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774A - 통행료 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행료 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774A
KR20240002774A KR1020220080770A KR20220080770A KR20240002774A KR 20240002774 A KR20240002774 A KR 20240002774A KR 1020220080770 A KR1020220080770 A KR 1020220080770A KR 20220080770 A KR20220080770 A KR 20220080770A KR 20240002774 A KR20240002774 A KR 2024000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l
vehicle
payment
collec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석
Original Assignee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코리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774A/ko
Publication of KR2024000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5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vehicle- or driver-relat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4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of traffic, e.g. cars on the road, trains or bo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통행료 징수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입구 영업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상하여 상기 진입 차량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이미지 획득 장치와, 상기 유료 도로의 출구 영업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 도로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을 촬상하여 상기 진출 차량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며, 상기 차량의 통행료를 산출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산출된 통행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행료의 납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행료 징수 시스템{TOLL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행료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유료 도로를 이용하는 경우 입구 영업소로부터 출구 영업소까지의 통행료를 산출하고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 IVI) 모듈을 이용하여 통행료 납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와 같은 유료 도로를 이용하는 경우 입구 영업소에서 통행권을 발급받고 출구 영업소에서 현금이나 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이 있고, 이와 다르게, 차량에 통행료 정산 단말기 즉 하이패스 단말기를 설치하고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와 상기 입구 및 출구 영업소들에 설치된 통행료 자동징수용 무선 송수신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행료를 정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이패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삽입된 충전식 카드 또는 후불 교통 카드를 이용하여 통행료가 자동 결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영업소들을 정차없이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실수나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의 고장 또는 상기 하이패스 단말기에 결제용 카드가 없는 상태에서 하이패스 차로를 그냥 통과하는 경우, 도로 관리 공사로부터 통행료 납부에 대한 고지서가 차량 소유주에게 발송될 수 있으며, 차량 소유주는 이를 이용하여 통행료를 납부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이 진입한 입구 영업소가 확인되지 않거나 운전자가 하이패스 통행 위반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미납 통행료 이외에 부가 통행료를 납부해야 하거나 최장 거리 통행료가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실수로 하이패스 차로를 통과하거나 하이패스 단말기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료 도로 이용 시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행료를 정산할 수 있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입구 영업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상하여 상기 진입 차량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이미지 획득 장치와, 상기 유료 도로의 출구 영업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 도로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을 촬상하여 상기 진출 차량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며 상기 차량의 통행료를 산출하는 관리 서버와,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산출된 통행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행료의 납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행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융 기관의 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의 결제 서버로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사의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를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행료 징수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유닛은 상기 차량이 운행한 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로 제공하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행료 정보와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행료가 정상적으로 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에 하이패스 단말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하이패스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유료 도로의 이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에 의해 촬상된 차량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통행료 정보가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로 전송되어 상기 통행료의 자동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상기 유료 도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행료 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행료가 정상적으로 산출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100)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유료 도로 통행료를 용이하게 납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행료 징수 시스템(100)은, 상기 유료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과, 상기 차량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통행료를 산출하기 위한 관리 서버(120)와, 상기 산출된 통행료의 납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 IVI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료 도로의 입구 영업소와 출구 영업소에는 각각 제1 이미지 획득 장치(110)와 제2 이미지 획득 장치(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은 상기 입구 영업소를 통과하는 차량의 제1 이미지와 상기 출구 영업소를 통과하는 차량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을 상기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은 상기 입구 및 출구 영업소들의 하이패스 차로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이패스 차로를 정차없이 통과하는 차량들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20)는 도로 관리 공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20)는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고, 상기 차량이 진입한 입구 영업소로부터 상기 차량이 진출한 출구 영업소까지의 통행료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는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 텔레매틱스 유닛(132; Telematics Unit)을 포함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상기 텔레매틱스 유닛(132)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텔레매틱스 유닛(132)은 상기 관리 서버(120)로부터 통행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신된 통행료 정보는 상기 차량이 통과한 입구 영업소와 출구 영업소, 통과 시간 및 산출된 통행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에는 상기 통행료 납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상기 텔레매틱스 유닛(132)을 이용하여 은행 또는 카드사와 같은 금융 기관의 결제 서버(14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 서버(140)는 상기 통행료의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20)로 전송하여 상기 통행료의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상기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을 통해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운전자의 카드 정보를 미리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통행료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결제 서버(140)는 상기 통행료의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2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로부터 상기 관리 서버(120)로 결제 완료 정보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서버(140)는 상기 통행료의 결제 완료 정보를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통행료의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운전자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의 결제 서버(미도시)로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사의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를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하이패스 단말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하이패스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유료 도로의 이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에 의해 촬상된 차량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통행료 정보가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로 전송되어 상기 통행료의 자동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상기 유료 도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에는 운전자의 길안내를 위한 내비게이션 유닛(150)이 탑재될 수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 유닛(150)은 상기 차량이 운행한 경로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비게이션 유닛(150)은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상기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상기 통행료 정보와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행료의 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은 상기 통행료 정보에 포함된 입구 영업소와 출구 영업소 정보를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에 포함된 입구 영업소와 출구 영업소 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들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결제 서버(140)에 상기 통행료의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정보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정보들의 비교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보들의 비교 결과를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도로 관리 공사에 통행료 납부에 대한 이의 신청을 제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에 하이패스 단말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하이패스 단말기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유료 도로의 이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110, 112)에 의해 촬상된 차량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통행료 정보가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130)로 전송되어 상기 통행료의 자동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상기 유료 도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내비게이션 유닛(150)으로부터 제공된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통행료 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행료가 정상적으로 산출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통행료 징수 시스템 110 : 제1 이미지 획득 장치
112 : 제2 이미지 획득 장치 120 : 관리 서버
130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 132 : 텔레매틱스 유닛
140 : 결제 서버 150 : 내비게이션 유닛

