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452A -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452A
KR20240002452A KR1020220079674A KR20220079674A KR20240002452A KR 20240002452 A KR20240002452 A KR 20240002452A KR 1020220079674 A KR1020220079674 A KR 1020220079674A KR 20220079674 A KR20220079674 A KR 20220079674A KR 20240002452 A KR20240002452 A KR 2024000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bar
base
ba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선자
김인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에코그레이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그레이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그레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452A/ko
Publication of KR2024000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2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hydraul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센터 샤프트(112)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스탠드(110); 센터 샤프트(112)에 설치되어 시소 운동하는 베이스(122); 베이스(122)에 배치되고 제1 사이드 바(20a)가 제1 스텝(134)에 얹히며 바깥쪽에서 제1 사이드 바(20a)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1 윈도(132)가 형성된 픽셔 블록(130); 베이스(122)에 배치되고 상측에 크로스 바(30)가 정렬되도록 다수의 포켓(142)이 형성된 어레이 블록(140); 베이스(122)의 상면에서 어레이 블록(140)을 기준으로 픽셔 블록(130)의 반대쪽에 배치된 액추에이터(150); 및 액추에이터(150)의 로드에 설치되어 어레이 블록(140) 쪽으로 진퇴 운동하고, 제2 사이드 바(20b)가 제2 스텝(164)에 얹히며 제2 사이드 바(20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2 윈도(162)가 형성된 클램프 블록(160); 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상기 그레이팅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Grating manufacturing tool, and Grating}
본 발명은 배수로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을 배수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그레이팅 제조장치와 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배수로에 설치될 수 있고, 빗물 등을 집수하여 배수로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 알려진 그레이팅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의 (a)는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가 용접되어 연결된 부분을 보인 것이고, 도 1의 (b)는 그레이팅에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한 예를 보인 것이다.
종래에 그레이팅(10)은 사이드 바(20)의 안쪽에 크로스 바(30)를 직각으로 배치하고, 사이드 바(20)와 크로스 바(30)가 접촉하는 부분에 용접하였다. 종래의 그레이팅에서 용접 부분(60)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울퉁불퉁하게 용접되고, 용접 비드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때가 있다.
그레이팅(10)은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크로스 바(30)를 좁은 간격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고, 크로스 바(30) 간의 간격은 대략 20cm~36cm 정도이다.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봉을 크로스 바(30)의 사이로 통과시켜 사이드 바(20)와 크로스 바(30)가 접촉하는 모서리에 접근하여야 하고, 용접할 때 용접봉이 용접물과 이루는 각도가 필요하지만, 설명한 바와 같이 크로스 바(30)의 사이 간격이 비좁은 구조적인 한계 때문에 용접봉을 적절한 자세로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용접 부분의 강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용접 비드를 무리하게 두껍거나 크게 형성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한편으로,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10)은 그레이팅 커버(180)를 설치할 수 있고, 그레이팅 커버(180)는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레이팅 커버(180)의 폭은 크로스 바(30)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공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접 부분(60)에서 용접 비드가 특이하게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하면 그레이팅 커버(180)가 용접 비드에 걸려 조립이 어려울 수 있다.
