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622U -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 Google Patents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622U
KR20240000622U KR2020220002359U KR20220002359U KR20240000622U KR 20240000622 U KR20240000622 U KR 20240000622U KR 2020220002359 U KR2020220002359 U KR 2020220002359U KR 20220002359 U KR20220002359 U KR 20220002359U KR 20240000622 U KR20240000622 U KR 20240000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wire
molding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호
Original Assignee
임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호 filed Critical 임태호
Priority to KR2020220002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622U/ko
Publication of KR20240000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6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25Plin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6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mounting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코너 부위에 전선을 배선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돌출된 느낌을 최소화하고 깔끔한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건물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제1벽체와 제1벽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제2벽체의 경계에 있는 코너 부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안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벽체에 접하는 제1판과 제2벽체에 접하는 제1판을 포함하는 몰딩본체; 및 상기 전선안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제1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판에 결합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Wire Molding For Conner Place}
본 고안은 전선용 몰딩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코너 부위에 전선을 배선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돌출된 느낌을 최소화하고 깔끔한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공간에 전선을 배선하여야 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전선은 전력선이 될 수도 있고 통신선이 될 수도 있다. 전선이 실내공간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은 미관에 좋지 못하다. 그러므로 전선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전선 몰딩이 사용된다.
전선 몰딩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사각형으로 일정하게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종래의 전선 몰딩은 단면이 ""와 같은 몰딩본체와, 이 몰딩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전선안착공간을 형성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몰딩본체는 벽이나 바닥에 접착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착테잎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전선 몰딩은 실내공간을 향해 심하게 돌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설치시 실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설치 후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전선 몰딩과 벽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끼어 청결하지 못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841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실내의 코너 부위에 전선을 배선할 때 사용하기 위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먼지 등 이물질이 틈새에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건물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제1벽체와 제1벽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제2벽체의 경계에 있는 코너 부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안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벽체에 접하는 제1판과 제2벽체에 접하는 제1판을 포함하는 몰딩본체; 상기 전선안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제1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판에 결합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몰딩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와 같이 일정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전선안착공간은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는 연결대가 개입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는 평판, 곡면판 또는 절곡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판 및 제2판의 표면에는 상기 제1벽체 및 제2벽체에 각각 접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테잎이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내의 코너 부위에 전선을 배선할 때 사용하기 위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이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덮개판이 벽체와 사선을 이루게 됨으로써 직각 모서리 부분이 없어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먼지 등 이물질이 틈새에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이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의 정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필요한 곳에서 나머지 도면을 인용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1. 이하, '전선 몰딩'이라 함)은, 건물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제1벽체(W)와 제1벽체(W)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제2벽체(F)의 경계에 있는 코너 부분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제1,2벽체(W,F)는 천장, 측벽 또는 바닥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벽체(W)는 측벽이고, 제2벽체(F)는 바닥이다. 물론 전선 몰딩(1)은 측벽과 측벽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전선 몰딩(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가진다. 전선 몰딩(1)은 덮개판(10)과 몰딩본체(20)를 포함하고 있다. 몰딩본체(20)는 전선(T, 도 4 참조)이 끼워지게 되는 전선안착공간(S)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벽체(W)에 접하는 제1판(23)과 제2벽체(F)에 접하는 제2판(24)을 포함하고 있다.
덮개판(10)은 밀폐된 전선안착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제1판(23)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판(24)에 결합한다. 덮개판(10)의 본체(13)는 평판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의 표면(10a)에는 잘 휘어질 수 있도록 요철홈이 마련될 수도 있고 미감을 위한 장식적 요소가 결합될 수도 있다.
덮개판(10)과 몰딩본체(20)의 결합방식은 돌기와 홈의 암수결합 방식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몰딩본체(20)의 좌우측에는 레일(21,22)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덮개판(10)에는 레일(21,22)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끼움돌기(11,12)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판(10)과 몰딩본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러나 몰딩본체(20)가 좌우측으로 탄성적으로 오므라들게 함으로써 압입에 의해서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몰딩본체(20)는 도 1,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와 같이 일정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전선안착공간(S)은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코너 부위에 설치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건물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덮개판(10)와 몰딩본체(20)의 양단 결합부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뭉툭하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11a,12a)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벽체(W,F)와의 경계부위가 더 깔끔하게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몰딩본체(20)의 제1판(23)과 제2판(24)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들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대(25)가 개입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연결대(25)는 판체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대(25)는 곡면판 또는 절곡판이 될 수도 있다. 연결대(25)에 의해 전선안착공간(S)의 형태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될 수 있다. 제1,2판(23,24)과 연결대(25)는 인발이나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대(25)에 의해 전선안착공간이 좁아지게 되지만 제1,2벽체(W,F)의 연결부위가 돌출부에 의해 매끄럽지 않은 설치환경에서는 이 돌출부를 회피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판(23,24)이 제1,2벽체(W,F)에 더 확실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판(23) 및 제2판(24)의 표면(20a,20b)에는 상기 제1벽체(W) 및 제2벽체(F)에 각각 접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테잎(미도시됨)이 고정될 수 있다. 접착테잎은 양면접착테잎일 수 있다. 접착테잎을 사용함으로써 전선 몰딩(1)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코너부위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10 : 덮개판
11,12 : 끼움돌기 13 : 덮개판 본체
20 : 몰딩본체 21,22 : 레일
23,24 : 제1,2판 25 : 연결대
S : 전선안착공간 W : 전선
W,F : 제1,2벽체

