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705A -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필름 - Google Patents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705A
KR20240005705A KR1020237036837A KR20237036837A KR20240005705A KR 20240005705 A KR20240005705 A KR 20240005705A KR 1020237036837 A KR1020237036837 A KR 1020237036837A KR 20237036837 A KR20237036837 A KR 20237036837A KR 20240005705 A KR20240005705 A KR 2024000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naked collation
sealing
mo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샬렌드라 싱
쎄자리 류차
Original Assignee
인노비아 필름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2105310.3A external-priority patent/GB202105310D0/en
Application filed by 인노비아 필름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노비아 필름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1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코어층(C), 폴리올레핀 재질의 내부 밀봉층(I) 및 폴리올레핀 재질의 외부 밀봉층(O)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으로, 각각의 밀봉층은 C4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의 폴리올레핀, 및 C2 및 C3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내부층과 외부층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i. 약 10mol% 초과의 C4 함량;
ii. 적어도 약 1.2의 C4/C2 몰비; 및/또는
iii. 적어도 약 0.15의 C4/C3 몰비.
상기 콜레이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비차단성이며,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의 개별 포장 패키지(P)와 큰 부적합성 창(incompatibility window)을 갖고 강한 광학 성능을 갖는다.

Description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필름
본 발명은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및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이키드 콜레이션은 포장 비용과 재료를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담배갑과 같이 여러 개의 개별 포장된 물품을 함께 그룹화하여 유통 또는 대량 소매를 위해 더 큰 묶음으로 포장하는 경우, 개별 패키지를 더 큰 상자나 상자에 넣은 다음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이키드 콜레이션을 사용하면 상자나 상자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포장 재료가 줄어든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본질적인 특징은 자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어야 하지만 (선택한 밀봉 조건 하에서) 각 개별 패킷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필름에는 밀봉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서로 밀봉 가능하지만 (선택된 밀봉 조건 하에서) 개별 패킷 필름(단위 랩 필름으로도 알려짐)에는 밀봉되지 않는 내부 및 외부 표면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또 다른 필수 특성은 비차단성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선적 컨테이너나 창고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소 가혹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도 자체적으로 달라붙는 경향이 없어야 하고, 여기서 여러 패키지가 서로 쌓여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생산 후에도 팩이 여전히 따뜻할 수 있는 경우 생산 직후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팩 간 차단"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WO2009024810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물질로 개별적으로 포장된 개별 패키지의 배열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에 관한 것이며, 이는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에 함께 포장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폴리올레핀 코어 층(C), 폴리올레핀 내부 밀봉층(A) 및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B)을 포함하는 밀봉 가능한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고, 내부 밀봉층(A)의 폴리올레핀 재료는 특정 밀봉 조건 하에서 개별 패키지의 필름 폴리올레핀 재료와의 밀봉 부적합성을 위해 선택되고, 외부 밀봉층(B)의 폴리올레핀 재료는 선택된 밀봉 조건 하에서 (B)와의 밀봉 호환성 및 (A)와의 밀봉 호환성을 위해 선택되고, 상기 개별 패키지는 패키지 내부에 정렬된 구성으로 배열되고 개별 패키지의 정렬된 구성을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으로 감싸고, 둘레 밀봉(girth seal)으로 자체 봉인(A에서 B)하고, 상기 패키지 양쪽 끝의 엔벨로프(envelope) 밀봉으로 자체 봉인되며(B에서 B, 선택적으로 A에서 B),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과 개별 패키지의 필름 재료 사이에는 밀봉이 없다.
WO2012164308은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a) 필름성 물질(filmic material)에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의 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를 드러나게 포장하기 위한 네이키드 컬레이션 필름(naked collation film)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폴리올레핀 코어층(C),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표면에 있는 내부 밀봉층(A), 및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외부 표면에 있는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B)를 포함하고, 내부 밀봉층(A)의 재료는 지정된 밀봉 조건 및 열 수축 조건 하에서 개별 포장 패키지의 필름 재료와 밀봉 부적합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외부 밀봉층(B)의 폴리올레핀 재료는 지정된 밀봉 조건 하에서 B와의 밀봉 호환성 및 (A)와의 밀봉 호환성을 위해 선택되고, 여기서 층(A) 및 (B)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고, 층(B)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중합체 및 실리콘 층의 0.2 중량% 이상을 구성하는 블로킹 방지 성분을 포함하고; c) 정돈된 형태로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를 배열하는 단계; d)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의 정돈된 형태와 반드시 접촉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의 정돈된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네이키드 컬레이션 필름을 배열하는 단계; 및 e) 네이키드 컬레이션 필름을 열 수축 조건에 노출시킴으로써 네이키드 컬레이션 필름을 열 수축시켜, 네이키드 컬레이션 필름이 패키지에 대해 밀봉됨이 없이 수축되고 패키지의 배열을 밀접하게 둘러싸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WO2018096480은 개별적으로 포장된 물품의 외부 피복(네이키드 콜레이션 포장)으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이축 배향 다층 필름을 기술하고 있고, 상기 이축 배향 다층 필름은 융점이 100℃ 이하인 하나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층(A), 융점이 ≥ 140℃인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중앙층(B), 및 융점이 105℃-115℃이고 밀도가 0.910-0.940 g/cm3인 하나 이상의 에틸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내부 층(C)을 포함한다.
US6358579는 에틸렌 단독중합체로 구성된, 주성분인 프로필렌과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 기준)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에틸렌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주성분인 프로필렌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중량%(공중합체 기준)으로 1-부텐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바람직하게는 93.2 내지 99.0 중량%의 프로필렌, 0.5 내지 1.9 중량%의 에틸렌 및 0.5 내지 4.9 중량%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파-올레핀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에틸렌 및 탄소수 4~10의 알파-올레핀으로 만들어진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또는 이들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개별 포장 필름의 밀봉 가능한 층을 개시하고 있다.
US6777067은 하나 이상의 열밀봉성 층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를 비롯한 적합한 열밀봉성 올레핀 중합체의 광범위한 목록을 함유하고 있다.
US5900294에는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베이스 층과 하나 이상의 외부 층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다층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외부층은 결정화도가 낮은 C3/C4-올레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최소 열융착 온도가 84℃ 미만이다.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용도도 기재되어 있다고 한다.
EP0645417에는 n-헵탄 불용성 함량이 13C-NMR 분광학으로 측정한 사슬 이소택티시티 지수가 95% 이상인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베이스 층은 연화점이 70 내지 170℃인 천연 또는 합성 수지를 1 내지 15 중량% 함유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DE3635928은 개질된 폴리올레핀 열 밀봉 층을 갖는 이축 신장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 개별 포장이 이루어지는 개별 팩 배열을 포함하는 멀티팩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팩 시스템의 특징은 외부 포장 필름이 외부 층에 저분자량 탄화수소 수지가 첨가되고 코로나 처리된 대칭 구조의 공압출에 의해 생산된 열 밀봉성 이축 연신 배향 다층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팩 시스템은 외부 포장 필름 자체가 열 밀봉 가능하지만 개별 팩의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열 밀봉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구별된다고 한다.
US5302427에는 양면이 저온 밀봉되고 베이스 층 및 베이스 층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층을 포함하는 인쇄 가능한 이축 연신 폴리올레핀 다층 포장 필름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층은 과산화물 분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포함하고, 각 밀봉층은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원공중합체와 프로필렌/부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하나의 외부 밀봉층은 폴리디오가노실록산과 이산화규소 입자를 함유하고 코로나 처리되지 않으며 폴리디오가노실록산은 필름 생산 중에 마스터배치 형태로 첨가된다.
