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558A -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558A
KR20240001558A KR1020220078355A KR20220078355A KR20240001558A KR 20240001558 A KR20240001558 A KR 20240001558A KR 1020220078355 A KR1020220078355 A KR 1020220078355A KR 20220078355 A KR20220078355 A KR 20220078355A KR 20240001558 A KR20240001558 A KR 20240001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rtridge
sensor
protrusion
mounting direction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건 허
장호진
이재래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2007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558A/ko
Priority to US18/075,629 priority patent/US11835884B1/en
Publication of KR2024000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된 본체,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및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에 연동하여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토너 카트리지가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면 센서를 커버하는 제1 위치 또는 토너 카트리지가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면 센서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STRUCTUR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SENSOR FOR DETECTING TONER REMAINING IN TONER CARTRIDGE}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레이저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전사 및 정착 시킴으로써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토너는 현상제로서,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다. 토너 카트리지는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토너 카트리지 내부의 토너의 잔량을 검지하여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 내부의 토너의 잔량은 토너의 소모량을 적산함으로써 예측될 수 있다. 토너의 소모량은 인쇄되는 화소의 수, 토너를 프린터 본체로 공급하는 모터의 구동 시간 등으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도 1은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셔터 부재와 센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어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인쇄 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토너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셔터 부재와 센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는, 본체(1), 센서(20) 및 셔터 부재(10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토너 카트리지(50)의 착탈 경로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0)은 본체(1)의 내벽에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0)은 토너 카트리지(5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50)를 가이드 프레임(10)의 상면에 슬라이딩 장착시킬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0)의 하측에는 토너 저장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가이드 프레임(10)에 장착되면, 토너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토너는 가이드 프레임(10)의 배출홀(12)을 경유하여 토너 저장부(11)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토너는 공급 관로를 통하여 현상기로 공급될 수 있다.
센서(20)는, 토너 카트리지(50)의 토너 잔량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2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고,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2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배출홀(12)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토너 잔량에 따른 전기적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20)는 토너의 잔량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출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는 L-C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L-C회로의 코일에 도체가 접근되면 L-C회로의 인덕턴스가 변할 수 있다. 토너에 포함된 캐리어는 철 성분을 포함하므로, 센서(20)는 센서(20)에 인접한 토너의 양에 따라서 L-C회로의 인덕턴스가 변할 수 있다.
즉, 센서(20)는 L-C 회로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토너 잔량을 검지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의 토너가 소모될수록, 센서(20)에 인접한 토너의 수위(level)가 낮아지며, 센서(6)의 출력값이 변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는, 토너 카트리지(50)에 연동하여 가이드 프레임(10)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부재(100)는, 가이드 프레임(10)의 상면을 따라 토너 카트리지(5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는, 토너 카트리지(50)가 가이드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면 센서(20)를 커버하는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는, 토너 카트리지(50)가 가이드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센서(20)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셔터 부재(100)는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센서(20)를 커버하고, 도 3의 셔터 부재(100)는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센서(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위치의 셔터 부재(100)는 하면이 센서(20)의 상면인 센싱면(20a)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센서(20)는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위치의 셔터 부재(100)는 토너 카트리지(50)와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하여 센서(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센서(20)는 센싱면(20a)이 개방되어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과 마주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0)는, 씰링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 부재(30)는, 셔터 부재(100)에 배치되며 셔터 부재(100)가 제1 위치일 때 센서(20)에 접할 수 있다. 씰링 부재(30)는, 셔터 부재(100)의 하면에 배치되어 셔터 부재(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가 제1 위치일 때, 씰링 부재(30)는 셔터 부재(100)와 센서(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20)의 센싱면(20a)을 커버할 수 있다.
