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19U - 테이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19U
KR20240000119U KR2020220001699U KR20220001699U KR20240000119U KR 20240000119 U KR20240000119 U KR 20240000119U KR 2020220001699 U KR2020220001699 U KR 2020220001699U KR 20220001699 U KR20220001699 U KR 20220001699U KR 20240000119 U KR20240000119 U KR 202400001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housing
cover
shaf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신
Original Assignee
윤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신 filed Critical 윤여신
Priority to KR2020220001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119U/ko
Publication of KR202400001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1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테이프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이프롤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테이프롤의 릴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제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 제1 커버부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와 측방 이격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측부를 구획하고 상단에 테이프롤에서 인출된 테이프를 가압 커팅 가능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측벽부, 및 제1 커버부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와 상방 이격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을 구획하고 테이프롤에서 상방 인출되어 테이프롤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어 테이프를 커팅부 측으로 가이드하는 상벽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테이프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TAPE}
본 고안은 테이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는 종이나 필름 따위로 만든 얇고 긴 띠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물건을 봉하거나 포장할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심지가 되는 릴에 적층하여 말아 접착한 롤의 형태로 생산되어 공급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롤에서 테이프를 떼어내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테이프의 절단을 위해 칼이나 가위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롤 형태의 테이프를 용이하게 보관 가능하면서도 테이프를 편리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0441호 (2016.02.11. 공개)
본 고안은 롤 형태의 테이프를 용이하게 보관 가능하면서도 테이프를 편리하게 절단하여 사용 가능한 테이프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이프롤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테이프롤의 릴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제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 제1 커버부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와 측방 이격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측부를 구획하고 상단에 테이프롤에서 인출된 테이프를 가압 커팅 가능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측벽부, 및 제1 커버부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와 상방 이격되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을 구획하고 테이프롤에서 상방 인출되어 테이프롤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어 테이프를 커팅부 측으로 가이드하는 상벽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벽부는, 제1 샤프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테이프롤에서 상방 인출된 테이프의 후단부 측과 접착됨에 따라 테이프의 회전축으로 작용해, 회전되는 테이프를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커팅부 측에 배치되어 테이프의 전단부 측과 접착됨에 따라 테이프의 회전축으로 작용해, 회전되는 테이프를 커팅부 상으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벽부는, 제1 가이드부로부터 제2 가이드부를 향해 제1 샤프트 측으로 기울어진 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와 접착되어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상태에서 연장부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연장부와 접착되되 제2 가이드부로부터 떨어져 전단부의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장부는,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샤프트 측으로 만곡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커버부와 대향 배치되고 측벽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제1 가이드부 및 제2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끼움홀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 및 제2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제1 끼움홀에 대응되는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제1 끼움 돌기는, 제2 커버부가 회전되어 제1 커버부와 대향됨에 따라 제1 끼움홀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측벽부는, 테이프를 커팅하기 위해 커팅부 측으로 가압 시 커팅부를 지지 가능하도록, 커팅부 측에 형성되어 제1 커버부와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커버부와 대향 배치되고 측벽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 및 제2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끼움홀이 형성되고, 지지부 및 제2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끼움홀에 대응되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제2 끼움 돌기는, 제2 커버부가 회전되어 제1 커버부와 대향됨에 따라 제2 끼움홀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샤프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커버부와 결합되는 제2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은, 제1 커버부와 대향 배치되고 