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76B1 - 그레이팅 커버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76B1
KR102112576B1 KR1020200018861A KR20200018861A KR102112576B1 KR 102112576 B1 KR102112576 B1 KR 102112576B1 KR 1020200018861 A KR1020200018861 A KR 1020200018861A KR 20200018861 A KR20200018861 A KR 20200018861A KR 102112576 B1 KR102112576 B1 KR 10211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rating
panel
pres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자
최영철
방선자
Original Assignee
에코그레이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그레이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그레이팅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위에서 내려다볼 때 디귿(ㄷ) 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1); 상기 보디(11)에 설치되어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보디(11)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패널(12); 상기 보디(11)에 설치되어 개폐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패널(12)에 닿아 상기 보디(11)를 닫는 커버(20); 및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의 사이에 설치되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 간의 거리(W)가 조절되는 탄력 유닛(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 커버{GRATING COVER}
본 발명은 배수로에 설치된 그레이팅에 탑재되어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을 배수로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5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로(60)에 설치될 수 있고, 빗물 등을 집수하여 배수로(60)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그레이팅(50)에는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하여,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배수로(6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종래에 알려진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에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커버 자체에 탄성을 갖도록 하여 평소에는 닫혀 있도록 하고, 빗물이 유입되면 빗물의 무게가 탄성을 이기도록 하여 그레이팅 커버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에 설치되는 스프링 구성이나 커버의 자체 탄성을 갖도록 하는 구성 때문에 커버를 탄성체가 힘을 가하고 있어 낙엽 등의 이물질이 커버에 끼이게 되어 항상 열려있을 수 있다.
또한, 개폐된 커버 상부에 이물질이 쌓여 배수로(60)로 빗물 유입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부연설명을 하면, 배수로(60)로부터 그레이팅(50)을 들어내고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커버는 탄성체의 힘으로 닫히고, 커버와 그레이팅 커버의 내벽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면 커버가 항상 열려있게 되므로 기대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 수 있으며, 나아가 배수 용량을 늘리는 데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 크기는 대부분의 제조사가 비슷하게 제작할지라도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어서 이전에 설치되었던 그레이팅(50) 제품과 같은 규격의 제품을 구하지 못하면 그레이팅(50)과 배수로(60)를 새롭게 시공하여 다른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하여야 하고 이러하면 비용이 과다하게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그레이팅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시공하였을 때 어느 하나의 그레이팅 커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나머지 모든 그레이팅 커버를 사용할 수 없고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562712 B1 KR 10-0801979 B1 KR 10-1039711 B1 KR 10-1124407 B1 KR 10-1319065 B1 KR 10-1907892 B1 KR 20-0427257 Y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수로(60)를 신축하거나 기존 배수로(60)를 보수할 때,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정교하지 않거나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에 작은 차이가 있더라도 그레이팅(50)의 내부에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그레이팅 커버의 커버가 좀 더 확실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표면으로부터 같은 깊이를 갖는 배수로(60)를 시공할 때 가능한 배수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 커버 길이가 긴 커버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그레이팅 커버가 파손되면 그 파손된 구성요소만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팅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위에서 내려다볼 때 디귿(ㄷ) 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1); 상기 보디(11)에 설치되어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보디(11)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패널(12); 상기 보디(11)에 설치되어 개폐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패널(12)에 닿아 상기 보디(11)를 닫는 커버(20); 및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의 사이에 주름지게 설치되어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을 연결하고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 간의 거리(W)가 조절되는 탄력 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상기 탄력 유닛(30)은,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확장 스프링(35)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상기 보디(11)에 가이드 홀(32)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12)에 가이드 샤프트(34)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34)가 상기 가이드 홀(32)에 끼워져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상기 보디(11) 또는 상기 패널(12)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이 바(40)의 스텝(41)에 얹히도록 하는 설치 돌기(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치 돌기(13)는 옆에서 볼 때 하측이 넓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상기 보디(11)의 양쪽 측면에 하측이 넓은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확장 돌기(14); 및 상기 보디(11)의 양쪽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포켓(1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디(11)의 어느 한쪽의 확장 돌기(14)와 상기 보디(11)의 다른 한쪽의 포켓(15)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보디(11)를 연달아 배치하면 어느 하나의 보디(11)의 확장 돌기(14)가 다른 하나의 보디(11)의 포켓(1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상기 커버(20)는, 샤프트(25)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패널(12)에 닿는 쪽이 반대쪽보다 가볍고,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패널(12)에 닿으면 더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상기 커버(20)는,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은 다른 쪽보다 두께가 두껍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부분(21);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다른 한쪽에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부분(22); 및 상기 제2 부분(22)에서 연장되고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부분(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상기 보디(11)는, 상기 커버(20)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커버(20)가 회전 운동할 때 상기 커버(20)와 간섭하지 않는 커버 포켓(1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그레이팅 커버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로(60)를 신축하거나 기존 배수로(60)를 보수할 때, 기존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과 신규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에 차이가 있거나 정교하지 않더라도 보편적인 그레이팅(5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 폭이 보디 폭보다 크게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커버(20) 모서리 부분이 패널(12)에 닿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커버(20)가 좀 더 확실하게 닫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의 샤프트를 기준으로 보디를 닫도록 하는 부분의 무게보다 반대쪽의 무게를 더 무겁게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팅 