Claims (6)

  1. 유료 도로의 입구 영업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상하여 상기 진입 차량에 대한 제1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이미지 획득 장치;
    상기 유료 도로의 출구 영업소에 설치되며 상기 유료 도로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을 촬상하여 상기 진출 차량에 대한 제2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이미지 획득 장치;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획득 장치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며, 상기 차량의 통행료를 산출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산출된 통행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행료의 납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통행료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유닛을 포함하며, 금융 기관의 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의 결제 서버로 상기 통행료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사의 결제 서버는 상기 통행료를 상기 운전자의 이동통신 요금에 합산하여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된 내비게이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유닛은 상기 차량이 운행한 경로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로 제공하며,
    상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통행료 정보와 상기 차량의 운행 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행료가 정상적으로 산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KR1020220080770A 2022-06-30 2022-06-30 통행료 징수 시스템 KR20240002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70A KR20240002774A (ko) 2022-06-30 2022-06-30 통행료 징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70A KR20240002774A (ko) 2022-06-30 2022-06-30 통행료 징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74A true KR20240002774A (ko) 2024-01-08

Family

ID=8953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770A KR20240002774A (ko) 2022-06-30 2022-06-30 통행료 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7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3332B2 (en) Toll fee system and method
CN103700149B (zh)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EP1192600B1 (de) Vorrichtung zur flexiblen gebührenerfassung
CN109272589A (zh) 基于信用体系的具有多重效益的车辆快速通行收费方法
US20190019114A1 (en) Remote vehicle access and multi-application program for car-sharing
JP2005275719A (ja) 駐車場案内と料金自動支払い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駐車場案内サービスホストコンピュータ
JP4914842B2 (ja) 料金収受管理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管理方法
JP4331493B2 (ja) 料金決済システム及び料金決済方法
JP6954538B2 (ja) 車両通過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通過情報処理方法
US20200160315A1 (en) Autonomous vehicle smart parking ticket
JP2006053869A (ja) 通行料金支払方法及び通行料金支払プログラム
KR20120036734A (ko) 주유고객 관리장치 및 방법
KR20240002774A (ko) 통행료 징수 시스템
JP2020071769A (ja) 車両通過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1022980A (ja) 路側通信装置及び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Donath et al. Technology enabling near-term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distance based road user fees
EP3142092A1 (en) System for managing regulated parking areas
KR20210085706A (ko) 공유 차량 배차 방법, 공유 차량 재배치 방법, 카 쉐어링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카 쉐어링 시스템
JP3463665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情報通信装置、車載機、課金結果取得装置、センター
KR101821791B1 (ko) 통행료 결제를 위한 차량과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정보 정합시스템
JP2015095110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KR102336816B1 (ko) 차량 임차인 고지서 발행 시스템
JP2002342800A (ja) 通行料金徴収装置および方法、通行管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617440B1 (ko) 견인 차량 보관소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0128B1 (ko) 자동 요금 징수 차량의 관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