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526A - 풀림 방지 직물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526A
KR20240004526A KR1020237039390A KR20237039390A KR20240004526A KR 20240004526 A KR20240004526 A KR 20240004526A KR 1020237039390 A KR1020237039390 A KR 1020237039390A KR 20237039390 A KR20237039390 A KR 20237039390A KR 20240004526 A KR20240004526 A KR 2024000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fibers
core
f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센다
히데토시 나가마츠
Original Assignee
후루이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이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이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52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characterised by weave density or surface weigh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9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textured; curled; crimp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8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dhesive; fusi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과제] 직물을 형성하는 실이 특정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균일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재단 개소를 처리하지 않고 절단한 채로의 의복의 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풀림 방지 직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풀림 방지 직물(10)은 평직물이며, 경사(11) 및 위사(12)가 융착성 신축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이루어지고, 융착성 신축 섬유의 섬도 Fm과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 Fn의 비율(Fm/Fn)이 0.6 이상이기 때문에, 융착성 섬유의 비율이 일정 이상으로 유지되고, 풀림 방지 직물(10)이 가열 처리되면, 경사(11)와 위사(12)가 서로의 교점에서 충분히 융착되어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밀착된다. 이 결과, 풀림 방지 직물(10)이 어느 부분에서 재단되어도, 그 에지부에서는 경사(11)와 위사(12)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재단 후에 세탁 등이 실시되어도 에지부에 풀림이 생기지 않는다.

Description

풀림 방지 직물
본 발명은 재단과 봉제의 공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의복의 천 등에 사용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단 공정에서 절단되어 형성되는 에지부(재단 단부 에지)에 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 방지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의복의 제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천의 재단과 봉제가 행해진다. 천의 재단에서 형성되는 에지부는, 풀림이 생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종래의 직편물로 이루어지는 천에 있어서는, 에지부에 봉제 등을 실시함으로써 풀림 방지 처리가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지 처리는 의복의 제조 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재단한 그대로 절단한 채로의 상태에서도 에지부에 풀림이 생기기 어려운 천 재료가 요구되어 왔다.
의복의 천에 사용되는 직편물 중, 편물에 대해서는, 편조 방법을 연구하는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절단한 채로의 상태에서도 에지부에 풀림이 생기기 어려운 편지(編地)의 천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편지를 구성하는 섬유에 비탄성 섬유와 탄성 섬유를 사용하여, 이들 2종류의 섬유의 섬도나 편지 편성 시의 급사 속도 등을 최적화함으로써, 재단 개소를 처리하지 않고 절단한 채로 사용되는 섬유 제품에 이 편지를 사용한 경우에, 착용과 세탁을 반복해도 에지부의 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편지에 대하여, 직물에 있어서도, 재단 개소를 처리하지 않고 의복의 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재단 단부 에지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지위사와 지경사로 이루어지는 기포(基布)에, 해당 기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절단된 후에는 절단편의 식서가 되는 절단 영역을 적어도 1열 형성한 식서 풀림 방지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폴리우레탄 섬유와 그 이외의 합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물이며, 풀림 방지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섬유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폴리우레탄 섬유 등의 열융착 탄성 섬유를 사용하여 열처리함으로써, 눈 어긋남, 풀림, 난, 컬 등이 생기기 어렵고, 절단한 채로도 제품으로서 사용 가능한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세폭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실질적으로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범위 내의 신장 배율로 신장된 심사와, 해당 심사에 정렬된 첨사와, 이들의 주위에 소정의 범위 내의 꼬임수로 권회된 초사로 복합사를 구성함으로써, 제직성 및 편성성이 향상된 열융착성 복합사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이 열융착성 복합사를 제직하여 복합사를 열융착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나 내 풀림성이 우수한 직물이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2105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98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21-03849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901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20592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식서 풀림 방지 직물은, 기포의 일부에 마련된 절단 영역에서 절단한 경우에는 에지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개소에서 재단한 경우에는, 풀림 방지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이 절단 영역은, 기포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융점을 갖는 익사, 지경사, 지위사가 이 순으로 교차하도록 경사 방향으로 삽입된 레노직 조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든다. 