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313A - 진공 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313A
KR20230174313A KR1020220074039A KR20220074039A KR20230174313A KR 20230174313 A KR20230174313 A KR 20230174313A KR 1020220074039 A KR1020220074039 A KR 1020220074039A KR 20220074039 A KR20220074039 A KR 20220074039A KR 20230174313 A KR20230174313 A KR 2023017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nner block
pad device
ball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주
이형주
선종섭
서정의
김경열
Original Assignee
(주)코아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코아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2007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313A/ko
Publication of KR2023017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91Suction pad made out of porous material, e.g. sponge or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설정크기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아우터 블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볼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내장되는 이너 블록,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진공 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패드 장치{VACUUM PAD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크가 발생하여도 흡착이 가능한 진공 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 인쇄회로기판, 반도체 모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과 같은 부품은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해 제품으로 출하 된다. 이러한 제품들은 최근 들어 박판화되어 두께가 점차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설비 및 제조 공정상에서는 박판 제품에 대한 대응이 원활하지 않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진공 패드 장치는 제품의 두께가 얇은 박판 형태의 제품을 이송 및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진공 흡착을 이용하여 박판 형태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흡착하여 설정된 방향 및 거리로 제품을 이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진공 패드 장치의 내부에는 진공을 유도하는 흡기 통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박판 제품이 올려지는 상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흡기 공이 천공된다. 흡기 통로에 존재하는 공기는 진공펌프로 흡입되는데, 이에 따라 기압을 낮게 형성되어 박판 제품이 강하게 흡착 및 고정되어 제품의 이송 또는 운반 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 패드 장치는 박판 제품과의 사이에 리크가 존재할 경우 박판 제품을 흡착하는데 필요한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리크의 발생시에서 제품 흡착이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진공 패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2262호(2013.03.06. 공개일)
본 발명의 목적은 박판 제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흡착력의 강화는 물론, 리크가 발생할 경우에도 제품 흡착의 신뢰성이 우수한 진공 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설정크기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아우터 블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볼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내장되는 이너 블록;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진공 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블록은, 일측에 피팅부가 연결되는 측면연결부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형의 아우터 블록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블록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측면연결부와 연결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제1 홀부와, 상기 제1 홀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제2 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블록의 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면에 밀착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너 블록이 상기 수용부에 결합 시 상기 이너 블록의 하부면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블록의 내측 하단에는 복수의 제3 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너 블록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복수의 제3 홀부 각각에 상하로 연통된 복수의 제4 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4 홀부 각각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제3 홀부 각각의 직경보다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블록은,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볼은, 상기 이너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 블록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제2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볼 각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볼 각각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제4 홀 각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하부면은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면을 상하로 덮어 밀착되고,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상부면은 상기 패드의 하부면에 상하로 덮여 결합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제4 홀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통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 각각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상하 공간이 확보된 복수의 흡착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흡착공간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과 서로 연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드는 상기 복수의 흡착공간부 각각과 연통된 복수의 흡착홀을 포함한다.
상기 진공 플레이트는 상기 아우터 블록과 동일한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드는 대전 방지용 우레탄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식, 즉 접촉 면적이 작은 복수의 원형 패드를 이용하여 박판 제품을 흡착하는 것보다 소정의 탄성이 확보된 패드 상에 복수의 흡착홀이 전, 후, 좌, 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보다 넓은 면적, 즉 대면적의 면 접촉이 가능하여 박판 제품의 안정적인 흡착이 가능하며, 접촉 면적 증가로 인해 박판 제품의 미스얼라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박판 제품의 이송 중 제품이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공정의 정확성 및 생산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복수의 흡착홀이 대면적의 패드 상에 전, 후, 좌, 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박판 제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 상태에서 제품의 흡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과 패드 사이에 일부 리크가 발생될 경우에도 제품의 안정적인 흡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홀 각각은 볼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구속하면서도 진공 압력 증가를 통해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홀 각각은 볼의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하부에 위치한 볼의 중심과 동일 중심을 이루어 위치하는 원형의 제1 관통홀부와, 상기 제1 관통홀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서로 120도 간격을 두고서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3, 4 관통홀부를 포함한다. 