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587A -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587A
KR20220024587A KR1020227001425A KR20227001425A KR20220024587A KR 20220024587 A KR20220024587 A KR 20220024587A KR 1020227001425 A KR1020227001425 A KR 1020227001425A KR 20227001425 A KR20227001425 A KR 20227001425A KR 20220024587 A KR20220024587 A KR 2022002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based resin
resin film
film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카토 도마츠
다다시 니시
Original Assignee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2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32B2264/1021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Cut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6Slipping, anti-blocking, low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4Gas barrier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과 같은 분자 배향축의 변형이 큰 기재 필름과 적층하여, 그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포장봉지는 투명성, 실링성, 제대성이 우수하고, 또한 파팅 없이, 용이하게 인열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아래 1)∼5)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1)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율이 0∼2 중량부이다.
2)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의 함유율이 0∼2 중량부이다.
3)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이 0∼40 중량부이다.
4)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5)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굴절률로부터 계산되는 면배향계수 ΔP가 0.0100 이상 0.0145 이하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축배향 필름의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포장봉지는 주로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등의 기재 필름과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층체의 주변부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면끼리가 접촉하는 상태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융점 부근의 온도에서 가열압착(이하, 히트 실링)함으로써 제조된다.
식품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건물(乾物)이나 과자 등 수증기 배리어성이 필요한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실링성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들어, 여성의 사회진출, 핵가족화, 또는 고령화 진행 등의 사회배경으로부터, 필름에 의해 포장된 식품의 수요가 커지고 있고, 동시에 특성의 향상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령자와 같은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안의 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봉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포장봉지로부터 식품 내용물을 꺼낼 때는, 포장봉지 주변의 실링 부분에 들어간 절개 부분, 소위 노치 부분으로부터 손으로 포장봉지를 인열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 포장봉지의 일변, 통상은 수평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인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비스듬히 개봉되어 버리거나, 포장봉지의 표면과 이면의 적층체에서 찢어짐의 진행방향의 상하가 반대가 되는 현상, 소위 파팅(parting)이 발생하게 되어, 식품 내용물을 꺼내기 어려워져, 후리카케와 같은 입자상의 내용물을 흘려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포장봉지를 포장봉지의 일변에 대해 평행하게 인열하는 것이 곤란한 이유는, 적층체에 사용하는 기재 필름에 변형이 있는 것, 즉 기재 필름의 분자 배향축 방향이 포장체의 일변에 대해 평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재 필름의 분자 배향축 방향을 포장봉지의 인열방향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면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조된 광폭의 연신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의 분자 배향축 방향은 필름의 주행방향과 일치하고 있어 포장봉지의 일변에 대해 평행하게 인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필름의 폭방향 단부에서는 분자 배향축 방향이 기울어져 버려, 포장봉지의 인열방향은 경사지게 된다. 필름의 폭방향 단부를 사용한 기재 필름을 완전히 피해 조달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기재 필름의 생산속도 고속화나 광폭화에 수반하여, 변형의 정도는 종래보다도 더욱 커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건물이나 과자 등의 식품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시인하기 쉬운 쪽이 좋다.
이에, 기재 필름과 적층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고안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첨가한 시트를 일축연신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필름 외관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실링층에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3.0배로 일축연신함으로써 얻어진 필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헤이즈, 실링강도, 인열강도 및 파팅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일축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용물의 시인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실링층에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와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텐터방식에 의해 일축연신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파대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5에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세로방향으로 일축연신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돌자강도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6에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4∼6배로 일축연신한 필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수축률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00361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79049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41193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6-3291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8-7958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4-141302호 공보
본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과 같은 분자 배향축의 변형이 큰 기재 필름과 적층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포장봉지는 투명성, 내굴곡 핀홀성, 내블로킹성이 우수하고, 또한 파팅 없이, 용이하게 인열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특정 비율로 갖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의 열수축률, 면배향계수를 제어함으로써, 이축배향 폴리아미드계 수지 필름과 같은 분자 배향축의 변형이 큰 기재 필름과 적층하고, 그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포장봉지는 투명성, 실링성, 제대성(製袋性)이 우수하고, 또한 파팅 없이, 용이하게 인열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태양을 갖는다.
[1]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아래 1)∼5)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1)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율이 0∼2 중량부이다.
2)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의 함유율이 0∼2 중량부이다.
3)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이 0∼40 중량부이다.
4)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5)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굴절률로부터 계산되는 면배향계수 ΔP가 0.0100 이상 0.0145 이하이다.
[2]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80 N/㎟ 이상이고, 압입 크리프율(Cit)이 3.0% 이하인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3]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헤이즈가 1% 이상 20%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4]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가 0.8 N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5]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돌자강도가 0.12 N/㎛ 이상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6]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위치하는 층의 안티블로킹제 농도가 3000 ppm 이하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축배향 필름의 적층체.
[8] 상기 적층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직진 커트성이 8 ㎜ 이하이고,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가 0.8 N 이하인, [7]에 기재된 적층체.
[9] [7] 또는 [8]에 기재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투명성, 실링성, 제대성이 우수하고, 또한 파팅 없이, 용이하게 인열되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적합하다.
