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541A -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541A
KR20230174541A KR1020220075609A KR20220075609A KR20230174541A KR 20230174541 A KR20230174541 A KR 20230174541A KR 1020220075609 A KR1020220075609 A KR 1020220075609A KR 20220075609 A KR20220075609 A KR 20220075609A KR 20230174541 A KR20230174541 A KR 20230174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elastic locking
base
way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7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541A/ko
Priority to US18/208,382 priority patent/US20230407896A1/en
Publication of KR2023017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two resilient parts on its opposite ends in order to connect two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2013/0807Arrangements of fasteners or clip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의 양쪽 면에 각각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기둥에 각각 탄성 걸림 돌기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베이스를 기준으로 어느 쪽에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로도 바로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탄성 걸림 돌기가 기둥에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는 4~6개가 같은 간격으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양방향 클립을 사용하여 조립할 때 조립 방향과 상관없이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탄성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양방향 클립을 사용하여 두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고정할 수도 있게 한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BIDIRECTIONAL CLI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의 양쪽 면에 탄성 걸림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장착 구멍에 관통하게 끼움에 따라 이 탄성 걸림 돌기가 변형했다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어느 방향으로든지 양방향 클립을 잡고서 편한 위치에 있는 탄성 걸림 돌기를 사용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 두 개의 부재를 하나의 클립으로 조립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드(H)에 후드 인슐레이터(I)를 장착하거나, 대시 패널에 대시 아웃터 인슐레이터를 장착할 때처럼, 장착하려고 하는 부재에 관통하게 끼운 다음 차체 등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거나 부재와 패널을 중첩한 상태에서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는 클립(C)이 사용된다. 이러한 클립(C)은 조립할 때 공구가 없이도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자동차업계에서 많이 사용되며,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3144호
차량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한 차량용 고정 클립이 개시된다. 차량용 고정 클립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클립 보디와 클립 헤드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립 보디는 차량 부품에 형성된 결합홀에 슬라이딩되어 차량 부품에 끼워지는 걸림부, 및 걸림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한다. 클립 헤드는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체결부와 결합하고, 클립 보디를 차량 부품에 고정하게 한다. 이와 같이, 고정 클립은 나사 결합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 방식으로 차량 부품에 결합되고, 차량 부품들 간의 견고한 고정 결합을 위해 나사 결합 방식으로 클립 보디와 클립 헤드가 결합한다. 이에 따라, 도장 공정 시 고온의 도장 온도에 의해 차량 부품이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차량 부품과의 체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며 탈거가 용이하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803882호
차량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부품들이 겹쳐져서 각 부품에 형성된 끼움홀이 일치되어 연통되면,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 돌기와, 끼움 돌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 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쪽의 부품에 지지되는 헤드부와, 끼움 돌기에서 돌출 형성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끼움 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질 때 상기 연통된 끼움홀을 관통한 후에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반대쪽 부품에 지지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을 결합하는 걸림 돌기와, 헤드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헤드부에서 걸림 돌기까지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에 다른 부품이 겹쳐진 것을 결합하는 걸림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겹쳐진 부품의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져 관통되는 끼움 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와 걸림 리브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겹쳐진 부품들을 하나의 클립으로 결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77064호
분할핀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돌기에 고정덮개를 끼워서 매트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고정덮개에 간격유지돌기를 더 구성하여 분할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할핀 사이의 간격 때문에 분할핀이 반복적인 변형으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걸림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매트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따른 자동차용 매트 고정구는, 분할핀이 구비된 고정 돌기; 및 상기 분할핀을 감싸주면서 자동차 매트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덮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매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에는 상기 분할핀이 끼워지는 중앙에 이 분할핀 사이로 끼워져서 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존의 클립(C)은, [도 3]과 같이, 부재에 밀착하게 하는 베이스 면의 중앙에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결합하려고 하는 장착 구멍에 끼워서 조립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3144호 (공개일: 2017.06.28) 한국등록특허 제10-1803882호 (등록일: 2017.11.27) 한국등록특허 제10-1377064호 (등록일: 2014.03.17)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클립은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다.
(1) 작업자가 클립을 잡아 장착 구멍에 맞춰 끼워서 누르면 조립하기는 편하나, 정해진 방향으로 끼워야 하는 방향성이 있어 작업에 불편함이 있다.
(2) 특히, 한 손으로 조립할 부품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클립을 잡아서 조립할 때처럼, 한 손으로 클립을 잡고서 조립 방향에 맞춰 방향성에 맞춰서 클립을 조립하기가 어렵다.
(3) 또한, 이처럼 한 손으로 클립을 잡아서 조립할 때 조립 방향이 맞지 않으면 클립을 잡은 손만으로 클립의 방향을 돌리면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작업에 불편함이 따른다.
