 의해, 협폭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협폭부(35)의 범위는 도 4에 있어서, 상단이 점선 L1로 나타내어지고, 하단이 L2로 나타내어져 있다.
전술한 제1 부분(61) 및 제2 부분(62)의 경사에 의해, 공기 고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압 셔블(1)이 기운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수위가 LOW 레벨일 때의 수면(WS)이 나타내어져 있다. 수면(WS)은 제2 부분(62)의 하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LOW 레벨이란, 물의 보급을 행할 필요가 없는 수량의 하한값이다. LOW 레벨보다 수위가 내려갔을 때는, 물이 부족하다고 검출되어도 오검지로는 판단되지 않는다.
도 4의 상태로부터,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내려가도록 유압 셔블(1)이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까지 경사진 상태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경사 상태의 탱크(31) 내의 수량은, 도 4에 나타낸 수평 상태의 탱크(31) 내의 수량과 동일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이 사양상의 한계 각도까지 경사진 상태라도, 검출 부분(51)이 배치되어 있는 탱크(31)의 부분의 폭이 좁기 때문에, 검출 부분(51)이 LOW 레벨의 수면(WS)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탱크(31)가 기운 경우라도, 검출 부분(51)이 물로부터 노출되기 어려워,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검출 부분(51)은, 수량이 LOW 레벨인 상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이 한계 경사 각도까지 경사졌을 때라도, 수면(WS)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좌우 방향에서의 사양상의 한계 각도가 20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탱크(31)의 폭을 좁게 하기 위해서는, 제1 부분(61)의 경사 각도 α는 20도 보다 크게 설정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4)는 프로세서 및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혹은, 프로세서는 CPU와 다른 프로세서라도 된다. 프로세서는 수위 센서(32)의 검출값의 입력을 받아,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니터(71)의 제어를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 장치는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억 장치는 하드 디스크, 혹은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억 장치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일례이다. 기억 장치는 모니터(71)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4)는, 수면(WS)으로부터 노출된 것을 검출한 수위 센서(32)에 의한 검출 신호를 받아, 작업자에게 수량이 부족한 것을 알리도록 모니터(71)에 의해 보고한다.
작업자는 모니터(71)로부터의 통지를 받아, 보급수구(49)로부터 탱크(31) 내에 물을 보급한다.
(특징)
(1)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차량 본체(2)와, 탱크(31)와, 수위 센서(32)를 구비한다. 탱크(31)는 차량 본체(2)에 배치되고, 물을 수용한다. 수위 센서(32)는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분(51)을 가지고, 탱크(31)에 지지되고 있다. 탱크(31)는 협폭부(35)를 가진다. 협폭부(35)는, 검출 부분(51)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도 4에 나타낸 상단 L1로부터 하단 L2의 범위)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위 센서(32)의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분(51)을 설치하고 있는 부분의 탱크(31)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차량 본체(2)가 경사졌을 때의 액면의 위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본체(2)가 경사졌을 때 수위 센서(32)가 액면으로부터 노출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2)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수위 센서(32)는 탱크(31)의 제1 측면(41)에 지지되고 있다. 검출 부분(51)은 제1 측면(41)으로부터, 제1 측면(41)에 대향하는 제2 측면(42)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협폭부(35)는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수위 센서(3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 사이의 폭을 부분적으로 좁게 할 수 있다.
(3)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해트 부재(34)를 더 구비한다. 해트 부재(34)는 협폭부(35)를 형성한다.
이로써, 탱크(31)에 해트 부재(34)를 배치함으로써, 탱크(31)에 협폭부(35)를 형성할 수 있고, 경사에 의한 수위 센서(32)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해트 부재(34)는 제1 측면(41)에 대향하는 제2 측면(42)에 배치되고, 협폭부(35)를 형성한다. 해트 부재(34)는 제1 부분(61)과, 제2 부분(62)과, 제3 부분(63)을 가진다. 제1 부분(61)은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2 부분(62)은 제1 부분(61)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3 부분(63)은, 제1 부분(61)의 제1 측면(41) 측의 단과 제2 부분(62)의 제1 측면(41) 측의 단을 연결하고, 검출 부분(51)에 대향한다.