US5436041은 양면이 밀봉될 수 있고 ABC의 층 구축에 따라 양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층 B와 서로 다른 상부 층 A 및 C를 갖는 투명하고 인쇄 가능한 이축 배향 폴리올레핀 다층 포장 필름을 개시한다. 베이스 층 B는 약 3 내지 약 10 범위의 분해 인자를 갖는 과산화물 분해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부 층 A는 다음 공중합체 및/또는 삼원공중합체 중 둘 이상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한다: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부틸렌 또는 에틸렌과 또 다른 알파-올레핀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을 갖거나, 프로필렌과 또 다른 알파-올레핀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을 가지며,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부틸렌의 삼원공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또 다른 알파-올레핀은 5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상부 층 A의 중합체 혼합물은 고점도 폴리다이오르가노실록산 및 이산화규소, 및 선택적으로 기타 첨가된 첨가제를 추가로 상부 층 C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과 부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부틸렌 또는 에틸렌과 또 다른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탄소수 5 내지 10) 또는 프로필렌과 또 다른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탄소수 5 내지 10)를 함유하고,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부틸렌 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또 다른 알파-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는 5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다른 첨가제를 포함한다. 최상층 C는 외부 표면에 폴리디알킬실록산의 비점착성 피복을 가지고 있다.
US2013011669는 i) 폴리올레핀 코어 층; 및 ii)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0.0wt% 내지 50.0wt%와 프로필렌계 중합체 50.0wt% 내지 90.0wt%가 혼합된 열밀봉성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열밀봉성 층은 1.0 중량% 미만의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열 밀봉성 층은 82℃(180°F)에서 헤이즈가 5.0 이하이고 밀봉 강도가 2.00×102g/2.54cm 이상이다. 특정 필름에서, 열 밀봉성 층은 90℃(194°F)에서 헤이즈가 5.0 이하이고 밀봉 강도가 3.00×102g/2.54cm 이상이다. 이러한 다층 구조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도 개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P3034300은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로 구성된 적어도 코어 층,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는 6개 이상의 포장된 조각의 팩을 형성하기 위해 포장된 제품을 네이키드 콜레이션하기 위한 다층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외부 층 (공)중합체는 65℃-85℃ 범위의 용융 온도를 갖고, 내부 층 (공)중합체는 65℃-105℃ 범위의 용융 온도를 가지며, 코어 층 프로필렌 및/또는 부텐 (공)중합체는 140℃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가지며, 상기 단일 포장 단위를 감싸는 필름은 용융 온도가 120℃보다 높은 1종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다층 필름의 내부 층이 필름 포장과 접촉되어 있고, 단일 포장 단위(필름 O)는 패키지를 형성한다. 다층 필름의 외부 층은 0.35~0.5μ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높은 부적합성 창(high incompatibility window), 낮은 밀봉 온도에서의 양호한 밀봉 조건 및 강력한 광학 성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팩-투-팩 블로킹 문제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개선된 성능을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밀봉층의 밀봉 특성은 내부의 강화된 C4 폴리올레핀 함량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필름의 한쪽 표면에서 폴리올레핀 내부 밀봉층(polyolefinic inner sealing layer)과 필름의 반대 표면에서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며, 상기 외부 밀봉층은 그 자체 및 내부 밀봉층에 밀봉가능하고, 내부 및 외부 밀봉층 모두는 C4, 및 C2 및 C3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층의 전체 폴리올레핀 함량에 대해 10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10.5mol%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mol%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5mol%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mol% 이상의 C4 폴리올레핀 함량을 갖는다.
관련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필름의 한쪽 표면에 폴리올레핀 내부 밀봉층과 필름의 반대 표면에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제공하고, 상기 외부 밀봉층은 그 자체 및 상기 내부 밀봉층에 밀봉 가능하며, 상기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은 모두 C2 및 C4, 선택적으로 C3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여기서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C4:C2 몰비가 적어도 1.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6,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이다.
관련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필름의 한쪽 표면에 폴리올레핀 내부 밀봉층과 필름의 반대 표면에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제공하고, 상기 외부 밀봉층은 그 자체 및 내부 밀봉층에 밀봉 가능하며,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은 모두 C3 및 C4 폴리올레핀, 선택적으로 C2 폴리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C4:C3 몰비가 0.1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6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17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다.
상기 측면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비차단성(non-blocking)이다. "비차단"이란 필름이 본 명세서에 자세히 설명된 팩 간 차단 테스트(pack-to-pack blocking test)를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 정의된 밀봉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내에 포장된 복수의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개별 포장된 패키지는 상기 내부 밀봉층과 접촉하는 추가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한다.
추가 폴리올레핀 필름은 C4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으며, C6 및/또는 C8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와 같은 다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블렌드와 조합된 전형적으로 C2, C3 및 C4 중 적어도 2개 또는 C2, C3 및 C4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할 것이다. 추가 폴리올레핀 필름은 다층 필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층(본 발명의 사용 시 일반적으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밀봉층과 접촉하게 됨)은 C4를 함유할 수도 있고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고, 전형적으로 C2, C3 및 C4 중 적어도 2개를 함유할 것이다.
"내", "내부", "외" 및 "외부"라는 용어는 용어는 사용 중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단위 랩 필름 및/또는 필름의 층의 내부 표면 또는 외부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층의 표면을 지정하기 위한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당업자는 "내"와 "내부" 또는 "외"와 "외부"가 상호교환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내/내"가 "내부/내부"와 동일한 것으로 해석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를 형성(forming)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개별 포장된 패키지 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정의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개별 포장된 패키지를 정렬된 구성(ordered configuration)으로 배열하는 단계;
d) 상기 개별 포장된 패키지의 정렬된 구성과 접촉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배열하는 단계; 및
e)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밀봉 조건에 노출시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밀봉하는 단계,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패키지에 밀봉되지 않고 그 자체로 밀봉되고 패키지 배열을 밀접하게 둘러싸게 함.
어떤 경우에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열 수축 조건에 노출시킴으로써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열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단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이 수축되어 패키지에 밀봉되지 않은 채 패키지 배열을 밀접하게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음 단계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적절한 경우 단계 a) 내지 d) 중 임의의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a-1) 겹쳐진 가장자리(overlapping edge)를 포함하는 필름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a-2) 필름 튜브의 겹쳐진 가장자리를 함께 밀봉하여 둘레 밀봉(girth seal)을 형성하는 단계; a-3) 필름 튜브에 접어 넣고 접힌 끝을 밀봉하여 패키지의 각 끝 부분에 봉투 밀봉을 형성하는 단계.
비록 다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방법의 추가 세부사항은 본 출원인의 이름으로 WO 2012/164308A에 개시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한 특징은 종속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단량체 비율 함량을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이 여러 가지 이유로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랩은 증가된 성능 부적합성 창(incompatibility window)을 나타낸다(즉,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과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내의 개별 포장된 패키지의 필름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밀봉이 발생하는 온도 미만으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밀봉 온도 범위가 증가함). 본 발명의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유리하게는 낮은 밀봉 개시 온도 및 강한 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상대적으로 큰 부적합성 창을 갖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단 경향(tendency to block) 때문에 네이키드 콜레이션 포장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밀봉층에 단일 저융점 C3/C4 공중합체를 함유하도록 제조된 필름(하기 설명된 비교예 C1)은 차단 경향으로 인해 의도한 용도에 전혀 부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차단(blocking)을 방지하여 필름을 "비-차단"으로 만들기 위해,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적어도 외부 밀봉층은 융점이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필름(multilayer film)"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필름과 관련된 단어의 일반적인 사용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다층 필름은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층, 3개 이상의 층, 4개 이상의 층,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필름은 내부 층, 외부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코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따라 기술된 임의의 특성 등은 다층 필름 자체의 특성(즉, 다층 필름에 존재하는 모든 층 포함)을 지칭하고/하거나 상기 다층 필름의 개별 층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한 개시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문맥상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중합체 필름의 단량체 비, 예를 들어 C4/C3의 단량체 비는 문맥상 언급되는 다층 필름의 특정 층 내 중합체의 평균 단량체 몰비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량체 함량은 전형적으로 상기 다층 필름의 개별 층 중 하나 이상의 단량체 비와 관련하여 언급될 것이다.