아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주체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원자수가 2 또는 4∼20인 α-올레핀의 1종 이상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소원자수가 2 또는 4∼20인 α-올레핀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부텐-1, 펜텐-1,4-메틸펜텐-1, 헥센-1, 옥텐-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연신성, 저수축성 면에서 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1종류 이상이면 되고,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것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융점은 12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융점이 125℃ 이상이면, 직진 커트성이 얻어지기 쉽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의 용융흐름속도(MFR)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6 g/10 mi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10 mi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g/10 min이다. 필름 두께의 균일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랜덤 공중합체의 용융흐름속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0 g/10 mi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g/10 mi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g/10 min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프라임 폴리프로 F-724NPC,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 7.0 g/10 min, 융점 142℃),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토모 노블렌 FL8115A,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 7.0 g/10 min, 융점 148℃),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주식회사 프라임 폴리머 제조 프라임 폴리프로 F-794NV,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 5.7 g/10 min, 융점 134℃),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스미토모 노블렌 FL6745A,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MFR 6.0 g/10 min, 융점 130℃)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적합한 것은 주로 하는 모노머가 프로필렌이고, 일정량의 에틸렌과 부텐을 공중합시킨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랜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조성비가 많은 순으로 호칭하여 기재하였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내파대성(耐破袋性)을 높이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는, 다량의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의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1단째 중합공정과, 소량의 프로필렌과 다량의 에틸렌의 공중합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2단째 중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다단 공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86159호 공보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상법 중합을 행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공정에서 실질적으로 불활성 용제의 부존재하에 프로필렌을 주체로 한 중합체 부분(A성분)을 중합하고, 이어서 제2 공정을 기상 중에서 에틸렌 함량이 20∼50 중량부의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부분(B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융점은 12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융점이 125℃ 이상이면, 직진 커트성이 얻어지기 쉽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흐름속도(MFR)(230℃, 하중 2.16 ㎏ 측정)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10 g/10 min가 바람직하고, 2∼7이 보다 바람직하다. 1 g/10 min 미만에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T 다이에서의 압출이 곤란하고, 반대로, 10 g/10 min를 초과한 경우는, 필름의 끈적거림과 필름의 내충격강도(임팩트강도)가 열등한 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공중합 엘라스토머)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을 주체로 하는 열가소성의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첨가할 수 있고, 이로써 내파대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탄소수 2∼20의 α-올레핀 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1-부텐 단독 중합체, 1-부텐·에틸렌 공중합체, 1-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 단독 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1-부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공중합 엘라스토머 중에서도 에틸렌과 부텐을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의 엘라스토머, 비교적 높은 쇼어 경도와 좋은 투명성을 나타내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공중합 엘라스토머로서, 프로필렌과 부텐을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결정성의 엘라스토머인 프로필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엘라스토머의 230℃, 하중 2.16 ㎏에 있어서의 용융흐름속도(MFR)가 0.2∼5.0 g/10 min, 밀도가 820∼930 ㎏/㎥, GPC법에 의해 구한 분자량 분포(Mw/Mn)가 1.3∼6.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하중 2.16 ㎏에 있어서의 용융흐름속도(MFR)가 0.2 g/10 min을 밑돌면, 균일한 혼련이 불충분해져, 피시 아이가 발생하기 쉬워지고, 또한 5.0 g/min을 초과하면, 내파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로써 인열강도를 작게 하기 쉽고, 투명성도 높이기 쉽다.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에는, 결정성이 높고, 강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결정성이 낮고 유연성이 우수한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이 있다. 사용하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로서는, 결정성이 높아 열수축률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용융흐름속도(MFR)(230℃, 하중 2.16 ㎏ 측정)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10 g/10 min가 바람직하고, 2∼7이 보다 바람직하다. 1 g/10 min 미만에서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T 다이에서의 압출이 곤란하고, 반대로, 10 g/10 min를 초과한 경우는, 필름의 끈적거림과 필름의 내충격강도(임팩트강도)가 열등한 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안티블로킹제를 포함해도 된다. 안티블로킹제는 1종류여도 되지만, 2종류 이상의 입경과 형상이 다른 무기입자를 배합한 쪽이, 필름 표면의 요철에 있어서도 복잡한 돌기가 형성되어, 보다 고도의 블로킹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첨가하는 안티블로킹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상 실리카, 부정형 실리카, 제올라이트, 탈크, 마이카, 알루미나, 하이드로탈사이트, 붕산알루미늄 등의 무기입자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유기입자를 첨가할 수 있다.
2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성의 경우는, 전층에 첨가해도 되고, 이축배향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쪽 층의 표면에 요철이 있으면, 라미네이트 가공의 외관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필름끼리를 히트 실링하는 쪽 층에만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축배향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쪽 층을 라미네이트층, 그 표면을 라미네이트면이라 부르고, 한쪽 필름끼리를 히트 실링하는 쪽 층을 실링층, 그 표면을 실링면이라 부른다.
첨가하는 안티블로킹제는 첨가하는 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대해, 30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0 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3000 ppm 이하로 함으로써, 안티블로킹제의 탈락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유기계 윤활제를 첨가해도 된다. 적층 필름의 미끄럼성과 블로킹 방지효과가 향상되어, 필름의 취급성이 좋아진다. 그 이유로서, 유기 윤활제가 블리드 아웃되어 필름 표면에 존재함으로써, 윤활제 효과와 이형 효과가 발현된 것으로 생각한다.
