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882B1 - 차량용 클립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882B1
KR101803882B1 KR1020160077552A KR20160077552A KR101803882B1 KR 101803882 B1 KR101803882 B1 KR 101803882B1 KR 1020160077552 A KR1020160077552 A KR 1020160077552A KR 20160077552 A KR20160077552 A KR 20160077552A KR 101803882 B1 KR101803882 B1 KR 10180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rotrusion
fitting protrusion
communicat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진혁
김홍천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부품들이 겹쳐져서 각 부품에 형성된 끼움홀이 일치되어 연통되면,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쪽의 부품에 지지되는 헤드부와, 끼움돌기에서 돌출 형성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끼움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질 때 상기 연통된 끼움홀을 관통한 후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반대쪽 부품에 지지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을 결합하는 걸림돌기와, 헤드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헤드부에서 걸림돌기까지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에 다른 부품이 겹쳐진 것을 결합하는 걸림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겹쳐진 부품의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져 관통되는 끼움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걸림리브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겹쳐진 부품들을 하나의 클립으로 결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립 {Cli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겹쳐진 부품들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부품들을 한 종류의 클립으로 결합할 수 있는 차량용 클립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립은 하나의 체결구조를 형성하여 체결홀에 억지 끼움되어 하나의 부재(부품)을 다른 부재(부품)에 체결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로멧(Grommet)이라고도 한다.
특히, 클립은 자동차 등에서 어떠한 다수의 고정부재를 서로 조립하기 위하여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하도록 하는 조립부품으로서, 금속 혹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성형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에 대한 일 예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립(10)은 하나의 차량 부품(제1부품이라 함) 다른 차량부품(제2부품이라고 함)을 결합하는 것으로, 제1부품(1)에 형성된 제1끼움홀과 제2부품(2)에 형성된 제2끼움홀이 서로 일치되어 연통되는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11)와, 제1부품(1)의 제1끼움홀과 제2부품(2)의 제2끼움홀 중 끼움돌기(11)가 끼워지는 쪽의 제1끼움홀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헤드부(12)와, 끼움돌기(1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끼움돌기(11)가 끼워지는 반대쪽의 제2끼움홀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끼움돌기(11)가 서로 연통된 제1,2끼움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립(10)은 헤드부(12)의 중앙에 별도의 체결부재(나사)가 체결되는 체결홀(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10)은 서로 연통된 제1,2끼움홀을 통해 끼움돌기(11)가 끼워지는 반대쪽 제2부품(2)의 제2끼움홀 가장자리에 걸림되는 끼움돌기(11)에 형성되는 걸림턱(13)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걸림턱(13)에서 헤드부(12)까지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형성된다.
즉, 종래의 클립(10)은 결합하고자 하는 제1부품(1)과 제2부품(2)이 겹쳐진 두께를 고려하여 걸림턱(13)에서 헤드부(12)까지의 거리가 결정된 후에 성형된다.