Claims (4)

  1. 건물의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제1벽체와 제1벽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제2벽체의 경계에 있는 코너 부분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안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벽체에 접하는 제1판과 제2벽체에 접하는 제1판을 포함하는 몰딩본체; 및
    상기 전선안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상기 제1판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판에 결합하는 덮개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면이 ""와 같이 일정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전선안착공간은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는 연결대가 개입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는 평판, 곡면판 또는 절곡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 및 제2판의 표면에는 상기 제1벽체 및 제2벽체에 각각 접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테잎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KR2020220002359U 2022-10-05 2022-10-05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KR202400006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59U KR20240000622U (ko) 2022-10-05 2022-10-05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59U KR20240000622U (ko) 2022-10-05 2022-10-05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622U true KR20240000622U (ko) 2024-04-12

Family

ID=9065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59U KR20240000622U (ko) 2022-10-05 2022-10-05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62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0Y1 (ko) 2016-09-05 2019-01-25 백지수 전선용 몰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0Y1 (ko) 2016-09-05 2019-01-25 백지수 전선용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7518B2 (en) Floor corner guard apparatus and method
US5732747A (en) Cove molding cover for electrical cables
HU224932B1 (en) Skirting board with finishing elements
US9797131B1 (en) Mullion seal
US20220320842A1 (en) Flexible channel molding assemblies
KR20240000622U (ko) 코너설치용 전선 몰딩
JP5225926B2 (ja) ダクトハウジング接続構造
US20120085048A1 (en) Cove former
JP3246248B2 (ja) パネルの遮音構造
JP5967770B2 (ja) 幅木の取付構造
JP4217983B2 (ja) 防塵シートおよびその布設方法
JP5652713B2 (ja) 電磁シールド室、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11287044B1 (en) Slide seal
KR100961092B1 (ko) 칸막이의 티자형 연결구조
JP7190227B1 (ja) 通気ガラリ装置及び通気ガラリ付きパネル
JP2002371636A (ja) パネルの連結兼目地部カバー装置
JPH0626592A (ja) 配管・配線用ダクト
JPH11101389A (ja) 長尺体カバー部材
CN212796475U (zh) 车门玻璃导轨、车门玻璃导轨总成和车辆
JP2018062746A (ja) 仕切り部材、及び床面仕切り構造
JP3685017B2 (ja) 端部カバー
JP5358815B2 (ja) スパンドレル用ボーダー
JP5215052B2 (ja) 配線用見切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線構造
TWI532905B (zh) Armrest and armrest assembly
US10065553B2 (en) Continuous snap in trac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