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54B1 -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554B1
KR102328554B1 KR1020200073791A KR20200073791A KR102328554B1 KR 102328554 B1 KR102328554 B1 KR 102328554B1 KR 1020200073791 A KR1020200073791 A KR 1020200073791A KR 20200073791 A KR20200073791 A KR 20200073791A KR 102328554 B1 KR102328554 B1 KR 10232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oll
adhesive tape
free en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20007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롤 테이프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롤 테이프의 지지 및 지지 해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ADHESIVE TAPE DISPEN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접착테이프를 절단하여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제공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테이프는 박스(box), 포장지 등을 포장 상태로 유지하는 용도, 봉투의 입구를 봉하는 용도, 물품 등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용도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접착테이프는 롤(roll)에 연속적으로 감긴 형태로 제공된다.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롤 테이프(roll tape)를 사용하려면, 접착테이프를 롤로부터 직접 풀어서 인출하고, 풀린 접착테이프를 가위, 칼 등에 의하여 필요한 길이로 직접 절단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 의하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는 포장 작업 등의 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0559051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328108호 등에는 롤에 연속적으로 감긴 접착테이프를 절단하여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접착테이프 디스펜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를 사용하면,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된 접착테이프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착테이프를 직접 절단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는 롤 지지 유닛(roll supproting unit) 및 테이프 인출 드럼(tape pulling drum)을 포함한다. 롤 지지 유닛은 롤 테이프의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테이프 인출 드럼은 롤 지지 유닛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테이프 인출 드럼은 외주에 롤 지지 유닛에 의하여 지지된 롤로부터 풀린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부착되어 회전 시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외주 방향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롤로부터 인출한다. 롤 지지 유닛은 외주에 롤 테이프의 롤이 삽입되는 롤 지지 드럼을 포함하여 롤 지지 드럼이 롤에 삽입된 상태로 롤 테이프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롤 지지 드럼의 직경에 따라 일정한 범위 내 규격의 롤 테이프에 한해서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9051호(2006.03.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8108호(2013.11.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규격의 롤 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도록 된 디스펜서 하우징(dispenser housing) 내의 후방 부분에서 접착테이프가 감긴 롤을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 지지 유닛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 내의 전방 부분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외주에 상기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부착되어 회전 시에 부착된 상기 접착테이프를 외주 방향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상기 롤 지지 유닛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롤로부터 인출하는 테이프 인출 드럼과; 상기 테이프 인출 드럼의 외주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상기 접착테이프를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tape cutting device)를 포함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 지지 유닛은 제1 지지 드럼(first support drum), 레버 플레이트(lever plate) 그리고 제2 지지 드럼(second support dru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 드럼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방 부분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적용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배치되고, 제1 크기의 외주를 가지며, 외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이 개구(opening)에 의하여 단절되어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엔드(first end)와 제2 엔드(second end)를 가진 제1 림(first rim)과; 상기 축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림의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에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side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자유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 드럼은, 상기 자유단의 내측에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외주를 가진 제2 림(second ri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는 상기 롤을 규격에 따라 상기 제1 림과 상기 제2 림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때에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엔드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림의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때에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 사이 부분이 상기 제2 엔드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엔드와 상기 자유단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임시로 결합하기 위한 돌기와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드럼, 레버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드럼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배치되고, 제1 크기의 외주를 가지며, 외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이 개구에 의하여 단절되어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엔드와 제2 엔드를 가진 제1 림과; 상기 