한편으로, 종래의 그레이팅(10)은 용접 부분(60)의 용접 비드가 크더라도 그레이팅 커버(180)를 조립하기 위하여 크로스 바(30)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는 방안이 있지만, 이러하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바(20)와 그레이팅 커버(180)의 사이에 틈새(182)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틈새(182)가 크면 설계자의 의도와 다르게 크기가 다소 큰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하면 그레이팅 커버(180)를 배치가 무색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용접 작업은 매우 힘든 작업이고, 특히 허리를 구부리고 특정한 용접 자세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격이 비좁은 크로스 바(30)의 사이사이에 용접봉을 넣고 용접하여야 하는 것으로 작업이 불편하고, 단위 시간당 제조 생산 수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KR 10-211257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레이팅을 제조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를 용접할 때 용접봉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작업이 편리한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에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할 때 그레이팅 커버의 진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설계자의 의도에 부합하도록 하는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을 제작할때 용접 작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용접할 때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발생을 줄여 대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센터 샤프트(112)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스탠드(110); 상기 센터 샤프트(112)에 설치되어 시소 운동하는 베이스(122);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사이드 바(20a)가 제1 스텝(134)에 얹히며 바깥쪽에서 상기 제1 사이드 바(20a)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1 윈도(132)가 관통하여 형성된 픽셔 블록(130);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크로스 바(30)가 정렬되도록 다수의 포켓(142)이 형성된 어레이 블록(140);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서 상기 어레이 블록(140)을 기준으로 상기 픽셔 블록(130)의 반대쪽에 배치된 액추에이터(150); 및 상기 액추에이터(150)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어레이 블록(140) 쪽으로 진퇴 운동하고, 제2 사이드 바(20b)가 제2 스텝(164)에 얹히며 상기 제2 사이드 바(20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2 윈도(162)가 관통하여 형성된 클램프 블록(160);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50)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블록(160)이 직선으로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디바이스(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상기 스탠드(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22)와 닿아서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지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슬로프 시트(116); 자유롭게 흔들리도록 상기 베이스(122)의 저면에 핀 축으로 결합하고 하측 끝부분에 갈퀴 모양이 형성된 록커(126); 및 상기 스탠드(1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져 상기 록커(126)가 접근하면 상기 록커(126)가 경사진 측면과 미끄럼 접촉하다가 상기 갈퀴 모양이 하부 턱에 걸쳐져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잠그는 슬로프 스텝(114);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다수의 슬릿(22)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양쪽을 벌려져 배치된 제1, 2 사이드 바(20a, 20b); 및 양쪽 끝부분에 인서트 파트(3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쪽의 인서트 파트(32)가 상기 제1 사이드 바(20a)의 슬릿(22)과 상기 제2 사이드 바(20b)의 슬릿(22)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크로스 바(30); 를 포함하고, 제1, 2 사이드 바(20a, 20b)의 바깥쪽에서 인서트 파트(32)와 제1, 2 사이드 바(20a, 20b)를 용접하여 상기 제1, 2 사이드 바(20a, 20b)와 상기 다수의 크로스 바(30)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상기 크로스 바(30)에 홀(36)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크로스 바(30)가 정렬되어 각 홀(36)이 일렬로 배치되면 일렬로 배치된 홀(36)에 스루 바(40)를 끼우고, 각 크로스 바(30)와 스루 바(40)를 용접하여 상기 복수의 크로스 바(30)와 상기 스루 바(40)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크로스 바(30)가 일렬로 배치되었을 때 가장 바깥쪽의 양쪽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사이드 바(20a, 20b)와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스루 바(40)의 끝부분이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스루 바(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아웃터 크로스 바(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그레이팅을 제조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고, 이로써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은,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를 용접하여 고정할 때 용접봉을 바깥쪽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로써 용접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그레이팅을 시공할 때 그레이팅에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하는데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의 안쪽 접합 부분에 용접 비드가 형성되지 않고, 이로써 그레이팅 커버의 진입에 방해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은, 그레이팅을 제작할때 용접 작업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용접할 때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발생을 줄여 대기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레이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의 (a)는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가 용접되어 연결된 부분을 보인 것이고, 도 1의 (b)는 그레이팅에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그레이팅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3은 그레이팅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도 4는 그레이팅 소재를 예비 조립한 상태이며, 도 5는 예비 조립된 그레이팅의 한쪽에 용접하는 단계이고, 도 6은 예비 조립된 그레이팅의 반대쪽에 용접하는 단계이다.