커버를 높이가 낮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지표면으로부터 같은 깊이를 갖는 배수로(60)를 시공할 때 가능한 배수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그레이팅(50)을 정비할 때, 기존에 설치되었던 그레이팅(50)을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고, 그레이팅 커버 하부로 쓰레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하여 상부에 쓰레기가 쌓이면 청소하기 쉽고, 쓰레기 등으로 배수로(6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기온이 높아지는 여름에 배수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줄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에서 보디와 패널 간의 거리(W)가 조절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에서 커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가 시공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가 2개 이상이 연달아 배치될 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가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배수로에 그레이팅이 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 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에서 보디와 패널 간의 거리(W)가 조절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박스(10), 커버(20) 및 탄력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박스(10)는 보디(11)와 패널(12)이 조합되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디(11)는 위에서 내려다볼 때 디귿(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12)은 상기 보디(11)에 설치될 수 있고,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보디(11)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보디(11)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박스(10)를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부분이 상기 패널(12)에 닿아 상기 보디(11)를 닫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디(11)에 제1 축 구멍(1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20)에 제2 축 구멍(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축 구멍(16, 24)에 샤프트(25)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20)는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탄력 유닛(30)은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의 사이에 주름지게 설치되어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탄력 유닛(30)은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 간의 거리(W)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작용 및 효과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가 시공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레이팅(5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 바(40)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제작되어 배수로(60)에 얹히는 형태로 시공될 수 있는데, 이때 양쪽 아이 바(40) 간의 폭(w-1)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고, 불균일 편차는 수 밀리미터에서 수 센티미터 정도의 수준일 수 있다.
한편으로, 기존의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w-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폭과 비슷하거나 수 밀리미터에서 수 센티미터 수준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 바(40)에 설치되거나 기존의 그레이팅(5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의 폭이 시공될 상대 구성의 폭과 차이가 있더라도 탄력 유닛(30)으로 폭 차이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시공될 위치의 폭(w-1)이 좁으면 탄력 유닛(30)을 압축시켜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 간의 거리(W)를 좁힐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와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에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그레이팅 커버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로(60)를 신축하거나 기존 배수로(60)를 보수할 때,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정교하지 않거나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에 작은 차이가 있더라도 그레이팅(50)에 그레이팅 커버를 설치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탄력 유닛(30)은, 확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확장 스프링(35)일 수 있다. 이로써 탄력 유닛(30)이 최대한 확장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최대 폭을 가질 수 있고,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좁을 때는 확장 스프링(35)을 해당 그레이팅(50)에 적합하도록 압축하여 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보디(11)에 가이드 홀(3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패널(12)에 가이드 샤프트(3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샤프트(34)가 상기 가이드 홀(32)에 끼워져 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 샤프트(34)는 보디(11)와 패널(12)에 작용하는 굽힘 하중에 대하여 강성을 가질 수 있고 박스(10)가 뒤틀리지 않고 배치 자세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보디(11) 또는 상기 패널(12)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 돌기(13)가 측면에 하측이 넓은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 커버를 그레이팅(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시키면 설치 돌기(13)가 아이 바(40)에 방해받지 않고 아이 바(40)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고, 진입이 완료된 후에 설치 돌기(13)는 아이 바(40)의 스텝(41)에 얹힐 수 있고, 이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이팅(50)에 그레이팅 커버를 쉽게 장착할 수 있고, 그레이팅 커버를 포함한 그레이팅(50)을 배수로(60)에 시공이 편리하며, 배수로(60)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아이 바(4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데코 파트(42)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데코 파트(42)는 내구재 재질로 제공되고 공간이 듬성듬성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코 파트(42)는 그레이팅(50)의 상부로 차량이 통행하거나 사람이 보행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가 훼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도 1,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11)의 측면에 복수의 확장 돌기(14)와 복수의 포켓(1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2개 이상이 연달아 배치될 때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복수의 확장 돌기(14)는 상기 보디(11)의 양쪽 측면에 하측이 넓은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포켓(15)은 상기 보디(11)의 양쪽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보디(11)의 어느 한쪽의 확장 돌기(14)와 상기 보디(11)의 다른 한쪽의 포켓(15)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레이팅 커버를 그레이팅(5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시키면 확장 돌기(14)가 아이 바(40) 또는 다른 그레이팅 커버에 방해받지 않고 아이 바(40)의 사이 또는 그레이팅 커버의 한쪽으로 진입할 수 있다. 진입한 후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보디(11)가 연달아 배치되면 어느 하나의 보디(11)의 확장 돌기(14)가 다른 하나의 보디(11)의 포켓(15)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2개 이상을 연달아 배치할 수 있고, 특히 2개 이상의 그레이팅 커버는 일렬로 정교하게 줄을 지어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는, 샤프트(25)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패널(12)에 닿는 쪽이 반대쪽보다 가볍고,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패널(12)에 닿으면 더는 회전하지 않는 것일 수 있고, 이는 도 4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서 커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커버(40)는 샤프트(25)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왼쪽의 제1 부분(21)은 두껍게 형성되고, 오른쪽의 제2, 3 부분(22, 23)은 상대적으로 매우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22)은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일 때 수평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고, 상기 제3 부분(23)은 상기 제2 부분(22)에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곡선형일 수 있다.