제2, 3, 4 관통홀부는 제1 관통홀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진공 형성 유무에 따라 볼이 상하로 유동할 때 볼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여 볼의 삽입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진공 형성 시 개방 면적을 증가시켜 패드의 흡착홀을 통해 발생되는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볼 각각의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볼 각각의 중심과 동일 중심을 이루어 위치하는 원형의 제1 관통홀부; 및 상기 제1 관통홀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며, 서로 120도 간격을 두고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관통홀부와 동일 직경을 갖는 제2, 3, 4 관통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블록 몸체부의 상부면 사이를 나사 체결하는 복수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체결부보다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볼이 구비된 영역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면 사이를 나사 체결하는 복수의 제2 체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체결부와 나란하게 평행을 이루어 배열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볼이 구비된 영역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면 사이를 나사 체결하는 복수의 제3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3 체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체결부와 함께 상기 진공 플레이트 내측에서 복수의 볼이 구비된 영역의 내, 외측을 동시에 나사 결합시켜 볼이 내장된 이너 블록과 진공 플레이트 상의 밀착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진공 형성 시 볼의 상하 유동에 따라 흡착력이 더욱 증가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패드는 대전 방지용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져 박판 제품의 흡착 시 접촉 면적이 대폭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패드의 상부면은 박판 제품의 크기 및 면적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 및 면적으로 형성 가능하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드에 구비된 흡착홀은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흡착공간부에 비해 확장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흡착홀은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라운드 형상,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흡착홀은 패드의 상부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박판 제품을 보다 강한 흡착력으로 흡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제품의 이송이 가능하며, 이송 도중 외부 유동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진공 패드 장치에 의하면, 박판 제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흡착력의 강화는 물론, 리크가 발생할 경우에도 제품 흡착의 신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구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구간을 확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 구간을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기존의 진공 패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구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구간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 구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기존의 진공 패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패드 장치(100)는 아우터 블록(110), 이너 블록(120), 진공 플레이트(140), 패드(150)를 포함한다.
아우터 블록(110)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설정크기의 수용부(112)를 구비한다.
이너 블록(120)은 상기 수용부(112)에 결합되며, 복수의 볼(130)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내장될 수 있다.
진공 플레이트(140)는 상기 이너 블록(120)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볼(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패드(150)는 상기 진공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우터 블록(110)은 아우터 블록 몸체부(111)를 포함한다.
아우터 블록 몸체부(111)는 일측에 피팅부(180)가 연결되는 측면연결부(117)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 블록 몸체부(111)의 하부에는 측면연결부(117)와 연결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제1 홀부(114)와, 제1 홀부(114)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112)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제2 홀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 블록(120)은 측면(121)이 상기 수용부(112)의 내부벽면(1121)에 밀착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블록(120)이 상기 수용부(112)에 결합될 때에는 이너 블록(120)의 하부면(122)과 상기 수용부(112)의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갭부(116)는 피팅부(180)에 의해 진공이 형성되는 여부에 따라 복수의 볼(130)을 상하로 유동시키는 압력 챔버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패드(150)의 흡착홀(153)을 통해 강한 흡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너 블록(120)의 내측 하단에는 복수의 제3 홀부(124)가 구비되고, 이너 블록(120)의 내측 상단에는 복수의 제4 홀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4 홀부(125)는 복수의 제3 홀부(124) 각각에 상하로 연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복수의 제4 홀부(125) 각각의 직경(D4)은 복수의 제3 홀부(124) 각각의 직경(D3)보다 확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 이너 블록(120)은 상기 수용부(112)에 대응하여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볼(130)은 상기 이너 블록(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간격(L1)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 블록(1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제2 간격(L2)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복수의 볼(130) 각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볼(130) 각각은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스틸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볼(130)은 중량감이 있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진공 유무에 따라 볼(130)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며 자중에 의해 초기 위치로 낙하할 수 있다.
복수의 볼(130) 각각의 직경은 복수의 제4 홀(125) 각각의 직경(D4)(도 5 참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진공 플레이트(140)의 하부면(141)은 상기 이너 블록(120)의 상부면(123)을 상하로 덮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플레이트(140)의 상부면(142)은 상기 패드(150)의 하부면(152)에 상하로 덮여 결합될 수 있다.
진공 플레이트(140)는 복수의 관통홀(146)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46)은 복수의 볼(130) 각각이 위치하는 복수의 제4 홀(125)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통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복수의 관통홀(146) 각각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상하 공간이 확보된 복수의 흡착공간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흡착공간부(145)는 복수의 관통홀(146)과 상하로 서로 연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150)는 복수의 흡착홀(153)을 포함한다. 복수의 흡착홀(153)은 복수의 흡착공간부(145)와 상하로 연통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진공 플레이트(140)는 아우터 블록(110) 및/또는 이너 블록(120)과 동일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패드(150)는 이와 달리 탄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면 대전 방지용 우레탄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100)의 경우, 기존의 방식에 따르는 복수의 원형 패드(11)(도 7 참조)를 갖는 기존의 진공 패드 장치(10)(도 7 참조)와 달리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박판 제품(20)과의 면 접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의 진공 패드 장치(10)는 협소한 접촉 면적을 갖는 복수의 원형 패드(11)를 통해서만 박판 제품(20)의 흡착이 가능하였다. 이 때문에 일부 패드(11)의 리크 발생 시 안정적인 흡착이 어려웠다.
