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487Y1 - 휴대용 랩 커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487Y1
KR200186487Y1 KR2020000000069U KR20000000069U KR200186487Y1 KR 200186487 Y1 KR200186487 Y1 KR 200186487Y1 KR 2020000000069 U KR2020000000069 U KR 2020000000069U KR 20000000069 U KR20000000069 U KR 20000000069U KR 200186487 Y1 KR200186487 Y1 KR 200186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cutting
cutting tool
lap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근
Original Assignee
임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근 filed Critical 임정근
Priority to KR2020000000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65H2301/51512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using a cutting member moving linearly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web an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 용기에 랩(WRAP)을 넣고 필요할 경우 랩을 인출하여 이동하는 절단구로 랩을 절단하는 휴대용 랩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두루마리 상태의 랩(10)을 수납하는 본체(12)와 그 본체(12)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랩 인출구(14)와, 그 인출구(14)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절단구 장착부(16)와, 그 장착부(16)에 설치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절단구(18)로 이루어진 랩 커터에 있어서, 상기 랩을 인출한 후 절단구(18)로 절단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단구 장착부에 인접하여 가로방향으로 랩고정수단을 부착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출한 랩을 칼날 만 구비된 절단구로 절단하더라도 랩이 가로방향으로 밀리거나 접히지 않으므로 랩을 매끈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절단되고 남은 두루마리 랩도 본체내로 말려 들어가지 않고 본체 밖의 랩고정수단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재사용시 편리하고, 랩을 손가락으로 집기 편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랩 커터{A portable wrap cutter}
본 고안은 합성수지 용기에 랩(WRAP)을 넣고 필요할 경우 랩을 인출하여 이동하는 절단구로 랩을 절단하는 휴대용 랩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제공되는 랩 등의 포장지는 두루마리 형태를 가지며, 음식물을 포장하거나 음식이 담긴 용기를 덮는데 사용한다.
종래에는 상기 포장지를 절단하기 위하여 종이상자의 일측에 톱날을 부착한 휴대용 랩 커터가 있었다. 그러나, 그 랩 커터는 톱날을 사용하는 관계로 필름상의 랩이 제대로 절단이 되지 않거나, 절단이 되더라도 랩이 접힌 상태로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외부로 노출된 톱날에 손을 다치는 경우가 빈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두루마리 포장지의 인출절단기”(공고번호 제93-4342호)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이 고안은 벽걸이 형태로서 랩 절단기를 벽에 고정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랩을 절단하여 음식물이나 용기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랩이 상호 접히거나 붙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랩을 인출하여 절단할 때 반드시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상기 톱날이 형성된 종이상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랩 절단장치”(공개번호 제98-066262호 및 제98-068958호)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고안들은 절단구를 사용하므로 톱날에 손을 다치는 문제는 해소하였으나, 실제 미끄러운 랩을 측면에서 절단구를 사용하여 절단할 경우 랩이 절단구의 이송방향으로 밀려 절단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절단이 된다 하더라도 절단구내에 볼이나 롤러 및 스프링을 장착해야 하므로 절단구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고, 랩을 절단한 후 랩 절단장치를 들고 움직일 때 수납된 랩이 흔들려 안으로 들어가 말려 버리므로 재 사용시 두루마리 상태에서 다시 랩을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두루마리 포장지용 케이스”(출원번호 제99-20501호)를 출원한 바가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구를 복잡하게 구성하지 않고 단지 칼날 만으로 형성하고서도 랩의 절단시 랩이 밀리지 않으면서 매끄럽고 깨끗하게 절단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랩을 사용하고 난 후 재 사용시에도 랩이 랩 포장용기 내로 말려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 남아 있도록 함과 동시에 얇은 랩을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고안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랩 커터를 휴대용으로 하고, 한 손으로 랩 커터의 본체를 잡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랩 커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중앙 단면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구의 평면도.
도 4 는 랩고정수단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랩 커터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랩 커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랩고정수단 10 : 랩 12 : 본체 13 : 마구리 14 : 랩인출구 16 : 절단구 장착부 18 : 절단구 19 : 칼날 20 : 오목부 22 : 통공 31,35 : 간지 32,33,36 : 접착제 34 : 에폭시
본 고안은 랩을 수납하는 본체와 그 본체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랩 인출구와, 그 인출구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절단구 장착부와, 그 장착부에 설치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절단구로 이루어진 랩 커터에 있어서, 상기 랩을 인출한 후 절단구로 절단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단구 장착부에 인접하여 가로방향으로 랩고정수단을 부착한 것이다.
상기 랩이 본체에서 일정길이 인출된 후 절단되기 전에 랩고정수단에 의하여 절단구 장착부 주위에서 일시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절단구를 이동시켜 랩을 측면에서 절단하더라도 랩이 절단구의 이송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매끈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랩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중앙 단면확대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절단구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랩고정수단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랩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랩 커터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루마리 상태의 랩(10)을 수납하는 본체(12)의 양측면에는 마구리(13)가 장착되어 있고, 그 본체(12)의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수납된 랩을 인출할 수 있는 랩 인출구(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인출구(14)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단구(18)가 장착될 수 있는 절단구 장착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장착부(16)에는 절단구(18)가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면서 인출된 랩(10)을 절단한다. 상기 본체(12)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구(18)에는 칼날(19)이 일정한 경사를 갖고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절단구 장착부(16)에 인접하여 가로방향으로 길게 띠상의 랩고정수단이 부착되는데 그 랩고정수단은 랩과 붙을 수 있도록 랩과 친밀한 재질, 예를 들면 랩과 동일한 재질이나 에폭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랩고정수단은 절단구 장착부(16)의 상하면 양쪽에 다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랩고정수단의 일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고정수단은 양면테이프에 랩(10)을 부착한 것이 될 수 있는데 간지(31)의 상하면에는 접착제(32)(33)가 도포되어 있고, 접착제(32)의 상면에는 랩(10)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랩고정수단은 일면테이프의 상면에 에폭시(34)를 도포한 것이 될 수 있는데 간지(35)의 하면에는 접착제(36)가 도포되어 있고, 간지(35)의 상면에는 에폭시(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에폭시(34)는 투명하므로 간지(35)에 광고 문구를 인쇄하면 외측에서 그 광고 문구를 손쉽게 볼 수 있다.
상기 랩(10)을 인출하여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12)를 한 손(예를 들면 왼손)으로 잡고, 랩(10)을 필요한 길이 만큼 당겨내어 상기 에폭시(34)에 갖다 붙이면 랩(10)과 접촉된 에폭시(34)에 랩(10)이 일시적으로 부착되어 오른쪽 손으로 절단구(18)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켜 랩(10)을 절단할 때에도 랩(10)이 밀리지 않고 매끈하게 잘리게 된다. 절단이 완료된 잘려진 랩은 하측의 에폭시(34)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오른쪽 손으로 가볍게 떼어내어 필요한 음식물이나 용기를 덮으면 되고, 잘려지고 남아 조금 인출되어 나온 랩은 상측의 에폭시(34)에 부착되어 있어 본체(12)내로 다시 말려 들어가지 않으므로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편리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구(14)와 절단구 장착부(16)와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어 인출된 랩(10)이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구(14)와 절단구 장착부(16)와의 사이 양측면에는 반원형의 통공(22)이 형성되어 있어 인출된 랩(10)이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인출한 랩을 칼날 만 구비된 절단구로 절단하더라도 랩이 가로방향으로 밀리거나 접히지 않으므로 랩을 매끈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절단되고 남은 두루마리 랩도 본체내로 말려 들어가지 않고 본체 밖의 랩고정수단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재사용시 편리하고, 랩을 손가락으로 집기 편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Claims (6)