즉, 제1 부분(21)이 상기 제2, 3 부분(22, 23)보다 무게가 무겁게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커버(20)는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항상 제2, 3 부분(22, 23)이 상승하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한편으로, 상기 제3 부분(23)은 커버(20)가 닫혔을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2)에 닿고 이로써 더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21)은 샤프트(25)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은 다른 쪽보다 두께가 두껍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분(22)은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다른 한쪽에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부분(23)은 제2 부분(22)에서 연장되고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아이 바(40) 간의 폭(w-1)이 좁거나 기존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좁을 때 탄력 유닛(30)의 보디(11)와 패널(12) 간의 거리(W)를 좁히도록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거리가 좁혀지더라도 제3 부분(23)은 여전히 패널(12)에 닿을 수 있으므로 커버(20)가 박스(10)를 좀 더 완전하게 닫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20) 폭이 보디(11) 폭보다 크게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커버(20)의 제3 부분(23)인 곡선형 부분이 패널(12)에 닿도록 할 수 있고, 간격이 좁아지더라도 커버(20)가 직선 형태보다 적게 내려감으로써 커버(20)가 좀 더 확실하게 닫힐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보디(11)는, 도 1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포켓(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포켓(17)은 상기 커버(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커버(20)가 회전 운동할 때 상기 커버(20)와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커버(20)와 보디(11) 간에 간격을 최소로 적게 제공할 수 있고, 이는 배수로(60)로부터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해충이 배수로(60)에 출입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위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그레이팅 커버 폭(10)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레이팅(50)과 배수로(60)를 신축하거나 기존 배수로(60)를 보수할 때, 배수로(60)에 설치된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정교하지 않거나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에 작은 차이가 있더라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20)의 폭이 보디(11) 폭보다 크게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팅(50)의 아이 바(40) 간의 폭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커버 모서리 부분이 패널에 닿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커버가 좀 더 확실하게 닫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커버(20)의 샤프트를 기준으로 보디를 닫도록 하는 부분의 무게보다 반대쪽의 무게를 더 무겁게 제공함으로써, 그레이팅 커버의 높이 크기를 낮게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지표면으로부터 같은 깊이를 갖는 배수로(60)를 시공할 때 가능한 배수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커버는 그레이팅에 설치하여 그레이팅을 배수로에 설치하여 빗물 등이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박스 11: 보디
12: 패널 13: 설치 돌기
14: 확장 돌기 15: 포켓
16, 24: 제1, 2 축 구멍 17: 커버 포켓
20: 커버 21, 22, 23: 제1, 2, 3 부분
25: 샤프트
30: 탄력 유닛 32: 가이드 홀
34: 가이드 샤프트 35: 확장 스프링
40: 아이 바 41: 스텝
42: 데코 파트
50: 그레이팅 60: 배수로

Claims (4)

  1. 위에서 내려다볼 때 디귿(ㄷ) 형상으로 형성된 보디(11);
    상기 보디(11)에 설치되어 위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보디(11)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패널(12);
    상기 보디(11) 또는 상기 패널(12)의 측면에 하측이 넓은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이 바(40)의 스텝(41)에 얹히도록 하는 설치 돌기(13);
    상기 보디(11)의 양쪽 측면에 하측이 넓은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확장 돌기(14);
    상기 보디(11)의 양쪽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포켓(15);
    상기 보디(11)에 설치되어 개폐되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패널(12)에 닿아 상기 보디(11)를 닫는 커버(20); 및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의 사이에 주름지게 설치되어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을 연결하고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상기 보디(11)와 상기 패널(12) 간의 거리(W)가 조절되는 탄력 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보디(11)의 어느 한쪽의 확장 돌기(14)와 상기 보디(11)의 다른 한쪽의 포켓(15)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2개 이상의 보디(11)를 연달아 배치하면 어느 하나의 보디(11)의 확장 돌기(14)가 다른 하나의 보디(11)의 포켓(15)에 삽입되는 것;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샤프트(25)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패널(12)에 닿는 쪽이 반대쪽보다 가볍고,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패널(12)에 닿으면 더는 회전하지 않는 것;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어느 한쪽은 다른 쪽보다 두께가 두껍고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부분(21);
    상기 샤프트(25)를 중심으로 다른 한쪽에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부분(22); 및
    상기 제2 부분(22)에서 연장되고 하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부분(23);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11)는, 상기 커버(20)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커버(20)가 회전 운동할 때 상기 커버(20)와 간섭하지 않는 커버 포켓(17);
    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커버.