도 7부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에서 그레이팅이 조립되는 클램프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7은 클램프 어셈블리가 비어 있는 초기 상태이고, 도 8은 한쪽에 사이드 바를 배치한 예이며, 도 9는 크로스 바를 배치하는 예이고, 도 10은 크로스 바 배치를 완료한 상태이며, 도 11은 반대쪽에 사이드 바를 배치하고, 복수의 크로스 바에 스루 바를 끼워 배치한 상태이며, 도 12는 가장 바깥쪽 크로스 바의 바깥에 아웃터 크로스 바를 배치한 상태이고, 도 13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그레이팅 소재를 밀착시켜 붙잡는 상태이고, 도 14는 그레이팅에 용접하여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사이드 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크로스 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복수의 크로스 바에 스루 바를 조립하도록 하고, 반대쪽 사이드 바를 조립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아웃터 사이드 바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예비 조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각 구성요소에 용접 작업을 하여서 그레이팅 제조를 완료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서 용접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서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가 조립된 부분에서 그레이팅의 안쪽을 보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 그레이팅 커버를 조립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의 실물 사진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2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부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그레이팅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3은 그레이팅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이고, 도 4는 그레이팅 소재를 예비 조립한 상태이며, 도 5는 예비 조립된 그레이팅의 한쪽에 용접하는 단계이고, 도 6은 예비 조립된 그레이팅의 반대쪽에 용접하는 단계이다. 도 7부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에서 그레이팅이 조립되는 클램프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7은 클램프 어셈블리가 비어 있는 초기 상태이고, 도 8은 한쪽에 사이드 바를 배치한 예이며, 도 9는 크로스 바를 배치하는 예이고, 도 10은 크로스 바의 배치를 완료한 상태이며, 도 11은 반대쪽에 사이드 바를 배치하고, 복수의 크로스 바에 스루 바를 끼워 배치한 상태이며, 도 12는 가장 바깥쪽 크로스 바의 바깥에 아웃터 크로스 바를 배치한 상태이고, 도 13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그레이팅 소재를 밀착시켜 붙잡는 상태이고, 도 14는 그레이팅에 용접하여 각 구성요소를 결합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100)는, 스탠드(110), 베이스(122), 픽셔 블록(130), 어레이 블록(140), 액추에이터(150) 및 클램프 블록(1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탠드(1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상을 이루고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탠드(110)는 센터 샤프트(112)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베이스(122)는 상기 센터 샤프트(112)에 설치되어 시소 운동할 수 있다. 베이스(122)의 하부에 브래킷(124)이 설치될 수 있고, 브래킷(124)에 상기 센터 샤프트(112)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브래킷(124)에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고 베어링에 센터 샤프트(112)가 배치될 수 있다.
픽셔 블록(130)은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벽체에 제1 윈도(132)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제1 스텝(134)이 형성된다.
제1 윈도(132)는 바깥쪽에서 제1 사이드 바(20a)에 접근할 수 있도록 뚫린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1 스텝(134)은 그레이팅(10)을 구성할 제1 사이드 바(20a)가 얹힌다.
어레이 블록(140)은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포켓(142)이 형성된다. 또한, 어레이 블록(140)은 두께가 두꺼우면 1개로 구성할 수 있고, 정렬 상태를 더욱 정교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로 배치할 수 있다.
다수의 포켓(142)은 크로스 바(30)가 수납되도록 하여 다수의 크로스 바(30)가 정렬되도록 한다. 이로써 다수의 크로스 바(30)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정렬될 수 있다. 포켓(142)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고 이로써 사이드 바(30)를 위에서 진입시켜 배치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0)는 도 2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어레이 블록(140)을 기준으로 픽셔 블록(130)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액추에이터(150)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150)가 작동하면 로드가 진퇴 운동할 수 있다.
클램프 블록(160)은 액추에이터(150)의 로드에 설치되어 어레이 블록(140) 쪽으로 진퇴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블록(160)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벽체에 제2 윈도(162)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제2 스텝(164)이 형성된다.
제2 스텝(164)은 그레이팅(10)을 구성할 제2 사이드 바(20b)가 얹힌다.
제2 윈도(162)는 바깥쪽에서 제2 사이드 바(20a)에 접근할 수 있도록 뚫린 공간으로 형성된다.
도 3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그레이팅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는 후퇴상태로 대기하고, 이로써 클램프 블록(160)은 픽셔 블록(130)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기다린다.
이후, 도 7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10)의 소재를 픽셔 블록(130)과 어레이 블록(140)에 순서대로 배치한다.
그레이팅(10)은 사이드 바(20), 크로스 바(30) 및 스루 바(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바(20)는 2개가 제공될 수 있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사이드 바(20a)와 제2 사이드 바(20b)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바(20a)를 픽셔 블록(130)의 제1 스텝(134)에 올려놓는다.