유기계 윤활제는 상온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윤활제는 지방산 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베헨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헥사메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에틸렌비스올레산아미드 등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지나치게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미끄럼성과 블로킹 방지효과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의 층에 적량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방담제, 중화제, 조핵제, 착색제, 기타 첨가제 및 무기질 충전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서, 페놀계나 포스파이트계의 병용, 또는 1분자 중에 페놀계와 포스파이트계의 골격을 가진 것의 단독 사용을 들 수 있다. 중화제로서 스테아르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0∼2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0∼1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2 중량부 이하로 하면 투명성, 저온 히트 실링성이 양호해지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열가소성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0∼2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열가소성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0∼1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열수축률, 투명성이 양호해지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0∼4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0∼2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중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저온 히트 실링성을 얻기 쉽고, 저온에서의 히트 실링 강도가 얻어지기 쉽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2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된다. 3층 구성의 경우는 중간층에 제조공정에서 생긴 반제품이나 제조 후의 제품 필름을 리사이클링한 펠릿을 첨가함으로써, 히트 실링 에너지와 내파대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비용을 낮추거나, 융점이 낮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실링층에만 첨가하고, 중간층과 라미네이트층은 융점이 높은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주체로서 사용하는 등, 각층에서 조성이 약간 상이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성형방법은,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방식, T 다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나, 드래프팅의 용이함으로부터 T 다이 방식이 바람직하다. 인플레이션 방식은 냉각 매체가 공기인 것에 대해, T 다이 방식은 냉각 롤을 사용하기 때문에, 냉각속도를 높게 하는 데는 유리한 제조방법이다. 냉각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미연신 시트의 결정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후공정에서 롤에 의한 연신이 유리해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T 다이 방식이 바람직하다.
용융된 원료 수지를 캐스팅하여 무배향의 시트를 얻을 때의 냉각 롤 온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다. 상기 미만이면, 냉각 롤에 결로가 발생하여, 밀착 부족이 되는 경우가 있다. 냉각 롤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무배향의 시트를 연신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 방식, 텐터 횡연신 방식, 롤 종연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배향의 제어 용이함으로부터 롤 종연신 방식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종연신이란, 원료 수지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에 연신한 필름을 권취하는 공정까지의 필름이 흐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가로방향이란 흐름방향과 직각의 방향을 의미한다.
무배향의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직진 커트성이 발현된다. 이것은 분자쇄의 구조가 연신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이다.
연신배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3배이다. 이것보다 작으면 항복강도가 저하되고, 인열강도가 커지거나, 직진 커트성이 열등한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8배이다.
연신배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5배이다. 이것보다 크면 과잉으로 배향이 진행되어, 실링 에너지가 저하되고, 낙하 후의 내파대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7배이다.
연신 롤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이다. 이것보다 낮으면 필름에 걸리는 연신응력이 높아져, 필름이 두께 변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이다.
연신 롤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40℃이다. 이것을 초과하면, 필름에 걸리는 연신응력이 낮아져, 필름의 인열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연신 롤에 필름이 융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제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미연신 시트를 연신공정에 도입하기 전에 예열 롤에 접촉시켜, 시트 온도를 올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배향의 시트를 연신할 때의 예열 롤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이다. 상기 미만이면 연신응력이 높아져, 두께 변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열 롤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4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이다. 상기 이상이면, 열수축률이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연신 전의 열결정화를 억제하여 연신 후의 잔류응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연신공정을 거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는, 열수축을 억제하기 위해 어닐링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처리 방식에는 롤 가열 방식, 텐터 방식 등이 있는데, 설비의 간략함과 유지 보수의 용이함으로부터 롤 가열 방식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처리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내부응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필름의 열수축을 억제하고, 또한 인열 용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열성을 높이기 위해, 연신배율을 단순히 크게 하는 경우에 비해 히트 실링강도를 희생으로 하는 경우가 적다.
어닐링 처리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80℃이다. 상기 미만이면 열수축률이 높아지거나, 인열강도가 커지거나, 제대 후의 포장봉지의 마무리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이다.
어닐링 처리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25℃이다. 어닐링 처리온도가 높은 쪽이 열수축률이 저하되기 쉬운데, 이를 초과하면 히트 실링강도가 악화되거나, 필름이 제조설비에 융착되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5℃이다.
어닐링공정에서는 롤의 회전속도를 작게 하는 등, 필름의 반송속도를 순차 느리게 하거나 하여, 완화공정을 설치할 수 있다. 완화공정을 설치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열수축률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히트 실링강도도 크게 할 수 있다.
완화공정의 완화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이다. 10% 이하면 반송 중의 필름이 느슨해지기 어려워, 공정으로의 휘감김을 일으키기 어렵다. 완화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다. 1%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열수축률이 높아지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상에 기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다른 소재의 이축배향 필름을 라미네이트하는 쪽 표면을 코로나 처리 등으로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대응에 의해 기재 필름과의 라미네이트강도가 향상된다.
(필름 두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7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다. 15 ㎛ 이상이면 기재 필름의 두께에 대해 상대적으로 두꺼워지기 때문에, 적층체로서의 직진 커트성이 악화되기 어렵고, 또한 필름의 강성이 얻어져 가공하기 쉬울 뿐 아니라, 내충격성이 얻어지기 쉬워 내파대성이 얻어지기 쉽다. 필름 두께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다. 150 ㎛ 이하면 필름의 강성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가공하기 쉬워질 뿐 아니라, 적합한 포장체를 제조하기 쉽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특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헤이즈)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헤이즈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다. 1.0% 이상이면, 필름 표면의 요철이 극단적으로 적은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포장체의 내면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다. 헤이즈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20.0% 이하면 포장체의 시인성이 얻어지기 쉽다.
(열수축률)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25%이다. 상기를 초과하면 인열강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히트 실링 시의 수축이 커져, 포장체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의 하한은 2%이다. 이것보다 작게 하고자 하면, 어닐링 온도와 어닐링 시간을 현저히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외관이 현저하게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작은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의 상한은 1%이다. 1% 이하면,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커지거나, 또는 직진 커트성이 열등하다. 바람직하게는 0.5%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작은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의 하한은 -5%이다. 상기 미만이면, 히트 실링공정에서 필름에 신장이 발생하기 어려워, 포장체의 외관이 악화되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3%이다.