축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림의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에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드럼은, 상기 자유단의 내측에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외주를 가진 제2 림을 포함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용 롤 지지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용 롤 지지 유닛은 롤 테이프를 롤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제1 림과 상기 제2 림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롤 테이프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 지지 유닛이,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롤 테이프가 거치되는 제1 지지 드럼 및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의 롤 테이프가 거치되는 제2 지지 드럼을 포함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규격의 롤 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롤 지지 유닛이 레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제2 지지 드럼이,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지지 드럼의 내부에 위치(수용)되거나 제1 지지 드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 지지 드럼의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2 지지 드럼을 제1 지지 드럼의 외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지지 드럼에 대한 롤 테이프의 거치 및 거치 해제 작업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2 지지 드럼이, 제1 지지 드럼의 외부에 위치된 때 디스펜서 하우징의 상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롤 지지 유닛 그 전체를 디스펜서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함이 없이 제2 지지 드럼에 대한 롤 테이프의 거치 및 거치 해제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지지 드럼이 제1 지지 드럼의 내부에 위치된 때 레버 플레이트의 회전을 임시 결합에 의하여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롤 테이프를 제1 지지 드럼에 거치하고 사용하는 때에 레버 플레이트의 건들거림으로 인한 작동 불량 문제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우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에서 롤 테이프를 지지하는 롤 지지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롤 지지 유닛의 구성 및 작동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 지지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레버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의 구성, 작동 등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등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하우징(100)과;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후방 부분에서 접착테이프(2)가 감긴 롤(4)을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 지지 유닛(200)과;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전방 부분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외주에 롤 지지 유닛(200)에 의하여 지지된 롤 테이프의 롤(4)로부터 풀린 접착테이프(2)의 접착면이 부착되어 회전 시 부착된 접착테이프(2)를 외주 방향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롤(4)로부터 인출하는 테이프 인출 드럼(300)과; 테이프 인출 드럼(300)의 외주 영역에 대응하는 테이프 이송 경로 상에서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접착테이프(2)(이하, 도면 부호 병기는 생략한다.)를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400)를 포함한다. 도면 부호 150은 가이드 로드(guide road)이다. 가이드 로드(150)는 롤(4)로부터 인출되는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테이프 인출 드럼(300)의 외주에 원활히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제어하고 인출되는 접착테이프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한다. 가이드 로드(160)는, 롤 지지 유닛(200)과 테이프 인출 드럼(300)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디스펜서 하우징(100)에 인출되는 접착테이프와의 마찰 작용에 의하여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접착테이프는 표면과 이면 중 이면에 한하여 접착제가 도포되어 표면을 비접착면으로 하고 이면을 접착면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접착테이프는 표면과 이면 모두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 접착테이프일 수 있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 하우징(100)은 서로 견고히 결합되는 좌측 하우징 부재(110)와 우측 하우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디스펜서 하우징(100)은 개방된 상부와 빈 내부가 연통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9 등을 참조하여 롤 지지 유닛(2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본다. 롤 지지 유닛(200)은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후방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롤 지지 유닛(200)은 제1 지지 드럼(210), 레버 플레이트(220) 및 제2 지지 드럼(2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드럼(210)은 축 부재(shaft member, 10), 제1 림(20) 및 사이드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축 부재(10)는,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양쪽 단부가 좌측 하우징 부재(110)와 우측 하우징 부재(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림(20)은, 축 부재(10)를 중심으로 배치되고, 제1 크기의 외주를 가지며, 외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이 개구(25)에 의하여 단절되어 개구(2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엔드(21)와 제2 엔드(22)를 가진다. 개구(25)에 의하면, 제1 림(20)은 외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이 단절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사이드 플레이트(30)는 축 부재(10)를 지지한 상태로 제1 림(20)의 우측 부분에 연결되어 축 부재(10)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제1 림(20)의 변형을 방지한다. 사이드 플레이트(30)는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과 대향하는 내측을 가진다. 사이드 플레이트(30)는 제1 림(20)의 우측 부분이 아니라 제1 림(20)의 좌측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축 부재(10), 제1 림(20) 및 사이드 플레이트(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레버 플레이트(220)는 플레이트 본체(40) 및 힌지 핀(hinge pin, 5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40)는 고정단(41), 자유단(42) 및 연결부(43)를 가진다. 