측벽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샤프트 및 제2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끼움홀이 형성되고, 제2 샤프트 및 제2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제3 끼움홀에 대응되는 제3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제3 끼움 돌기는, 제2 커버부가 회전되어 제1 커버부와 대향됨에 따라 제3 끼움홀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측벽부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 가능한 테이프롤의 직경을 증가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롤 형태의 테이프를 용이하게 보관 가능하면서도 테이프를 편리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의 내부에 테이프롤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테이프롤로부터 테이프가 인출되어 절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에서 테이프롤로부터 인출되어 절단된 테이프를 다시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100)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롤(10)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10), 및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테이프롤(10)의 릴(20)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160)를 포함하고, 하우징(110)은, 제1 샤프트(160)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120),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160)와 측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측부를 구획하고 상단에 테이프롤(10)에서 인출된 테이프(30)를 가압 커팅 가능한 커팅부(132)가 형성되는 측벽부(130), 및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160)와 상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을 구획하고 테이프롤(10)에서 상방 인출되어 테이프롤(1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테이프(30)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어 테이프(30)를 커팅부(132) 측으로 가이드하는 상벽부(140)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10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과 제1 샤프트(160)를 통해 테이프롤(10)을 용이하게 보관 가능하면서도 제1 샤프트(160), 측벽부(130) 및 상벽부(140)를 통해 편리하게 테이프롤(10)에서 테이프(30)를 인출해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공급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10)은, 테이프롤(10)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배치된 테이프롤(10)의 소모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6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테이프롤(10)의 릴(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롤(10)이 제1 샤프트(160)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거치되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이프롤(10)은 테이프(30) 인출 시 제1 샤프트(16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10)은, 제1 샤프트(160)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120), 및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벽부(130), 상벽부(140) 및 하벽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30)는,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160)와 측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측부를 구획하고 상단에 테이프롤(10)에서 인출된 테이프(30)를 가압 커팅 가능한 커팅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롤(10)에서 테이프(30)를 인출하여 측벽부(130)의 상단에 형성된 커팅부(132) 상에서 가압함으로써 테이프(30)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할 수 있다.
상벽부(140)는,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160)와 상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을 구획하고 테이프롤(10)에서 상방 인출되어 테이프롤(1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테이프(30)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어 테이프(30)를 커팅부(132)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벽부(140)는 제1 샤프트(160) 상측에 배치되어 테이프롤(10)에서 상방으로 인출된 테이프(30)의 전부 내지 일부와 접착되면서 테이프(30)를 측벽부(130)의 상단에 형성된 커팅부(132)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하벽부(180)는,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되 제1 샤프트(160)와 하방 이격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하측을 구획할 수 있으며, 측벽부(130)와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벽부(140)는, 제1 샤프트(160)의 상측에 배치되어 테이프롤(10)에서 상방 인출된 테이프(30)의 후단부 측과 접착됨에 따라 테이프(30)의 회전축으로 작용해, 회전되는 테이프(30)를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142), 및 커팅부(132) 측에 배치되어 테이프(30)의 전단부 측과 접착됨에 따라 테이프(30)의 회전축으로 작용해, 회전되는 테이프(30)를 커팅부(132) 상으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테이프(30)가 인출되어 절단되는 모습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160)를 축으로 테이프롤(10)을 회전시키면서 테이프(30)를 상방으로 인출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 테이프(30)의 후단부 측을 제1 가이드부(142)와 접착시킨 상태에서 테이프(30)를 제1 가이드부(142)를 축으로 해 테이프롤(1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가이드부(142)의 측방에 배치된 제2 가이드부(144) 측으로 이동시키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30)의 전단부 측을 제2 가이드부(144)와 접착시킨 상태에서 다시 제2 가이드부(144)를 축으로 해 테이프롤(10)의 회전 방향으로 테이프(30)를 회전시켜 테이프(30)를 커팅부(132) 상으로 이동시키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132) 상에 위치된 테이프(30)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테이프(30)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할 수 있다.