(돌자강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1 ㎛당 돌자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2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4 N/㎛이다. 0.12 N/㎛ 이상이면 포장체에 돌기가 접촉하였을 때에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 돌자강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N/㎛이다. 1.0 N/㎛ 이하면 강성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필름 또는 적층체로 하였을 때의 핸들링이 용이해진다.
(길이방향의 배향계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길이방향의 배향계수 ΔNx는 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Nx:길이방향의 굴절률
Ny: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굴절률
Nz:면방향의 굴절률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의 배향계수 ΔNx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이다. 0.010 이상이면 포장체의 직진 커트성이 얻어지기 쉽다. 길이방향의 배향계수 ΔNx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02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6이다. 0.0270 이하면 실링강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면배향계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면배향계수 ΔP는 굴절률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면방향으로의 배향계수는 식 2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Nx:길이방향의 굴절률
Ny: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의 굴절률
Nz:면방향의 굴절률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면방향의 배향계수 ΔP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이다. 0.0100 이상이면 포장체의 돌자강도가 얻어지기 쉽다. 면배향계수 ΔP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01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40이다. 0.0160 이하면 실링강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필름의 융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120℃ 이상이면 히트 실링에 대한 내열성이 얻어지기 쉽다. 융점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5℃이다. 150℃ 이하면 저온 실링성을 얻기 쉽다.
(내굴곡 핀홀성)
내굴곡성은 겔보 핀홀 평가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1℃에 있어서 1000회 굴곡을 부여한 후의 핀홀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35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개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개이다. 35개 이하면 포장체를 수송할 때의 굴곡 충격에 의해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
(인열강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8 N이다. 0.8 N 이하면 라미네이트 필름을 인열하기 쉽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N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N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 N이다. 0.1 N 이상이면 내파대성이 얻어지기 쉽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N이다.
(가속 블로킹강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가속 블로킹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20 mN/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mN/70 ㎜이다. 20 mN/7 ㎜ 이상이면 필름의 강성이 얻어지기 쉽다. 가속 블로킹강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 mN/7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mN/7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mN/70 ㎜이다. 100 mN/70 ㎜ 이하면 포장체의 내면에서 블로킹을 일으키기 어렵다.
(마르텐스 경도)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 특히 실링면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8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N/㎟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N/㎟ 이상이다. 80 N/㎟ 이상이면 포장체의 내면에서 블로킹을 일으키기 어렵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N/70 ㎟이다. 마르텐스 경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4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N/㎟이다. 140 N/㎟ 이하면 필름이 지나치게 단단하지 않아 내굴곡 핀홀성이 얻어지기 쉽다.
(압입 크리프율)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실링면의 압입 크리프율(cit)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이다. 1.8% 이상이면 필름이 단단해지지 않아 내굴곡 핀홀성이 얻어지기 쉽다. 압입 크리프율(cit)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이다. 3.0% 이하면 포장체의 내면에서 블로킹을 일으키기 어렵다.
(습윤장력)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재 필름과 라미네이트하는 면의 습윤장력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0 m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mN/m이다. 30 mN/m 이상이면 라미네이트강도가 저하되기 어렵다. 습윤장력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55 m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N/m이다. 55 mN/m 이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롤에 감았을 때 필름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어렵다.
(적층체의 구성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적층체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실란트로서 사용하고,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의 적층체이다. 또한, 공지의 기술로서 접착성이나 배리어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이들 기재 필름에 코팅이나 증착가공을 한 것을 사용하거나, 알루미늄박을 추가로 적층하는 등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축연신 PET 필름/알루미늄박/실란트, 이축연신 PET 필름/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실란트,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실란트,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실란트, 이축연신 PET 필름/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알루미늄박/실란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은, 종래의 실란트를 사용한 경우는 적층체의 직진 커트성이 크게 악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실란트로서 사용함으로써, 어느 구성에 있어서도 양호한 직진 커트성의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적층방법은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특성에 대해서 기술한다.
(돌자강도)
본 발명의 적층체의 돌자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N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N이다. 10 N 이상이면 포장체에 돌기가 접촉하였을 때에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 돌자강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45 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N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N이다. 45 N 이하면 적층체의 강성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아 핸들링이 용이해진다.
(직진 커트성)
본 발명의 적층체의 직진 커트성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다. 8 ㎜ 이하면 포장체가 파팅되기 어렵다.
(파팅(Parting))
본 발명의 적층체의 파팅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다. 12 ㎜ 이하면 포장체를 인열하였을 때, 내용물이 넘쳐흐르기 어렵다.
(히트 실링강도)
본 발명의 적층체의 레토르트 전 히트 실링강도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8 N/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N/1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N/15 ㎜이다. 20 N/15 ㎜ 이상이면 내파대성이 얻어지기 쉽다. 히트 실링강도는 60 N/15 ㎜면 충분하다.
또한, 1 ㎛당 히트 실링강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 N/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N/15 ㎜·㎛이다. 3.0 N/15 ㎜·㎛ 이하면 내충격성이 높은 수지나 필러 등 첨가제가 필요해지지 않아, 비용도 높아지기 어렵다. 1 ㎛당 히트 실링강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0.9 N/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 N/1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N/15 ㎜·㎛이다. 0.9 N/15 ㎜·㎛ 이상이면 수송 시에 실링이 벗겨지기 어려워 내용물이 누출되기 어렵다.
