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773A - 차량용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773A
KR20240001773A KR1020220078230A KR20220078230A KR20240001773A KR 20240001773 A KR20240001773 A KR 20240001773A KR 1020220078230 A KR1020220078230 A KR 1020220078230A KR 20220078230 A KR20220078230 A KR 20220078230A KR 20240001773 A KR20240001773 A KR 2024000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housing
hinge
cup hol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주
전효경
여성구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773A/ko
Publication of KR2024000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7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랩에 인서트 러버 구조를 적용하여 플랩의 선회동작에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각 플랩마다 균일하게 제공함과 더불어 플랩과 음료용기 또는 플랩과 하우징 사이에서 접촉시 발생하는 래틀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힌지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은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에 결합되고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를 갖춘 완충 구조물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 장치{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랩에 인서트 러버 구조를 적용하여 플랩의 선회동작에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각 플랩마다 균일하게 제공하고 플랩과 음료용기 사이의 접촉 및 플랩과 하우징 사이의 접촉시 발생하는 래틀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돕기 위한 각종 부가장치들이 구비되는 데, 일례로 컵홀더 장치는 음료용기의 임시 수납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통상적인 컵홀더 장치는 차실내에서 센터 콘솔과 같은 내장파트에 구비된다.
종래, 등록특허 제10-2103599호에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바, 등록특허 제10-2103599호의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차실내에 설치되고 음료용기를 수납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플랩(30), 및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복수의 플랩(3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일의 탄성체(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플랩(3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체(40)에 의해 선회 복원력을 제공받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서는 조립때 마다 탄성체(40)로부터 구현되는 탄성력이 복수의 플랩(30)의 각각에 대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아 각각의 플랩(30) 마다 작동력이 상이하게 발현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둘레에 상기 탄성체(40)를 감싸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탄성체(40)가 가지는 직경만큼 컵홀더의 주변부에서 적정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플랩(30)이 상기 탄성체(40)가 가지는 복원력에 의해 선회할 때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플랩(3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접촉에 의해 래틀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동 감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주행중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수납된 음료용기와 상기 플랩(30) 사이에서도 접촉에 의한 래틀음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플랩(30)에 대해 선회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탄성력 제공 구조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10359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랩에 인서트 러버 구조를 적용하여 플랩의 선회동작에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각 플랩마다 균일하게 제공함과 더불어 플랩과 음료용기 또는 플랩과 하우징 사이에서 접촉시 발생하는 래틀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음료용기를 수납하고 힌지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은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에 결합되고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를 갖춘 완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플랩의 텐션 작용부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반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반력 지지부와의 접촉을 통해 절곡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힌지 수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강성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강성몸체부는 상기 완충 구조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추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반력 지지부와의 접촉을 위해 상기 텐션 작용부의 일측에 접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힌지 구조물의 강성몸체부 사이의 수용공간부에서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1조립홈부에 끼워지는 조립몸체부, 및 상기 조립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음료용기와 접촉 가능한 절곡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몸체부는 상기 강성몸체부 보다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조립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절곡몸체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2조립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돌출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완충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플랩의 텐션 작용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돌출되는 반력 구속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에 의한 구속을 통해 절곡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에 의한 구속을 위해 상기 텐션 작용부의 일측에 돌출형 구조의 끼움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하우징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을 구성하는 완충 구조물의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가 가지는 자체적인 복원력을 이용하여 플랩의 선회에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 구비되는 복수의 플랩들이 모두 일정한 수준의 균일한 작동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감의 개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플랩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와의 접촉 및 하우징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플랩의 완충 구조물이 가지는 절곡몸체부와 완충단부를 통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래틀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으로부터 플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랩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랩의 분해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있어, 음료용기를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랩의 거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있어, 음료용기를 수납한 상태에서 플랩의 거동상태 변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플랩의 설치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으로부터 플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플랩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플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센터 콘솔과 같은 차실내의 특정위치에 설치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조립되도록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20),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탄력적으로 