이와 달리,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100)는 소정의 탄성이 확보된 패드(150) 상에 복수의 흡착홀(153)이 전, 후, 좌, 우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이 때문에, 박판 제품(20)이 보다 넓은 면적, 즉 대면적의 면 접촉이 가능하여 일부 영역에서 리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박판 제품(20)의 안정적인 흡착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박판 제품(20)이 패드(150)의 상부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접촉 면적 증가로 인해 박판 제품(20)의 미스얼라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박판 제품(20)의 이송 중 유동을 억제하여 공정의 정확성 및 생산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관통홀(146) 각각은 볼(130)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구속하면서도 진공 압력 증가를 통해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관통홀(146) 각각은 볼(130)의 직경(D4)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하부에 위치한 볼(130)의 중심과 동일 중심을 이루어 위치하는 원형의 제1 관통홀부(1461)와, 상기 제1 관통홀부(146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하여 서로 120도 간격을 두고서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3, 4 관통홀부(1462, 1463, 1464)를 포함한다. 제2, 3, 4 관통홀부(1462, 1463, 1464)는 제1 관통홀부(146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진공 형성 유무에 따라 볼(130)이 상하로 유동할 때 관통홀(146)은 볼(130)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견고한 구조로 유지될 수 있어, 볼(130) 삽입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진공 형성 시 흡기를 위한 홀 개방 면적을 증가시켜 패드(150)의 흡착홀(153)을 통해 발생되는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100)는 복수의 제1 체결부(143), 복수의 제2 체결부(144), 복수의 제3 체결부(147)을 포함한다(도 2 참조).
복수의 제1 체결부(143)는 진공 플레이트(1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진공 플레이트(140)와 아우터 블록 몸체부(111)의 상부면(1111) 사이를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체결부(144)는 복수의 제1 체결부(143)보다 진공 플레이트(140)의 내측에서 복수의 볼(130)이 구비된 영역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진공 플레이트(140)와 이너 블록(120)의 상부면(123) 사이를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체결부(147)는 복수의 제1 체결부(143)와 나란하게 평행을 이루어 배열되며, 진공 플레이트(140)의 내측에서 복수의 볼(130)이 구비된 영역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진공 플레이트(140)와 이너 블록(120)의 상부면(123) 사이를 나사 체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3 체결부(147)는 복수의 제2 체결부(144)와 함께 복수의 볼(130)이 구비된 영역의 내, 외측을 동시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볼(130)이 2열 종대로 배치될 경우 복수의 제2 체결부(144)는 복수의 볼(13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3 체결부(147)는 복수의 볼(130)의 사이, 즉 복수의 볼(130) 사이의 중심 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볼(130)이 내장된 이너 블록(120)과 그 상부에 결합되는 진공 플레이트(140) 간의 강한 밀착이 가능해져 진공 형성 시 흡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볼(130)의 상하 유동 시 충격으로부터 구조를 보강하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패드(150)는 대전 방지용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판 제품(20)과의 대면적 접촉이 가능하여 리크가 발생될 경우에도 안정적인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대면적의 패드(150)는 박판 제품(20)의 흡착 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패드(150)의 상부면(151)은 박판 제품(20)의 크기 및 면적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 및 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패드(150)의 상부면(151)은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패드(150)에 구비된 흡착홀(153)은 진공 플레이트(120)의 흡착공간부(145)에 비해 확장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흡착공간부(145)는 원형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흡착홀(153)은 흡착공간부(145)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도록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라운드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홀(153)은 패드(150)의 상부면(151)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는 박판 제품(20)을 강한 흡착력으로 흡착시키며, 일부 영역에서 리크가 발생할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박판 제품(20)을 흡착하는 흡착력이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박판 제품(20)의 안정적인 이송이 자유롭고, 로봇 등에 의해 박판 제품(20)을 이동시킬 경우 외부 유동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100)는 릴레이 타임이 대폭 단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진공 패드 장치(10)(도 7 참조)의 반응 시간이 0.2~0.3초인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100)(도 8 참조)는 반응 시간이 0.02~0.04초 이내로 대폭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진공 패드 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이젝터(ejector)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방식의 이젝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 패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이젝터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박판 제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흡착력의 강화는 물론, 리크가 발생할 경우에도 흡착력 발휘가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진공 패드 장치
110: 아우터 블록
111: 아우터 블록 몸체부
1111: 아우터 블록 몸체부의 상부면
112: 수용부
1121: 수용부의 내부벽면
114: 제1 홀부
115: 제2 홀부
116: 갭부
117: 측면연결부
120: 이너 블록
121: 이너 블록의 측면
122: 이너 블록의 하부면
123: 이너 블록의 상부면
124: 제3 홀부
125: 제4 홀부
130: 볼
140: 진공 플레이트
141: 진공 플레이트의 하부면
142: 진공 플레이트의 상부면
143: 제1 체결부
144: 제2 체결부
145: 흡착공간부
146: 관통홀
1461: 제1 관통홀부