이로써, 제3 부분(63)과 제1 측면(41)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탱크(31)에 협폭부(35)를 형성할 수 있고, 수위 센서(32)의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제1 부분(61)은 제1 측면(41)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써, 제1 부분(61)의 상면에 기포가 고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탱크(31)가 익스팬션 탱크인 경우, 기포가 액체에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기액(氣液) 분리성을 얻을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제2 부분(62)은 제1 측면(41)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로써, 제2 부분(62)의 하면에 기포가 고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탱크(31)가 익스팬션 탱크인 경우, 기포가 액체에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기액 분리성을 얻을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협폭부(35)는, 탱크(31)의 차량 본체(2)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본체(2)의 좌우 방향으로의 경사에 의한 액면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8)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수위 센서(32)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제1 측면(4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측면(41)과 제2 측면(42)이 대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차량 본체(2)가 경사진 경우라도, 그 방향에서의 중앙에 수위 센서(32)의 검출 부분(51)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위 센서(32)의 상방에서의 액면의 위치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유압 셔블(1)이 경사져 있는 경우라도, 적절하게 액체 부족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건설 기계가 유압 셔블(1)인 경우에는, 전후 방향에서의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가, 좌우 방향에서의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다 경사 각도가 커질 가능성이 있는 전후 방향에서는 중앙에 수위 센서(32)를 배치하고, 좌우 방향에서의 탱크(31)의 내부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오검출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차량 본체(2)는 캡(14)과, 모니터(71)와, 제어부(4)를 가진다. 모니터(71)는 캡(14)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4)는 수위 센서(32)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수위 센서(32)가 액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을 검출한 경우, 모니터(71)에 발보(發報)한다.
이로써, 탱크(31) 내의 액체의 부족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탱크(31)의 우방향 Yr측의 제2 측면(42)에 해트 부재(34)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도 되고, 해트 부재(34)는 제1 측면(41)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탱크(31)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의 일부를 좁게 하도록, 해트 부재(34)를 제2 측면(42)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도 되고, 탱크(31)의 전후 방향에서의 폭의 일부를 좁게 하도록 해트 부재(34)를 제3 측면(43) 또는 제4 측면(44)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수위 센서(32)는, 제3 측면(43) 및 제4 측면(44) 중 해트 부재(3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면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앙에 배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에서의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가, 좌우 방향에서의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차종이나 차격(車格)에 따라서는, 반대의 경우도 고려된다.
즉,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사양상의 한계 경사 각도가 상이한 경우, 한계 경사 각도가 큰 방향의 경사에 대해서는, 그 방향에서의 측면의 중앙에 수위 센서(32)를 배치하여 수위의 변화에 의한 오검지를 억제하고, 작은 방향의 경사에 대해서는, 해트 부재를 배치하여 폭을 좁게 하여 수위의 변화에 의한 오검지를 억제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차종이나 차격에 의해 정해지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한계 각도에 기초하여, 해트 부재(34)가 탱크(31)에 배치되면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위 센서(32)를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측면(41)의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전후 방향에서의 차량 본체(2)의 경사에 의한 오검지를 억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별도의 해트 부재를 더 설치함으로써 탱크(31)의 수위 센서(32)가 배치되어 있는 근방의 전후 방향의 폭을 좁게 해도 된다.
도 9의 (a)는, 탱크(31)에 2개의 제1 해트 부재(81) 및 제2 해트 부재(82)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의 EE' 사이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다. 도 9의 (c)는, 도 9의 (a)의 FF' 사이의 화살표로 본 단면도이다.
제1 해트 부재(81)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분(91)과, 제2 부분(92)과, 제3 부분(93)을 가진다. 제1 부분(91)은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2 부분(92)은 제1 부분(91)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2 측면(42)으로부터 제1 측면(41)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3 부분(93)은, 제1 부분(91)의 제1 측면(41) 측의 단과 제2 부분(92)의 제1 측면(41) 측의 단을 연결하고, 검출 부분(51)에 대향한다. 제1 부분(91) 및 제2 부분(92)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3 부분(93)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해트 부재(81)의 전방향 Xf측의 단(81a)은 제3 측면(43)에 접합되어 있고, 제1 해트 부재(81)의 후방향 Xb측의 단(81b)은 제4 측면(44)에 접합되어 있다.
제2 해트 부재(82)는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분(101)과, 제2 부분(102)과, 제3 부분(103)을 가진다. 제1 부분(101)은 제4 측면(44)으로부터 제3 측면(43)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2 부분(102)은 제1 부분(101)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4 측면(44)으로부터 제3 측면(43)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3 부분(103)은, 제1 부분(101)의 제3 측면(43) 측의 단과 제2 부분(102)의 제3 측면(43) 측의 단을 연결하고, 검출 부분(51)에 대향한다. 제1 부분(101) 및 제2 부분(102)은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3 부분(103)은 연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해트 부재(82)의 좌방향 Yl측의 단(82a)은 제1 측면(41)에 접합되어 있고, 제2 해트 부재(82)의 우방향 Yr측의 단(82b)은 제1 해트 부재(81)의 제3 부분(93)에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수위 센서(32)의 검출 부분(51)이 배치되어 있는 탱크(31)의 부분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쪽의 폭이 좁아지고 있으므로, 차량 본체(2)가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라도, 오검지를 억제할 수 있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탱크의 일례로서 물을 저장하는 익스팬션 탱크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하였으나, 익스팬션 탱크에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연료나 작동유라는 액체 오일을 저장하는 연료 탱크나 작동유 탱크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해트 부재(34)를 적용해도 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협폭부(35)를 형성하는 부재의 일례인 해트 부재(34)는 제1 부분(61), 제2 부분(62), 및 제3 부분(63)의 3개의 평평한 판형의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요컨대, 협폭부(35)를 형성할 수 있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만곡된 부재라도 된다. 또한, 일체 성형에 의해, 탱크의 일부에 협폭부를 형성해도 된다.