(4) 한편, 클립으로 조립하는 부품은 패널처럼 두 개의 부품을 서로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곳이 발생하나, 기존 클립처럼 한쪽으로만 조립하게 된 클립으로는 한 번에 두 개의 부품을 서로 조립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베이스의 양쪽 면에 각각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된 기둥에 각각 탄성 걸림 돌기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베이스를 기준으로 어느 쪽에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로도 바로 조립할 수 있게 하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탄성 걸림 돌기가 기둥에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는 4~6개가 같은 간격으로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양방향 클립을 사용하여 조립할 때 조립 방향과 상관없이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베이스의 양쪽에 각각 탄성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양방향 클립을 사용하여 두 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고정할 수도 있게 한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은, 베이스(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에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양쪽 면의 중앙 부분에서 각각 밖으로 돌출한 두 개의 기둥(110); 및 상기 기둥(110)의 끝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100)를 향할수록 바깥으로 벌어지게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되, 상기 기둥(110)을 기준으로 이웃한 두 개가 같은 간격으로 이루어진 탄성 걸림 돌기(1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상기 기둥(110)을 기준으로 같은 간격으로 4~6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양방향 클립을 어느 쪽으로 잡더라도 탄성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 탄성 걸림 돌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곳에 부재를 쉽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베이스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에 각각 하나씩 다른 부재를 고정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3) 만일, 한쪽의 탄성 걸림 돌기가 꺾어지거나 부러지더라도 반대쪽에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를 사용하여 다시 양방향 클립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4) 탄성 걸림 돌기가 기둥을 중심으로 4~6개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장착 구멍에 맞춰서 끼울 때 조립하는 방향에 상관없이 쉽게 맞춰서 강제로 누르면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클립으로 고정하는 후드 인슐레이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클립으로 고정하는 후드 인슐레이터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클립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으로 대시 인슐레이터를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대시 인슐레이터의 정면도이고, (b)는 양방향 클립으로 고정할 위치를 보여주는 대시 패널의 단면도이고, (c)는 대시 패널에 대시 인슐레이터를 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d)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으로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같이 대시 패널에 대시 인슐레이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탄성 걸림 돌기에 와이어링을 고정한 것을 예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와이어링이 장착된 대시 인슐레이터 부분을 보여주는 정면 확대도이고, (b)는 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양방향 클립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의 양쪽 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두 개의 기둥(110), 그리고 각 기둥(110)에 각각 적어도 두 개씩 형성된 탄성 걸림 돌기(12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각각 돌출하게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어느 방향으로든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손으로 잡아 편한 위치에 있는 탄성 걸림 돌기(120)를 사용하여 부재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상기 기둥(110)을 기준으로 4~6개가 이웃한 두 개의 탄성 걸림 돌기(120) 사이의 간격이 같게 제작함으로써, 원 형태로 이루어진 장착 구멍에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조립할 때 조립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쉽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력을 골고루 분산하게 해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 걸림 돌기(120)는 베이스(100)의 양쪽에 각각 구성됨에 따라 두 개의 부재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동시에 두 개의 부재에 결합하게 해서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P"는 자동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사용해서 조립하게 되는 부재를(여기서, 대시 패널은 도면부호 "P'"로 표시한다), "O"는 상기 부재에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조립하기 위해 형성된 장착 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가. 베이스
베이스(1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가진 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100)는 어떠한 형상으로든지 제작하여 사용하더라도 상관이 없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사용하여 부재(P)를 조립했을 때, 상기 베이스(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후술할 기둥(110)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에 걸쳐 체결력이 분산되게 되는데 이처럼 체결력이 골고루 분산되게 하면서도 양방향 클립을 사용할 때 조립 방향에 맞춰 조립하지 않으면서도 작업자가 상처 등을 입지 않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베이스(100)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두 개의 기둥(110)이 형성된다.
나. 기둥
기둥(11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00)의 양쪽 면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기둥(110)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후술할 탄성 걸림 돌기(120)가 형성되게 해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을 양쪽 어느 쪽으로든지 체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11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00)의 중심 부분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둥(110)을 중심인 베이스(100)의 중심에서 일정 범위에 걸쳐 체결력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110)은, 도면에서 정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탄성 걸림 돌기(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원기둥 형태 등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각 기둥(110)에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탄성 걸림 돌기(120)가 돌출 형성된다.