고정단(41)은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에서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플레이트 본체(40)는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을 향하는 내측 및 그 반대편의 외측을 가진다. 고정단(41)은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에 힌지 핀(5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 핀(5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힌지 핀(50)은 고정단(41)의 외측에 고정단(41)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마련되고, 사이드 플레이트(30)의 내측에는 힌지 핀(5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핀 홀더(pin holder, 35)가 마련된다. 자유단(42)은 힌지 핀(5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에 위치되거나 개구(25)를 통하여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으로부터 제1 림(20)의 외부 영역으로 이동되어 제1 림(20)의 외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43)는, 고정단(41)과 자유단(42)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단(41)과 자유단(42)을 연결한다. 일례로, 레버 플레이트(220)는 플레이트 본체(40) 및 힌지 핀(5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레버 플레이트(220)는, 자유단(42)이 제1 림(20)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개구(25)를 통하여 내부 영역(23)으로 진입되는 방향인 제1 회전 방향(도 7의 도면 부호 R-1 참조)으로 회전되는 때에 자유단(42)이 제1 엔드(21)에 접촉되어 회전 각도가 제한되고, 이와 반대로 자유단(42)이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으로부터 개구(25)를 통하여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방향인 제2 회전 방향(도 7의 도면 부호 R-2 참조)으로 회전되는 때에 연결부(43)가 제2 엔드(22)에 접촉되어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이를 위하여, 플레이트 본체(40)는, 고정단(41)이 제2 엔드(22) 측으로 배치되고,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 때 자유단(42)이 제1 엔드(21)에 접촉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엔드(21)와 자유단(42)이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서로 끼워져 결합되는 돌기(A1)와 홈(A2)이 마련된다. 돌기(A1)와 홈(A2)은 제1 엔드(21)와 자유단(42)을 임시로 결합하여 레버 플레이트(220)의 회전을 구속한다. 레버 플레이트(220)의 회전이 구속되면, 자유단(42)이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돌기(A1)는 제1 엔드(21)에 적용되고, 홈(A2)은 자유단(42)에 적용될 수 있다. 자유단(42)이 제1 엔드(21)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 플레이트(200)에 힘을 제1 회전 방향(도 7의 도면 부호 R-1 참조)으로 가하면, 돌기(A1)를 홈(A2)에 끼워서 제1 엔드(21)와 자유단(4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같이 제1 엔드(21)와 자유단(42)이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 플레이트(200)에 힘을 제2 회전 방향(도 7의 도면 부호 R-2 참조)으로 가하면, 돌기(A1)를 홈(A2)과 분리하여 제1 엔드(21)와 자유단(42)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자유단(42)이 제1 엔드(21)에 접촉되어 자유단(42)이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에 위치되고 돌기(A1)가 홈(A2)에 끼워져 자유단(42)이 제1 엔드(21)와 결합된 상태(레버 플레이트(22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7에는 돌기(A1)가 홈(A2)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엔드(21)와 자유단(42)의 결합이 해제되고 연결부(43)가 제2 엔드(22)에 접촉되어 자유단(42)이 제1 림(20)의 외부 영역에 위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2 지지 드럼(230)은 제2 림(60) 및 보강 요소(70)를 포함한다. 제2 림(6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림(60)은, 자유단(42)의 내측에 우측 부분이 연결되고, 제1 림(20)의 외주 크기(제1 크기)에 비하여 작은 제2 크기의 외주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림(60)은 우측 부분이 아닌 좌측 부분이 자유단(42)의 내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보강 요소(70)는 제2 림(60)을 구조적으로 보강한다. 보강 요소(70)는, 제2 림(60)의 내부 영역에서 중앙에 배치된 중앙 보강 부재(71)와; 중앙 보강 부재(71)를 제2 림(60)의 내주에 연결하는 주변 보강 부재(72)들을 포함한다. 주변 보강 부재(72)들은 제2 림(60)과 중앙 보강 부재(71)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림(60) 및 보강 요소(7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제2 지지 드럼(230)은 플레이트 본체(40)와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제2 지지 드럼(230)은 제2 림(60)이 자유단(42)의 내측에 좌우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롤 지지 유닛(200)은 접착테이프가 롤(4)에 연속적으로 감긴 롤 테이프를 제1 지지 드럼(210)이나 제2 지지 드럼(230)에 거치할 수 있다. 롤 테이프는, 롤(4)이 제1 림(20)의 외주와 제2 림(60)의 외주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제1 지지 드럼(210) 또는 제2 지지 드럼(230)에 거치된다. 제1 림(20)은 제1 크기를 가지고, 제2 림(60)은 제1 크기에 비하여 작은 제2 크기를 가져, 상대적으로 큰 롤(4)을 가진 규격의 롤 테이프는 제1 지지 드럼(210)에 거치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롤(4)을 가진 규격의 롤 테이프는 제2 지지 드럼(230)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는 보다 다양한 규격의 롤 테이프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인출하고 절단하여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대적으로 큰 롤(4)을 가진 롤 테이프가 제1 지지 드럼(210)에 거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롤(4)을 가진 롤 테이프가 제2 지지 드럼(230)에 거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는 다양한 규격의 롤 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롤 지지 유닛(200)은, 돌기(A1)와 홈(A2)에 의하여 구속된 레버 플레이트(220)가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레버 플레이트(220)에 힘을 가하여 레버 플레이트(220)를 제2 회전 방향(도 7의 도면 부호 R-2 참조)으로 회전시키면, 자유단(42)이 제1 림(20)의 내부 영역(23)으로부터 개구(25)를 통하여 외부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림(20)의 외부 영역으로 돌출된 자유단(42)과 이에 적용된 제2 지지 드럼(230)은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거쳐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테이프 디스펜서는, 제2 지지 드럼(230)을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상측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롤(4)을 가진 규격의 롤 테이프에 대한 거치 및 거치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및 거치 해제 작업은 롤 지지 유닛(200)을 디스펜서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함이 없이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 등을 제공한다.