따라서, 종래의 클립(10)은 결합하고자 하는 제1부품(1)과 제2부품(2)을 겹친 후에 다른 부품을 더 겹쳐서 결합해야 할 경우에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3가지 부품을 겹쳐서 고정해야 하는 클립(10)을 별도로 성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4237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헤드부에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2종류의 걸림턱을 갖는 2중 체결구조로 구성하여 두께가 다른 겹쳐진 부품들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부품들을 겹쳐서 결합하기 위한 차량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부품들이 겹쳐져서 각 부품에 형성된 끼움홀이 일치되어 연통되면,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와, 끼움돌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쪽의 부품에 지지되는 헤드부와, 끼움돌기에서 돌출 형성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끼움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질 때 상기 연통된 끼움홀을 관통한 후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반대쪽 부품에 지지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을 결합하는 걸림돌기와, 헤드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헤드부에서 걸림돌기까지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에 다른 부품이 겹쳐진 것을 결합하는 걸림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끼움돌기는, 그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돌기는, 상기 끼움돌기의 길이방향으로 끼움돌기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끼워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돌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체결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서 끼움돌기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경사로 형성되어 끼움돌기의 내측을 가리기 위한 경사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리브는 끼움돌기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정각도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겹쳐진 부품의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져 관통되는 끼움돌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걸림리브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겹쳐진 부품들을 하나의 클립으로 결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종류의 두께로 된 겹쳐진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해서 하나의 클립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 관리가 편리하고, 결합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클립이 적용된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클립이 적용된 클립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클립 결합 구조에서 체결부재가 적용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차량용 클립이 적용된 결합 구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클립 결합 구조에서 체결부재가 적용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의 차량용 클립이 적용된 클립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 3의 차량용 클립이 적용된 결합 구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100)은, 차량의 제1부품(1)과 제부품(2)을 겹쳐서 고정하거나 제1부품(1)과 제부품(2) 및 제3부품(3)을 겹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 부품에 형성되는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이 연통되거나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 및 제3끼움홀이 연통되면, 연통된 각 끼움홀에 끼워서 겹쳐진 부품들(1)(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용 클립(100)은 부품들(1)(2)이 겹쳐진 후에 겹쳐진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10)와, 끼움돌기(1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끼움돌기(110)가 끼워지는 쪽의 부품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헤드부(120)와, 끼움돌기(110)에서 돌출 형성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끼움돌기(110)가 끼워지는 반대쪽의 부품에 걸리고 헤드부(120)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돌기(130)와, 헤드부(120)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헤드부(120)에서 걸림돌기(130)까지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걸림리브(140)를 포함한다.
끼움돌기(110)는 결합하고자 하는 부품들 즉, 제1부품(1), 제부품(2), 제3부품(3)이 겹쳐진 후에 겹쳐진 부품들(1)(2)(3)의 두께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 끼움돌기(110)의 관통홀(111)은 헤드부(120)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관통되는 별도의 체결부재(5)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헤드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나 사각 형상 삼각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헤드부(120)의 중앙에는 별도의 체결부재(5)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걸림돌기(130)는 끼움돌기(110)에 형성되되, 끼움돌기(110)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돌기(130)는 끼움돌기(1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타단부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탄성력을 갖는다.
이 걸림돌기(13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30)는 끼움돌기(110)에 일체로 형성되되, 끼움돌기(110)의 관통홀(111)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절개부를 덮도록 절개부의 타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즉, 걸림돌기(130)는 일단부가 절개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부가 자유단으로서 절개부의 타측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130)는 예로서 두 개의 부품 즉, 제1부품(1)과 제부품(2)에에 각각 형성된 끼움홀이 겹쳐져 연통된 상태가 되면 연통된 끼움홀에 끼움돌기(110)가 끼워진 후에, 끼움돌기(110)가 끼워지는 반대쪽 제2부품(2)에 걸려서 서로 겹쳐진 두 개의 부품(1)(2)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돌기(130)에서 헤드부(130)까지의 거리는 클립(100)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부품(1)(2)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사전에 결정되어 클립(100)의 성형시 끼움돌기(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리브(14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가 끼움돌기(1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130)는 헤드부(120)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되, 헤드부(120)에서 걸림돌기(130)까지의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 형성된다.
걸림리브(140)는 헤드부(120)에서 걸림돌기(130)보다 먼 거리에 이격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130)에 의해 결합되는 겹쳐진 두 개의 부품(1)(2)보다 두꺼운 부품들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걸림리브(140)는 겹쳐지는 3개의 부품 즉, 제1부품(1), 제부품(2), 제3부품(3)이 겹쳐진 후에 각 부품(1)(2)(3)에 형성된 끼움홀이 연통되고, 끼움돌기(110)가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질 때, 걸림리브(140)도 끼움홀을 관통한 후에, 끼움홀이 끼워지는 반대편의 부품에 걸려서 겹쳐지는 3개의 부품(1)(2)(3)을 결합한다.