또한, 이러한 레노직 조직은 딱딱하여 질감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의복의 천 그 자체로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섬유 제품은, 폴리우레탄 섬유와 그 이외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직물에 대하여, 접착 봉제, 초음파 용단, 절단 에지부의 파이핑 처리, 눈막이 테이프를 사용한 포매 처리 등의 풀림 방지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종래부터 어떤 직물에 공지된 풀림 처리를 행한 것에 지나지 않고, 직물 자체는 아무런 풀림 방지 특성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세폭 테이프는, 의복 등을 구성하는 부재로서는, 탄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부재가 될 수 있지만, 의복 전체를 구성하는 천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열융착성 복합사에서는, 폴리우레탄 섬유의 심사를 소정 범위의 신장 배율로 신장하여, 제직 시의 복합사의 신축을 억제함으로써, 취급성 및 제직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5에 나타내어지는 열융착성 복합사는 제직성 및 치수 안정성의 개량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제직되는 직물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검토하고 있지 않다. 즉, 풀림 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적합한 직물의 조직이나, 심사와 초사의 섬도 및 그것들의 비율 등에 대해서는 충분한 지견이 얻어져 있지 않다. 이 결과, 직물의 전체면에 걸쳐 재단 단부 에지의 풀림 방지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이들 종래 기술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해소하여, 직물 천 전체가 재단 단부 에지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재단 개소를 처리하지 않고 의복의 천에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가 용이하고 저비용화가 가능한 직물의 실현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직물의 조성과 그것을 형성하는 실에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실을 사용함으로써, 직물 전체가 균일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재단 개소를 처리하지 않고 절단한 채로의 의복의 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풀림 방지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발명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절단 에지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직물이며,
직조 조직이 평직이며,
상기 직물의 경사 및 위사가 융착성 신축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융착성 신축 섬유의 섬도(Fm)와 상기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Fn)의 비율을 나타내는 CS값(Fm/Fn)이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밀도가 103 이상이고 위밀도가 9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융착성 신축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로 형성된 복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사의 경사 및 위사가 모두 에어 혼섬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사가 심초형 복합사이며, 해당 심초형 복합사의 심사가 상기 융착성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고, 해당 심초형 복합사의 초사가 상기 비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초형 복합사에서의 상기 심사에 대한 상기 초사의 꼬임수가 350T/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직조 조직이 평직이며, 직조 조직을 형성하는 경사 및 위사로서, 융착성 신축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특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복합사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직물 전체가 균일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재단 개소를 처리하지 않고 절단한 채로의 의복의 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풀림 방지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단순히 「본 실시 형태」라고 약칭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재단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 에지부(재단 단부 에지)에서의 풀림이 방지되는 직물이다. 즉, 재단 후의 절단 에지부에 봉제 등의 처리를 하지 않은 절단한 채로의 상태에서도, 천 등에 사용하여 세탁을 여러 번 반복해도, 절단 에지부에 풀림이 생기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10)은, 경사(11)와 위사(12)가 평직으로 제직된, 가장 기본적이고 균일한 조직을 갖는 평직물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단순히 평직물에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실을 사용해도, 절단 에지부의 풀림이 생기지 않는 직물은 얻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보다 복잡한 직조 조직인 트윌 직, 새틴 직, 이중직, 파일 직 등을 사용하여 풀림 방지 특성을 부여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경사(11) 및 위사(12)의 소재와 구성을 한정함으로써, 절단 에지부에 풀림이 생기지 않는 평직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10)은, 경사(11) 및 위사(12)가 융착성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이루어짐과 함께, 융착성 섬유의 섬도 Fm과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 Fn의 비율(Fm/Fn)을 「CS값」이라 한 경우, CS값이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CS값(Fm/Fn)을 0.6 이상으로 함으로써, 경사(11) 및 위사(12)를 구성하는 복합사에 함유되는 융착성 섬유의 비율이 일정 이상으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풀림 방지 직물(10)에 히트 세트 등의 가열 처리가 이루어지면, 융착성 섬유에 의한 충분한 융착이 일어나, 복합사끼리 확실하게 융착된다. 그리고, 풀림 방지 직물(10)의 전체면에 걸쳐 균일하게, 경사(11)와 위사(12)가 서로의 교점에서 밀착된다. 이 결과, 풀림 방지 직물(10)이 어느 부분에서 재단되어도, 그 에지부에서는 경사(11)와 위사(12)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재단 후에 세탁 등의 공정이 실시되어도 풀림이 생기지 않는다는 특성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풀림 방지 직물(10)에서는, 도 1에 도시되는 평직물의 단순한 구성이 활용되어, 복잡한 직조 조직에서는 곤란했던 전체면에 균일한 풀림 방지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융착성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는, 이들 2종류의 섬유가 병렬 상태로 합섬된 실, 한쪽 섬유의 주위가 다른 쪽 섬유로 덮인 심초형의 실, 한쪽 섬유에 다른 쪽 섬유가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에어 교락사, 2종류의 섬유가 서로 꼬인 합연사 등, 어떤 구조의 복합사여도 된다. 또한, 심초형의 복합사로서는, 심사에 초사를 감아 이루어지는 커버링사, 2종류의 섬유의 재료 폴리머가 동심원상으로 압출되어 방사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는, 심초형의 실, 또는 에어 교락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에 포함되는 융착성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에는 다양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융착성 섬유에는,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 특히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 저융점 나일론 섬유, 신축성 섬유인 폴리우레탄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융착성 섬유로서는, 폴리우레탄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섬유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시판품으로서는, 닛신보 텍스타일(주)제의 모빌론(등록상표)이나, 아사히 가세이(주)제의 로이카(등록상표) 등이 있다.