(포장체)
식료품 등의 내용물을 자연계의 먼지나 가스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내용물의 주위를 싸듯이 배치된 상기 적층체를 포장체라 부른다. 포장체는 상기 적층체를 잘라내고, 가열한 히트 실링 바나 초음파 등으로 내면끼리를 접착하여 봉지 형상으로 하거나 하여 제조되며,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적층체 2장을 실란트 측이 안쪽이 되도록 포개어, 네 변을 히트 실링한 사방 실링 봉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내용물은 식료품이어도 되지만, 일용잡화 등 기타 생산물 등이어도 되며, 포장체의 형상도 스탠딩 파우치나 필로 포장체 등의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예
아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특성은 아래의 방법에 의해 측정, 평가하였다. 평가 시, 필름 제막공정에 있어서의 필름의 흐름방향을 길이방향, 흐름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폭방향으로 하였다.
(1) 수지밀도
JIS K7112:1999년의 D법(밀도 구배관)에 준하여 밀도를 평가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2) 용융흐름속도(MFR)
JIS K-7210-1에 기초하여 230℃, 하중 2.16 ㎏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3) 헤이즈
JIS K7136에 기초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라미네이트 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있어서,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4) 인열강도
필름 및 적층체를 연신방향 150 ㎜, 연신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60 ㎜의 직사각형상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시험편의 한쪽 단변의 중앙부로부터 연신방향을 따라 30 ㎜의 절개를 넣었다. 시험편을 온도 23℃/상대습도 50%의 분위기에서 상태를 조절한 후에 측정을 행하였다.
절개를 넣은 시험편의 좌우의 단변으로부터 10 ㎜의 거리의 범위를 각각 그리퍼로 그립하고, 2개의 그리퍼 사이의 거리를 40 ㎜가 되도록 하여, (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I의 장착, 시험편의 장변과 2개의 그리퍼의 가상 중심선이 평행이 되도록 주의깊게 단단히 조였다.
시험속도를 200 ㎜/min로 하고, 시험기를 시동시켜, 인열이 시험편의 다른 한쪽 단변에 도달할 때까지 인열력을 기록하고, 25 ㎜, 50 ㎜, 75 ㎜, 100 ㎜ 인열된 지점에 있어서의 인열력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권취한 필름의 내면을 앞쪽으로 하여, 우측의 절편을 위쪽 그리퍼 사이에 그립한 경우와, 좌측의 절편을 위쪽 그리퍼 사이에 그립한 경우 양쪽에 대해서 각 N=3으로 측정을 행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우측, 좌측의 측정결과 중, 수치가 큰 쪽을 채용하여, 인열강도로 하였다.
동일하게 적층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을 앞쪽으로 하여, 우측의 절편을 위쪽 그리퍼 사이에 그립한 경우와, 좌측의 절편을 위쪽 그리퍼 사이에 그립한 경우 양쪽을 각 N=3으로 측정을 행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우측, 좌측의 측정결과 중, 수치가 큰 쪽을 채용하여 인열강도로 하였다.
(5) 돌자강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적층체를 식품위생법에 있어서의 「식품, 첨가물 등의 규격기준 제3:기구 및 용기포장」(1982년 후생성 고시 제20호)의 「2. 강도 등 시험법」에 준거하여 23℃하에서 돌자강도를 측정하였다. 선단부 직경 0.7 ㎜의 바늘을 돌자속도 50 ㎜/분으로 필름에 푹 찔러, 바늘이 필름을 관통할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을 필름의 두께로 나눠, 필름 1 ㎛당 돌자강도[N/㎛]를 산출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6) 길이방향의 배향계수, 면배향계수
JIS K0062:1999년의 화학제품의 굴절률 측정법에 준하여 밀도를 평가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길이방향의 배향계수 ΔNx는 식 1에 의해, 면방향으로의 배향계수 ΔP는 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7) 융점
(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시마즈 시차 주사 열량계 DSC-60을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DSC 곡선의 최대 융해 피크의 온도를 융점으로 하였다. 개시온도 30℃, 승온속도 5℃/min, 종료온도 180℃로 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8) 내굴곡 핀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를 길이방향 280 ㎜, 폭방향 260 ㎜로 잘라내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이 안쪽이 되도록 φ89 ㎜, 높이 260 ㎜의 원통형상으로 하고, 셀로판테이프로 고정하였다. 테스터 산교(주) 제조, 항온조 부착 겔보 플렉스 테스터에 샘플을 장착하고, 1℃ 1000회의 굴곡 부하를 걸었다. 샘플을 떼어내어, 핀홀의 수를 측정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9) 열수축률
라미네이트 전 필름을 사방 120 ㎜로 잘라내었다. 길이방향, 폭방향 각각에 100 ㎜의 간격이 되도록, 표선을 기입하였다. 120℃로 보온한 오븐 내에 샘플을 매달아 30분간 열처리를 행하였다. 표선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아래 식에 따라 열수축률을 계산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5
(10) 가속 블로킹강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길이방향 148 ㎜, 폭방향 105 ㎜로 잘라내었다. 실링면끼리를 마주보게 하여 포갰다. 50℃ 환경에서 30분 예열을 한 후, 50℃로 유지한 사방이 7.0 ㎝인 알루미늄판 사이에 끼웠다. (주)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미니테스트 프레스 MP-SCH를 사용하여, 50℃, 100 kN의 조건에서 알루미늄판과 샘플을 프레스하고, 15분간 유지하였다. 취출한 샘플을 폭방향 70 ㎜로 재단하였다. 포갠 샘플을 30 ㎜ 열고, 3 ㎜ 직경의 금속막대를 폭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삽입하였다. (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I에 샘플을 장착하고, 길이방향으로 200 ㎜/min의 조건에서 금속막대를 이동시킬 때의 가중을 측정하였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1) 마르텐스 경도, 압입 크리프율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방 10 ㎜로 잘라내고, 측정면을 위로 하여 접착제를 바른 커버글래스에 올리고 24시간 건조시켰다. (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시마즈 다이나믹 초미소경도계 DUH-211을 사용하여, 마르텐스 경도, 압입 크리프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모드는 부하-제하 시험, 시험력 0.5 mN, 부하속도 6.0 mN/sec,부하 유지시간 2 sec로 하고, 압자는 Triangular 15를 사용하였다. N=10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2) 직진 커트성
직진 커트성이란 적층체를 인열하였을 때,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똑바로 인열되는 성능을 나타낸다. 측정은 아래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연신방향으로의 직진 커트성이 발현되기 때문에, 연신방향으로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적층체를 연신방향 150 ㎜, 연신방향에 대해 수직방향 60 ㎜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고, 단변의 중앙부로부터 측정방향을 따라 30 ㎜의 절개를 넣었다. JIS K7128-1:1998에 준하여 샘플을 인열하였다. 절개 30 ㎜를 포함하지 않고 연신방향으로 120 ㎜ 인열한 시점에서, 연신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그 절대값을 기록하였다. 우측의 절편을 위쪽 그리퍼 사이에 그립한 경우, 좌측의 절편을 위쪽 그리퍼 사이에 그립한 경우 양쪽을 각 N=3으로 측정을 행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우측, 좌측의 측정결과 중, 수치가 큰 쪽을 채용하였다.