상벽부(140)는, 제1 가이드부(142)로부터 제2 가이드부(144)를 향해 제1 샤프트(160) 측으로 기울어진 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연장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장부(146)는 제1 가이드로부터 제2 가이드부(144)를 향해 연장되되 그 연장 형상에 있어 제1 가이드로부터 제1 샤프트(160) 측으로, 또 제2 가이드부(144)로부터 제1 샤프트(160)측으로 기울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30)는, 제1 가이드부(142) 및 제2 가이드부(144)와 접착되어 커팅부(132)에 의해 커팅된 상태에서 연장부(146)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연장부(146)와 접착되되 제2 가이드부(144)로부터 떨어져 전단부의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테이프롤(10)에서 인출되어 절단된 테이프(30)를 다시 사용하는 모습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30)가 제1 가이드부(142) 및 제2 가이드부(144)와 접착되어 커팅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30)를 연장부(146)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테이프(30)가 연장부(146)와 접착되되 제2 가이드로부터 떨어져 테이프(30) 전단부의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된 테이프(30) 전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테이프(30)를 연장부(146)에서 떼어내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30)의 후단부 측이 제1 가이드부(142)와 접착된 상태로서, 테이프(30)를 제1 가이드부(142)를 축으로 해 회전시켜 절단을 위해 제2 가이드부(144)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30)를 다시 사용하는 과정에서 테이프(30)가 연장부(146)와 접착된 후 다시 연장부(146)로부터 떼어져 재사용되므로, 본 실시예가 마스킹 테이프(30)와 같이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고 재접착이 가능한 종류의 테이프(30)에 사용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30) 절단 사용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46)는,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1 샤프트(160) 측으로 만곡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부(142) 및 제2 가이드부(144)와 접착되어 커팅부(132)에 의해 커팅된 상태의 테이프(30)를 연장부(146) 측으로 가압해 보다 효과적으로 연장부(146)와 접착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1 커버부(120)와 대향 배치되고 측벽부(1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부(150)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58)가 돌출되고, 돌출부(158) 및 측벽부(130) 중 어느 하나에는 제4 끼움홀(139)이 형성되고, 돌출부(158) 및 측벽부(130) 중 다른 하나에는 제4 끼움홀(139)에 대응되는 제4 끼움 돌기(159)가 형성되고, 제4 끼움 돌기(159) 및 제4 끼움홀(139)은, 끼움 결합됨에 따라 제2 커버부(150)의 회전에 대한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42) 및 제2 커버부(15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끼움홀(143)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142) 및 제2 커버부(150) 중 다른 하나에는 제1 끼움홀(143)에 대응되는 제1 끼움 돌기(153)가 형성되고, 제1 끼움 돌기(153)는, 제2 커버부(150)가 회전되어 제1 커버부(120)와 대향됨에 따라 제1 끼움홀(143)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142)는 전술한 테이프(30)를 가이드하는 기능과 더불어 제2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측벽부(130)는, 테이프(30)를 커팅하기 위해 커팅부(132) 측으로 가압 시 커팅부(132)를 지지 가능하도록, 커팅부(132) 측에 형성되어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는 지지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테이프(30) 커팅을 위해 테이프(30)를 커팅부(132)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커팅부(132)에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지지부(134)가 커팅부(132) 측에 형성되어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됨으로써 가압력에 대해 커팅부(132)를 지지하여 보강할 수 있다.
지지부(134) 및 제2 커버부(15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끼움홀(135)이 형성되고, 지지부(134) 및 제2 커버부(150) 중 다른 하나에는 제2 끼움홀(135)에 대응되는 제2 끼움 돌기(155)가 형성되고, 제2 끼움 돌기(155)는, 제2 커버부(150)가 회전되어 제1 커버부(120)와 대향됨에 따라 제2 끼움홀(135)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34)는 전술한 커팅부(132)를 지지하는 기능과 더불어 제2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커버부(120)와 결합되는 제2 샤프트(170)를 더 포함하고,
제2 샤프트(170) 및 제2 커버부(150)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끼움홀(157)이 형성되고, 제2 샤프트(170) 및 제2 커버부(150) 중 다른 하나에는 제3 끼움홀(157)에 대응되는 제3 끼움 돌기(177)가 형성되고, 제3 끼움 돌기(177)는, 제2 커버부(150)가 회전되어 제1 커버부(120)와 대향됨에 따라 제3 끼움홀(157)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샤프트(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롤(10)을 거치하여 그 회전축이 되고 이 때 그 내부에 배치된 제2 샤프트(170)는 제2 커버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측벽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 가능한 테이프롤(10)의 직경을 증가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측벽부(130)의 전부 내지 일부가 제1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하여 테이프롤(10)의 곡률에 따라 외측으로 만곡됨으로써 테이프롤(10)의 증가된 직경을 수용할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테이프롤
20: 릴
30: 테이프
100: 테이프 공급 장치
110: 하우징
120: 제1 커버부
130: 측벽부
132: 커팅부
134: 지지부
135: 제2 끼움홀
139: 제4 끼움홀
140: 상벽부
142: 제1 가이드부
143: 제1 끼움홀
144: 제2 가이드부
146: 연장부
150: 제2 커버부
153: 제1 끼움 돌기
155: 제2 끼움 돌기
157: 제3 끼움홀
158: 돌출부
159: 제4 끼움 돌기