한편, 비융착성 섬유는 융착성 섬유와 달리, 합성 섬유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융착성 섬유로서는, 우선 화학 섬유인 재생 섬유, 반합성 섬유, 합성 섬유, 무기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재생 섬유에는 레이온, 큐프라 인견사, 라이오셀, 폴리노직 등이 있고, 반재생 섬유에는 아세테이트, 프로믹스 등이 있다. 합성 섬유에는,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비롯한 다종류의 섬유가 있다. 무기 섬유로서는, 유리 섬유, 불소 섬유, 탄소 섬유, 스테인리스 섬유 등의 금속 섬유가 있다.
또한, 화학 섬유 이외에도, 식물 섬유, 동물 섬유, 광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섬유로서는 목면, 마, 아마, 케나프 등이 있고, 동물 섬유로서는 양모, 캐시미어, 우모, 명주 등이 있다. 이들 섬유 중,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를 구성하는 비융착성 섬유로서는, 내구성, 범용성, 비용의 관점에서,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비융착성 섬유에 사용되는 합성 섬유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락트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6, 나일론6,6, 바이오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섬유 중, 범용성 및 내구성 등의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6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특히, 강도, 내구성, 가공성, 비용의 관점에서,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횡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원형 단면을 갖는 통상의 합성 섬유여도 되고, 원형 단면 이외의 이형 단면을 갖는 합성 섬유여도 된다. 이형 단면 섬유의 횡단면 형상으로서는, 사각형, 다각형, 삼각형, 중공형, 편평형, 다잎형, 도그본형, T자형, V자형 등이 있다.
또한,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PET 보틀이나 필름의 단재 등을 재이용하여 형성한 리사이클 섬유나, 바이오 나일론이나 바이오 폴리에스테르를 비롯한 식물 유래의 원료로 이루어지는 섬유나, 염색에 의한 폐수를 내지 않기 위해 실의 단계에서 안료 등을 반죽하여 넣어 색을 입힌 원착 섬유 등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 섬유 이외에도, 식물 섬유인 목면, 무기 섬유인 유리 섬유도, 비융착성 섬유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에 포함되는 융착성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는, 장섬유 즉 필라멘트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라멘트사는 모노 필라멘트사여도 되고 멀티 필라멘트사여도 되지만, 직물의 유연성 등의 관점에서는, 멀티 필라멘트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성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멀티 필라멘트사의 경우에는 멀티 필라멘트사의 굵기)는 융착성 섬유에 대해서는 22dtex 이상, 비융착성 섬유에 대해서는 13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가 에어 교락사인 경우에는, 융착성 섬유의 섬도는 78dtex를 초과하여 110dtex 이상이어도 되고,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는 78dtex를 초과하여 167dtex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융착성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를 크게 해도 풀려 방지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섬도가 큰 융착성 섬유나 비융착성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합사의 경사 및 위사는, 모두 에어 교락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가 심초형 복합사이며, 심초형 복합사의 심사가 융착성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고, 심초형 복합사의 초사가 비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복합사가 융착성 섬유를 심사, 비융착성 섬유를 초사로 하는 심초형인 경우에는, 융착성 섬유의 섬도는 22dtex 이상이고 78dtex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는, 13dtex 이상이고 84dtex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심사 및 초사의 섬도가 작은 경우, 심사의 섬도가 초사의 섬도에 비하여 너무 크면, 심사가 갖는 신축성이 복합사 전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심사 및 초사의 섬도가 작으면 복합사 전체도 가늘어지기 때문에, 평직물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축성이 