제1 사이드 바(20a)의 위치를 정교하게 정렬하지 않고 눈대중으로 적절한 위치에 놓더라도 이후 단계에서 크로스 바(30)를 정렬시킬 때 자연스럽게 제1 사이드 바(20a)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후,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바(30)를 어레이 블록(140)에 배치하고, 특히 크로스 바(30)의 인서트 파트(30)가 사이드 바(20)의 슬릿(22)에 끼워지도록 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바(20)의 위치는 크로스 바(30)를 어레이 블록(140)에 정렬시킬 때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바(30)를 모두 배치한 다음에 제2 사이드 바(20b)는 클램프 블록(160)의 제2 스텝(164)에 얹어서 크로스 바(30)에 밀착시킨다. 다수의 크로스 바(30)는 이미 정교하게 정렬된 상태이므로 제2 사이드 바(20b)를 다수의 크로스 바(30)에 조립할 때 임의의 크로스 바(30)의 인서트 파트(30)가 슬릿(22)에 걸리거나 방해되지 않고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도 4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10)을 조립한 상태가 준비되면 도 5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50)를 작동시켜 클램프 블록(160)을 전진시킨다. 이로써 그레이팅(10)은 조립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액추에이터(150)가 위치한 쪽이 상측에 있는 상태로 베이스(122)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베이스(122)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제2 윈도(162)를 통하여 용접봉 또는 용접 수단을 그레이팅(10)에 접근시킬 수 있다.
용접은 사이드 바(20)의 바깥쪽에서 진행하는 것이고, 도 5는 제2 사이드 바(20b)가 위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제2 사이드 바(20b)와 크로스 바(30)의 각 인서트 파트(32)를 용접한다.
용접 부분(61)은 도 14, 도 22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바(20)의 바깥쪽에 비드가 형성된다. 특히 용접 부분(61)은 매우 작게 국소 부분만을 용접할 수 있고, 이로써 용접 량을 종래의 그레이팅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용접이 완료되면 액추에이터(150)를 반대로 작동시켜 클램프 블록(160)을 후퇴시키고 완성된 그레이팅(10)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용접 수단을 쉽게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10)을 제조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고, 이로써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생산량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예컨대 종래의 그레이팅 생산 방식으로 작업 인원 1인당 연간 3,000개를 생산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작업 인원 1인당 연간 5,000개를 생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은,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를 용접하여 고정할 때 용접봉을 바깥쪽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로써 용접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그레이팅을 생산하면 용접 품질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그 이유는 용접할 때 요구되는 용접 자세가 있는데 종래의 그레이팅 제조방식에서는 용접 작업 공간이 비좁으므로 용접봉 또는 용접 수단을 적정한 용접 자세로 용접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바깥쪽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특히 용접 자세를 적정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용접 품질을 높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그레이팅을 시공할 때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10)에 그레이팅 커버(180)를 설치하는데 사이드 바(20)와 크로스 바(30)의 안쪽 접합 부분에 용접 비드가 형성되지 않고, 이로써 그레이팅 커버(180)의 진입에 방해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작된 그레이팅은 종래의 방식으로 제작된 그레이팅에 비교하여 용접 작업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그레이팅은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가 접촉하는 부분마다 용접을 하여야 하는데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도 25에 나타낸 바아 같이 국소부분만 용접하더라도 내구성이 강한 그레이팅을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접 작업 량을 줄임으로써 용접할 때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대기 환경오염을 줄이도록 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디바이스(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디바이스(170)는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50)의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디바이스(170)는 상기 클램프 블록(160)이 직선으로 운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가이드 디바이스(170)의 구성에 따라 클램프 블록(160)이 임의로 흔들리거나 삐뚤어지지 않고 곧은 자세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고, 제2 사이드 바(20b)를 크로스바(30) 쪽으로 밀착시켰을 때 제2 사이드 바(20b)가 다수의 크로스 바(30)에 균일한 이동 변위로 접근할 수 있어 조립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다수의 크로스 바(30)에 균일한 밀착력을 구현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다.
가이드 디바이스(170)는 샤프트와 베어링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샤프트가 직선 운동하는 구성일 수 있고, LM 가이드를 이용하여 레일에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알려진 구성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베이스(122)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슬로프 시트(116), 록커(126) 및 슬로프 스텝(1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슬로프 시트(116)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22)와 닿아서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지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록커(126)는 자유롭게 흔들리도록 상기 베이스(122)의 저면에 핀 축으로 결합하고 하측 끝부분에 갈퀴 모양이 형성된다.