다층 중합체 필름은 선택적으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선택적으로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부틸렌의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삼원공중합체(terpoly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삼원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중합체"는 임의 개수의 구성 중합체 부분,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또는 최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임의의 올레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구성 중합체 부분으로 이루어진 이중중합체, 삼원공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공중합체"라는 용어에 속한다. 추가적으로, 랜덤 및 블록 공중합체 둘 다 이 정의에 포함되며, 상기 다층 중합체 필름 및/또는 상기 필름의 개별 층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의 내부 및/또는 외부 층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층 중합체 필름이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하나 이상의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는 주성분으로 존재한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의 조성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필름의 내부 층 및/또는 외부 밀봉 층은 선택적으로 C2 올레핀 중합체를 약 0 내지 약 20 mol%,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15 mol%, 또는 약 2 내지 약 12 mol% 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내부 층 및/또는 외부 밀봉 층은 선택적으로 약 55 mol% 내지 약 95 mol%, 약 60 mol% 내지 약 90 mol%, 약 65mol% 내지 약 85mol%, 약 70mol% 내지 약 85mol% 사이의 양으로 C3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의 내부 밀봉층 및/또는 외부 밀봉층은 C4 올레핀 중합체를 약 10mol% 내지 약 40mol%, 예를 들어, 약 10mol% 내지 약 35mol%, 예를 들어 약 10mol% 내지 약 30mol%, 예를 들어 약 10mol% 내지 약 25mol%, 예를 들어 약 10mol%와 약 20mol% 사이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적어도 2개의 공중합체 및/또는 1개의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중합체 필름의 내부 및/또는 외부 층 층은 밀봉 층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다층 필름은 밀봉 조건에서 자체 밀봉 적합성(A에서 B, A에서 A 및/또는 B에서 B)을 가질 수 있으며, 개별 포장된 패키지의 필름성 폴리올레핀 재료와 밀봉 부적합성(밀봉 조건에서)을 갖는다. 그러한 밀봉 부적합성이 제공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밀봉 적합성" 또는 "적합성"이라는 용어는 밀봉 조건에서의 밀봉 강도가 200g/25mm 이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밀봉 적합성은 다층 중합체 필름의 각각의 밀봉 층(내부 또는 외부) 사이의 선택된 밀봉 조건에서 실질적인 기능적 밀봉을 의미한다.
"밀봉 부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이라는 용어는 밀봉 조건에서의 밀봉 강도가 50g/25mm 이하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밀봉 부적합성은 내부 밀봉층과 개별 포장된 패키지의 필름 폴리올레핀 물질의 외부 외부 표면 사이의 선택된 밀봉 조건에서 밀봉이 실질적으로 부재함을 의미한다.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필름을 밀봉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층과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외층 및/또는 유닛 랩 사이에 점착성(tack)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점작성(tack)"이라는 용어는 밀봉 조건에서의 밀봉 강도가 50g/25mm이상이지만 실질적으로 200g/25mm 이하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비차단성이므로 우수한(즉, 낮은) 열 차단 특성을 나타낸다.
이론에 얽매이기를 바라지 않고,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C4 및 C2와 C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밀봉층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사용하여 양호한 열 차단 특성이 달성된다는 것을 유리하게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선택적으로 추가 층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확인된 내부 및 외부 층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추가 층은 예를 들어 적층 층, 인쇄 가능 층, UV 차단층, 산소 투과성 또는 차단층, 수증기 투과성 또는 차단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추가 층은 예를 들어 공압출, 공압출 후 코팅, 공압출 코팅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중합체 필름은 캐스트 시트, 캐스트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업계의 임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적용 요건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는 약 10 내지 약 240μm,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50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μm일 수 있다.
각각의 밀봉층은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 약 0.05μm 내지 약 2μm, 바람직하게는 약 0.075μm 내지 약 1.5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μm 내지 약 1.0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5μm 내지 약 0.5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
상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필름의 기능적 또는 심미적 특성과 관련된 다른 목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층에 기능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기능성 물질은 다음 중 하나 이상, 그에 따른 혼합물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UV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금속화(metallised) 및/또는 유사 금속화 코팅;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양이온성,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항산화제(예: 인산, 트리스(2,4-디-터트-부틸 페닐) 에스테르) , 계면활성제, 강화 보조제, 미끄럼 보조제(예를 들어 대략 실온에서 표면을 가로질러 만족스럽게 미끄러지는 필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핫 슬립 보조제 또는 저온 슬립 보조제, 예를 들어 미세결정성 왁스; 필름의 가스 및/또는 수분 투과성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광택 개선제, 분해제, 차단 코팅(예: PVdC와 같은 폴리비닐리덴 할라이드); 블로킹 방지 보조제(예를 들어, 평균 입자 크기가 약 0.1 내지 약 0.6μm인 미세결정질 왁스); 점착 감소 첨가제(예: 흄드 실리카, 실리카, 실리콘 검); 미립자 물질(예: 활석); COF를 증가시키는 첨가제(예: 탄화규소); 잉크 접착성 및/또는 인쇄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 강성을 증가시키거나 수축을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예: 탄화수소 수지 및/또는 수소화 탄화수소 수지). 구체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강성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수축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탄화수소 수지 및/또는 수소화된 탄화수소 수지는 C5 수지 및/또는 C9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C5 수지 및/또는 C9 수지는 Constab™ MA 00956 PP, Oppera™ PR 120, Regalite™ R 1125, Arkon™ P-125 및/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필름성 물질로 개별적으로 포장된 물품, 예를 들어 담배갑의 구성을 둘러싸는 포장재 또는 겹침재로 사용될 수 있다. 필름성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름성 물질은 "유닛 랩"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단위 랩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층, 적어도 두 개의 층, 또는 적어도 세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랩은 적어도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랩의 필름 물질의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 성분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C2, C3 및/또는 C4 중 하나 이상, 때로는 C8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C3 올레핀 중합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된 재료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그러한 배열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큰 부적합성 창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C4 mol%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랩의 필름 물질보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에서 더 크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층의 C4 mol%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랩의 필름 물질의 외부 층보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내부 층에서 더 크다.
개별 패킷을 포장하는 필름 물질,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물질은 적절하게는 폴리프로필렌(C3)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고 C2 및/또는 C4 올레핀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과 관련된 모든 특징은 적절한 경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사용 및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를 형성하는 방법과도 관련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 패키지와 접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부적합성 창의 플롯이다: 본 발명의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실시예의 C4 mol% 함량;
도 3은 본 발명의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실시예의 부적합성 창: C4:C3 몰비의 플롯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실시예의 부적합성 창: C4:C2 몰비의 플롯이다.