너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평직물의 강도를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신축성 섬유인 심사의 섬도 Fm을, 초사의 섬도 Fn에 비하여 너무 크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CS값(Fm/Fn)의 하한을 0.6으로 할 뿐만 아니라, CS값의 상한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초형 복합사에 있어서 심사에 초사를 커버링하여 조합할 때의 심사의 드래프트율(초사를 감을 때의 심사의 신율)은, 풀림 방지 직물의 용도에 따라 임의의 드래프트율을 적절히 채용하면 되고, 일반적으로는 드래프트율은 2.0에서 4.0 사이에 있다. 심사에 초사를 감을 때의 꼬임수에 대해서도, 용도에 따라 임의의 꼬임 횟수를 사용하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복합사에 있어서는, 꼬임수가 350T/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평직물이며, 단층 구조이므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직밀도는, 경밀도(경방향을 따른 단위 길이당 위사의 수) 및 위밀도(위방향을 따른 단위 길이당 경사의 수)가 일정 값 이상인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경방향의 10mm당 위사의 수인 경밀도가 103 이상이고, 위방향의 10mm당 위사의 수인 위밀도가 9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에 있어서는, 경사와 위사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융착성 신축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로 형성된 복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평직물의 단순한 구성이 활용되어, 풀림 방지 직물의 경방향과 위방향의 구조가 동일하게 되어, 경사와 위사의 모든 교점에서 동일한 밀착성이 얻어진다. 이 결과, 풀림 방지 직물이 전체면에 걸쳐, 보다 균일한 강도를 갖게 되어, 어느 개소에서 재단되어도 에지부의 밀착성이 높고, 풀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직물이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실시예 1부터 8까지 8종류 제작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세탁 시험을 행하여, 풀림 방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이들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로서 2종류의 직물을 제작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각 수치는,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하였다.
[1] 융착성 신축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 비율: CS값(Fm/Fn)
실시예 1 내지 8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 및 비교예 1과 2의 직물의 제직에 사용한 복합사에서의, 융착성 신축 섬유의 섬도 Fm의 값과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 Fn의 값을 사용하여, 다음의 식에 의해 CS값을 산출하였다.
CS값=Fm÷Fn
[2] 경밀도
제직한 직물에 대하여, 직물의 경방향을 따라 10mm당 위사의 수를 카운트하였다. 직물의 상이한 복수 개소에서 위사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평균값을 경밀도로 하였다.
[3] 위밀도
제직한 직물에 대하여, 직물의 위방향을 따라 10mm당 경사의 수를 카운트하였다. 직물의 상이한 복수 개소에서 경사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평균값을 위밀도로 하였다.
[4] 꼬임수(T/M)
실시예 중 복합사로서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7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 및 비교예 1과 2의 직물에 대하여, 심사에 초사를 커버링할 때 심사 1m당 초사의 감기수를, 꼬임수로서 표시하였다.
[5] 세탁 시험(절단 에지부의 세탁에 대한 풀림 방지 특성의 측정)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세탁 시험은, JIS L 1930에 규정되는 「섬유 제품의 가정 세탁 시험 방법」에 규정되는 C형 기준 세탁기의 4N법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JIS L 1930은, ISO 6330(2012)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JIS L 1930에 따라 세탁을 행하고, 세탁기를 세정하였다. 세탁기는 JIS L 1930에 규정되는 C형 기준 세탁기를 사용하였다. 세탁기의 세정은, 공시체, 세제를 넣지 않고, 헹굼과 탈수 공정을 각각 1회 이상 행하였다. 세탁 조건은, 공시체를 평가하는 경우의 세탁 조건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그 후, 공시체와 세제를 넣어, JIS L 1930 C4N법에 준거하여 세탁을 행하였다.