즉, 록커(126)는 임의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중력의 영향을 받고 이로써 갈퀴 모양 부분이 항상 아래쪽을 향한다.
슬로프 스텝(114)은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져 상기 록커(126)가 접근할 수 있고, 록커(126)가 슬로프 스텝(114)에 닿으면 상기 록커(126)가 경사진 측면과 미끄럼 접촉하다가 상기 갈퀴 모양이 슬로프 스텝(114)의 하부 턱에 걸쳐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를 기준을 설명하면 좌측에 배치된 록커(126)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우측에 배치된 록커(126)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에 배치된 록커(126)를 젖히면 잠금이 해제되고,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베이스(122)를 반대 방향으로 기울인다.
베이스(122)는 도 5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고, 도 6에서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에서 우측의 록커(126)를 잠금 해제하고 베이스(122)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좌측에 배치된 록커(126)는 하강하면서 슬로프 스텝(114)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다가 갈퀴 모양이 슬로프 스텝(114)의 하측에 도달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퀴 모양이 슬로프 스텝(114)에 걸린다.
이로써 베이스(122)는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잠긴다.
베이스(122)의 잠금 해제는 단순하게 록커(126)를 바깥쪽으로 젖히는 단순한 동작으로 구현할 수 있고, 베이스(122)의 잠금 설정은 베이스(122)를 기울이고 싶은 쪽으로 기울이는 동작만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용접 작업을 하고자 하는 쪽을 높은 쪽에 위치하도록 베이스(122)의 기울기 자세를 쉽게 전환할 수 있고, 베이스(122)가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접 작업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5부터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사이드 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크로스 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복수의 크로스 바에 스루 바를 조립하도록 하고, 반대쪽 사이드 바를 조립하도록 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아웃터 사이드 바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이 예비 조립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각 구성요소에 용접 작업을 하여서 그레이팅 제조를 완료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서 용접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서 사이드 바와 크로스 바가 조립된 부분에서 그레이팅의 안쪽을 보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에 그레이팅 커버를 조립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로 제조된 그레이팅의 실물 사진을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사이드 바(20)와 크로스 바(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 바(20)는 배치 순서에 따라 제1 사이드 바(20a)와 제2 사이드 바(20b)로 구별하여 설명한다. 제1 사이드 바(20a)와 제2 사이드 바(20b)의 실질 구성은 같다.
사이드 바(20)는 단면 모양이 대략 로마자 알파벳 대문자 'I'처럼 형성된 것으로 상측과 하측이 두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바(20)의 소재는 길이가 수 M에 이르도록 길게 제공될 수 있고, 그레이팅(10)의 규격에 맞게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2 사이드 바(20a, 20b)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릿(22)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을 벌려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릿(22)은 프레스 펀칭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3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끝부분에 인서트 파트(32)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바(30)는 사이드 바(20)와 마찬가지로 길이가 긴 소재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서트 파트(32)가 돌출된 것은 크로스 바(30)가 절단된 양쪽 끝부분 모서리를 가공하여 가공부(34)를 형성함으로써 인서트 파트(32)가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바(20a)의 슬릿(22)에 크로스 바(30)의 인서트 파트(32)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후, 도 18부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사이드 바(20b)의 슬릿(22)에 크로스 바(30)의 반대쪽 인서트 파트(32)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후, 도 21과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사이드 바(20a, 20b)의 바깥쪽에서 인서트 파트(32)와 제1, 2 사이드 바(20a, 20b)를 용접하여 상기 제1, 2 사이드 바(20a, 20b)와 상기 다수의 크로스 바(30)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사이드 바(20)와 크로스 바(30)가 조립되는 부분에서 내부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 비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 커버(180)를 그레이팅(10)에 조립할 때 그레이팅 커버(180)의 진입에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설계자 의도대로 조립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루 바(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크로스 바(3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36)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홀(36)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홀(36)은 크로스 바(30)의 모서리 쪽으로 개방되지 않고 폐쇄 도형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스루 바(40)는 막대 형상의 소재를 비틀어 가공한 것이다.