1462: 제2 관통홀부
1463: 제3 관통홀부
1464: 제4 관통홀부
147: 제3 체결부
150: 패드
151: 패드의 상부면
152: 패드의 하부면
153: 흡착홀
180: 피팅부

Claims (7)

  1. 일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설정크기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아우터 블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볼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내장되는 이너 블록;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진공 플레이트; 및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되는 패드;
    를 포함하는 진공 패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블록은,
    일측에 피팅부가 연결되는 측면연결부를 구비하고,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형의 아우터 블록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블록 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측면연결부와 연결되며 수평으로 연장된 제1 홀부와,
    상기 제1 홀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도록 수직으로 연장된 제2 홀부가 구비되는
    진공 패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블록의 측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면에 밀착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너 블록이 상기 수용부에 결합 시 상기 이너 블록의 하부면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부가 형성되는
    진공 패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블록의 내측 하단에는 복수의 제3 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너 블록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복수의 제3 홀부 각각에 상하로 연통된 복수의 제4 홀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4 홀부 각각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제3 홀부 각각의 직경보다 확장된 형상을 갖는
    진공 패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블록은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전후 길이가 좌우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볼 각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볼 각각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제4 홀 각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진공 패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하부면은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면을 상하로 덮어 밀착되고,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상부면은 상기 패드의 하부면에 상하로 덮여 결합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제4 홀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통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 각각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상하 공간이 확보된 복수의 흡착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흡착공간부는 상기 복수의 관통홀과 서로 연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복수의 흡착공간부 각각과 연통된 복수의 흡착홀을 포함하는
    진공 패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와 상기 아우터 블록 몸체부의 상부면 사이를 나사 체결하는 복수의 제1 체결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체결부보다 상기 진공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의 볼이 구비된 영역의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진공 플레이트와 상기 이너 블록의 상부면 사이를 나사 체결하는 복수의 제2 체결부;
    를 포함하는 진공 패드 장치.
KR1020220074039A 2022-06-17 2022-06-17 진공 패드 장치 KR2023017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39A KR20230174313A (ko) 2022-06-17 2022-06-17 진공 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39A KR20230174313A (ko) 2022-06-17 2022-06-17 진공 패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313A true KR20230174313A (ko) 2023-12-28

Family

ID=8938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39A KR20230174313A (ko) 2022-06-17 2022-06-17 진공 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3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262A (ko) 2011-08-25 2013-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공 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262A (ko) 2011-08-25 2013-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진공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675B2 (en) Wafer storage container
KR102484098B1 (ko) 노즐의 선단 구조, 퍼지 장치 및 로드 포트
JP2005518318A (ja) ウェーハ容器のクッション装置
US8881907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with gravity center adjustment member
JP2005531465A (ja) 電子部品用のキャリアテープ
KR20150001625A (ko) 처리 설비
KR20130031175A (ko) 대형 전방개방 규격화 웨이퍼 파드
US8413814B2 (en) Front opening unified pod disposed with purgeable supporting module
JPWO2013183138A1 (ja) 衝撃吸収機能を備えた基板収納容器
US8413815B2 (en) Wafer container with at least one purgeable supporting module having a long slot
US20100025288A1 (en) Wafer container with constraints
KR20230174313A (ko) 진공 패드 장치
JP6916685B2 (ja)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取扱い方法
JP6540221B2 (ja) パージ装置及びパージストッカ
KR101261313B1 (ko) 평판 이송물 정렬픽업 이송장치
JP2008285222A (ja) 搬送トレイ
KR101711735B1 (ko) 반도체 칩 트레이
JP7250525B2 (ja) ウエハ搬送用トレイ
TWI424525B (zh) 晶片封裝體的承載裝置及承載組件
KR101764502B1 (ko) 패널 이송장치
TWI597221B (zh) 基板承載裝置
KR20130065620A (ko) 부상 반송 유닛
US6809936B2 (en) Integrated circuit component carrier with angled supporting and retaining surfaces
KR20230166716A (ko) 반도체패키지 테스트 소켓 장착용 지그
KR200415317Y1 (ko) 웨이퍼 보관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