실시예
필름의 준비
13개의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A부터 M까지 중합체 참조번호로 지정했다. 이들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 촉매 및 메탈로센 촉매(Ziegler-Natta catalysts and metallocene catalyst)와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기상 방법, 벌크 방법 및 슬러리 방법(gas-phase methods, bulk methods and slurry method)과 같은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해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추가 세부사항은 EP0483675, US2017037161 및 WO18211107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폴리머 층이 코어 압출기 및 밀봉 층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3층 중합체 튜브를 생성하는 표준 버블 공정을 사용하여 이축 배향 필름 샘플 16개를 제조했다. 이 폴리머 튜브는 냉각 시스템을 통과한 후 폴리머 튜브 내부로 공기를 통과시켜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 재가열된다. 그런 다음 이 기포는 수렴 롤러에 의해 붕괴되기 전에 냉각되고, 두 개의 폴리머 필름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슬릿되고, 롤러 위에서 처리되고, 롤에 수집되기 전에 코로나 처리로 표면 처리된다. 버블 공정의 추가 세부사항은 예를 들어 EP0410792 및 GB2000175.6 및 Biaxial Stretching of Film, Principles and Applications, 2011, Ed. Mark T. DeMeuse, ISBN 978-1-84569-675-7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압출 전에 하류 공정을 돕기 위해 표준 블록/슬립 방지 패키지를 밀봉 층의 폴리머 혼합물에 추가했다. 외부층에 추가된 블록/슬립 방지 패키지는 1.2% PDMS(실리콘 검)와 0.1% 실리카 AB로 구성되었다. 내부 층에 추가된 블록킹 방지/미끄럼 방지 패키지는 0.5% PDMS(실리카 검)와 0.1% 실리카 AB로 구성되었다.
아래에서 테스트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필름 샘플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블록/ 슬립 패키지를 포함했다.
모든 경우에 필름의 코어 층은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로 구성되었다.
16개 필름 샘플 및 이들의 밀봉층 중합체 함량의 세부사항은 아래 표 1 및 표 2에 제시되어 있다(IN 및 OUT - 여기서 "IN"은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에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사용 중인 필름의 측면을 나타내고 "OUT"은 사용 중인 필름의 외부 표면을 나타낸다).
샘플 3은 밀봉층에 최대 8.4mol%의 C4, 최대 0.84의 C4/C2 몰비 및 최대 0.1의 C4/C3 몰비를 포함하므로 비교예이다.
녹는 온도 (Melting Temperature) (T m / ℃)
하기 중합체 실시예에서 융점(Tm)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ASTM D3418에 따라 사용된 방법과 유사하다. 그러나 표 1에서 고분자의 Tm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방법은 ASTM D3418보다 빠른 가열 속도를 사용하므로 관찰된 녹는점은 ASTM D3418로 측정했을 때 나타나는 것보다 약 2% 더 높다.
중합체 샘플의 용융 온도는 다음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분당 20℃를 초과하는 속도로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는 시차 주사 열량계(Perkin Elmer DiamondTM DSC)가 사용되었다.
DSC는 먼저 샘플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가열 속도(20℃/분)를 사용하여 보정되었다. 알려진 무게의 인듐(약 10mg)을 알루미늄 팬에 압착하고 보정되지 않은 온도 눈금을 사용하여 분당 20℃로 0℃에서 170℃까지 가열했다. 표준의 관찰된 녹는점과 비교하여 기기의 온도 눈금을 확인했다. 이러한 물질에 대해 관찰된 녹는점은 녹는 시작점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폴리머체 과립을 크기에 맞게 절단하여 대략 8.5 mg의 질량을 얻었다. 이 크기는 알루미늄 샘플 팬에 적합하다. 팬 바닥을 향한 샘플의 측면은 평평하고 매끄러워야 한다.
필름을 샘플 팬 치수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펀칭했다. 예를 들어 필요한 크기를 만들기 위해 종이 구멍 펀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샘플 팬 바닥과 잘 접촉되도록 단단히 압착했다. 열원과의 원활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샘플 팬의 바닥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서는 안 된다.
대략 8.5mg의 샘플을 0.01mg의 정확도로 계량하고 알루미늄 샘플 팬에 단단히 압착했다. 샘플이 분해 가스를 방출하여 압력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팬을 뚜껑 중앙에 뚫었다.
샘플을 셀 중앙에 배치하고 테스트 전반에 걸쳐 질소 퍼지를 30ml/분으로 유지하여 불활성 분위기를 제공했다.
초기 가열 단계는 0℃에서 210℃까지 20℃/분으로 수행되었다. 완전한 용융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열 이력을 제거하기 위해 샘플을 210℃에서 3분 동안 유지했다. 그런 다음 샘플을 20℃/분으로 0℃까지 냉각하고 결과 냉각 곡선을 기록했다. 이 곡선은 결정화 전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샘플을 즉시 20℃/분으로 210℃로 재가열하고 결과 가열 곡선을 기록했다. 이 곡선은 용융 전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관찰된 녹는점을 녹기 시작점으로 간주했다.
중량 평균 분자량(M w /g/mol), 수평균 분자량(M n /g/mol), 고유점도(IV/dL/g), 수화 반경(Rh/nm) 및 회전 반경(Rg/nm)
13개의 중합체 펠릿 샘플을 고온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HT-GPC)로 분석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 평균 분자량(Mn)을 결정했다. 각 중합체에 대해 고유 점도, 수화 반경 및 회전 반경 데이터도 얻었다.
샘플을 160℃에서 1,2,4-트리클로로벤젠에 용해시키고 55분 동안 교반한 후 115℃로 옮기고 샘플이 분석될 때까지 추가로 교반했다. 160℃에서 작동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분취량을 주입했다. 굴절률, 점도 측정 및 광 산란에 의한 삼중 검출을 분자 특성화에 사용했다. 중복된 분취액을 분석하고 평균 결과를 보고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샘플은 단일중합체(폴리프로필렌)의 코어 층(C) 및 각 코어 층의 각 표면에 [표 2]에 표시된 혼합량의 에틸렌-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부틸렌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부틸렌 삼원공중합체의 2개의 공압출 밀봉 층(coextruded sealing layer), 즉, 하나의 외부 층(O)("OUTER"로 지정)와 하나의 내부 층(I)("INNER"로 지정)을 포함한다. 각 샘플은 밀봉층에 상세하게 설명된 고분자 재료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소제목 "C2", "C3" 및 "C4"가 있는 "함량(content)" 컬럼은 주어진 샘플의 공중합체 및/또는 삼원공중합체 블렌드의 각 중합체의 mol %를 제공하고, 상기 제목 "샘플(Sample)"과 하위 제목 "IN" 및 "OUT"이 있는 다음 두 컬럼은 내부(INNER) 층과 외부(OUTER) 층을 각각 구성하는 공중합체 및/또는 삼원공중합체의 각 중합체의 mol%를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샘플 1은 밀봉층에 세 가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 폴리머 A,
- 폴리머 B,
- 폴리머 C,
그 중 INNER 밀봉층은 50mol% 폴리머 B와 50mol% 폴리머 C로 구성되고, OUTER 밀봉층은 30mol% 폴리머 A와 70mol% 폴리머 C로 구성된다. 따라서, 폴리머 C의 C2 함량은 8mol%이고, 폴리머 B의 C2 함량은 0mol%이므로 내부 밀봉층의 C2 함량은 4mol%이고; 폴리머 C의 C2 함량은 8mol%이고 폴리머 A의 C2 함량은 0mol%이지만, 폴리머 C 공중합체는 외부 밀봉층에서 전체의 70%를 차지하기 때문에, 샘플 1의 OUTER 밀봉층의 C2 함량은 5.6mol%이다.
각 샘플의 INNER 및 OUTER 밀봉층을 밀봉하는 데 필요한 밀봉 개시 온도는 다음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SIT(Seal Initiation 온도)는 설정된 압력과 필름 양면 사이의 체류 시간에서 Seal이 형성되는 가장 낮은 온도로 간주되며 강도는 최소 200g/25mm이다. 아래 예의 경우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IN/OUT 밀봉의 밀봉 시작 온도는 최소 200g/25mm의 밀봉 강도가 달성되는 최저 온도로 간주된다.