스루 바(40)는 도 10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크로스 바(30)가 정렬되어 각 홀(36)이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일렬로 배치된 홀(36)에 끼운다.
이후, 각 크로스 바(30)와 스루 바(40)를 용접하여 상기 복수의 크로스 바(30)와 상기 스루 바(40)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2와 도 23에 제2 용접 부분(62)이 표현되어 있다. 제2 용접 부분(62)은 크로스 바(30)와 스루 바(40)를 용접한 부분이다.
스루 바(40)는 각 크로스 바(30)의 흐트러짐을 없애도록 하고 그레이팅(10)의 강성을 높이는 데에 이바지한다.
또한, 홀(36)이 폐쇄 도형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제2 용접 부분(62)의 용접 비드가 크로스 바(30)의 모서리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그레이팅(10)의 표면에서 용접 비드가 갑자기 툭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그레이팅(10)을 시공했을 때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고 보행자가 혹시라도 그레이팅(10)을 밟게 되면 용접 비드가 보행자의 신발을 훼손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도 12, 도 19부터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터 크로스 바(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웃터 크로스 바(5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스 바(30)가 일렬로 배치되었을 때 가장 바깥쪽의 양쪽 바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크로스 바(50)는 크로스 바(30)에 형성된 인서트 파트(32)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아웃터 크로스 바(50)는 상기 제1, 2 사이드 바(20a, 20b)와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스루 바(40)의 끝부분이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스루 바(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스루 바(40)의 끝부분이 겉으로 보이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그레이팅(10)의 외관이 지저분해 보이지 않고,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팅(10)은 그 구성의 특성상 격자무늬로 형성되어 있고, 크로스 바(30)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달아 배치됨으로써 사람의 눈에는 착시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러한 착시 때문에 혹시라도 제2 용접 부분(62)을 형성하지 못하고 놓치더라도 아웃터 크로스 바(50)가 스루 바(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그레이팅(10)의 내구성이 약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장치는 그레이팅을 제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고, 그레이팅은 빗물 등이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그레이팅 20: 사이드 바
20a, 20b: 제1, 2 사이드 바 22: 슬릿
30: 크로스 바 32: 인서트 파트
34: 가공부 36: 홀
40: 스루 바 50: 아웃터 크로스 바
60: 용접 부분 61, 62: 제1, 2 용접 부분
100: 그레이팅 제조장치
110: 스탠드 112: 센터 샤프트
114: 슬로프 스텝 116: 슬로프 시트
120: 클램프 어셈블리 122: 베이스
124: 브래킷 126: 록커
130: 픽셔 블록 160: 클램프 블록
132, 162: 제1, 2 윈도 134, 164: 제1, 2 스텝
140: 어레이 블록
142: 포켓 144: 사이드 스텝
150: 액추에이터 170: 가이드 디바이스
180: 그레이팅 커버 182: 틈새

Claims (6)

  1. 센터 샤프트(112)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스탠드(110);
    상기 센터 샤프트(112)에 설치되어 시소 운동하는 베이스(122);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 사이드 바(20a)가 제1 스텝(134)에 얹히며 바깥쪽에서 상기 제1 사이드 바(20a)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1 윈도(132)가 관통하여 형성된 픽셔 블록(130);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측에 크로스 바(30)가 정렬되도록 다수의 포켓(142)이 형성된 어레이 블록(140);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서 상기 어레이 블록(140)을 기준으로 상기 픽셔 블록(130)의 반대쪽에 배치된 액추에이터(150); 및
    상기 액추에이터(150)의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어레이 블록(140) 쪽으로 진퇴 운동하고, 제2 사이드 바(20b)가 제2 스텝(164)에 얹히며 상기 제2 사이드 바(20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2 윈도(162)가 관통하여 형성된 클램프 블록(160);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2)의 상면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50)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블록(160)이 직선으로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디바이스(170);
    를 더 포함하는 그레이팅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22)와 닿아서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지는 범위를 한정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슬로프 시트(116);
    자유롭게 흔들리도록 상기 베이스(122)의 저면에 핀 축으로 결합하고 하측 끝부분에 갈퀴 모양이 형성된 록커(126); 및
    상기 스탠드(1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져 상기 록커(126)가 접근하면 상기 록커(126)가 경사진 측면과 미끄럼 접촉하다가 상기 갈퀴 모양이 하부 턱에 걸쳐져 상기 베이스(122)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잠그는 슬로프 스텝(114);
    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제조장치.