씰링 부재(30)는 우레탄 폼(urethane foam)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다양한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부재(100)가 제1 위치 일 때 씰링 부재(30)가 센서(20)와 접하고 있으므로, 센서(20)는 토너 카트리지(50)나 셔터 부재(100)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는, 탄성 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0)는, 센서(20)와 가이드 프레임(10)을 연결하여, 가이드 프레임(10)에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50)가 센서(20)를 가압하면 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0)는 센서 홀더(21)에 장착되고, 센서 홀더(21)는 센서(20)와 일체로 가이드 프레임(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는 센서 홀더(21)와 가이드 프레임(10)을 연결하여, 센서 홀더(21)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가 제1 위치일 때 센서(20)는 셔터 부재(10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므로, 탄성 부재(40)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셔터 부재(10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센서(20)는 외부로 개방되므로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센서(2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 부재(100)가 제2 위치일 때 센서(20)의 센싱면(20a)은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과 접하므로, 센서(20)는 토너 잔량을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0)은, 토너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토너가 배출되는 배출홀(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홀(12)은 가이드 프레임(10)의 후단에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토너는 배출홀(12)을 경유하여 토너 저장부(11)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110, 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는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110)는, 제1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폐쇄하고, 제2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부재(110)는 배출홀(12)의 상측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부재(120)는 제1 위치일 때 센서(20)를 커버하고, 제2 위치일 때 센서(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제2 위치의 제2 부재(120)에 의해 커버되어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부재(110, 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홀(130)은, 셔터 부재(10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부재(100)가 제2 위치일 때, 센서(20)는 개방홀(13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개방홀(130)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의 셔터 부재(100)의 제2 부재(120)는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센서(20)를 커버할 수 있다. 씰링 부재(30)는, 제2 부재(1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제2 부재(1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 부재(120)의 하면에 배치된 씰링 부재(30)는 센서(20)의 센싱면(20a)과 접할 수 있다. 센서(20)는 씰링 부재(30)에 의해 커버되어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더욱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의 셔터 부재(100)의 제2 부재(120)는 제1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센서(20)의 센싱면(20a)은 개방홀(13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되어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과 접할 수 있다.
즉, 센서(20)는, 제1 위치의 셔터 부재(100)에 의해 커버되므로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제2 위치의 셔터 부재(100)에 의해 개방되므로 토너 잔량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1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20)는 연성의 씰링 부재(30)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수명이 증대되고,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1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센서(20)는 씰링 부재(30)에 의해 클리닝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셔터 부재(100)의 제1 및 제2 부재(110, 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100)의 제1 부재(110)는, 제1 간섭 돌기(111) 및 제2 간섭 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111)는, 제2 간섭 돌기(11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간섭 돌기(111, 112)는 한 쌍씩 형성되며, 제1 부재(1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111)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간섭 돌기(112)는, 상면(112a)이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는, 제1 가압 돌기(51) 및 제2 가압 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돌기(51)는, 제2 가압 돌기(5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압 돌기(111, 112)는 한 쌍씩 형성되며,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가압 돌기(51)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될 때 제1 간섭 돌기(111)를 장착 방향(F)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 가압 돌기(51)의 전면이 제1 간섭 돌기(111)의 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100)는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압 돌기(52)는, 하면(52a)이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때, 제2 가압 돌기(52)의 하면(52a)은 제2 간섭 돌기(112)의 상면(112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후,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11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분리될 때,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112)를 장착 방향(F)의 반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 가압 돌기(52)의 후면이 제2 간섭 돌기(112)의 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100)는 함께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100)는 연동하여 함께 장착 방향(F) 또는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200)는,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는 서로 이격되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는 분리되어 각각 토너 카트리지(50)와 연동될 수 있다.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는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50)에 각각 연동되므로 동일한 속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재(210)는, 제1 위치일 때 가이드 프레임(10)의 배출홀(12)을 폐쇄하고, 제2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부재(220)는, 제1 부재(210)와 이격 배치되어 제1 부재(210)와 독립적으로 토너 카트리지(50)에 연동될 수 있다. 제2 부재(220)는 제1 위치일 때 센서(20)를 커버하고, 제2 위치일 때 센서(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부재(220)가 제2 위치일 때, 센서(20)는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셔터 부재(200)의 제1 부재(210)는, 제1 간섭 돌기(211) 및 제2 간섭 돌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211)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2 간섭 돌기(212)는 상면(212a)이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셔터 부재(200)의 제2 부재(220)는, 제3 간섭 돌기(221) 및 제4 간섭 돌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간섭 돌기(221)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4 간섭 돌기(222)는 상면(222a)이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211)와 제3 간섭 돌기(221)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2 간섭 돌기(212)와 제4 간섭 돌기(22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50)는, 제1 가압 돌기(51), 제2 가압 돌기(52), 제3 가압 돌기(53) 및 제4 가압 돌기(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돌기(51)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될 때 제1 간섭 돌기(211)를 장착 