도 4에서는 레버 플레이트(220)가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유단(42)과 제2 지지 드럼(230)이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높이에 배치(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테이프 인출 드럼(300)은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전방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인출 드럼(300)은 구동축(310), 드럼 본체, 날개(320)들 그리고 핸들(handle, 3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10)은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양쪽 단부가 좌측과 우측 하우징 부재(110, 120)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드럼 본체는 구동축(310) 상에 장착되어 구동축(310)을 중심으로 구동축(310)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날개(320)들은 드럼 본체의 외주에 드럼 본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날개(320)들은, 테이프 인출 드럼(300)의 외주를 제공하는바, 그 선단에 접착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구동축(310)은 좌측 단부나 우측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측이나 우측 하우징 부재(110, 120)를 관통,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구동축(310)의 단부에는 핸들(330)이 결합될 수 있다. 핸들(330)을 회전시키면 구동축(31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커팅 장치(400)는, 디스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제공된 고정축(stationary shaft, 410)과; 고정축(410)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기어(gear) 등이 구비된 연동 기구를 통하여 테이프 인출 드럼(30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케이싱(casing, 420)과; 케이싱(420)에 각각 케이싱(420)의 회전 중심 쪽 방향과 회전 중심 반대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케이싱(420)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증감되는 커터(cutter, 430)들과; 커터(430) 각각을 탄성력에 의하여 케이싱(420)의 회전 중심 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스프링(spring)일 수 있다.)(440)들과; 고정축(410)의 외주에 케이싱(420)과 함께 회전되어 테이프 이송 경로 상에 위치된 커터(430)의 기저 부분이 접촉될 수 있게 마련되며, 접촉된 테이프 이송 경로 상의 커터(430)를 케이싱(420)의 회전 중심 반대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cam)을 포함한다.