(13) 파팅
적층체의 히트 실링 필름끼리를 마주보게 해서 히트 실링하여, 안치수 연신방향 120 ㎜, 연신방향에 수직방향 170 ㎜의 사방 실링 봉지를 제작하였다. 사방 실링 봉지의 말단에 노치를 만들어, 연신방향으로 손으로 인열하였다. 반대의 말단까지 커트를 진행시켜, 봉지의 겉쪽과 안쪽 필름의 인열선의 갭을 측정하였다. 오른손 쪽이 앞쪽이 되는 방향, 왼손 쪽이 앞쪽이 되는 방향 양쪽에 대해서 각 N=3으로 측정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큰 쪽의 측정값을 채용하였다.
(14) 제대 마무리
적층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끼리를 포개어, 0.2 ㎫의 압력으로 1초간, 실링 바의 폭 10 ㎜, 히트 실링강도 220℃에서 히트 실링하여, 안치수 길이방향 120 ㎜, 폭방향 170 ㎜의 사방 실링 봉지를 제작하였다. 이 사방 실링 봉지의 마무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히트 실링부 부근의 변형이 없고, 봉지가 완전히 직사각형이다
△:히트 실링부 부근의 변형이 적다
×:히트 실링부 부근의 변형이 크고, 봉지의 모서리가 물결치고 있다
(15) 히트 실링강도
히트 실링 조건 및 강도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측끼리를 포개어, 0.2 ㎫의 압력에서 1초간, 실링 바의 폭 10 ㎜, 히트 실링온도 220℃에서 히트 실링한 후, 방랭하였다. 각 온도에서 히트 실링된 필름으로부터 각각 길이방향 80 ㎜, 폭방향 15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각 시험편에 대해서 크로스 헤드 스피드 200 ㎜/분으로 히트 실링부를 박리하였을 때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기는 인스트론 인스트루먼츠 제조 만능재료 시험기 5965를 사용하였다. 각 N=3회로 측정을 행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16) 배향각
기재 필름의 배향각(°)은 오지 계측기기(주) 제조 분자 배향계 MOA-6004로 측정하였다. 길이방향 120 ㎜, 폭방향 100 ㎜로 샘플을 잘라내어, 계측기에 설치하고, 측정된 Angle의 값을 배향각으로 하였다. 또한, 길이방향이 0°이다. N=3으로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 대해서, 후기하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각 층의 수지 조성과 그 비율에 기초하여 원료를 조정하였다.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층의 조정물을 100 중량부로 하여 유기 윤활제로서, 베헨산아미드를 함유량이 각각 히트 실링층에 260 ppm, 중간층에 260 ppm, 무기 안티블로킹제로서 평균 입경 4 ㎛의 실리카를 함유량이 히트 실링층에 2000 ppm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들 원료를 균일해지도록 혼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 원료를 얻었다.
(사용 원료)
원료 A 스미토모 화학 제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FL8115A(MFR 7.0 g/10 min, 융점 148℃)
원료 B 프라임 폴리머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F-724NPC(MFR 7.0 g/10 min, 융점 149℃)
원료 C 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융점 120℃, 에틸렌 함유량 4.0 중량부)
원료 D 스미토모 화학 제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WFS5293-22(수지밀도 891 ㎏/㎥, 230℃, MFR 3.0 g/10 min)
원료 E 스미토모 화학 제조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FLX80E4(MFR 7.5 g/min, 융점 164℃)
원료 F 치바 파인케미컬 제조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선아택
원료 G 미츠이 화학 제조 에틸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 타프머 A-4085S(190℃, 2.16 ㎏에 있어서의 MFR 1.4 g/10 min)
원료 H 미츠이 화학 제조 프로필렌-부텐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 타프머 XM-7070S(190℃, 2.16 ㎏에 있어서의 MFR 3.0 g/10 min)
원료 I 프라임 폴리머 제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볼루 SP1520(MFR 2.0 g/10 min, 밀도 0.913 g/㎤)
원료 J 스미토모 화학 제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FL8115A(MFR 6.0 g/10 min, 융점 130℃)
(용융 압출)
중간층에 사용하는 혼합 원료를 스크류 직경 90 ㎜의 3 스테이지형 단축 압출기로, 라미네이트층용 및 히트 실링층용 혼합 원료를 각각 직경 45 ㎜ 및 직경 65 ㎜의 3 스테이지형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층/중간층/히트 실링층의 순이 되도록 도입하여, 폭 800 ㎜로 프리랜드를 2 단계로 하고, 또한 용융 수지의 흐름이 균일해지도록 단차 부분의 형상을 곡선 형상으로 해서 다이 내의 흐름이 균일해지도록 설계한 T 슬롯형 다이에 도입하여, 다이의 출구온도 230℃에서 압출하였다. 라미네이트층/중간층/히트 실링층의 두께 비율은 각각 25%/50%/25%로 하였다.