방향(F)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 가압 돌기(51)의 전면이 제1 간섭 돌기(211)의 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제1 부재(210)는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압 돌기(52)는, 하면(52a)이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지고, 토너 카트리지(50)가 분리될 때 제2 간섭 돌기(212)를 장착 방향(F)의 반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때, 제2 가압 돌기(52)의 하면(52a)은 제2 간섭 돌기(212)의 상면(212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후,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21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가압 돌기(53)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될 때 제3 간섭 돌기(221)를 장착 방향(F)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3 가압 돌기(53)의 전면이 제3 간섭 돌기(221)의 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제2 부재(210)는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4 가압 돌기(54)는, 하면(54a)이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지고, 토너 카트리지(50)가 분리될 때 제4 간섭 돌기(222)를 장착 방향(F)의 반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때, 제4 가압 돌기(54)의 하면(54a)은 제2 간섭 돌기(222)의 상면(222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후,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22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분리될 때,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212)를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가압하고, 제4 가압 돌기(54)는, 제4 간섭 돌기(222)를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 가압 돌기(52)의 후면이 제2 간섭 돌기(212)의 전면을 가압하고, 제4 가압 돌기(54)의 후면이 제4 간섭 돌기(222)의 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200)는 함께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 부재(200)의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는 각각 토너 카트리지(50)와 연동하여 함께 장착 방향(F) 또는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부재(220)의 하면에는 씰링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부재(2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20)는 연성의 씰링 부재(30)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수명이 증대되고,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2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센서(20)는 씰링 부재(30)에 의해 클리닝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어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0)는, 도어(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2)는, 본체(1)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기(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는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는, 본체(1)와 연결되는 폭 방향의 회전축(2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압 돌기(2a)는 도어(2)의 내면 중 가이드 프레임(10)과 대응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부재(300)는, 도어(2)가 닫히면 도어(2)의 가압 돌기(2a)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의 셔터 부재(300)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도 16의 셔터 부재(300)는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부재(300)는,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는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프레임(10)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부재(310)는, 제1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폐쇄하고, 제2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부재(320)는 제1 위치일 때 센서(20)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제2 위치의 셔터 부재(300)에 의해 커버되어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셔터 부재(300)는, 제1 부재(310) 및 제2 부재(320)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홀(330)은, 셔터 부재(30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부재(300)가 제2 위치일 때, 센서(20)는 개방홀(33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0)는, 가이드 프레임(10)과 셔터 부재(300)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부재(300)는, 도어(2)가 열리면 탄성 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S)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일단이 가이드 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셔터 부재(300)의 제2 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셔터 부재(3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 부재(S)는 신장될 수 있다. 이후, 도어(2)가 열려서 가압 돌기(2a)의 셔터 부재(300)로의 가압이 해제되면, 셔터 부재(300)는 탄성 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300)는, 간섭 돌기(301)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돌기(301)는, 도어(2)를 향하여 돌출되어 전단(301a)이 가이드 프레임(10)보다 도어(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가압 돌기(2a)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간섭 돌기(301)의 전단(301a)이 가이드 프레임(10)보다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2)의 가압 돌기(2a)는 가이드 프레임(10)과의 간섭 없이 간섭 돌기(301)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제2 부재(320)의 하면에는 씰링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부재(3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20)는 연성의 씰링 부재(30)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수명이 증대되고,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3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센서(20)는 씰링 부재(30)에 의해 클리닝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와 셔터 부재의 연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셔터 부재(400)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부재(410) 및 제2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410, 420)는 서로 이격되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부재(400)의 제1 부재(410)는, 토너 카트리지(50)와 연동하여 제1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폐쇄하고, 제2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셔터 부재(400)의 제1 부재(410)는, 제1 간섭 돌기(411) 및 제2 간섭 돌기(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411)는, 제2 간섭 돌기(41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간섭 돌기(411, 412)는 한 쌍씩 형성되며, 제1 부재(4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411)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간섭 돌기(412)는, 상면(412a)이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카트리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돌기(51) 및 제2 가압 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돌기(51)는, 제2 가압 돌기(5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압 돌기(51, 52)는 한 쌍씩 형성되며,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될 때, 제1 가압 돌기(51)의 전면이 제1 간섭 돌기(411)의 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제1 부재(410)는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때, 제2 가압 돌기(52)의 하면(52a)은 제2 간섭 돌기(412)의 상면(112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후,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41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분리될 때,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412)를 장착 방향(F)의 반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 가압 돌기(52)의 후면이 제2 간섭 돌기(412)의 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400)의 제1 부재(410)는 함께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400)의 제1 부재(410)는 연동하여 함께 장착 방향(F) 또는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400)의 제1 부재(410)는, 전단(410a)에 형성되는 후크 부재(401)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부재(400)의 제2 부재(420)는, 전단(420a)이 후크 부재(401)와 선택적으로 스냅 결합하여 제1 부재(410)와 연동될 수 있다. 