160: 제1 샤프트
170: 제2 샤프트
177: 제3 끼움 돌기
180: 하벽부

Claims (10)

  1. 테이프롤을 배치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테이프롤의 릴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샤프트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와 결합되되 상기 제1 샤프트와 측방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측부를 구획하고 상단에 상기 테이프롤에서 인출된 테이프를 가압 커팅 가능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결합되되 상기 제1 샤프트와 상방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측을 구획하고 상기 테이프롤에서 상방 인출되어 상기 테이프롤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테이프의 적어도 일부와 접착되어 상기 테이프를 상기 커팅부 측으로 가이드하는 상벽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롤에서 상방 인출된 상기 테이프의 후단부 측과 접착됨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회전축으로 작용해, 회전되는 상기 테이프를 측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커팅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의 전단부 측과 접착됨에 따라 상기 테이프의 회전축으로 작용해, 회전되는 상기 테이프를 상기 커팅부 상으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2 가이드부를 향해 상기 제1 샤프트 측으로 기울어진 면을 형성하면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접착되어 상기 커팅부에 의해 커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와 접착되되 상기 제2 가이드부로부터 떨어져 전단부의 접착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테이프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손가락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샤프트 측으로 만곡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끼움홀에 대응되는 제1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끼움 돌기는,
    상기 제2 커버부가 회전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됨에 따라 상기 제1 끼움홀과 끼움 결합되는, 테이프 공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테이프를 커팅하기 위해 상기 커팅부 측으로 가압 시 상기 커팅부를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커팅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테이프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제2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끼움홀에 대응되는 제2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움 돌기는,
    상기 제2 커버부가 회전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됨에 따라 상기 제2 끼움홀과 끼움 결합되는, 테이프 공급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결합되는 제2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3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커버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3 끼움홀에 대응되는 제3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끼움 돌기는,
    상기 제2 커버부가 회전되어 상기 제1 커버부와 대향됨에 따라 상기 제3 끼움홀과 끼움 결합되는, 테이프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배치 가능한 상기 테이프롤의 직경을 증가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곡면을 가지는, 테이프 공급 장치.
KR2020220001699U 2022-07-11 2022-07-11 테이프 공급 장치 KR202400001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99U KR20240000119U (ko) 2022-07-11 2022-07-11 테이프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99U KR20240000119U (ko) 2022-07-11 2022-07-11 테이프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19U true KR20240000119U (ko) 2024-01-18

Family

ID=8971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99U KR20240000119U (ko) 2022-07-11 2022-07-11 테이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11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41U (ko) 2014-07-29 2016-02-11 박건우 접착 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41U (ko) 2014-07-29 2016-02-11 박건우 접착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8508C2 (ru) Кассета с низким трением
US7334620B2 (en) Adhesive tape cutter
US20080277517A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20240000119U (ko) 테이프 공급 장치
JP2006206110A (ja) ラップフィルムの格納用化粧箱
JPH1067460A (ja) 特に接着テープのための、テープディスペンサボックス
JP2012096335A (ja) ラベルカスの裁断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60131356A1 (en) Adhesive tape cutter
JP2009292508A (ja) ラップフィルム用収納箱
JP2009527372A (ja) 各種タイプの物品の被覆装置
TW201742791A (zh) 無核心可撓性膜包裝系統及用於其之無核心容納包裝
JP2007296005A (ja) 紙体ホルダー
US10815092B2 (en) Dispenser cartridge and wiper
JPH05502205A (ja) 袋物封止器とその接着テープ
JPH03119083A (ja) 修正テープホルダー
JP2016169044A (ja) ラップフィルム用カートン
KR20140142831A (ko) 롤 테이프 디스펜서
AU2015238929B2 (en) Tape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JP4020103B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およびプリンタ
JP4249568B2 (ja) 塗膜転写具
KR102634874B1 (ko) 테이프 디스펜서
JP2552402Y2 (ja) 背貼機用テープ
KR102328554B1 (ko)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JP2006347760A (ja) 粘着テープカッタ
JP3898901B2 (ja) テープ状物品収納体の端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