(F)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아도 되고, 불도저, 및 휠 로더 등이라도 된다.
(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에게 물 부족을 알리기 위하여, 모니터(71)에 표시시킴으로써 통지하고 있지만, 모니터(71)에 제한하지 않아도 되고, 램프나 음 등으로 통지해도 된다.
본 개시의 구성은, 액체 부족의 오검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유용하다.
1: 유압 셔블
2: 차량 본체
31: 탱크
32: 수위 센서
35: 협폭부
51: 검출 부분

Claims (9)

  1. 차량 본체;
    상기 차량 본체에 배치되고, 액체를 수용하는 탱크; 및
    상기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분을 가지고, 상기 탱크에 지지된 센서;
    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검출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폭이 좁게 형성된 협폭부(狹幅部)를 가지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탱크의 제1 측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검출 부분은,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협폭부는,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건설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협폭부를 형성하는 부재를 더 구비하는, 건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제1 측면 측의 단(端)과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1 측면 측의 단을 연결하고, 상기 검출 부분에 대향하는 제3 부분을 가지는, 건설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측면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건설 기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측면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건설 기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탱크의 상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건설 기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건설 기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본체는,
    캡(cab)과,
    상기 캡에 배치된 모니터와,
    상기 센서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가 액면으로부터 노출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모니터에 발보(發報)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건설 기계.
KR1020237043283A 2021-08-20 2022-06-24 건설 기계 KR202400076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34840 2021-08-20
JP2021134840A JP7482089B2 (ja) 2021-08-20 2021-08-20 建設機械
PCT/JP2022/025374 WO2023021845A1 (ja) 2021-08-20 2022-06-24 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683A true KR20240007683A (ko) 2024-01-16

Family

ID=8524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283A KR20240007683A (ko) 2021-08-20 2022-06-24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279911A1 (ko)
JP (1) JP7482089B2 (ko)
KR (1) KR20240007683A (ko)
CN (1) CN117500983A (ko)
DE (1) DE112022002857T5 (ko)
WO (1) WO202302184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7051A (ja) 2018-07-02 2020-0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462Y2 (ja) * 1980-04-14 1985-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燃料残量計
JPS5833126A (ja) * 1981-08-24 1983-02-26 Toshiba Corp 液面検出器
JPH0242171A (ja) * 1988-08-01 1990-02-13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US6282953B1 (en) * 2000-05-12 2001-09-04 Eaton Corporation Solid state fuel level sensing
JP2003341799A (ja) * 2002-05-22 2003-12-03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タンクの液面計
JP4847370B2 (ja) * 2007-03-09 2011-1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8268104A (ja) * 2007-04-24 2008-11-06 Alps Electric Co Ltd 液面レベルセンサ
JP5338061B2 (ja) 2007-10-26 2013-1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貯水タンク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5583044B2 (ja) 2011-02-09 2014-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燃料検出装置
JP6253466B2 (ja) * 2014-03-24 2017-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残燃料量検出装置
JP6555087B2 (ja) * 2015-11-05 2019-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7051A (ja) 2018-07-02 2020-0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2089B2 (ja) 2024-05-13
WO2023021845A1 (ja) 2023-02-23
DE112022002857T5 (de) 2024-04-11
JP2023028879A (ja) 2023-03-03
CN117500983A (zh) 2024-02-02
US20240279911A1 (en) 202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3232B2 (ja) 作業機
WO2020059334A1 (ja) 作業車両
JPWO2017158778A1 (ja) ダンプトラック用ダンプボディおよびダンプトラック
US10550545B2 (en) Work vehicle
KR20240007683A (ko) 건설 기계
JP5154393B2 (ja) 旋回作業機の燃料タンク構造
KR102426643B1 (ko) 작업기계
JP6360783B2 (ja) 建設機械
CN105637151B (zh) 液压挖掘机
JP5895951B2 (ja) 建設機械
JP2013079547A (ja) 建設機械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6991056B2 (ja) ショベル
JP2006169853A (ja) ホイールローダ
JP4836849B2 (ja) 作業機のドーザ装置
US10106958B2 (en) Working machine
JP2006057291A (ja)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9030346A (ja) 貯油タンク
US11274415B2 (en) Bucket and work vehicle
JP4999513B2 (ja) 作業機のドーザ装置
JP4688536B2 (ja) ドーザ装置
JP2009173240A (ja) 作業車両のロプス
JP5685556B2 (ja) ホイールローダおよび作業機械のタンク
JP5737320B2 (ja) 作業機械
JP2017040242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