이 예의 밀봉은 ASTM F2029에 따라 압력이 5psi로 설정되고 체류 시간이 0.5초인 RDM 열 밀봉기를 사용하여 준비되었다. 밀봉 강도는 냉각 후 ASTM F88에 따라 RDM 밀봉 풀러(seal puller)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밀봉 강도는 당김 속도(또는 조 분리 속도)가 300mm/분인 RDM 풀러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최고 강도를 밀봉 강도로 기록했다.
RDM 히트 실러 조(heat sealer jaw) 구성은 금속에서 고무로 이루어졌다. 상부조(upper jaw)는 금속으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는 테프론 코팅을 하여 필름이 조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였다. 하부조는 고무 상단이 있는 금속 베이스로 만들어졌다. 시험 중 상부조는 가열하고, 하부조는 상온(대기압(101.325kPa), 온도 25℃)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상부조만 가열되었다.
샘플을 기계 방향으로 25mm 폭의 스트립으로 절단했다. 샘플의 SIT를 결정하기 위해 상부 조의 온도는 낮은 온도(예: 65℃)에서 시작되었다(시작 온도는 필름 표면 구성(예: IN/IN, OUT/OUT, IN/OUT)에 따라 달라진다). 각각 다른 온도 설정에 대해 3개의 밀봉(기계 방향으로 필름 절단)을 만들고 평균 밀봉 강도를 계산했다. 평균 밀봉 강도를 기록한 후 밀봉 온도를 2℃ 증가시키고 밀봉 강도가 최소 200g/25mm에 도달할 때까지 절차를 반복했다. 이러한 예에서 밀봉 강도가 200g/25mm 이상에 도달한 최저 온도를 밀봉 개시 온도라고 한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내에서 개별 품목을 포장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 랩 포장 필름(도 1의 패키지 P로 표시), GLT, GLS 및 ZXA로 지정된 3개의 20μm 두께 시판 단위 랩 필름에 대해 INNER 밀봉 층을 점착시키는데 필요한 점착 개시 온도도 결정되었다. GLT 및 GLS는 Innovia Films Limited of Lowther R & D Centre, West Road, Wigton, Cumbria, England, CA7 9XX 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ZXA는 Innovia Films Mιxico S.A. de C.V. of AV. Colorines 255, Col Centro, Zacapu, C.P. 58600 Michoacαn, Mexico 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목적을 위해 20μm 두께의 단위 랩 필름이 선택되었으며 결과적으로 GLT, GLS 및 ZXA 필름은 본 명세서에서 각각 GLT20, GLS20 및 ZXA20으로 지정된다. 각 단위 랩 포장 필름은 단일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코어 층과 내부 및 외부 공중합 스킨층을 포함하는 3층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에 인접한 층인 외부 스킨층은 다음을 포함한다: GLT의 경우 C4 함량이 15.3mol%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의 삼원공중합체; GLS의 경우, C4 함량이 0 mol%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헥실렌, 그리고 폴리에틸렌과 폴리옥틸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ZXA의 경우 C4 함량이 0mol%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GLS 및 GLT 필름은 버블 공정으로 제작되었고, ZXA는 텐터 프로세스에 의하여 제작되었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INNER층과 단위랩 포장필름의 OUTER층 사이에 접착력(밀봉강도 50g/25mm 이상)이 달성되는 최저 온도를 측정하고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샘플(IN/OUT) 자체에 대한 밀봉 강도에 대해 최소 200g/25mm의 밀봉 강도가 달성된 최저 온도(SIT)와 최저 온도를 비교하고 그 차이를 "부적합성 창(incompatibility window)"으로 표시했다. 효능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부적합성 창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부적합성 창이 클수록 더 좋다.
부적합성 창, 즉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INNER 레이어를 단위 랩 포장 필름의 OUTER 레이어에 점착하는 데 필요한 점착 개시 온도(tack initiation temperature)에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샘플을 자체적으로 밀봉하는 데 필요한 밀봉 온도(sealing temperature)를 뺀 값(IN/OUT)은 아래 설명된 대로 3계층 하이브리드 테스트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상기 부적합성 창은 상기 방법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IN/OUT 밀봉의 밀봉 개시 온도(SIT)(최소 200g/25mm), 및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레이어와 단위 랩 필름의 외부 레이어 사이에 점착이 발생하는 온도(> 50g/25mm) 사이의 온도 범위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부적합성 창은 ASTM F2029에 따른 실험실 열 밀봉 장치와 밀봉 강도 시험기(ASTM F88에 따라 냉각 후)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과 단위 랩의 25mm 너비 스트립 3개(기계 방향으로 절단)를 실험실 열 밀봉기(RDM)를 사용하여 압력을 5psi로 설정하고 체류 시간을 0.5초로 테스트했다. 밀봉 강도는 당김 속도(또는 조 분리 속도)가 300mm/분으로 설정된 RDM 밀봉 풀러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이 테스트에 사용된 RDM 히트 실러 조 구성은 금속 대 고무였다. 상부조는 금속으로 제작되었으며, 조에 필름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테프론 코팅을 적용했다. 하부조는 고무 상단이 있는 금속 베이스로 만들어졌다. 시험 중 상부조는 가열하였고, 하부조는 상온(대기압(101.325kPa), 온도 25℃)을 유지하였다. 샘플의 SIT를 결정하기 위해 윗턱의 온도는 낮은 온도(예: 65℃)에서 시작되었다.
필름 스트립은 (위) 네이키드 콜레이션/네이키드 콜레이션/유닛 랩(아래) 구성으로 배열되었다. 각 스트립의 내부 표면은 아래쪽을 향하고 있었다.
테스트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네이키드 대조 IN/OUT 표면 구성의 밀봉 시작 온도(SIT)를 결정한다. 밀봉 강도가 최소 200g/25mm에 도달할 때까지 상부조 온도를 2℃ 증가시켰다. 아래 예에서는 이 온도를 SIT라고 한다. 이 지점에 도달하면 장치 랩의 하단 스트립이 상단 네이키드 콜레이션/노출 콜레이션 밀봉에서 벗겨진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내부 층과 단위 랩 필름의 외부 층 사이에 "점착"이 발생하는 온도까지 테스트를 계속한다. 다음 예에서는 밀봉 강도가 50g/25mm 이상일 때 "점착"이 발생한다고 한다.
결과는 샘플 1 내지 16의 INNER 및 OUTER 밀봉층의 C4 함량 mol%와 함께 아래 표 3에 제시되어 있다.
Sample C4 mol% (INNER) C4mol% (OUTER) Incompatibility window (ºC) - GLT20 Incompatibility window (ºC) - GLS20 Incompatibility window (ºC) - ZXA20
1 16 17.6 8 10 12
2 10.5 16.9 12 20 18
3 8.4 4.2 -2 -10 2
4 19 3.9 -2 2 4
5 4.2 16 4 -6 0
6 16 3.9 -2 -2 0
7 16 22.25 10 22 24
8 10.5 27.7 14 26 28
9 8.4 19.05 10 4 14
10 19 20 4 10 14
11 16 18.5 8 4 8
12 16 19.6 14 12 18
13 10.5 17 12 14 20
14 19 10 4 12 8
15 16 8.4 6 6 24
16 16 6 2 2 2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샘플은 3개의 밀봉 부적합성 창 값 범위와 하위 C4 mol% 값 및 상위 C4 mol%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세트를 생성했다. 이러한 각 데이터 세트는 최고 및 최저 밀봉 부적합성 창 값(℃)과 상위 및 하위 mol% 값으로 정의된 mol%-온도 공간의 직사각형으로 그래픽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직사각형은 도 2에 그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직사각형 S1로 표시된 샘플 1은 mol% 값이 16%와 17.6%이고 상한 부적합성 값이 12℃, 하한 부적합성 값이 8℃라는 특징이 있다. 예외적으로 샘플 17(S17)은 세 가지 밀봉 부적합성 온도 값이 동일(2℃)하기 때문에 수평선으로 나타난다. 샘플 S2와 S13은 거의 완전히 겹친다.