후크 부재(401)는 장착 방향(F)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410)의 후크 부재(401)는, 토너 카트리지(50)와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 제2 부재(420)의 전단(420a)과 스냅 결합할 수 있다.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가 결합된 이후에는, 토너 카트리지(50), 제1 부재(410) 및 제2 부재(420)가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400)의 제2 부재(420)는, 전단(420a)에 상측으로 개방된 체결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부재(401)는, 후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고 체결홈(421)에 결합되는 체결 돌기(401a)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부재(401)의 체결 돌기(401a)는, 장착 방향(F)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 제2 부재(420)의 체결홈(421)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재(410)와 제2 부재(420)는 서로 스냅 결합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와 제1 부재(410)가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크 부재(401)는 체결홈(421)에 수용된 상태로 제2 부재(420)를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끌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50), 제1 부재(410) 및 제2 부재(420)가 함께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후크 부재(401)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보조 돌기(4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돌기(401b)는 양단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프레임(10)은, 제2 보조 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돌기(13)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양단(13a, 13b)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져 후크 부재(401)의 제1 보조 돌기(401b)와 간섭할 수 있다. 제2 보조 돌기(13)는 가이드 프레임(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41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보조 돌기(401b)의 전단은 제2 보조 돌기(13)의 후단(13b)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때, 후크 부재(401)의 전단에 배치된 체결 돌기(401a)가 상승하여 제2 부재(420)의 체결홈(42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41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보조 돌기(401b)의 후단은 제2 보조 돌기(13)의 전단(13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 때, 후크 부재(401)의 전단에 배치된 체결 돌기(401a)가 상승하여 제2 부재(420)의 체결홈(421)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제2 위치의 셔터 부재(400)에 의해 커버되어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부재(420)의 하면에는 씰링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부재(4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20)는 연성의 씰링 부재(30)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수명이 증대되고,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4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센서(20)는 씰링 부재(30)에 의해 클리닝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셔터 부재(500)는, 제1 부재(510) 및 제2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재(510, 520)는, 서로 이격되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는, 토너 카트리지(50)와 연동하여 제1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폐쇄하고, 제2 위치일 때 배출홀(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는, 제1 간섭 돌기(511) 및 제2 간섭 돌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511)는, 제2 간섭 돌기(51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간섭 돌기(511, 512)는 한 쌍씩 형성되며, 제1 부재(51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1 간섭 돌기(511)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간섭 돌기(512)는, 상면(512a)이 토너 카트리지(50)의 장착 방향(F)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카트리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돌기(51) 및 제2 가압 돌기(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압 돌기(51)는, 제2 가압 돌기(52)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압 돌기(51, 52)는 한 쌍씩 형성되며, 토너 카트리지(50)의 하면(50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될 때, 제1 가압 돌기(51)의 전면이 제1 간섭 돌기(511)의 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제1 부재(510)는 함께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할 때, 제2 가압 돌기(52)의 하면(52a)은 제2 간섭 돌기(512)의 상면(512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후,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51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50)가 분리될 때, 제2 가압 돌기(52)는, 제2 간섭 돌기(512)를 장착 방향(F)의 반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 가압 돌기(52)의 후면이 제2 간섭 돌기(512)의 전면을 가압하므로,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는 함께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50)와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는 연동하여 함께 장착 방향(F) 또는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는, 후단(510a)에 배치되는 랙 기어(501)를 포함할 수 있다. 랙 기어(501)는 장착 방향(F)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측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2 부재(520)는, 제1 부재(510)의 랙 기어(501)와 맞물려 연동하는 피니언 기어(52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521)는, 원판의 형상을 갖는 제2 부재(520)의 외주면에 배치된 복수의 톱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20)는 센서 홀더(21)에 장착되고, 센서 홀더(21)는 센서(20)와 일체로 가이드 프레임(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는 센서 홀더(21)와 가이드 프레임(10)을 연결하여, 센서 홀더(21)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가 토너 카트리지(50)와 연동하여 장착 방향(F)으로 이동하면, 제2 부재(520)의 피니언 기어(521)는 제1 부재(510)의 랙 기어(501)와 맞물려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제1 위치의 제2 부재(520)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가, 제2 위치의 제2 부재(520)에 의해 개방되어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2 부재(520)는, 제2 위치일 때 센서(20)를 개방시키는 개구(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522)는 제2 부재(520)의 일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522)는 센서(20)의 센싱면(20a)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셔터 부재(500)의 제1 부재(510)가 토너 카트리지(50)와 연동하여 장착 방향(F)의 반대 방향(R)으로 이동하면, 제2 부재(520)의 피니언 기어(521)는 제1 부재(510)의 랙 기어(501)와 맞물려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제2 위치의 제2 부재(520)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가, 제1 위치의 제2 부재(520)에 의해 다시 커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제2 위치의 셔터 부재(500)에 의해 커버되어 토너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토너 잔량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부재(520)의 하면에는 씰링 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 부재(5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20)는 