여기서, 걸림리브(140)는 끼움돌기(110)의 외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정각도의 경사로 형성된다. 즉, 걸림리브(140)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변이 끼움돌기(11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변이 끼움돌기(110)의 외주면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걸림리브(140)는 겹쳐진 부품들(1)(2)(3)의 연통된 끼움홀에 끼움돌기(110)가 끼워질 때, 눌려져서 억지 끼워진 후에 끼움홀에 관통된 후에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게 된다.
여기서, 걸림돌기(130)와 걸림리브(140)는 끼움돌기(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각각 2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서로 교대로 형성되되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 즉, 걸림돌기(130), 걸림리브(140), 걸림돌기(130), 걸림리브(140) 순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30)와 걸림리브(140)가 각각 3개로 구성되면, 서로 교대로 형성되되 원주 방향으로 6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립(100)은 헤드부(120)의 중앙에 형성되는 끼움홀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되 끼움홀의 안쪽으로 경사로 형성되어 끼움홀의 안쪽을 가리기 위한 경사리브(121)를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결합해야 할 부품들 예로서, 제1부품(1)과 제부품(2)을 서로 겹쳐서 각 부품에 형성된 끼움홀을 일치시켜 연통되도록 한다.
이후에, 겹쳐진 부품(1)(2)에서 연통된 끼움홀의 일측에서 즉, 제1부품(1) 쪽에서 클립(100)의 끼움돌기(110)를 끼운다. 그러면, 끼움돌기(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0)와 걸림리브(140)가 눌려지면서 끼움홀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진다.
이후에, 헤드부(120)를 더 눌러서 끼움돌기(110)를 끼움홀에 더욱 더 끼워 넣으면 걸림리브(140)가 먼저 끼움홀을 관통하여 연통된 끼움홀의 타측으로 관통되어 완전히 빠져나온 후에, 걸림돌기(130)가 끼움홀의 타측으로 관통되어 완전히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면, 클립(100)의 헤드부(120)는 연통된 끼움홀의 일측 가장자리 즉, 제1부품(1)에 지지된다.
여기서, 걸림돌기(130)과 걸림리브(140)는 끼움홀에 끼워질 때 눌려진 상태에 있다가 끼움홀을 관통하여 완전히 빠져나온 후에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걸림리브(140)는 연통된 끼움홀의 타측 가장자리 즉, 제부품(2)에서 이격되어 구비되고, 걸림돌기(130)는 연통된 끼움홀의 타측자리 즉, 제2부품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서로 겹쳐진 제1부품(1)과 제부품(2)은 클립(100)의 끼움돌기(1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0)와 헤드부(120)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제1부품(1)과 제부품(2)이 겹쳐진 후에, 제3부품(3)이 추가로 겹쳐질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서로 겹쳐진 부품들의 연통된 끼움홀을 통하여 클립(100)의 끼움돌기(110)를 끼워 넣은 후에, 끼움홀을 관통하여 끼움홀의 타측으로 완전히 빠져나오는 걸림리브(140)와 헤드부(120)로 서로 겹쳐진 제1부품(1)과 제부품(2) 및 제3부품(3)을 도 6과 같이,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100)의 걸림돌기(130)나 걸림리브(140)로 서로 겹쳐진 제1부품(1)과 제부품(2)을 결합하거나, 제1부품(1)과 제부품(2) 및 제3부품(3)을 결합한 후에, 클립(10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도 5 및 도 7과 같이, 별도의 체결부재(5)를 끼움홀에 체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립에 의하면, 겹쳐진 부품의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져 관통되는 끼움돌기(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30)와 걸림리브(140)가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두께가 다른 겹쳐진 부품들을 하나의 클립으로 결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제1부품
2 : 제2부품
3 : 제3부품
100 : 클립
110 : 끼움돌기
120 : 헤드부
121 : 경사리브
130 : 걸림돌기
140 : 걸림리브

Claims (6)

  1. 서로 분리된 부품들을 겹쳐서 결합하기 위한 차량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부품들이 겹쳐져서 각 부품에 형성된 끼움홀이 일치되어 연통되면,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
    끼움돌기에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쪽의 부품에 지지되는 헤드부;
    끼움돌기에서 돌출 형성되되 탄성력을 가지며, 끼움돌기가 상기 연통된 끼움홀에 끼워질 때 상기 연통된 끼움홀을 관통한 후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반대쪽 부품에 지지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을 결합하는 걸림돌기;
    헤드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헤드부에서 걸림돌기까지의 거리보다 더 이격되어 상기 겹쳐진 부품들에 다른 부품이 겹쳐진 것을 결합하는 걸림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끼움돌기는,
    그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걸림돌기는,
    상기 끼움돌기의 길이방향으로 끼움돌기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립.