일반적으로 C4 함량과 양의 밀봉 부적합성 값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점선 L1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이 포장 필름에 바람직하지 않게 밀봉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려면 +2℃ 이상의 값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10mol% 이상의 C4 함량을 보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필름 샘플은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의 평균 C4 폴리올레핀 함량이 밀봉층의 총 폴리올레핀 함량에 비해 10mol%를 초과한다.
비호환 창의 크기는 선택한 단위 랩의 속성에 따라 어느 정도 결정된다는 점은 명백하다. 그러한 이유로 실제로 예시된 단위 랩 재료에 대한 양호한 부적합성 창을 간신히 전달하지 못한 샘플은 모든 단위 랩에 부적합하다고 반드시 무시할 수는 없다. 실제로 모든 샘플이 아닌 일부 샘플에 대해 긍정적인 부적합성 창을 나타내는 특정 샘플과 관련하여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사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적합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구성 요구사항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분명히 보여준다.
16개 샘플의 몰비는 아래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Sample Inner Layer Outer Layer
C4/C2 C4/C3 C3/C2 C4/C2 C4/C3 C3/C2
1 4.00 0.20 20.00 3.14 0.23 13.71
2 1.62 0.13 12.77 24.14 0.21 117.71
3 0.84 0.10 8.16 0.37 0.05 7.33
4 3.17 0.25 12.50 0.41 0.04 9.22
5 2.00 0.21 9.50 0.81 0.05 17.42
6 4.00 0.20 20.00 0.36 0.05 7.90
7 4.00 0.20 20.00 4.24 0.31 13.81
8 1.62 0.13 12.77 6.52 0.40 16.21
9 0.84 0.10 8.16 7.78 0.24 32.04
10 3.17 0.25 12.50 2.22 0.28 7.89
11 2.00 0.21 9.50 2.42 0.25 9.65
12 4.00 0.20 20.00 3.70 0.26 14.30
13 1.62 0.13 12.77 1.99 0.23 8.71
14 3.17 0.25 12.50 0.91 0.13 7.18
15 2.00 0.21 9.50 0.71 0.11 6.76
16 4.00 0.20 20.00 1.09 0.07 16.09
밀봉 부적합성 창 데이터 세트는 도 2의 플롯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3의 C4/C2 몰비에 대해 플롯된다. 밀봉 부적합성 창 값과 C4/C2 몰비 사이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는 라인 L2로 표시된다. 전형적으로, C2와 x축의 절편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확실한 밀봉 부적합성은 C4/C2 몰비가 1.2 이상일 때 얻어질 것이다.
밀봉 부적합성 창 데이터 세트는 도 2의 플롯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 4의 C4/C3 몰비에 대해 플롯된다. C4/C3 몰비와 밀봉 부적합성 창 값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는 라인 L3으로 표시된다. 전형적으로, C3과 x축의 절편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확실한 밀봉 부적합성은 C4/C3 몰비가 0.15 이상일 때 얻어질 것이다.
밀봉 개시 온도(Seal Initiation Temperature, SIT)
샘플은 내부와 내부, 외부와 외부, 내부와 외부가 밀봉되었을 때 얻은 밀봉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를 거쳤고, 두 개의 스트립의 외부 표면을 0.5초의 체류 시간 동안 5psi에서 열 밀봉했다.
관찰된 평균 밀봉 강도는 아래 표 5에 제공된다.
Sample Seal Initiation Temperature / °C
IN/IN OUT/OUT IN/OUT
1 100 90 98
2 98 100 98
3 122 118 122
4 104 116 114
5 N/A 116 138
6 104 114 112
7 100 98 98
8 98 84 88
9 120 100 110
10 90 104 100
11 118 106 114
12 102 92 98
13 100 104 104
14 90 106 98
15 118 102 110
16 108 114 112
이러한 데이터는 필름 샘플에 나타난 밀봉 개시 온도가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7에 개시된 결과와 함께, 샘플 필름의 SIT가 낮을수록 부적합성 창이 더 크다.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
샘플은 ASTM D1894에 따라 Messmer Slip and Friction Tester 장치에서 테스트되었으며 기록된 평균 마찰 계수는 정적 및 동적 모두에 대해 표 6에 나와 있다:
Static
Out/Out In/In Out/In Out/Metal In/Metal
1 0.35 0.38 0.39 0.34 0.35
2 0.39 0.42 0.44 0.37 0.35
3 0.37 0.39 0.39 0.35 0.32
4 0.44 0.38 0.45 0.38 0.35
5 0.30 0.31 0.35 0.30 0.25
6 0.37 0.41 0.41 0.36 0.36
7 0.38 0.41 0.41 0.38 0.34
8 0.40 0.40 0.45 0.37 0.37
9 0.37 0.41 0.35 0.35 0.34
10 0.37 0.38 0.33 0.35 0.34
11 0.35 0.36 0.31 0.32 0.33
12 0.39 0.41 0.35 0.36 0.38
13 0.39 0.38 0.38 0.36 0.38
14 0.44 0.39 0.42 0.42 0.36
15 0.34 0.35 0.34 0.38 0.32
16 0.42 0.44 0.38 0.38 0.38
Dynamic
Out/Out In/In Out/In Out/Metal In/Metal
1 0.20 0.21 0.21 0.14 0.14
2 0.23 0.24 0.24 0.14 0.16
3 0.13 0.17 0.15 0.12 0.11
4 0.27 0.22 0.25 0.16 0.17
5 0.17 0.18 0.17 0.15 0.15
6 0.20 0.23 0.24 0.17 0.17
7 0.20 0.23 0.23 0.16 0.16
8 0.18 0.21 0.20 0.16 0.16
9 0.14 0.21 0.18 0.13 0.14
10 0.21 0.20 0.20 0.16 0.16
11 0.24 0.23 0.22 0.15 0.16
12 0.22 0.26 0.23 0.15 0.17
13 0.21 0.23 0.21 0.16 0.18
14 0.28 0.22 0.28 0.18 0.17
15 0.20 0.20 0.25 0.16 0.16
16 0.26 0.26 0.24 0.18 0.19
마찰계수는 필름의 표면 특성과 폴리머의 밀봉 특성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마찰 계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우수한 핫 슬립 특성을 나타낸다.