(냉각)
다이로부터 나온 용융 수지 시트를 21℃의 냉각 롤로 냉각하여, 두께가 70 ㎛로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냉각 롤에 의한 냉각 시에는, 에어 노즐로 냉각 롤 상의 필름의 양단을 고정하여, 에어 나이프로 용융 수지 시트의 전폭을 냉각 롤에 프레스하고, 동시에 진공 챔버를 작용시켜서 용융 수지 시트와 냉각 롤 사이로의 공기의 말려듦을 방지하였다. 에어 노즐은 양단 모두 필름 진행방향으로 직렬로 설치하였다. 다이 주위는 시트로 둘러싸서, 용융 수지 시트에 바람이 닿지 않도록 하였다.
(예열)
미연신 시트를 가온한 롤군에 도입하여, 시트와 롤을 접촉시킴으로써 시트를 예열하였다. 예열 롤의 온도는 80℃로 하였다. 복수의 롤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면을 예열하였다.
(종연신)
상기 미연신 시트를 종연신기에 도입하여, 롤 속도차에 의해 3.5배로 연신하여 두께를 20 ㎛로 하였다. 연신 롤의 온도는 80℃로 하였다.
(어닐링 처리)
어닐링 롤을 사용하여 5%의 완화율을 부여하면서 100℃에서 열처리를 행하였다. 복수의 롤을 사용하여 필름의 양면을 열처리하였다.
(코로나 처리)
필름의 편면(라미네이트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권취)
제막속도는 20 m/분으로 실시하였다. 제막한 필름은 모서리 부분을 트리밍하고, 롤 상태로 하여 권취하였다. 필름의 한쪽 면(라미네이트면)의 습윤장력은 42 mN/m였다.
(적층체의 제작)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기재 필름으로서 도요보 제조의 이축연신 나일론 필름(N1102, 두께 15 ㎛, 배향축 길이방향에 대해 22°)을, 주제(도요 모톤사 제조, TM569) 33.6 질량부와 경화제(도요 모톤사 제조, CAT10L) 4.0 질량부 및 초산에틸 62.4 질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에스테르계 접착제를 그 도포량이 3.0 g/㎡가 되도록 기재 필름에 도포하고,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 이것을 권취한 것을 40℃로 유지하고, 3일간 에이징을 행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80 ㎛로 하고, 종연신배율을 4.0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2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표 1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90 ㎛로 하고, 종연신배율을 4.5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2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안티블로킹제는 첨가하지 않고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270 ㎛로 하고, 예열 롤의 온도를 105℃로 하며, 연신 롤 온도를 105℃로 하고, 종연신배율을 4.5배로 하며, 어닐링 처리 온도를 120℃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6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고,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9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안티블로킹제는 첨가하지 않고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두께를 100 ㎛로 하고, 예열 롤 온도를 102℃로 하며, 연신 롤 온도를 102℃로 하고, 어닐링 처리 온도를 135℃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25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2에 있어서, 히트 실링층의 안티블로킹제를 3000 ppm으로 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320 ㎛로 하고, 종연신은 행하지 않고 텐터 방식에 의해 예열온도 135℃, 연신온도 165℃에 있어서 8.0배로 횡연신하고, 텐터 내에 있어서 155℃의 열풍으로 어닐링 처리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4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히트 실링층의 안티블로킹제를 2400 ppm으로 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층/중간층/히트 실링층의 두께 비율을 2/5/29로 하고,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180 ㎛로 하며, 종연신배율을 5.0배로 하고,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36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6)
비교예 1에 있어서, 히트 실링층의 안티블로킹제를 2400 ppm으로 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층/중간층/히트 실링층의 두께 비율을 17/33/10으로 하고,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258 ㎛로 하며, 연신배율을 4.3배로 하고,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6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7)
실시예 2에 있어서, 히트 실링층의 안티블로킹제를 3000 ppm으로 하고 표 2에 나타내는 원료를 사용하여, 미연신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두께를 100 ㎛로 하고, 종연신배율을 5.0배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2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8)
실시예 2에 있어서, 어닐링 롤 온도를 130℃로 한 이외는 동일한 방법에 있어서 20 ㎛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제막을 행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블록 공중합체를 주체로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투명성(헤이즈)이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2, 비교예 5, 비교예 6에서는 어닐링 처리를 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열수축률이 높아 제대 마무리가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3에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융점이 높고 저온 실링성이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4에서는 연신방향이 횡연신이기 때문에, 면배향계수가 작고 돌자강도가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7에서는 융점이 낮은 부텐-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직진 커트성, 파팅이 열등한 것이었다.
비교예 8에서는 어닐링 온도를 높게 하였기 때문에, 히트 실링 강도가 열등한 것이었다.
상기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표 1 및 표 2에서 평가결과를 「측정 불가*」로 기재한 것은, 특성평가 중에 필름이 연신방향으로 찢어져 버려, 측정값이 얻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투명성, 실링성, 제대성, 내파대성이 우수하고, 또한 파팅 없이, 용이하게 인열되는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어, 산업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적어도 포함하고, 아래 1)∼5)를 만족시키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1)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율이 0∼2 중량부이다.