다. 탄성 걸림 돌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각 기둥(110)의 돌출한 끝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100)를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기둥(110)의 돌출한 끝 부분에서 베이스(100)를 향하도록 바깥으로 벌어지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이 탄성 걸림 돌기(120)가 화살촉 형태가 되게 하여 부재(P)에 형성된 장착 구멍(O)에 삽입할 때 쉽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기둥(110)에서 벌어진 정도가 이 탄성 걸림 돌기(120)를 장착 구멍(O)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으로 대시 인슐레이터(D)를 대시 패널(P')에 조립할 때, 장착 구멍(O)에 탄성 걸림 돌기(120)를 끼움에 따라 이 장착 구멍(O)에 걸려 탄성 걸림 돌기(120)가 기둥(110)을 향해 변형했다가,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가 어느 정도 장착 구멍(O)에서 빠져나옴에 따라 원해 상태로 복원하면서 장착 구멍(O)의 가장자리에 걸려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4개가 형성된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4~6개를 형성하되 이웃한 두 개의 탄성 걸림 돌기(120) 사이의 간격이 같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를 끼우는 방향에 상관없이 장착 구멍(O)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조립된 상태에서는 각 탄성 걸림 돌기(12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클립은 하나의 부품을 다른 부품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두 개 중 하나의 탄성 걸림 돌기(110)를 사용하거나, [도 6]과 같이 두 개의 탄성 돌기(110)를 함께 사용해서 조립하게 된다. 즉, [도 5]와 같이, 대시 패널(P')에 대시 인슐레이터(D)가 마주하게 설치한 다음, 중첩하는 장착 구멍(O)에 두 개 중 하나의 탄성 걸림 돌기(110)가 강제로 끼움에 따라 탄성 걸림 돌기(110)가 좁아졌다가 원래 상태로 펼쳐지면서 대시 패널(P')에 대시 인슐레이터(D)를 고정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한쪽의 탄성 돌기(110)를 사용하여 패널형상의 부품(P)에 상대부품을(D)을 고정하고, 사용되지 않은 다른 탄성 걸림 돌기(110)에 와이어링(W) 등 필요한 다른 구성 요소를 강제로 조립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의 양쪽 면에 각각 탄성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 장착 구멍에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어느 방향으로 양방향 클립을 잡더라도 편리한 방향으로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100: 베이스
110: 기둥
120; 탄성 걸림 돌기
P: 부재
O: 장착 구멍

Claims (2)

  1. 베이스(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에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양쪽 면의 중앙 부분에서 각각 밖으로 돌출한 두 개의 기둥(110); 및
    상기 기둥(110)의 끝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100)를 향할수록 바깥으로 벌어지게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되되, 상기 기둥(110)을 기준으로 이웃한 두 개가 같은 간격으로 이루어진 탄성 걸림 돌기(1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2. 제1항에서,
    상기 탄성 걸림 돌기(120)는,
    상기 기둥(110)을 기준으로 같은 간격으로 4~6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KR1020220075609A 2022-06-21 2022-06-21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KR20230174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609A KR20230174541A (ko) 2022-06-21 2022-06-21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US18/208,382 US20230407896A1 (en) 2022-06-21 2023-06-12 Bidirectional cli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609A KR20230174541A (ko) 2022-06-21 2022-06-21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541A true KR20230174541A (ko) 2023-12-28

Family

ID=8916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609A KR20230174541A (ko) 2022-06-21 2022-06-21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407896A1 (ko)
KR (1) KR202301745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64B1 (ko) 2013-03-12 2014-03-2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매트 고정구
KR20170073144A (ko) 2015-12-18 2017-06-2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고정 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펜더 어셈블리
KR101803882B1 (ko) 2016-06-21 2017-12-05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064B1 (ko) 2013-03-12 2014-03-2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매트 고정구
KR20170073144A (ko) 2015-12-18 2017-06-2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고정 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펜더 어셈블리
KR101803882B1 (ko) 2016-06-21 2017-12-05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7896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9283C (zh) 用于片状部件的紧固件
US6575681B2 (en) Resin clip
US8613414B2 (en) Fastening clip and associated fastener
US7257867B2 (en) Clip for attaching two members
US20110260025A1 (en) Carpet clamp
US3771275A (en) Retainer for a headed member
US8381368B2 (en) Vehicle clip centering device and method
US5269640A (en) Holding device for use in assembling mechanical members
US20110219588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clip and mounting-subject member
US20200049177A1 (en) Floatingly mounted clip
CN112081807A (zh) 紧固件
JPS58191651A (ja) 自動車用バンパ−バ−
US9097270B2 (en) Snap fit fastener
JPH02245507A (ja) 曲面部品の保持装置
KR20230174541A (ko)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JPH1086765A (ja) モールクリップ
EP3364051B1 (en) A method for mounting a sheet like member onto a mounted member by utilizing a fastening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KR10165851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장착용 고정구
KR20070020656A (ko) 자동차 헤드라이닝 결합구
KR20210052806A (ko) 다단 결합형 차량용 고정구
JP3983464B2 (ja) ルーフモジュール構造
JP7277914B2 (ja) フェライトクランプの固定具
KR100381476B1 (ko)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상단 체결구조
EP3346144B1 (en) Pad mounting clip
KR102470777B1 (ko) 자동차용 대시 인슐레이션 마운팅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