KR1020200018861A 2019-07-15 2020-02-17 그레이팅 커버 KR102112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68 2019-07-15
KR20190084968 2019-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576B1 true KR102112576B1 (ko) 2020-05-19

Family

ID=7091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61A KR102112576B1 (ko) 2019-07-15 2020-02-17 그레이팅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452A (ko) 2022-06-29 2024-01-05 에코그레이팅주식회사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712B1 (ko) 2005-12-09 2006-03-23 김동영 악취방지용 덮개
KR200427257Y1 (ko) 2006-06-07 2006-09-22 이신우 그레이팅용 덮개
KR100801979B1 (ko) 2006-10-31 2008-02-21 (주)태운건설 그레이팅
KR100830685B1 (ko) * 2007-01-18 2008-05-20 주식회사 세화 유로 개폐용 밸런스게이트를 갖는 그레이팅
KR101001737B1 (ko) * 2010-06-25 2010-12-15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주차장 배수용 스틸 그레이팅
KR101039711B1 (ko) 2010-12-07 2011-06-08 (주)마인드건설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124407B1 (ko) 2011-07-01 2012-03-21 (주)삼정스틸 배수로용 그레이팅
KR20120044591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그레이팅 개폐장치 및 그레이팅 개폐장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KR101319065B1 (ko) 2012-12-14 2013-10-17 신희순 조립식 그레이팅의 제조방법
KR101907892B1 (ko) 2018-04-27 2018-10-15 차창식 자동개폐식 악취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712B1 (ko) 2005-12-09 2006-03-23 김동영 악취방지용 덮개
KR200427257Y1 (ko) 2006-06-07 2006-09-22 이신우 그레이팅용 덮개
KR100801979B1 (ko) 2006-10-31 2008-02-21 (주)태운건설 그레이팅
KR100830685B1 (ko) * 2007-01-18 2008-05-20 주식회사 세화 유로 개폐용 밸런스게이트를 갖는 그레이팅
KR101001737B1 (ko) * 2010-06-25 2010-12-15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주차장 배수용 스틸 그레이팅
KR20120044591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그레이팅 개폐장치 및 그레이팅 개폐장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KR101039711B1 (ko) 2010-12-07 2011-06-08 (주)마인드건설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124407B1 (ko) 2011-07-01 2012-03-21 (주)삼정스틸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319065B1 (ko) 2012-12-14 2013-10-17 신희순 조립식 그레이팅의 제조방법
KR101907892B1 (ko) 2018-04-27 2018-10-15 차창식 자동개폐식 악취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452A (ko) 2022-06-29 2024-01-05 에코그레이팅주식회사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387B2 (en) Door bottom system for an entryway system
JP5450664B2 (ja) 窓戸設備
US8555551B2 (en) Corner pad for a door assembly
KR102112576B1 (ko) 그레이팅 커버
CA2551541A1 (en) Bird/animal restricting vent for fluid/air discharge conduits
KR200484152Y1 (ko) 개폐판을 구비한 배수용 그레이팅
CN206521815U (zh) 防堵型排水井盖
KR20190086907A (ko) 자동 개폐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0911440B1 (ko)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KR102555249B1 (ko) 자동 개폐식 집수구
KR101048587B1 (ko) 다기능 우수받이
KR102354746B1 (ko) 청소차에 의해 청소가 가능한 맨홀 악취 차단 장치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WO2017125713A1 (en) Sliding door mechanism
KR20110102701A (ko) 배수구용 그레이팅
KR20130030069A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1142617B1 (ko) 지렛대 구조에 의해 분해 가능한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1182811B1 (ko) 배수로 덮개
JP7085939B2 (ja) 隠し框外動片引き窓の排水構造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JP3828526B2 (ja) 開口部装置
JP2009079380A (ja) 浴室用引戸枠
JP3242583B2 (ja) 浴室ドアの下枠及び下枠と浴室ドア間の水密構造
KR20150117889A (ko) 잡물유입방지장치 및 그를 가지는 맨홀덮개
JP3224504B2 (ja) 外壁の汚れ防止用水切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