    2)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올레핀계 공중합 엘라스토머 수지의 함유율이 0∼2 중량부이다.
    3)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유율이 0∼40 중량부이다.
    4)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25%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5)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굴절률로부터 계산되는 면배향계수 ΔP가 0.0100 이상 0.0145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80 N/㎟ 이상이고, 압입 크리프율(Cit)이 3.0%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헤이즈가 1% 이상 20%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가 0.8 N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돌자강도가 0.12 N/㎛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위치하는 층의 안티블로킹제 농도가 3000 ppm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과,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이축배향 필름의 적층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의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직진 커트성이 8 ㎜ 이하이고,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열수축률이 큰 방향의 인열강도가 0.8 N 이하인, 적층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포장체.
KR1020227001425A 2019-06-20 2020-05-26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KR20220024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4735 2019-06-20
JPJP-P-2019-114735 2019-06-20
PCT/JP2020/020688 WO2020255642A1 (ja) 2019-06-20 2020-05-26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587A true KR20220024587A (ko) 2022-03-03

Family

ID=7403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425A KR20220024587A (ko) 2019-06-20 2020-05-26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66572B2 (ko)
EP (1) EP3988280A4 (ko)
JP (2) JP7484908B2 (ko)
KR (1) KR20220024587A (ko)
CN (1) CN113993685B (ko)
TW (1) TWI828911B (ko)
WO (1) WO202025564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35B2 (ko) 1973-10-25 1979-05-18
JP2002003619A (ja) 2000-06-26 2002-01-09 Toyo Seiki Jushi Kako Kk ポリオレフイン一軸延伸フィルム
JP2014141302A (ja) 2012-12-28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食品用の包装材料
JP5790497B2 (ja) 2009-03-13 2015-10-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多層積層易開封包装体
JP2016032911A (ja) 2014-07-31 2016-03-10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引裂方向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JP2018079583A (ja) 2016-11-14 2018-05-24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40728A (fr) * 1966-10-13 1968-09-27 Kalle Ag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ilms de polyester emboutissables et stérilisables
JP3566114B2 (ja) 1998-12-22 2004-09-1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レトルト食品包装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72063A (ja) * 1999-03-23 2000-10-03 Asahi Chem Ind Co Ltd 多層延伸フィルム
JP2002144503A (ja) * 2000-11-13 2002-05-21 Toray Ind Inc 成形加工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US7384690B2 (en) * 2002-01-10 2008-06-10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thermoplastic resin film
US20040072002A1 (en) * 2002-08-09 2004-04-15 Tohru Hashioka Heat-shrinkable polyolefin film
US20120251749A1 (en) 2008-08-15 2012-10-04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CA2733574C (en) 2008-08-15 2017-04-11 Toray Plastics (America),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JP5367427B2 (ja) * 2009-03-24 2013-12-11 宇部フィルム株式会社 熱収縮性1次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117884A1 (ja) * 2011-03-01 2012-09-07 東洋紡績株式会社 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
WO2013070187A1 (en) 2011-11-07 2013-05-16 Toray Plastics (America) , Inc Heat sealable monoaxially oriented propylene-based film with directional tear
CN102529274B (zh) * 2011-12-30 2014-05-28 广东德冠薄膜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聚烯烃热收缩薄膜及其制备方法
FR2993794B1 (fr) 2012-07-25 2014-08-08 Axens Reacteur de regeneration en continu de catalyseur avec caisson de melange de gaz et de distribution de gaz dans la zone d'oxychloration
JP6030947B2 (ja) * 2012-12-26 2016-11-24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無延伸多層フィルム
EP3130628B1 (en) * 2014-04-11 2020-11-25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KR20180128027A (ko) * 2016-03-28 2018-11-3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US20170282507A1 (en) * 2016-03-31 2017-10-05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olefin film with high moisture vapor barrier and stiffness properties
WO2019065306A1 (ja) * 2017-09-26 2019-04-04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WO2019244708A1 (ja) 2018-06-19 2019-12-26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935B2 (ko) 1973-10-25 1979-05-18
JP2002003619A (ja) 2000-06-26 2002-01-09 Toyo Seiki Jushi Kako Kk ポリオレフイン一軸延伸フィルム
JP5790497B2 (ja) 2009-03-13 2015-10-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多層積層易開封包装体
JP2014141302A (ja) 2012-12-28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トルト食品用の包装材料
JP2016032911A (ja) 2014-07-31 2016-03-10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引裂方向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
JP2018079583A (ja) 2016-11-14 2018-05-24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6728A (zh) 2021-02-16
CN113993685B (zh) 2024-03-08
CN113993685A (zh) 2022-01-28
US11866572B2 (en) 2024-01-09
JP7484908B2 (ja) 2024-05-16
TWI828911B (zh) 2024-01-11
WO2020255642A1 (ja) 2020-12-24
JP2024028700A (ja) 2024-03-05
JPWO2020255642A1 (ko) 2020-12-24
US20220356335A1 (en) 2022-11-10
EP3988280A4 (en) 2023-10-25
EP3988280A1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9837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CN115362199B (zh) 聚烯烃系树脂薄膜
US20230415465A1 (en) Polyolefin resin film and multilayer body using same
KR20220024585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CN115362198B (zh) 聚烯烃系树脂薄膜和使用其的层叠体
US20230415464A1 (en) Polyolefin resin film and multilayer body using same
KR20220024587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WO2022153782A1 (ja)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20230132491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및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