출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이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는 다수의 플랩(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되는 수용용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음료용기의 수납을 위한 소정 용적의 수용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수용공간에 대한 횡단면 구조는 음료용기의 수납에 적합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단측 둘레부위에 상기 플랩(30)에 대한 힌지지점을 설정하기 위한 힌지 수용부(12)를 구비하는 바, 상기 힌지 수용부(12)는 상기 플랩(30)을 선회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힌지 수용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측 둘레부위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이 마감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수용공간을 상부에서 부분적으로 폐쇄시켜 음료용기의 수납을 위한 공간만을 외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소재의 중앙부위가 부분적으로 천공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천공된 부위는 음료용기의 수납을 위한 공간과 부합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플랩(30)의 후술되는 텐션 작용부(34a)와 접촉 가능하게 하향 돌출되는 형태로서 상기 텐션 작용부(34a)에 대해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 지지부(2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랩(30)의 텐션 작용부(34a)는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반력 지지부(22)와의 접촉을 통해 절곡 변형됨으로써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필요로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력 지지부(22)는 상기 플랩(30)의 텐션 작용부(34a)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형태로서, 경사벽 형태의 구조물로 구성된다.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의 힌지 수용부(12)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선회 거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슬롯 형태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탄력적인 선회가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의 전 둘레부위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수량으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플랩(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탄력적으로 출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는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이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플랩(30)은 인서트 러버 구조의 적용을 통해 선회 동작시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자체적으로 생성함과 더불어, 음료용기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래틀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랩(30)은 상기 힌지 수용부(12)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구조물(32), 및 상기 힌지 구조물(32)에 대해 인서트 방식으로 결합되고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34a)를 갖춘 완충 구조물(3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힌지 구조물(32)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플랩(30)을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플랩(30)이 탄력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의 외측면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 구조물(32)은 적정의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단단한 재질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적정의 완충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힌지 구조물(32)과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용기의 외주면과의 밀착을 위해 선회방향 전방부위가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 예컨대 외형이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플랩(30)을 구성하는 상기 힌지 구조물(32)과 상기 완충 구조물(34)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을 도 7 내지 도 9를 각각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힌지 구조물(32)은 상기 힌지 수용부(12)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힌지축(32a), 및 상기 힌지축(32a)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출몰 가능하게 돌출되는 강성몸체부(32b)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힌지축(32a)은 상기 힌지 구조물(32)의 상측의 양단부에 대해 양쪽방향을 따라 수평한 상태에서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강성몸체부(32b)는 상기 완충 구조물(34)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추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힌지 구조물(32)의 내부에 상기 완충 구조물(34)을 인서트 러버 구조로 수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힌지 구조물(32)은 상기 완충 구조물(34)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기 강성몸체부(32b)의 상부에 제1조립홈부(32c)를 형성하고, 상기 강성몸체부(32b)의 하부에 제2조립홈부(32d)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상기 반력 지지부(22)와의 접촉을 위한 상기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34a), 및 상기 텐션 작용부(34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력 지지부(22)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사진 형태의 접촉면부(34b)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상기 힌지 구조물(32)의 강성몸체부(32b)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부에서 상기 힌지 구조물(32)의 제1조립홈부(32c)에 끼워지는 조립몸체부(34c), 및 상기 조립몸체부(34c)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절곡몸체부(34d)를 일체로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절곡몸체부(34d)는 상기 강성몸체부(32b) 보다 외부를 향해 직접적으로 더 노출되어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34)에 있어, 상기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34a)는 상기 조립몸체부(34c)로부터 외부를 향해 더 돌출되는 돌출형 구조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텐션 작용부(34a)는 상기 조립몸체부(34c)에 대해 적정의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예의 형태로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상기 절곡몸체부(34d)의 자유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더 돌출되어 상기 힌지 구조물(32)의 제2조립홈부(32d)로 삽입되는 돌출단부(34e)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상기 돌출단부(34e)로부터 외부를 향해 더 돌출되어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완충단부(34f)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도 10과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러버 구조의 상기 플랩(30)을 구성하는 상기 완충 구조물(34)의 텐션 작용부(34a)가 가지는 자체적인 복원력을 매개로 상기 플랩(30)의 선회에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상기 복수의 플랩(30)들이 모두 일정한 수준의 균일한 작동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감의 개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컵홀더의 내부에 음료용기가 수용될 때, 즉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완충 구조물(34)의 텐션 작용부(34a)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0)의 반력 지지부(22)와의 접촉을 통해 절곡 변형될 수 있으므로, 컵홀더로부터 음료용기가 분리될 때, 즉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필요로 하는 복원 선회에 소요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와의 접촉 및 상기 하우징(10)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조립몸체부(34c)가 가지는 절곡몸체부(34d)와 상기 돌출단부(34e)가 가지는 완충단부(34f)를 