연성의 씰링 부재(30)와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20)는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 수명이 증대되고,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부재(50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센서(20)는 씰링 부재(30)에 의해 클리닝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토너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이 형성된, 본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센서를 커버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면 상기 센서를 개방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된 토너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배출홀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배출홀을 개방시키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연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센서를 커버하고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센서를 개방시키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재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간섭 돌기 및 상면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간섭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제1 간섭 돌기를 상기 장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돌기 및
    하면이 상기 장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될 때 상기 제2 간섭 돌기를 상기 장착 방향의 반대로 가압하는 제2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간섭 돌기 및 상면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간섭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3 간섭 돌기 및 상면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4 간섭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제1 간섭 돌기를 상기 장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돌기,
    하면이 상기 장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될 때 상기 제2 간섭 돌기를 상기 장착 방향의 반대로 가압하는 제2 가압 돌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제3 간섭 돌기를 상기 장착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3 가압 돌기 및
    하면이 상기 장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분리될 때 상기 제4 간섭 돌기를 상기 장착 방향의 반대로 가압하는 제4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셔터 부재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도어를 향하여 돌출되어 전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보다 상기 도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간섭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후단에 형성되는 후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전단이 상기 후크 부재와 선택적으로 스냅 결합하여 상기 제1 부재와 연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전단에 상측으로 개방된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부재는, 후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보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양단이 각각 상향 및 하향 경사져 상기 제1 보조 돌기와 간섭하는 제2 보조 돌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후단에 배치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제1 부재상기 랙 기어와 맞물려 연동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위치일 때 상기 센서를 개방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일 때 상기 센서에 접하는 씰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센서를 가압하면 압축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토너 카트리지가 착탈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내벽에 고정되어,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경로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를 커버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센서를 개방시키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20078355A 2022-06-27 2022-06-27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KR20240001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355A KR20240001558A (ko) 2022-06-27 2022-06-27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US18/075,629 US11835884B1 (en) 2022-06-27 2022-12-06 Structure for opening and shutting of sensor for detecting toner remaining in tone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355A KR20240001558A (ko) 2022-06-27 2022-06-27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558A true KR20240001558A (ko) 2024-01-03

Family

ID=8897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355A KR20240001558A (ko) 2022-06-27 2022-06-27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35884B1 (ko)
KR (1) KR20240001558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2111B2 (ja) * 1997-11-06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残量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00897B2 (ja) 2012-02-20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40117132A (ko) 2013-03-26 2014-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498030B2 (ja) * 2015-05-18 2019-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264525B1 (ko) * 2018-04-19 2021-06-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제 카트리지의 현상제 잔량을 검지하는 구조
JP2021196409A (ja) * 2020-06-10 2021-1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35884B1 (en) 2023-12-05
US20230418179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257B2 (en) Ink level detecting device functioning as cover opening sensor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224225B2 (en) Waste powder recovery container, connecting structure to waste powder recovery container,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4984023A (en) Toner cartridge
ITTO940816A1 (it) "apparecchiatura per la formazione di immagini"
JP200630901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917078B2 (en) Waste coll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849977A (zh) 成像设备
CN105388741B (zh) 图像形成设备
JP5145370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40001558A (ko)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개폐 구조
JP5033170B2 (ja) 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66582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装着可能なトナー容器
JP5855595B2 (ja) 画像形成装置
US86260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verturning prevention parts
KR20210115175A (ko)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JP436533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トナーカートリッジ交換方法
JP5819339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46025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2005195791A (ja) トナー残量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N105388735B (zh) 图像形成设备
US10663918B2 (en) Sup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5195885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006297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18660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기와 토너 유무 감지장치
JP2024032619A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