테이프 커팅 장치(400)는 대한민국의 등록특허공보 제10-2024720호에 개시된 테이프 커팅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커팅 장치(400)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2 : 롤 테이프의 접착테이프
4 : 롤 테이프의 롤
10 : 축 부재
20 : 제1 림
30 : 사이드 플레이트
40 : 플레이트 본체
50 : 힌지 핀
60 : 제2 림
70 : 보강 요소
100 : 디스펜서 하우징
200 : 롤 지지 유닛
210 : 제1 지지 드럼
220 : 레버 플레이트
230 : 제2 지지 드럼
300 : 테이프 인출 드럼
400 : 테이프 커팅 장치
A1 : 돌기
A2 : 홈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방 부분에서 접착테이프가 감긴 롤을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 지지 유닛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전방 부분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외주에 상기 접착테이프의 접착면이 부착되어 회전 시에 부착된 상기 접착테이프를 외주 방향을 따라 이송함과 아울러 상기 롤 지지 유닛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롤로부터 인출하는 테이프 인출 드럼과;
    상기 테이프 인출 드럼의 외주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상기 접착테이프를 일정한 길이 단위로 절단하는 테이프 커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롤 지지 유닛은 제1 지지 드럼, 레버 플레이트 그리고 제2 지지 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드럼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의 후방 부분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적용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배치되고, 제1 크기의 외주를 가지며, 외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이 개구에 의하여 단절되어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엔드와 제2 엔드를 가진 제1 림과;
    상기 축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림의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에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드럼은, 상기 자유단의 내측에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외주를 가진 제2 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롤을 규격에 따라 상기 제1 림이나 상기 제2 림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때에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엔드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 림의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때에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 사이 부분이 상기 제2 엔드에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와 상기 자유단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임시로 결합하기 위한 돌기와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4. 제1 지지 드럼, 레버 플레이트 그리고 제2 지지 드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지 드럼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를 중심으로 배치되고, 제1 크기의 외주를 가지며, 외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이 개구에 의하여 단절되어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는 제1 엔드와 제2 엔드를 가진 제1 림과;
    상기 축 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림의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에 연결된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측에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단 및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1 림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으로 돌출되는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드럼은, 상기 자유단의 내측에 좌측 부분이나 우측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외주를 가진 제2 림을 포함함으로써,
    롤 테이프를 롤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제1 림이나 상기 제2 림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디스펜서용 롤 지지 유닛.
KR1020200073791A 2020-06-17 2020-06-17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KR10232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91A KR102328554B1 (ko) 2020-06-17 2020-06-17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91A KR102328554B1 (ko) 2020-06-17 2020-06-17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554B1 true KR102328554B1 (ko) 2021-11-18

Family

ID=7871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791A KR102328554B1 (ko) 2020-06-17 2020-06-17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5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06A (ko) * 1998-06-17 2000-01-15 이기상 접착테이프롤홀더 및 이를 구비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100559051B1 (ko) 2002-01-03 2006-03-10 주식회사 모텍스 테이프 커팅기
JP2010013285A (ja) * 2008-06-04 2010-01-21 Masahiro Sada テープカッター
KR101328108B1 (ko) 2011-09-02 2013-11-13 주식회사 모텍스 테이프 커팅장치
KR102122888B1 (ko) * 2019-04-25 2020-06-15 주식회사 모텍스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06A (ko) * 1998-06-17 2000-01-15 이기상 접착테이프롤홀더 및 이를 구비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100559051B1 (ko) 2002-01-03 2006-03-10 주식회사 모텍스 테이프 커팅기
JP2010013285A (ja) * 2008-06-04 2010-01-21 Masahiro Sada テープカッター
KR101328108B1 (ko) 2011-09-02 2013-11-13 주식회사 모텍스 테이프 커팅장치
KR102122888B1 (ko) * 2019-04-25 2020-06-15 주식회사 모텍스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824B1 (en) Paper-wipe dispensing machine
EP2393742B1 (en) Dispenser for length material
KR101196952B1 (ko) 도포막 전사구
TWI592314B (zh) Cassette
US4350454A (en) Ribbon cartridge including hub brake
US6491252B2 (en) Winding core holding mechanism, roll medium hold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winding device using said mechanism and device
CN1080694C (zh) 用于从载体带向基底传送薄膜的手动工具
TW201639716A (zh) 帶匣
KR102328554B1 (ko)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US6662844B2 (en) Adhesive tape dispenser with anti-reverse roll rotation capability
US4614448A (en) Ribbon cassette cam means to selectively separate ink ribbon feed and pinch rollers
KR100479200B1 (ko) 테이프용 풀림 케이스
CA2400270C (en) Hand-held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 total tape onto a substrate
EP0254042A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two strip materials
KR102122888B1 (ko)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CA2571474A1 (en) One handed spool and roller tape dispenser
EP1896330A2 (en) Label affixing machine having label roll core holding mechanism
KR102024720B1 (ko)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US6601792B2 (en) Winding device
US4817840A (en) Apparatus for feeding leader tape
TW200402384A (en) Tape guide device for automatic roll tape cutter
JP7471949B2 (ja) 切断刃付き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KR100202200B1 (ko) 자동 결속기
KR200325399Y1 (ko) 롤러 테이프디스펜서
JP2589625Y2 (ja) バンド掛け機におけるバンド繰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