통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래틀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로서, 상기 플랩(30)의 설치 구조, 및 상기 플랩(30)을 구성하는 상기 힌지 구조물(32)과 상기 완충 구조물(34)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을 도 12 내지 도 16을 각각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각각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상기 플랩(30)에 대해 반력을 제공하기 위한 반력 지지부(22)가 반력 구속지지부(220)의 형태로 변형 실시되고, 상기 힌지 구조물(32)에 있어 상기 완충 구조물(34)이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220)에 대해 수용 가능한 형태로서 끼움단부(341b)를 일체로 갖춘 변형 실시의 구조로서, 나머지 전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20)는 상기 플랩(30)의 텐션 작용부(34a)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텐션 작용부(34a)에 대해 반력을 제공하는 반력 구속지지부(220)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작용부(34a)는 상기 플랩(30)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220)에 의한 구속을 통해 절곡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완충 구조물(34)은 도 15와 도 1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220)에 의한 걸림방식의 구속을 위해 상기 텐션 작용부(34a)의 일측에 돌출형 구조의 끼움단부(341b)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2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랩(30)의 텐션 작용부(34a)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단부(341b)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돌출되는 형태로서, 격자형 격벽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구조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있어, 상기 하우징(10)의 반력 구속지지부(220)와 상기 완충 구조물(34)의 끼움단부(341b)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고, 그에 따른 동작 및 작용 효과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하우징 12-힌지 수용부
20-커버 플레이트
22-반력 지지부 220-반력 구속지지부
30-플랩
32-힌지 구조물 32a-힌지축
32b-강성몸체부 32c-제1조립홈부
32d-제2조립홈부
34-완충 구조물 34a-텐션 작용부
34b-접촉면부 341b-끼움단부
34c-조립몸체부 34d-절곡몸체부
34e-돌출단부 34f-완충단부

Claims (11)

  1. 내부에 음료용기를 수납하고 힌지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탄력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은
    상기 힌지 수용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 구조물; 및
    상기 힌지 구조물에 결합되고 돌출형 구조의 탄성 거동용 텐션 작용부를 갖춘 완충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플랩의 텐션 작용부와 접촉 가능하게 돌출되는 반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반력 지지부와의 접촉을 통해 절곡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힌지 수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강성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강성몸체부는 상기 완충 구조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추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반력 지지부와의 접촉을 위해 상기 텐션 작용부의 일측에 접촉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힌지 구조물의 강성몸체부 사이의 수용공간부에서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1조립홈부에 끼워지는 조립몸체부; 및
    상기 조립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음료용기와 접촉 가능한 절곡몸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몸체부는 상기 강성몸체부 보다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조립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절곡몸체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2조립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돌출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완충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플랩의 텐션 작용부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돌출되는 반력 구속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에 의한 구속을 통해 절곡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물은
    상기 힌지 수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강성몸체부; 및
    상기 완충 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강성몸체부에 구비되는 제1조립홈부와 제2조립홈부를 구비하되, 상기 강성몸체부는 상기 완충 구조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추도록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반력 구속지지부에 의한 구속을 위해 상기 텐션 작용부의 일측에 끼움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조물은
    상기 힌지 구조물의 강성몸체부 사이의 수용공간부에서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1조립홈부에 끼워지는 조립몸체부;
    상기 조립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음료용기와 접촉 가능한 절곡몸체부;
    상기 절곡몸체부의 자유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힌지 구조물의 제2조립홈부로 삽입되는 돌출단부; 및
    상기 돌출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완충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절곡몸체부는 상기 강성몸체부 보다 외부를 향해 노출되어 상기 플랩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선회할 때 음료용기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텐션 작용부는 상기 조립몸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0220078230A 2022-06-27 2022-06-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240001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230A KR20240001773A (ko) 2022-06-27 2022-06-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230A KR20240001773A (ko) 2022-06-27 2022-06-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773A true KR20240001773A (ko) 2024-01-04

Family

ID=8954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230A KR20240001773A (ko) 2022-06-27 2022-06-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7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599B1 (ko) 2018-06-11 2020-04-24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599B1 (ko) 2018-06-11 2020-04-24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7960C (en) Washing machine having a cover damping force
JP5430575B2 (ja) 2軸ヒンジ機構
CN205713588U (zh) 一种阻尼式汽车铰链
JP2006292090A (ja) 緩衝体の取付け構造
JP5486088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KR102103599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240001773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US6000572A (en) Console box
JP4522977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KR20240001772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5435340B2 (ja) 蓋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087760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731783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US20220212613A1 (en) Wire harness fixing member
CN100526122C (zh) 收纳结构及用于该收纳结构的开盖方法
KR20030022013A (ko) 컵홀더
CN219339288U (zh) 杯托总成和车辆
JP7383663B2 (ja) 車両用収納装置
CN211765272U (zh) 一种具有防晃动结构的车用眼镜盒
EP4324723A1 (en) Steering wheel
JPH0825493B2 (ja) 車両のシート下収納室構造
CN117403973A (zh) 铰链、门体构件及柜体
CN219790273U (zh) 限位装置、线控转向系统和车辆
KR200252014Y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완충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