[6]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세탁 종료 후에 각 공시체를 꺼내어, 공시체의 에지부를 눈으로 보아 관찰하였다. 그리고, 공시체의 에지부에 생긴 풀림의 정도에 따라, 풀림이 없는 「1」부터 풀림이 큰 「10」까지의 10단계로 평가하고, 「7」 이하를 합격으로서 평가하였다. 즉,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합격) 매우 우수한 풀림 방지 특성을 갖고 있음
[×] (불합격) 종래의 직물과 마찬가지로 풀림이 생기고 있음
[실시예 1]
실시예 1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제직하기 위해, 심사에 융착성 신축 섬유로서 폴리우레탄사(닛신보 텍스타일(주)제의 모빌론(등록상표))을 사용하고, 초사에 비융착성 섬유로서 나일론사를 사용하여, 커버링 가공에 의해 심초형 복합사를 제작하였다. 심사의 섬도(Fm)는 22데시텍스, 초사의 섬도(Fn)는 13dtex이며, CS값(Fm/Fn)은 1.692가 된다. 또한, 꼬임수는 1200T/M으로 하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평직물의 경밀도는 204이고, 위밀도는 178이었다. 이 평직물을, 세트 온도 180℃, 60초간의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온도 120℃에서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1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42%였다. 실시예 1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제직하였다. 실시예 1과 다른 것은, 얻어진 평직물의 직밀도이며, 경밀도가 220이고, 위밀도가 219였다. 이 평직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2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42%였다. 실시예 2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사, 즉 심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고, 초사에 나일론사를 사용한 커버링사로 제직하였다. 단, 심사의 섬도는 22데시텍스로 동일하지만, 초사의 섬도는 33dtex로 하고 있어, CS값은 0.667이 된다. 또한, 꼬임수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달리, 800T/M으로 하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평직물의 경밀도는 186이고, 위밀도는 126이었다. 이 평직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3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3%였다. 실시예 3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실시예 3과 동일한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제직하였다. 실시예 3과 다른 것은, 얻어진 평직물의 직밀도이며, 경밀도가 214이고, 위밀도가 147이었다. 이 평직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4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3%였다. 실시예 4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에 있어서는, 심초형 복합사를 구성하는 초사에, 실시예 1 내지 4와는 다른 소재를 사용하였다. 즉, 심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고, 초사에는 분섬 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커버링사을 제작하고, 이 심초형 복합사로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또한, 심사의 섬도를 44데시텍스로 하고, 초사의 섬도는 33dtex로 하고 있어, CS값은 1.333이 된다. 또한, 꼬임수에 대해서도 실시예 1 내지 4와 달리, 700T/M으로 하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평직물의 경밀도는 103이고, 위밀도는 94였다. 이 평직물을,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5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3%였다. 실시예 5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에 있어서도, 심초형 복합사를 구성하는 초사에, 실시예 1 내지 4와는 다른 소재를 사용하였다. 즉, 심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고, 초사에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할섬사를 사용하여 커버링사을 제작하고, 이 심초형 복합사로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또한, 심사의 섬도를 44데시텍스로 하고, 초사의 섬도는 56dtex로 하고 있어, CS값은 0.786이 된다. 또한, 꼬임수에 대해서도, 실시예 1 내지 5와 달리, 500T/M으로 하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평직물의 경밀도는 185이고, 위밀도는 151이었다. 이 평직물을, 세트 온도만을 190℃로 변화시켜, 60초간의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온도 120℃에서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6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0%였다. 실시예 6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실시예 1 내지 4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사, 즉 심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고, 초사에 나일론사를 사용한 커버링사로 제직하였다. 단, 심사의 섬도를 78데시텍스로 하고, 초사의 섬도도 78dtex로 하고 있어, CS값은 1.0이 된다. 또한, 꼬임수는, 500T/M으로 하였다.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5%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평직물의 경밀도는 121이고, 위밀도는 103이었다. 이 평직물을,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7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실시예 7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7의 심초형 복합사와 달리, 에어 교락에 의한 복합사를 사용하였다. 즉, 융착성 신축 섬유인 폴리우레탄사에, 비융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사를 고속 기류로 분사하여 에어 교락사를 제작하고, 이 에어 교락사를 사용하여 풀림 방지 직물을 제직하였다. 폴리우레탄사의 섬도는 110데시텍스, 폴리에스테르사의 섬도는 167dtex로, CS값은 0.733이 된다.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0%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평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평직물의 경밀도는 142이고, 위밀도는 102였다. 이 평직물을, 실시예 1 내지 5 및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실시예 8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을 얻었다. 실시예 8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과 비교하기 위해, 비교예 1 및 2의 평직물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의 직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사, 즉 심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고, 초사에 나일론사를 사용한 커버링사로 제직하였다. 단, 심사의 섬도는 22데시텍스로 동일하지만, 초사의 섬도는 56dtex로 하였다. 따라서, CS값은 0.393이 된다. 또한, 꼬임수는 700T/M으로 하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트윌 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트윌 직물의 경밀도는 177이고, 위밀도는 104였다. 이 트윌 직물을, 실시예 1 내지 5 및 실시예 7, 8과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비교예 1의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20%였다. 비교예 1의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2의 직물을, 비교예 1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사, 즉 심사에 폴리우레탄사를 사용하고, 초사에 나일론사를 사용한 커버링사로 제직하였다. 단, 심사의 섬도는 44데시텍스로 하고, 초사의 섬도는 78dtex로 하였다. 따라서, CS값은 0.564가 된다. 또한, 꼬임수는 700T/M으로 하였다.