  4. 청구항 2에 있어서,
    헤드부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끼워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돌기의 내측과 연통되는 체결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립.
  5. 청구항 4에 있어서,
    헤드부는,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서 끼움돌기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경사로 형성되어 끼움돌기의 내측을 가리기 위한 경사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립.
  6. 청구항 1에 있어서,
    걸림리브는
    끼움돌기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정각도의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립.
KR1020160077552A 2016-06-21 2016-06-21 차량용 클립 KR10180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52A KR101803882B1 (ko) 2016-06-21 2016-06-21 차량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52A KR101803882B1 (ko) 2016-06-21 2016-06-21 차량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882B1 true KR101803882B1 (ko) 2017-12-05

Family

ID=6092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552A KR101803882B1 (ko) 2016-06-21 2016-06-21 차량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8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43B1 (ko) * 2018-04-11 2019-04-11 주식회사 신성화학 자동차 차체 패널 고정용 파스너의 제조방법
KR20230174541A (ko) 2022-06-21 2023-12-2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5652A1 (en) 2002-03-28 2003-10-02 Jung-Jyh Wu Fastener and fastener assembly for securing two objects together
JP3838865B2 (ja) 2000-11-21 2006-10-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の取付構造
US20150298623A1 (en) 2014-04-16 2015-10-22 Daiwa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l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8865B2 (ja) 2000-11-21 2006-10-2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部品の取付構造
US20030185652A1 (en) 2002-03-28 2003-10-02 Jung-Jyh Wu Fastener and fastener assembly for securing two objects together
US20150298623A1 (en) 2014-04-16 2015-10-22 Daiwa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li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43B1 (ko) * 2018-04-11 2019-04-11 주식회사 신성화학 자동차 차체 패널 고정용 파스너의 제조방법
WO2019198989A1 (ko) * 2018-04-11 2019-10-17 주식회사 신성화학 자동차 차체 패널 고정용 파스너의 제조방법
KR20230174541A (ko) 2022-06-21 2023-12-2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양방향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1160B2 (en) Clip
JP5064491B2 (ja) ターンロックファスナ
JP2727454B2 (ja) 板の結合クリップ
US9103363B2 (en) Two-piece clip assembly
US9260898B2 (en) Hinge structure
US10063007B2 (en) Wire cover
JPH084720A (ja) クリップ
GB2373542A (en) Push-in clip with elastic legs
JP2007029343A (ja) 紐止め具
KR101803882B1 (ko) 차량용 클립
JP2015198528A (ja) グロメット
US6843630B2 (en) Fastening clip having annular portion and legs formed with locking means, and structure having panel fastened between opposite walls of accommodating member by two said clips
US11031726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inflow resistant interface
CN106050855B (zh) 固定件
US9310006B2 (en) Hose connector
JP4040451B2 (ja)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JP2010112508A (ja) 押込みタイプの固定具
US10137846B2 (en) Connector used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and a vehicle employing the same
JPH064083Y2 (ja) パネル等の取付用クリップ
JP7154825B2 (ja) カバーユニット
US20180112699A1 (en) Multi-engagement push clip assembly
CN110268185B (zh) 用于预组装两个管子的耦接装置
JP4725999B2 (ja) 接合具
JP2004019670A (ja) ツーピースクリップ
KR20160021368A (ko) 목재가구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