  4. 다수의 슬릿(22)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양쪽을 벌려져 배치된 제1, 2 사이드 바(20a, 20b); 및
    양쪽 끝부분에 인서트 파트(3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쪽의 인서트 파트(32)가 상기 제1 사이드 바(20a)의 슬릿(22)과 상기 제2 사이드 바(20b)의 슬릿(22)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크로스 바(30); 를 포함하고,
    제1, 2 사이드 바(20a, 20b)의 바깥쪽에서 인서트 파트(32)와 제1, 2 사이드 바(20a, 20b)를 용접하여 상기 제1, 2 사이드 바(20a, 20b)와 상기 다수의 크로스 바(3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30)에 홀(36)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다수의 크로스 바(30)가 정렬되어 각 홀(36)이 일렬로 배치되면 일렬로 배치된 홀(36)에 스루 바(40)를 끼우고,
    각 크로스 바(30)와 스루 바(40)를 용접하여 복수의 크로스 바(30)와 상기 스루 바(4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6. 제5항에 있어서,
    크로스 바(30)가 일렬로 배치되었을 때 가장 바깥쪽의 양쪽 바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2 사이드 바(20a, 20b)와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스루 바(40)의 끝부분이 가려지도록 하고 상기 스루 바(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아웃터 크로스 바(50);
    를 더 포함하는 그레이팅.
KR1020220079674A 2022-06-29 2022-06-29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KR2024000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74A KR20240002452A (ko) 2022-06-29 2022-06-29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74A KR20240002452A (ko) 2022-06-29 2022-06-29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452A true KR20240002452A (ko) 2024-01-05

Family

ID=8954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674A KR20240002452A (ko) 2022-06-29 2022-06-29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4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76B1 (ko) 2019-07-15 2020-05-19 에코그레이팅 주식회사 그레이팅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576B1 (ko) 2019-07-15 2020-05-19 에코그레이팅 주식회사 그레이팅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3870B1 (de) Partikel-Abscheidevorrichtung für eine Aerosol-Strömung
EP1842620B1 (de) Abdeckung für Maschinenführungen
DE102006037258B4 (de) Schneidklinge zum Schneiden von stabartigen Gliedern und Schneidmaschine, an welcher die Schneidklinge festgelegt ist
DE102006061596A1 (de) Sitzgleit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DE2851649A1 (de) Sitzabdeckung
DE19705371A1 (de) Türrahmen und Verfahren für dessen Herstellung
DE19526385B4 (de) Vorrichtung zum Klemmen von Papierblättern während des Perforierens und zum Binden derselben in einem Ringbinder
KR20240002452A (ko)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DE3313327C2 (ko)
DE202006011879U1 (de) Gitterwandgestell
EP3221599B1 (de)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ung
EP2905414B1 (de) Beschattungsanlage mit horizontalen faltlamellen
EP0319190A2 (en) Venetian blind ladder mean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blind
DE102015221273A1 (de) Wasserstrahlschneidverfahren, Wasserstrahlschneidmaschine und Werkstückaufnahme
DE102009033437B4 (de) Sonnenschutzrollo
DE8234801U1 (de) Faltbare Schutzabdeckung, insbesondere an abspanenden Maschinen
DE4020535A1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blechen unter hitzeeinwirkung
DE102011080396A1 (de) Filterträger für Geruchsfilterelement und Dunstabzugshaube
DE3143118C2 (de) Kraftfahrzeugsitz
DE10162572B4 (de) Rolloschrank
AT525460A1 (de) Schutzvorrichtung für eine Gebäudeöffnung
DE202007015981U1 (de) Bürogerät zur Bearbeitung von Blattgut
US2803276A (en) End wing jig for awnings
DE3121692C2 (de) Einrichtung zum Offenhalten von Lüftungsfugen bei mehrschaligem Mauerwerk
DE19835234C2 (de) Druckbalken für ein Anschlagdruckwe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