부적합성(Incompatibility)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랩 샘플과 단위 랩에 사용된 필름 사이의 부적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열 밀봉 임계값은 3층 하이브리드 테스트(위에 설명된 대로)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샘플의 내부 밀봉을 하단 조를 떼어낸 상태에서 단위 랩의 외부에 대해 테스트한다. 본 시험을 위해 선정된 단위랩필름은 GLS20, GLT20, ZXA20으로 모두 폴리올레핀계 단위랩필름이다. GLS20 및 GLT20은 Innovia Films Ltd(Wigton, Cumbria 소재)에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ZXA20은 멕시코 자카푸 소재 Innovia Films Mexico SA de CV에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밀봉이 형성되는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샘플을 테스트했다. 테스트는 0.5초의 체류 시간과 5psi의 압력에서 작동되는 열 밀봉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과 폴리올레핀 필름 랩 사이에 밀봉이 형성되는 온도를 결정함으로써,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과 필름 랩 사이에 밀봉이 형성될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열 밀봉을 수행할 수 있는 부적합성 창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Sample Incompatibility Window / °C
GLT20 GLS20 ZXA20
1 8 10 12
2 12 20 18
3 -2 -10 2
4 -2 2 4
5 4 -6 0
6 -2 -2 0
7 10 22 24
8 14 26 28
9 10 4 14
10 4 10 14
11 8 4 8
12 14 12 18
13 12 14 20
14 4 12 8
15 6 6 24
16 2 2 2
부적합성 창의 값이 양수인 것이 중요하다. 긍정적인 부적합성 창이 클수록 이것이 공정상 더 유리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부적합성 범위 또는 "부적합성 창"은 열 밀봉 온도의 변동 없이 밀봉이 수행되어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이 번들에 있는 개별 패키지의 필름 랩에 밀봉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어야 한다.
또한,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단위랩의 구성에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은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다양한 단위랩재료(unit wrap material)를 채용할 수 있다.
광학적 특성(Optical properties)
필름의 외부 및 내부 층의 광학 특성을 결정했다. 구체적으로, ASTM D2457 시험 방법을 사용하여 샘플의 광택 값을 기록하였다. 광택은 45° 각도를 사용하여 Rhopoint 광택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Sample Gloss 45°
Outer Layer Inner Layer
1 76.6 86.1
2 84.3 89.3
3 77.0 88.2
4 83.9 87.3
5 87.6 94.0
6 90.7 89.7
7 87.3 86.6
8 91.1 92.3
9 87.3 90.1
10 92.6 83.8
11 89.7 88.2
12 92.1 92.1
13 93.6 92.8
14 86.3 85.1
15 89.2 83.9
16 90.7 89.0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광학 특성은 필름을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다.
비교예
블로킹 이축 배향 필름(blocking biaxially oriented film)의 비교예는 "필름의 제조"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C1은 EP3034300A1의 실시예 1에 따른 비교예로서, 차단필름이다. C1의 밀봉층은 다음을 포함한다: 6% 슬라이딩 마스터배치 ABVT3 NSC®(Schulman에서 상품화)의 외부 층에 표준 블록 방지/미끄럼 패키지가 포함된 단일 C4-C3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직경이 2μm인 SiO2 입자를 기반으로 한 1% 블록 방지 마스터배치(Constab에서 상품화) 및 내부층 6% 블록방지 마스터배치 ABVT30N®(Schulman에서 상품화)의 표준 블록방지/미끄럼 패키지, 직경 2μm의 실리카 입자를 기반으로 한 1% 블록 방지 마스터배치(Constab에서 상품화).
세부사항은 아래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C1의 부적합성 창은 본 발명의 필름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결정되었다.
팩투팩 차단 테스트 (Pack-to-Pack Blocking Test)
절단 템플릿(93 x 68mm 크기의 단단한 판)을 사용하여 필름 시트를 잘라내어 테스트 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나무 블록(티크나무 또는 이와 유사한 견목재) 주위에 필름 시트를 감싸고 두 개의 포장된 블록의 테스트 표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했다. 나무 블록은 크기가 72 x 42 x 10mm이고 무게는 약 30g이며 테스트 면을 자체 접착 펠트로 덮었다.
포장된 두 개의 블록을 필름의 테스트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금속판 위에 정사각형으로 놓고 블록 위에 200g(± 2g)의 추를 올려 놓았다. 샘플을 60°C에서 72시간 동안 자동 온도 조절 오븐에 넣은 후 샘플을 오븐에서 꺼내어 아래 설명된 추가 측정 전에 최소 30분 동안 냉각했다.
냉각 후 상단 블록을 고정하고 추를 제거했다. 샘플을 SauterTM 게이지(모델 FK50)가 부착된 전기 수평 테스트 스탠드의 받침대에 놓았다. 게이지 속도는 800 mm/min으로 설정되었다. 테스트 장치는 장치 크래들에 고정된 아래쪽 블록의 표면을 따라 위쪽 블록을 밀어내고, 피크 판독값은 시트의 측면 분리(차단 해제)가 필요한 블록 사이의 상대 측면 이동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힘(N)으로 기록된다.
아래 표 10에서 팩 간 차단 테스트는 블록의 상대적 측면 이동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힘이 5N 미만인 경우 " PASS"입니다. 필요한 힘이 5N을 초과하면 테스트는 " FAIL"이다.
Sample PASS/FAIL
C1 FAIL
1-16 PASS
실험적 확실성을 위해 C1과 본 발명에 따른 샘플 11 및 15를 5회 반복 테스트했으며 그 결과는 표 11에 나와 있다.
Sample 60?C/72 hours Av (N)
11 2.38 2.46 1.72 3.26 2.16 2.40
15 2.02 5.42 3.48 3.8 3.31 3.61
C1 * 46.12 * * * 46.1
*너무 높아 측정할 수 없음- 즉, Sauter 게이지가 측정할 수 있는 최대 힘인 50N을 초과한다.다양한 조건에서 차단 테스트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샘플을 오븐에 72시간이 아닌 3시간 동안 그리고 온도가 60℃가 아닌 75℃에서 두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에 따른 C1 및 샘플 11 및 15에 대해 상기 과정을 반복하였다. 결과는 표 12에 나와 있다.
Sample 75?C/3 hours Av (N)
11 2.54 2.3 2.18 2.48 2.38 2.38
15 3.86 3.24 2.22 2.3 2.44 2.81
C1 9.18 10.2 12.44 7.56 11.26 10.13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이 장기간에 걸쳐 높은 압력 및 온도에서 함께 압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필름과 비교하여 그들 사이에는 어떠한 유의미한 정도의 차단도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으로 형성된 포장 묶음이 포장 절차 이후 여전히 따뜻하거나 뜨거울 때 (또는 운송이나 보관 중에 다소 가혹한 조건에 노출될 수 있음) 포장 패키지가 서로 달라붙어 막힐 위험 없이 포장 및 배송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비교예 C1은 넓은 부적합성 창을 나타내지만 차단 경향으로 인해 네이키드 대조 패키징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필름이 "비-차단"이 되려면 필름은 지속적으로 또는 평균 5회 이상의 반복 테스트를 통해 60°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차단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고, 또한 지속적으로 또는 평균 5회 반복 테스트에서 75°C에서 3시간 동안 차단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9)

  1. 필름의 한쪽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내부 밀봉층을, 상기 필름의 반대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밀봉층은 그 자체 및 내부 밀봉층에 밀봉가능하고, 내부 및 외부 밀봉층 모두는 C4, 및 C2 및 C3 폴리올레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층의 전체 폴리올레핀 함량에 대해 10mol% 이상의 C4 폴리올레핀 함량을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C2/C3, C2/C4 및/또는 C3/C4 공중합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C2/C3/C4 삼원공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4.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층의 전체 폴리올레핀 함량에 대해 10.5mol% 이상, 11.0mol% 이상, 11.5mol% 이상, 또는 12.0mol% 이상의 C4 폴리올레핀 함량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5.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은 외부 밀봉층의 전체 폴리올레핀 함량에 대해 10mol% 이상, 10.5mol% 이상, 11.0mol% 이상, 11.5mol% 이상, 또는 12.0mol% 이상의 C4 폴리올레핀 함량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 각각은 상기 밀봉 층의 전체 폴리올레핀 함량에 대해 10mol% 이상, 10.5mol% 이상, 11.0mol% 이상, 11.5mol% 이상 또는 12.0mol% 이상의 C4 폴리올레핀 함량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7.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의 평균 C4 폴리올레핀 함량은 10mol% 이상, 10.5mol% 이상, 11.0mol% 이상, 11.5mol% 이상, 또는 12.0mol% 이상의 C4 폴리올레핀 함량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8. 필름의 한쪽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내부 밀봉층을, 상기 필름의 반대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밀봉층은 그 자체 및 내부 밀봉층에 밀봉가능하고, 내부 및 외부 밀봉층 모두는 C2 및 C4 폴리올레핀, 및 선택적으로 C3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1.2의 C4:C2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1.5 이상, 1.6 이상 또는 1.7 이상의 C4:C2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이 1.2 이상, 1.5 이상, 1.6 이상 또는 1.7 이상의 C4:C2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2. 제8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 각각은 1.2 이상, 1.5 이상, 1.6 이상 또는 1.7 이상의 C4:C2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3. 제8항에 있어서,
    내부 밀봉층과 외부 밀봉층의 평균 C4:C2 몰비가 1.2 이상, 1.5 이상, 1.6 이상 또는 1.7 이상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4. 필름의 한쪽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내부 밀봉층을, 상기 필름의 반대 표면에 폴리올레핀계 외부 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밀봉층은 그 자체 및 내부 밀봉층에 밀봉가능하고,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은 모두 C3 및 C4 폴리올레핀, 선택적으로 C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0.15의 C4:C3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C2, C3 및 C4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0.16, 적어도 0.17, 또는 적어도 0.20의 C4:C3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외부 밀봉층이 0.15 이상, 0.16 이상, 0.17 이상 또는 0.20 이상의 C4:C3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8. 제14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 각각은 0.15 이상, 0.16 이상, 0.17 이상 또는 0.20 이상의 C4:C3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19. 제14항에 있어서,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의 평균 C4:C3 몰비는 0.15 이상, 0.16 이상, 0.17 이상 또는 0.20 이상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층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다는 1.2 이상, 1.5 이상, 1.6 이상, 또는 1.7 이상의 C4:C2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밀봉 필름.