경사 및 위사 모두 이 심초형 복합사를 사용하여, 트윌 직물을 제직하였다. 얻어진 트윌 직물의 경밀도는 138이고, 위밀도는 86이었다. 이 트윌 직물을, 실시예 1 내지 5 및 실시예 7, 8과 동일한 조건에서 열 세트하고, 염색 가공하여, 비교예 2의 직물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직물의 PU 혼율은 13%였다. 비교예 2의 직물의 각 물성값과 풀림 방지 특성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풀림 방지 특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직물의 직조 조직을 평직으로 하여, 평직물을 구성하는 복합사의 융착성 신축 섬유의 섬도 Fm과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 Fn의 비율을 나타내는 CS값(Fm/Fn)을 0.6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어지는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복합사인 경사와 위사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융착성 신축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풀림 방지 특성이 보다 균일하고 또한 확실하게 얻어지고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복합사가 심초형인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해서는, 심사의 섬도가 22dtex 이상, 78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초사의 섬도가 13dtex 이상, 78dtex 이하(84dtex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시예 1 내지 7과 같이, 심사의 섬도 Fm 및 초사의 섬도 Fn이 작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직물의 강도를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신축성을 갖는 섬유인 심사의 섬도 Fm을, 초사의 섬도 Fn에 비하여 너무 크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심사 및 초사의 섬도가 작은 경우에는, CS값(Fm/Fn)에 대하여 하한을 0.6으로 함과 함께, 상한도 어느 정도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섬도에 대해서는, CS값이 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S값이 2.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CS값이 1.8 미만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복합사가 에어 교락사인 실시예 8에 대해서는, 심사의 섬도가 110dtex이고 초사의 섬도가 167dtex여도, 우수한 풀림 방지 특성이 얻어지고 있다. CS값은, 실시예 8에 대해서도 0.6 이상이다. 또한, 실시예 8에 있어서도, CS값은 3.0 미만이고, 또한 2.0 미만이고, 또한 1.8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풀림 방지 직물은, 재단과 봉제에 의해 만들어지는 의복의 천을 비롯하여, 특히 절단으로 에지부가 형성되는 직물이 사용되는 각종 분야에서의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풀림 방지 직물
11: 경사
12: 위사

Claims (6)

  1. 어느 개소에서 절단되어도 절단 에지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직물이며,
    직조 조직이 평직이며,
    상기 직물의 경사 및 위사가 융착성 신축 섬유와 비융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융착성 신축 섬유의 섬도(Fm)와 상기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Fn)의 비율을 나타내는 CS값(Fm/Fn)이 0.6 이상이며,
    상기 경사와 상기 위사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융착성 신축 섬유 및 비융착성 섬유로 형성된 복합사이며,
    상기 평직의 경방향을 따른 단위 길이당 위사의 수로 나타내어지는 경밀도 및 상기 평직의 위방향을 따른 단위 길이당 경사의 수로 나타내어지는 위밀도가 상기 직물의 전체면에 있어서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S값이 0.6 이상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가 심초형 복합사이며, 해당 심초형 복합사의 심사가 상기 융착성 신축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초형 복합사의 초사가 상기 비융착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경방향의 10mm당 위사의 수인 경밀도가 103 이상이고 위방향의 10mm당 경사의 수인 위밀도가 9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심초형 복합사의 상기 심사의 섬도가 22dtex 이상 78dtex 이하이고, 상기 초사의 섬도가 13dtex 이상 84dtex 미만이며, 상기 심초형 복합사에서의 상기 심사에 대한 상기 초사의 꼬임수가 350T/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직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형 복합사의 상기 심사의 섬도가 22dtex 이상, 78dtex 이하이고, 상기 초사의 섬도가 13dtex 이상, 78dtex 이하이며, 상기 심초형 복합사에서의 상기 심사에 대한 상기 초사의 꼬임수가 500T/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직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경사 및 위사가 모두 에어 혼섬사(에어 교락사)이며, 상기 에어 혼섬사(에어 교락사)를 구성하는 상기 융착성 신축 섬유의 섬도가 110dtex 이상이며, 상기 비융착성 섬유의 섬도가 167dtex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직물.