  1. 두루마리 상태의 랩(10)을 수납하는 본체(12)와 그 본체(12)의 일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랩 인출구(14)와, 그 인출구(14)의 하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절단구 장착부(16)와, 그 장착부(16)에 설치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절단구(18)로 이루어진 랩 커터에 있어서, 상기 랩을 인출한 후 절단구(18)로 절단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단구 장착부에 인접하여 가로방향으로 랩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랩 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고정수단은 소정의 폭을 가진 양면 테이프의 한면에 랩과 동일 재질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랩 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고정수단은 소정의 폭을 가진 일면테이프의 상면에 에폭시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랩 커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14)와 절단구 장착부(16)와의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오목부(20)를 형성하여 인출된 랩이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힐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랩 커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14)와 절단구 장착부(16)와의 사이 양측면에 반원형의 통공(22)를 형성하여 인출된 랩이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힐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랩 커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구(18)는 내측 양측면에 칼날(19) 만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랩 커터.
KR2020000000069U 2000-01-04 2000-01-04 휴대용 랩 커터 KR200186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069U KR200186487Y1 (ko) 2000-01-04 2000-01-04 휴대용 랩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069U KR200186487Y1 (ko) 2000-01-04 2000-01-04 휴대용 랩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487Y1 true KR200186487Y1 (ko) 2000-06-15

Family

ID=1963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069U KR200186487Y1 (ko) 2000-01-04 2000-01-04 휴대용 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48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8433A1 (en) * 2008-06-01 2009-12-10 Bouncing Brain Innovations Season Three Subsidiary 6, Llc Pliable sheet dispensers
KR200476140Y1 (ko) 2013-05-23 2015-02-11 최가현 포장랩 커팅기
CN111591820A (zh) * 2020-06-17 2020-08-28 陈磊 一种方便使用的塑料保鲜膜切割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8433A1 (en) * 2008-06-01 2009-12-10 Bouncing Brain Innovations Season Three Subsidiary 6, Llc Pliable sheet dispensers
KR200476140Y1 (ko) 2013-05-23 2015-02-11 최가현 포장랩 커팅기
CN111591820A (zh) * 2020-06-17 2020-08-28 陈磊 一种方便使用的塑料保鲜膜切割装置
CN111591820B (zh) * 2020-06-17 2021-10-01 江苏沃源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塑料保鲜膜切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36104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roll of material
US4417495A (en) Web dispenser
AU2002236104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roll of material
CA2329275A1 (en) Paperboard dispenser carton with plastic cutting blade
KR20030091957A (ko) 포장용 용기
CA1247060A (en) Dispensing carton
NZ203029A (en) Dispenser for roll of sheet material
JP2006206110A (ja) ラップフィルムの格納用化粧箱
KR200186487Y1 (ko) 휴대용 랩 커터
US4958733A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string-like articles and taking out the same
JP4963933B2 (ja) 包装用容器
JPH05178344A (ja) シート分配ケース
US4589545A (en) Cigarette package
JPH0734823Y2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JPH04239444A (ja) 末端タブを有するティアーストリップ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396626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 랩
JPH05162747A (ja) カッター及び該カッターを用いた包装用シート収納カートン
JP2537787Y2 (ja) 包装体の蓋用ラベル
JPS5937462Y2 (ja) 包装用フイルム収納容器
JP2001301760A (ja) ラップフィルム等のシート材料の収納ケース
JP3021756U (ja) シート引き出しカット箱
KR200312644Y1 (ko) 접착테이프
JPH1077047A (ja) ロール状フィルムの収容箱
KR20220102076A (ko) 휴대하기 편리한 테이프 디스펜서
KR0119907Y1 (ko) 제품용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