  21.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층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모두는 0.15 이상, 0.16 이상, 0.17 이상, 또는 0.20 이상의 C4:C3 몰비를 갖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밀봉 필름.
  22.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밀봉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코어층을 더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3.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따른 비차단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4.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 밀봉층은 75℃ 이상의 융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5.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 밀봉층은 8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6.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밀봉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에틸렌과 프로필렌, 에틸렌과 부틸렌, 프로필렌과 부틸렌의 둘 이상의 공중합체 및/또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부틸렌의 삼원공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27.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따른 밀봉된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내에 포장된 복수의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28. 제27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는 상기 내부 밀봉층과 접촉하는 추가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29. a) 개별 포장된 패키지 배열을 제공하는 단계;
    b)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c) 개별 포장된 패키지를 정렬된 구성으로 배열하는 단계;
    d) 개별적으로 포장된 패키지의 정렬된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배열하는 단계; 및
    e)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을 패키지에 밀봉하지 않고 네이키드 콜레이션 필름 자체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237036837A 2021-04-14 2022-04-14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필름 KR20240005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105310.3A GB202105310D0 (en) 2021-04-14 2021-04-14 Film
GB2105310.3 2021-04-14
GB202111513 2021-08-11
GB2111513.4 2021-08-11
PCT/EP2022/060090 WO2022219143A1 (en) 2021-04-14 2022-04-14 Naked collation package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705A true KR20240005705A (ko) 2024-01-12

Family

ID=8165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837A KR20240005705A (ko) 2021-04-14 2022-04-14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23190A1 (ko)
KR (1) KR20240005705A (ko)
BR (1) BR112023021274A2 (ko)
GB (2) GB2623426A (ko)
WO (1) WO20222191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388B2 (ja) * 1979-07-13 1985-08-20 東洋紡績株式会社 密着性の良好な包装材料
DE3624543A1 (de) * 1986-07-19 1988-01-21 Wolff Walsrode Ag Heisssiegelbare mehrschichtfolien aus polyolefinen
DE3635928A1 (de) 1986-10-22 1988-04-28 Hoechst Ag Sammelpacksystem
CA2015153C (en) 1989-07-28 2000-07-18 Cryovac, Inc. Double bubble process for making strong, thin films
DE4031784A1 (de) 1990-10-08 1992-04-09 Hoechst Ag Beidseitig niedrigsiegelnde, bedruckbar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TW221700B (ko) 1990-11-01 1994-03-11 Himont Inc
DE4205555A1 (de) 1992-02-24 1993-08-26 Hoechst Ag Einseitig niedrig siegelnde, transparen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4304377A1 (de) 1993-02-13 1994-08-18 Hoechst Ag Niedrig siegelnd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4337251A1 (de) 1993-09-27 1995-03-30 Hoechst Ag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nsichtlich Mechanik und Barriere
DE19652734A1 (de) * 1996-12-18 1998-06-25 Hoechst Trespaphan Gmbh Beidseitig siegelfähige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WO1999041300A1 (de) 1998-02-12 1999-08-19 Hoechst Trespaphan Gmbh Siegelfähige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nsichtlich barriere
DE19923839A1 (de) 1999-05-26 2000-11-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Sammelpacksystem enthaltend eine siegelfähige Polyesterfolie
GB0716457D0 (en) 2007-08-23 2007-10-03 Innovia Films Ltd Naked collation package
GB2491575B (en) 2011-06-02 2013-11-27 Innovia Films Ltd Package
EP2729304A1 (en) 2011-07-08 2014-05-14 Exxonmobil Oil Corporation Multi-layer films having improved sealing properties
KR101749433B1 (ko) 2012-09-14 2017-06-20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1-부텐·α-올레핀 공중합체 조성물
EP3034300B1 (en) 2014-12-19 2018-08-22 Irplast S.p.A. Multilayer films
IT201600118572A1 (it) 2016-11-23 2018-05-23 Irplast Spa Film multistrato.
CN111051062A (zh) 2017-05-19 2020-04-21 阿布扎比聚合物有限公司(博禄) 具有降低的密封起始温度的丙烯无规共聚物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608487B (en) 2023-10-18
GB202205558D0 (en) 2022-06-01
GB202313580D0 (en) 2023-10-18
EP4323190A1 (en) 2024-02-21
GB2623426A (en) 2024-04-17
GB2608487A (en) 2023-01-04
BR112023021274A2 (pt) 2023-12-12
WO2022219143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5049A (en) Polyolefin laminate cling films
CA2307183C (en) Multilayered metallocene stretch wrap films
US5907943A (en) Stretch wrap films
AU761254B2 (en) Packaging film and use of the same
EP1878567A1 (en) Heat-sealable multilayer polypropylene resin film and packaging material
CZ268398A3 (cs) Termoplastický vícevrstvý balící film
JP6030947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無延伸多層フィルム
JP6352340B2 (ja) パッケージ
WO2019244708A1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US20050142367A1 (en) Heat seal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US7517941B2 (en) Shrink film
EP0541528B1 (en) Polyolefin laminate cling films
NO792259L (no) Fren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varmesveisbare polyolefinfilmer
TWI795471B (zh) 具有無光澤表面及改良之密封效能之基於聚烯烴之薄膜
EP1581389B1 (en) Heat sealable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EP2928778B2 (en) Method for forming a package
KR20240005705A (ko) 네이키드 콜레이션 패키지 필름
JP2024519193A (ja) ネイキッドコレーション包装体フィルム
KR20230109154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KR20230105683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KR20230117111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CN117440888A (zh) 裸式整理包装膜
KR20230112116A (ko)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체
KR20220024587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