KR1020237039390A 2021-12-27 2022-12-23 풀림 방지 직물 KR202400045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213460 2021-12-27
JP2021213460 2021-12-27
PCT/JP2022/047791 WO2023136107A1 (ja) 2021-12-27 2022-12-23 ほつれ防止織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526A true KR20240004526A (ko) 2024-01-11

Family

ID=8727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390A KR20240004526A (ko) 2021-12-27 2022-12-23 풀림 방지 직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04526A (ko)
CN (1) CN117280088A (ko)
WO (1) WO202313610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104A (ja) 2007-01-11 2008-08-21 Nisshinbo Ind Inc 細幅テープ及び細幅テープを用いた衣類
JP2010189810A (ja) 2009-02-19 2010-09-02 Kuraray Fastening Co Ltd 耳部ほつれ防止織物
JP2014205927A (ja) 2013-04-11 2014-10-30 日清紡テキスタイル株式会社 熱融着性複合糸およびこれを用いた織編物
JP2019210572A (ja) 2018-06-07 2019-12-12 グンゼ株式会社 繊維製品
JP2021038497A (ja) 2019-08-30 2021-03-11 東レ株式会社 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230A (ja) * 2006-09-25 2008-04-03 Marumatsu Seni:Kk 伸縮性を備えた細幅織物
WO2020162624A1 (ja) * 2019-02-08 2020-08-13 カジレーネ株式会社 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織物を含む繊維製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0104A (ja) 2007-01-11 2008-08-21 Nisshinbo Ind Inc 細幅テープ及び細幅テープを用いた衣類
JP2010189810A (ja) 2009-02-19 2010-09-02 Kuraray Fastening Co Ltd 耳部ほつれ防止織物
JP2014205927A (ja) 2013-04-11 2014-10-30 日清紡テキスタイル株式会社 熱融着性複合糸およびこれを用いた織編物
JP2019210572A (ja) 2018-06-07 2019-12-12 グンゼ株式会社 繊維製品
JP2021038497A (ja) 2019-08-30 2021-03-11 東レ株式会社 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80088A (zh) 2023-12-22
WO2023136107A1 (ja)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8371B1 (en) Elastic composite yarns and woven fabrics made therefrom,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U767552B2 (en) Multi-component yar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688899B1 (ko) 도전성강력금속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도전성강력금속복합사
US10434445B2 (en) Woven geotextile filtration fabrics including core-sheath spun yarns
JP2008530384A (ja) 高性能繊維ブレンド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た製品
CA2844728C (en) Abrasion resistant yarn
JP7281174B2 (ja) 芯鞘型複合熱接着性繊維
JP2013104161A (ja) 織物
KR102551962B1 (ko) 섬유 제품의 열성형법
KR20240004526A (ko) 풀림 방지 직물
JP5650274B2 (ja) 熱融着性複合糸およびこれを用いた織編物
JP7298190B2 (ja) 仮撚複合加工糸および編地
US20200030728A1 (en) Woven geotextile filtration fabrics including core-sheath spun yarns
JP5603058B2 (ja) 融着混繊糸とそれを用いた織編物の製造方法
CN103806180A (zh) 经纬线正反捻白坯广角交织布
JP2004183193A (ja) 織物
CA2976264C (en) Woven geotextile filtration fabrics including core-sheath spun yarns
WO2021186943A1 (ja) 導電性複合加工糸並びに織物及び衣服
TW202346672A (zh) 經編的編織織物、包括此種織物的衣物、所述的織物的應用、及此種織物的製造方法
CN103802403A (zh) 经纬线正反捻白坯广角交织浸胶布
JP2022024468A (ja) 混繊糸及び織編物
CN116219616A (zh) 防脱散的针织面料
JP2022061599A (ja) 繊維製品
JP2022161787A (ja) 制電性経編地
JP4073056B2 (ja) 特殊ポリエステル加工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